728x90
반응형

티스토리챌린지 21

<선호상한론>확장판 108조문

[108]「113」 傷寒에 腹滿 譫語하고 寸口脈浮而緊은 此肝乘脾也니 名曰縱이오 刺期門이라『상한에 배가 창만하면서 譫語하고 寸口脈이 浮緊한 것은 肝木이 脾土를 乘한 것으로 縱이라고 하니 期門에 자침한다.』✺腹滿譫語者는 脾胃疾也라 浮而緊者는 肝脈也라 脾病에 見肝脈은 木行乘土也라 經에 曰 水行乘火 木行乘土를 名曰縱이라하니 此其類矣라 期門者는 肝之募니 刺之以瀉肝經盛氣라(≪注解傷寒論≫)✺寸口는 氣口也라 五臟別論에 帝曰 氣口가 何以獨爲五臟主잇가 岐伯對曰 胃者는 水穀之海오 六腑之大源也라 五味入口어든 藏於胃하야 以養五臟氣한대 而變見於氣口也라하니라 故로 寸口主脾胃라 浮緊爲弦이니 是肝脈也라 乘脾者는 肝木自盛하야 脾胃之土受制也라(≪傷寒論條辨≫)✺肝木乘脾土를 名曰縱이라 其證腹滿譫語하고 其脈寸口浮而緊이라 寸口卽氣口니 脾胃脈之所..

<선호상한론>확장판 107조문(柴胡加龍骨牡蠣湯方)

❏柴胡加龍骨牡蠣湯方柴胡四兩 龍骨 黃芩 生薑切 鉛丹 人參 桂枝去皮 茯苓各一兩半 半夏二合半 洗 大黃二兩 牡蠣一兩半 熬 大棗六枚 擘上十二味를 以水八升으로 煮取四升하야 內大黃 切如碁子하고 更煮一兩沸하야 去滓하고 溫服一升이라 本云 柴胡湯 今加龍骨等이라『위 12가지 약물을 물 8되로 달여 4승을 취해서 대황을 바둑알 만하게 썰어서 넣고 다시 1~2번을 끓여 찌꺼기를 버리고 1되를 따뜻하게 복용한다. 본래 시호탕에 용골 등을 더한 것이라고 하였다.』✺議曰 傷寒八九日에 邪氣錯雜하야 表裏未分한대 而誤下之면 則虛其裏而傷其表라 胸滿而煩者는 邪熱客於胸中이라 驚者는 心惡熱而神不守也라 小便不利者는 裏虛而津液不行也라 譫語者는 胃熱也라 一身盡重 不可轉側者는 陽氣內榮於裏하야 不行於表也라 故로 用柴胡爲君하야 以通表裏之邪而除胸滿하고 以人..

<선호상한론>확장판 107조문

[107][112] 傷寒八九日에 下之하야 胸滿煩驚 小便不利 譫語 一身盡重 不可轉側者는 柴胡加龍骨牡蠣湯 主之라『상한 8~9일에 하법을 써서 가슴이 창만하고 煩擾하면서 놀라고 소변이 잘 나오지 않으면서 譫語하고, 온몸이 무거워 돌아 누울 수 없는 경우에는 시호가용골모려탕으로 다스린다.』✺傷寒八九日은 邪氣已成熱하야 而復傳陽經之時어늘 下之하야 虛其裏 而熱不除라 胸滿而煩者는 陽熱客於胸中也오 驚者는 心惡熱而神不守也오 小便不利者는 裏虛津液不行也오 譫語者는 胃熱也오 一身盡重不可轉側者는 陽氣內行於裏하고 不營於表也라 與柴胡湯하야 以除胸滿而煩하고 加龍骨 牡蠣 鉛丹하야 收斂神氣而鎭驚하고 加茯苓하야 以行津液 利小便하고 加大黃하야 以逐胃熱 止譫語하고 加桂枝以行陽氣而解身重이라 錯雜之邪가 斯悉愈矣라(≪注解傷寒論≫)✺胸滿者는 下後裏虛..

