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5][110] 傷寒十三日不解하야 過經譫語者는 以有熱也니 當以湯下之라
{若小便利者는 大便當硬이어늘 而反下利하며 脈調和者는 知醫以丸藥下之가 非其治也라
若自下利者는 脈當微厥이로대 今反和者는 此爲內實也니 調胃承氣湯 主之라}
『상한이 13일이 지나도록 낫지 않아서 일정기간이 지났는데도 譫語하는 것은 裏熱 때문이니 탕약으로 하법을 써야 한다. 소변이 잘 나오면 대변이 굳어야 하는데, 지금 도리어 하리하면서 맥이 調和하다면, 의원이 환약으로 하법을 쓴 것이 잘못된 치법이었음을 알 수 있다. 만약 저절로 하리한다면 맥은 당연히 약간 厥해야 하는데, 지금 반대로 調和하다면 內實임이 분명하니 조위승기탕으로 다스린다.』
✺傷寒十三日은 再傳經盡이니 謂之過經이라 譫語者는 陽明胃熱也라 當以諸承氣湯으로 下之라 若小便利者는 津液偏滲하니 大便當硬이로대 反下利者는 知醫以丸藥下之也라 下利하며 脈微而厥者는 虛寒也어늘 今脈調和하니 則非虛寒이오 由腸虛胃熱하야 協熱而利也라 與調胃承氣湯하야 以下胃熱이라(≪注解傷寒論≫)
✺熱은 風也라 言俗謂傷寒過經不解者는 以庸下가 不省並中有風하고 誤於治之所致也라 若自下利至末은 乃推明其所以爲誤 而出其救誤之治라 反和는 以不厥言이오 非宜謂平和라(≪傷寒論條辨≫)
✺經文內實之實은 當作熱이라 注偏滲은 偏當作漏라 此段에 有五反一對한대 熱與厥反 湯與丸反 便硬與下利反 脈微與脈和反 藥下與自利反 小便與大便硬爲一對하니 讀者는 宜細詳之니라(≪證治準繩·卷三·陽明病·譫語≫)
✺過經不解而譫語는 其爲熱證이 明矣라 以湯藥下之면 則熱除垢淨이어니와 以丸藥下之면 則熱留腸胃而下利不止라 與調胃承氣하야 以蕩滌餘熱이라(≪張卿子傷寒論≫)
✺王三陽云 前條에 傷寒醫下之續得下利 淸穀不止 身疼痛者 急當救裏 用四逆者는 觀身有疼痛 則知邪全在表니 大不當下오 下之則裏虛之甚하야 略無分毫邪氣在裏라 故로 元氣受損하야 淸穀不止니 急當用溫藥救裏라 況醫下之한대 不云丸藥이면 則必是承氣湯이니 裏之受病이 多矣어늘 可不急救乎아 且外疼痛은 亦須用桂枝可知라 此證은 寒未變熱이어나 或寒中陰經之證이 全未熱也라 此條는 本柴胡證邪在半表半裏니 一半不當下오 一半當下라 況以丸藥下之하야 表熱不能徹去라 故로 邪熱乘虛傳裏하야 爲協熱利하고 且外證譫語 內有實邪를 可知라 脈又調和하니 元氣頗在라 故로 用承氣湯하야 後下之也라 此二條는 正宜參看用藥하야 不可誤也라(≪張卿子傷寒論≫)
✺過經譫語는 陽明胃熱也니 成注的甚이라 前條胸脇滿而嘔 日晡潮熱下利는 乃大柴胡症이오 過經譫語는 乃陽明症이니 不可不辨이라(≪張卿子傷寒論≫)
✺二條는 俱見微利之證이니 難辨其內虛內實이라 上條 胸脇滿而嘔는 邪湊少陽之表라 故로 欲下之라도 必用柴胡湯爲合法이라 若以他藥下之하야 表邪內入하면 卽是內虛라 此條는 原無表證하야 雖圓藥誤下라도 其脈仍和니 卽爲內實也라(≪尙論篇≫)
✺按컨대 仲景下法에 屢以用圓藥爲戒어늘 惟治太陽之脾約은 乃用麻仁圓이라 因其人平素津枯腸結하야 必俟邪入陽明下之면 恐無救於津液이라 故로 雖邪在太陽이라도 卽用圓藥之緩下潤其腸하야 俾外邪不因峻攻而內陷이니 乃批郗導窾 游刃空虛之妙也라 此等處에 亦須互察이라(≪尙論篇≫)
