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6][111] 太陽病 不解한대 熱結膀胱하야 其人如狂한대 血自下하면 下者는 愈라
其外不解者는 尙未可攻이니 當先解外라
外解已코 但少腹急結者라야 乃可攻之니 宜桃核承氣湯이라(後云解外는 宜桂枝湯이라)
『태양병이 풀리지 않았는데, 사열이 방광의 부위에 뭉쳐서 病人이 발광하는 것 같고 하혈하는데 피가 나오면 낫는다. 외증이 풀리지 않은 경우에는 공하법을 쓸 수 없으니, 먼저 표증을 풀어야 한다. 표증이 풀리고 나서 少腹만 급결한 경우라야 공하법을 쓸 수 있으니 도핵승기탕이 마땅하다.(뒤에 解外라고 한 것은 계지탕을 써야 한다.)』
✺桃仁承氣湯은 又治産後惡露不下 喘脹欲死니 服之十瘥十이라 龐曰 脈朝夕快者는 實癖也니 可下之오 朝平夕快者는 非癖也니 不可下라 快는 謂數脈이니 六七至者也라 若脈數一息八九至는 愼不可下니 若下之則煩躁오 下利不止而死라 凡數脈與皮毛相得은 亦不可下也라 合下不下면 令病人腹脹滿하고 通身浮腫而死라(≪傷寒總病論·卷第二·可下證≫)
✺太陽은 膀胱經也라 太陽經에 邪熱不解하야 隨經入府하면 爲熱結膀胱이니 其人如狂者는 爲未至於狂하고 但不寧爾라 經에 曰 其人如狂者는 以熱在下焦라하니 太陽은 多熱하야 熱在膀胱하면 必與血로 相搏하나니 若血不爲畜하야 爲熱迫之면 則血自下하니 血下하면 則熱隨血出而愈라 若血不下者는 則血爲熱搏하야 蓄積於下하니 而少腹急結이어든 乃可攻之니 與桃核承氣湯하야 下熱散血이라 內經에 曰 從外之內而盛於內者는 先治其外하고 後調其內라하니 此之謂也라(≪注解傷寒論≫)
✺雍曰 外不解者는 未可攻이오 先解其外는 千金用桂枝湯이라(≪傷寒補亡論≫)
✺熱結膀胱은 卽下條太陽隨經 瘀熱在裏之互詞라 狂은 心病也라 心主血而屬火하고 膀胱은 居下焦而屬水라 膀胱熱結하야 水不勝火하야 心火無制면 則熱與血搏하야 不自歸經하고 反侮所不勝而走下焦하야 下焦蓄血이라 心雖未病이나 以火無制而反侮所不勝이라 故로 悖亂顚倒 語言妄謬하야 與病心而狂者無異라 故로 曰如狂也라 血自下則邪熱不復停이라 故曰愈也라 少腹은 指膀胱也라 急結者는 有形之血蓄積也라 桃仁은 逐血也오 桂枝는 解外也오 硝黃은 軟堅而蕩熱也오 甘草는 甘平而緩急也라 然則五物者는 太陽隨經入腑之輕劑也라 先食은 謂先服湯 而飮食則續後進也라(≪傷寒論條辨≫)
✺[張] 或云上二條證은 俱系下焦蓄血이니 中間雖有輕重이나 未審緣何而致此也라 此는 皆發汗未得其宜 或當汗不汗 或汗遲 或脈盛汗微 或覆盖不周而不汗하야 其太陽之邪가 無從而出이라 故로 隨經入腑하야 結於膀胱이라 今小腹硬滿한대 若小便不利者는 血不蓄이오 若小便利者는 乃蓄血證也라 血或不蓄한대 爲熱迫之면 血則自下하고 血下則熱隨血出而愈라 若蓄血而不下한대 其處不解者는 尚未可攻이니 當先解外라 外已解하고 但少腹急結者라야 乃用桃仁承氣湯攻之라 此如狂者之所處也라 其發狂者則不然하니 表證雖在라도 脈已沈微하고 邪氣傳裏면 其可已乎아 下之則愈라 故로 以抵當湯主之라(≪證治準繩·卷三·陽明病·狂亂≫)
✺按컨대 犀角地黃湯은 以治上血이니 如吐血衄血爲上血也오 桃仁承氣湯은 治中血이니 如蓄血中焦 下利膿血之類가 爲中血也오 抵當湯丸은 治下焦血이니 如血證如狂之類가 是下血也라 上中下三焦에 各有主治라 此條는 當作三證看이라 至下者愈是一證이니 謂其血自下也니 疑有闕文이라 至當先解外是一證이니 蓋其人如狂은 是下焦血이니 非桃仁承氣證也라 自外解至末히 又是一證이니 恐是自下只去得下焦血 而中焦道遠하야 未能盡去라 故로 尚留於少腹耳라 又抵當湯丸은 其中虻蟲水蛭이 性爲猛厲하니 不若四物湯加酒浸大黃各半으로 下之妙라 見湯液本草水蛭條下라(≪證治準繩·卷六·蓄血≫)