<선호상한론>확장판 106조문(桃核承氣湯方)

❏桃核承氣湯方桃仁五十个 去皮尖 桂枝二兩 去皮 大黃四兩 芒硝二兩 甘草二兩 炙上五味를 以水七升으로 煮取二升半하야 去滓하고 內芒硝하야 更上火微沸하고 下火하야 先食溫服五合호대 日三服이오 當微利라『위 5가지를 물 7되로 달여 2되 반을 취해서 찌꺼기를 버리고 망초를 넣어 다시 불에 얹어 약간 끓이고, 불에서 내려 먼저 5홉을 따뜻하게 복용하되 하루에 3번 복용하고 약간 하리시킨다.』✺議曰 太陽者는 膀胱也라 本經邪熱不解하야 隨經入府하야 結於膀胱하야 熱不得散하니 故로 作蓄血之證하야 其人如狂이라 經曰血在上善忘이오 血在下如狂이 是也라 若其外證不解하야 或脈帶浮 或惡寒 或身痛等證은 尚未可攻이니 且與葛根湯以解其外라 外已解 但小腹急結者라야 乃可攻之라 以桃仁爲君은 能破血結 而緩其急이라 以桂枝爲臣은 辛熱之氣 而溫散下焦蓄血이라 以調..

<선호상한론>확장판 106조문

[106][111] 太陽病 不解한대 熱結膀胱하야 其人如狂한대 血自下하면 下者는 愈라其外不解者는 尙未可攻이니 當先解外라外解已코 但少腹急結者라야 乃可攻之니 宜桃核承氣湯이라(後云解外는 宜桂枝湯이라)『태양병이 풀리지 않았는데, 사열이 방광의 부위에 뭉쳐서 病人이 발광하는 것 같고 하혈하는데 피가 나오면 낫는다. 외증이 풀리지 않은 경우에는 공하법을 쓸 수 없으니, 먼저 표증을 풀어야 한다. 표증이 풀리고 나서 少腹만 급결한 경우라야 공하법을 쓸 수 있으니 도핵승기탕이 마땅하다.(뒤에 解外라고 한 것은 계지탕을 써야 한다.)』✺桃仁承氣湯은 又治産後惡露不下 喘脹欲死니 服之十瘥十이라 龐曰 脈朝夕快者는 實癖也니 可下之오 朝平夕快者는 非癖也니 不可下라 快는 謂數脈이니 六七至者也라 若脈數一息八九至는 愼不可下니 若下之則煩躁..

<선호상한론>확장판 105조문

[105][110] 傷寒十三日不解하야 過經譫語者는 以有熱也니 當以湯下之라{若小便利者는 大便當硬이어늘 而反下利하며 脈調和者는 知醫以丸藥下之가 非其治也라若自下利者는 脈當微厥이로대 今反和者는 此爲內實也니 調胃承氣湯 主之라}『상한이 13일이 지나도록 낫지 않아서 일정기간이 지났는데도 譫語하는 것은 裏熱 때문이니 탕약으로 하법을 써야 한다. 소변이 잘 나오면 대변이 굳어야 하는데, 지금 도리어 하리하면서 맥이 調和하다면, 의원이 환약으로 하법을 쓴 것이 잘못된 치법이었음을 알 수 있다. 만약 저절로 하리한다면 맥은 당연히 약간 厥해야 하는데, 지금 반대로 調和하다면 內實임이 분명하니 조위승기탕으로 다스린다.』✺傷寒十三日은 再傳經盡이니 謂之過經이라 譫語者는 陽明胃熱也라 當以諸承氣湯으로 下之라 若小便利者는 津液偏滲하..

<선호상한론>확장판 104조문(柴胡加芒硝湯方)

❏柴胡加芒硝湯方柴胡二兩十六銖 黃芩一兩 人參一兩 甘草一兩 炙 生薑一兩 切 半夏二十銖 本云五枚 洗 大棗四枚 擘 芒硝二兩上八味를 以水四升으로 煮取二升하야 去滓하고 內芒硝하야 更煮微沸하야 分溫再服이라 不解면 更作이라(臣億等이 謹案컨대 金匱玉函은 方中에 無芒硝라 別一方에 云 以水七升으로 下芒硝二合 大黃四兩 桑螵蛸五枚하고 煮取一升半하야 服五合이니 微下卽愈라 本云柴胡를 再服以解其外하고 餘二升에 加芒硝 大黃 桑螵蛸也라)『위 8가지 약물을 물 4되로 달여 2되를 취해서 찌꺼기를 버리고, 망초를 넣어서 다시 달여 약간 끓으면 2번에 나누어 따뜻하게 복용한다. 낫지 않으면 다시 만든다.(臣 임억 등이 살펴보건대, ≪金匱玉函經≫에는 방에 망초가 없다. 다른 방에 이르기를, 물 7승에 망초 2홉과 대황 4냥, 상표초 5개를 더..