✺再按컨대 傷寒證은 以七日爲一候니 其有二候三候不解者는 病邪多在三陽經留戀하야 不但七日傳之不盡하고 卽十日十三日二十餘日 尚有傳之不盡者라 若不辯證하고 徒屈指數經數候하면 汗下展轉差誤하야 正虛邪湊하야 愈久愈難爲力이니 與內經至七日 太陽病衰 頭痛少愈 八日陽明病衰 身熱少歇 九日少陽病衰 耳聾微聞 十日太陰病衰 腹減加故 則思飮食 十一日少陰病衰 渴止舌潤而嚏 十二日厥陰病衰 囊縱少腹微下 大氣皆去하야 病人精神爽慧之恒期로 迥異矣라 所以過經不解는 當辨其邪在何經而取之라 仲景云 太腸病頭痛 至七日以上自愈者 以行其經盡故也는 卽內經七日太陽病衰 頭痛少愈之旨也니 可見太陽一經에 有行之七日以上者矣라 其欲作再經者는 針足陽明하야 使經不傳則愈라 以太陽旣羈留多日이면 則陽明少陽도 亦可羈留하야 過經漫無解期矣라 所以早從陽明中土而奪之하야 俾其不傳이니 此捷法也라 若謂六經傳盡 復傳太陽은 必無是理니 後人墮落成無己阱中耳라 豈有厥陰兩陰交盡於裏한대 復從皮毛外 再入太陽之事耶아 請破此大惑이라(≪尙論篇≫)
✺譫語者는 自言也라 寒邪鬱裏하고 胃中有熱하야 熱氣熏膈하면 則神昏而自言也라 譫語有熱은 法當以湯蕩滌之라 若小便利者는 津液偏滲이니 大便當堅硬而不出이어늘 今反下利 及診其脈 又調和而非自利之脈은 知醫非其治 而以丸藥下之也라 若其人不因誤下而自利者는 其脈當微而手足見厥이니 此爲內虛오 不可下也라 今脈反和하니 反和者는 言其脈與陽明府證不相背之意오 若脈果調和 則無病矣라 此爲內實 故로 見譫語下利等證이라 與調胃承氣湯者는 以下胃中之實熱也라 或問旣下利矣 則大便未必燥堅이어늘 何以湯中復用芒硝잇가 余答云 譫語有熱은 是有燥屎오 醫用丸藥하면 下之太緩하야 腸中堅實之物不能去하고 所下者는 旁流溏垢耳라 據컨대 仲景法에 下利譫語者는 有燥屎也니 宜小承氣湯이어늘 今改用調胃者는 以醫誤下之故라 內實不去하고 胃氣徒傷이라 故로 於小承氣湯에 去厚朴枳實 而加甘草하야 以調和之也라 因大便堅實 以故復加芒硝니라(≪傷寒論辨症廣注≫)
✺此는 言病氣已入陽明胃府하야 無分便硬自利하고 審爲實熱之證者는 俱可從乎下解也라 傷寒十三日不解하야 過陽明經而譫語者는 以內有熱也니 當以湯藥下之라 若小便利者는 津液下注하야 大便當硬하고 內熱而燥하니 湯藥下之가 可也라 若過經譫語而反下利하고 脈調和者는 知醫以丸藥下之니 夫丸緩은 留中하야 徒傷胃氣니 非其治也라 若自下利而涉於裏陰者는 其脈當微하고 手足當厥이어늘 今反調和者는 此爲陽明內實而腐穢當下也니 調胃承氣湯主之라(≪傷寒論集注≫)
✺高子曰 上節은 論逆於中土而病氣欲出은 宜先從外解오 此는 言過在陽明而入於胃土는 宜但從下解니 仲賢本論에 有條不紊이니 學者는 辨之니라(≪傷寒論集注≫)
✺邪氣在表하야 至七日而六經已盡하고 至十三日而再經亦盡이라 故로 謂之過經이라 過經而譫語者는 以邪入陽明之裏하야 胃中有實熱也라 故로 當以湯下之라 曰湯而不曰承氣者는 以上四句是起下文語니 乃借客形主之詞라 故로 在所忽也라 若小便利者는 其水穀自別하야 津液下滲하야 大便硬矣어늘 而反下利오 下利則脈不當調어늘 今脈自調和者는 非變症使然이니 知醫以丸藥誤下所致也라 以理推之컨대 上截은 譫語而胃中有熱이라 故로 當以湯下之라 此는 因小便利 則裏無大熱을 可知라 大便雖硬이라도 無熱이면 不須峻下니 當以調胃承氣湯으로 和胃하야 令大便微溏이면 足矣라 不然이면 膽導蜜導法이 可耳니 豈容以峻厲丸藥下之邪아 故로 曰非其治也라 若不因誤下而自下利者는 脈當微厥이니 微厥者는 忽見微細也라 微厥則正氣虛衰하야 眞陽欲亡이니 乃虛寒之脈證也라 今下利而脈反和者는 此爲內實이니 內實者는 胃中本有實邪也라 然이나 內實則脈象亦當實大 而脈反和者는 何也오 蓋不下利之內實은 脈方實大어니와 此는 以丸藥誤下하야 氣已下泄이라 故로 脈僅得調和而不能實大也라 內雖實而脈和하고 且小便自利 則裏無大熱이니 不須攻下라 故로 以調胃承氣湯主之라 調胃는 本云少少溫服하야 以平胃實이니 胃和則愈矣라(≪傷寒溯源集≫)