<선호상한론>확장판 104조문

[104][109] 傷寒十三日不解하야 胸脇滿而嘔하고 日晡所에 發潮熱이라가 已而微利라此는 本柴胡證이니 下之以不得利어늘 今反利者는 知醫以丸藥下之가 非其治也라潮熱者는 實也라 先宜小柴胡湯 以解外하고 後以柴胡加芒硝湯 主之라『상한이 13일이 지나도록 낫지 않아서 胸脇이 창만하면서 구토하고, 해질 무렵에 潮熱이 발생하는 증상이 있다가 오래지 않아 약간 하리한다. 이는 본래 대시호탕증으로 하법을 써도 하리할 수 없는데 지금 도리어 하리하는 것은 의원이 丸藥으로 하법을 쓴 것이 잘못된 치법이었기 때문이다. 潮熱은 실하기 때문이다. 먼저 소시호탕을 주어서 외증을 풀고, 다음에 시호가망초탕으로 다스린다.』✺傷寒十三日은 再傳經盡하야 當解之時也라 若不解하고 胸脇滿而嘔者는 邪氣가 猶在表裏之間이니 此爲柴胡湯證이오 若以柴胡湯으로 下..

<선호상한론>확장판 103조문(大柴胡湯方)

❏大柴胡湯方柴胡半斤 黃芩三兩 芍藥三兩 半夏半升 洗 生薑五兩 切 枳實四枚 炙 大棗十二枚 擘上七味를 以水一斗二升으로 煮取六升하야 去滓하고 再煎하야 溫服一升호대 日三服이라 一方에 加大黃二兩이라 若不加면 恐不爲大柴胡湯이라『위 7가지 약물을 물 1말 2되로 달여 6되를 취해서 찌꺼기를 버리고 다시 달여 1되를 따뜻하게 복용하되 하루에 3번 복용한다. 어떤 方에는 대황을 2냥 썼다. 대황을 더하지 않는다면 대시호탕이라고 할 수 없을 것이다.』✺柴胡 黃芩之苦는 入心而折熱이오 枳實 芍藥之酸苦는 涌泄而扶陰이라 辛者는 散也니 半夏之辛은 以散逆氣오 辛甘은 和也니 薑棗之辛甘은 以和營衛라(≪注解傷寒論≫)✺虛者는 補之오 實者는 瀉之라하니 此言은 所共知나 至如峻緩輕重之劑하얀 則又臨時消息焉이라 大滿大實堅하야 有燥屎는 非駛劑면 則不能..

<선호상한론>확장판 103조문

[108] 太陽病 過經十餘日에 反二三下之한대 後四五日에 柴胡證仍在者는 先與小柴胡湯이라嘔不止하고 心下急하며 鬱鬱微煩者는 爲未解也니 與大柴胡湯하야 下之則愈라『태양병이 일정기간을 지나 10여일이 되었을 때 2~3번 하법을 쓴 후 4~5일에 시호탕증이 여전히 남아 있으면 먼저 소시호탕을 준다. 嘔逆이 그치지 않고 心下가 급박하면서 약간 煩하면 아직 풀리지 않은 것이니, 대시호탕을 주어서 하리시키면 낫는다.』✺大柴胡는 治嘔最妙니 爲內有枳實故也라 枳實은 去穢壓이오 虛氣는 須是去大黃이라 仲景云 嘔多면 雖有陽明이라도 愼不可下라하니라 官局桔梗湯이 最良이니 亦用枳實耳라(≪活人書·77問≫)✺嘗記有人病傷寒하야 心煩喜嘔 往來寒熱한대 醫以小柴胡與之하니 不除라 予曰 脈洪大而實은 熱結在裏어늘 小柴胡이 安能去之리오 仲景云 傷寒十餘日 ..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