✺經者는 常也니 過經은 是過其常度오 非經絡之經也라 發於陽者七日愈하니 七日已上自愈는 以行其經盡故也라 七日不愈는 是不合陰陽之數니 便爲過經이오 非十三日不解爲過經也라 凡表解而不了了者는 十二日愈라 此十三日而尙身熱不解하니 便見其人之陽有餘라 過經而譫語는 足徵其人之胃家實이라 此內外有熱은 自陽盛陰虛也라 當以承氣湯下之어늘 而醫以丸藥下之하니 是는 因其病久하야 不敢速下하야 恐傷胃氣之意니 而實非傷寒過經之治法也라 下之不利어늘 今反下利는 疑爲胃虛나 而身熱譫語未除는 非虛也라 凡下利者는 小便當不利하고 小便利者는 大便當硬이어늘 今小便利而反下利는 疑爲胃虛니 恐熱爲協熱而語爲鄭聲也라 當以脈別之니 諸微는 亡陽이니 若胃虛而下利者는 脈當微어늘 今調和而不微는 是脈有胃氣하야 胃實을 可知也라 是丸藥之沈遲하야 利在下焦라 故로 胃實而腸虛니 調其胃則利自止矣라(≪柯氏傷寒論注≫)
✺此는 亦邪氣去太陽而之陽明之證이라 過經者는 邪氣去此而之彼之謂오 非必十三日不解 而後謂之過經也라 觀少陽篇第二十條에 云 太陽病 過經十餘日이라하고 又本篇第六十一條에 云 此爲風也 須下之 過經乃可下之라하니 則是太陽病罷而入陽明 或傳少陽者를 卽謂之過經이라 其未罷者는 卽謂之並病耳라 譫語는 胃有熱也니 則熱當以湯下之라 若小便利者는 津液偏滲이니 其大便必硬이어늘 而反下利 脈調和者는 醫知宜下 而不達宜湯之旨라 故로 以丸藥下之니 非其治也라 脈微厥은 脈乍不至也라 言自下利者는 裏氣不守하야 脈當微厥이어늘 今反和者는 以其內實이니 雖下利而胃有燥屎하야 本屬可下之候也라 故로 當以調胃承氣湯으로 下其內熱이라(≪傷寒貫珠集≫)
✺此는 承上條互發其義하야 以詳其治也라 傷寒十三日不解하야 過經 譫語者는 以有熱也니 當以湯藥으로 下其熱이라 但上條潮熱之熱은 熱在表裏니 當大便不硬이오 此條譫語之熱은 熱歸胃府니 法當大便硬이라 若小便利者는 大便硬이어늘 今大便不硬而反下利하고 脈調和者는 知爲醫以丸藥下之之利니 非其治也라 如未經丸藥下之하야 自下利者는 則爲內虛니 內虛之利는 脈當微弱而厥이어늘 今反和而不微厥은 此爲內實有熱이오 非內虛有寒也라 雖下利나 乃熱利也니 仍當下其熱이라 故로 以調胃承氣湯主之라(≪醫宗金鑑≫)
✺十三日에 已過再經之期 而作譫語는 是有內熱이니 當下라 若小便利者는 其大便當硬 而反下利 而脈又調和者는 知醫以丸藥下之하야 內熱未泄이니 非其治也라 若內虛而自下利者는 脈當微厥而不調어니와 (脈法에 厥者는 初來大라가 漸漸小하고 更來漸漸大가 是也라) 今反調和者는 此爲內實也라 內實은 宜湯不宜丸이니 當服調胃承氣湯也라(≪傷寒懸解≫)
✺[傷寒十三日不解] 二候라 [過經譫語者 以有熱也 當以湯下之] 如大小承氣之類라 [若小便利者 大便當硬 而反下利 脈調和者] 此言下後之證이라 [知醫以丸藥下之 非其治也] 下非誤오 下之法이 誤라 [若自下利者 脈當微厥 今反和者 知爲內實也 調胃承氣湯主之] 當下而下非其法하야 餘邪未盡하니 仍宜更下라(≪傷寒論類方≫)
✺張雲岐曰 脈調和而不微는 是脈有胃氣也라 內實者는 胃實也니 胃實則腸虛라 故로 必以調胃承氣湯으로 調其胃也라(≪傷寒論綱目·卷八·陽明經證·陽明經脈≫)
✺傷寒十三日에 再經已周 而又來復於太陽不解하면 則病氣已過於陽明胃腑하니 名曰過經이라 過經譫語者는 以胃腑有熱也니 當以湯藥下之라 若小便利者는 津液偏滲하니 大便當硬이어늘 今不硬而反下利하고 診其脈不與證相背하고 亦始謂之調和者는 知醫不以藥下之 而以丸藥下之하야 病仍不去니 非其治也라 若胃氣虛寒而自下利者는 脈當微而手足亦厥이니 必不可下어늘 今脈與陽明胃腑證不相背 卽可反謂之和者는 以丸緩留中하야 留而不去니 此爲內實也라 以調胃承氣湯으로 去其留中之穢하야 以和其胃氣主之라 此一節은 言病氣隨經氣而過於陽明也라(≪傷寒論淺注≫)
✺成本은 過經上에 有不解二字라 玉函 脈經 千金翼은 譫上에 有而字하고 以有熱也는 作內有熱也라 千金翼은 無調胃字라 柯本은 刪厥字라(≪傷寒論輯義≫)
✺案컨대 汪注에 脈微而手足厥은 本於成注오 錫駒가 以厥爲脈狀은 出於不可下編이라 錢氏云 微厥者는 忽見微細也라 微厥則正氣虛衰하야 眞陽欲亡이니 乃虛寒之脈證也라하니 意는 與錫駒로 同이오 此他諸家는 並與成注로 同이라(≪傷寒論輯義≫)
✺姑謂之 反謂之는 皆淺注强解之詞니 安知原文實義哉리오 盖仲景謂譫語便硬은 不當下利오 脈亦當大니 不當調和어늘 今不硬而反下利하고 脈不大而反調和者는 知醫不以湯藥滌其熱 而但以丸藥下其糞하야 旁流滯下하야 便當大之脈被其挫弱하야 遂爲調和之形이니 是下利脈和 而實邪仍在오 非其治也라 何以知下利脈和仍是實邪아 仲景又申明曰 若下利是虛면 其脈當微오 手足當厥이어늘 今脈不微而反和하니 所以知其非虛오 乃醫者挫弱其脈如此라 此雖外見和脈而內仍實邪也니 以調胃承氣湯主之라 余曾臨證에 見素虛人 及六陰脈人이 雖得傷寒熱證이나 脈亦不大하고 僅見爲和하나니 卽與此節脈和로 同一例也라 仲景이 於常診外에 添一變法하니 精之至矣니라(≪傷寒論淺注補正≫)
✺正陽陽明之傳은 濕去而燥獨留니 燥熱在腸胃하야 上薰於腦하면 則神昏而譫語라 小便利者는 大便必結이어늘 而證情에 反見下利하고 自下利者는 脈必微細하며 手必見厥이어늘 而反見脈條暢하고 手足溫和者는 此非自利라 亦俗工이 畏承氣猛峻하야 以丸藥으로 下之之失이니 爲其內實未除也라 內實은 必待調胃承氣而始盡이니 益可信輕可去實之謬矣라 此는 邪傳正陽陽明治法이니 急當攻裏者也라 獨怪近世醫家는 一見譫語하면 便稱邪犯心包하고 犀角 羚羊角 紫雪丹을 任意雜投하야 脫有不諱라 內實은 至死不去이니 卽或倖免이라도 正氣亦日見消亡이라 求如丸藥下之之古代庸醫는 併如鳳毛麟角之不數數覯也니 亦可哀已라(≪傷寒發微≫)
'<선호상한론>확장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호상한론>확장판 106조문(桃核承氣湯方) (0) | 2024.11.24 |
---|---|
<선호상한론>확장판 106조문 (0) | 2024.11.23 |
<선호상한론>확장판 104조문(柴胡加芒硝湯方) (0) | 2024.11.21 |
<선호상한론>확장판 104조문 (0) | 2024.11.20 |
<선호상한론>확장판 103조문(大柴胡湯方) (0) | 2024.1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