✺邪熱搏血하야 結於膀胱이라 膀胱者는 太陽寒水之經也라 水得熱邪면 必沸騰而上侮心火라 故로 其人如狂이라 見心雖未狂이나 有似乎狂也라 血自下者는 邪熱不留라 故로 愈라 若少腹急結하면 則膀胱之血이 蓄而不行이니 先解外라야 乃可攻이라 其攻法도 亦自不同이니 必用桃仁增入承氣하야 以達血所라 仍加桂枝하야 分解外邪는 正恐餘邪少有未解하야 其血得以留戀不下耳라 桃仁承氣湯中用桂枝解外는 與大柴胡湯中 用柴胡解外로 相倣이니 益見太陽隨經之熱은 非桂枝면 不解耳라(≪尙論篇≫)
✺按컨대 犀角地黃湯은 治上血하니 吐血衄血이 是也오 桃核承氣湯은 治中血하니 蓄血中焦 下利膿血이 是也오 抵當湯은 治下焦血하니 如狂이 是也라 少腹急結은 緩以桃仁之甘하고 下焦蓄血은 行以桂枝之辛이라 熱甚搏血이라 故로 加二物於調胃承氣湯中也라 以症狀察之면 當是厚桂는 非是桂枝也라 桂枝는 輕揚治上이오 厚桂는 重降治下니 其爲錯誤無疑也라(≪傷寒括要·卷下·太陽篇七十三方·桃核承氣湯≫)
✺太陽病에 邪熱不解하야 隨經入府하야 結於膀胱이라 太陽은 爲多血之經이니 府有結熱하면 則經中之血이 與熱相搏하야 蓄於下焦하야 其人如狂이라 如狂者는 乃邪熱之氣가 上熏於心이니 以故妄亂 與狂相似也라 血自下者는 邪熱이 隨血而出이라 故로 云 愈也라 若其人外不解면 外는 卽表也니 表邪不解면 裏雖蓄血이라도 尚未可攻이라 謂當先解其外 外得解已 但少腹急結者는 此可驗膀胱熱結 下焦蓄血也라 乃可竟用藥以攻之니라 成注云 與桃核承氣湯以下熱散血이라하니 愚以下熱散血을 當作下血散熱이라 夫血은 乃有形之物이니 可下而不可散이오 熱은 乃無形之氣니 可散而不可下니라 成注字義도 亦欠斟酌이라(≪傷寒論辨症廣注≫)
✺又按컨대 熱結膀胱은 膀胱乃小腹中之物이니 膀胱熱結하야 其氣蒸於少腹하면 則血不流利라 故로 作急結之形은 爲下焦蓄血之證諦也라 所以桃核承氣湯은 乃攻下焦蓄血하야 治少腹急結之藥이오 實非通膀胱熱結之藥也라 條辨注에 云 少腹指膀胱이오 急結者는 有形之血蓄積也라하고 尚論篇注에 云 少腹急結은 爲膀胱之血 蓄而不行이라하니 若似乎血在膀胱以內면 則是服桃核承氣湯後에 蓄血이 當從小便中出矣라 二家所言은 殊欠分析이라(≪傷寒論辨症廣注≫)
✺又按컨대 此條論에 云 外不解者 尚未可攻이라한대 仲景當日에 獨缺解外藥이어늘 補亡論郭白에 云 采千金方云 宜桂枝湯 及考內臺方議云 若其外證不解하야 或脈帶浮 或惡寒 或身痛等證은 尚未可攻이니 且與葛根湯하야 以解其外라하니 上二湯은 皆太陽病解外之藥이니 學人은 宜臨證消息用之니라(≪傷寒論辨症廣注≫)
✺此言太陽病氣合陽明하야 從胸膈而下入於膀胱也라 太陽病不解하야 應傳陽明하야 太陽之邪合陽明之熱하야 從胸而下를 謂之熱結膀胱이라 其人如狂者는 秉陽明之熱氣也라 曰如狂은 病屬氣分이니 非若抵當湯之發狂也라 血自下 下者愈는 無形之熱邪가 從有形而散也라 故로 其外不解者는 尙未可攻이오 當先解外하야 外內之相通也라 外解已하고 但小腹急而復結者는 乃太陽表邪合陽明之氣而結于小腹이니 急欲下而不能出이오 宜桃核承氣湯으로 微利則愈라 用芒硝는 上承陽明之熱氣오 大黃桃仁은 破血散結이오 配甘草桂枝는 資中焦之精하야 達太陽之氣라 熱邪下解而正氣外出이라 此熱結膀胱은 從胸內入이라 故로 列於柴胡湯中은 意謂從胸而入이니 亦可從胸而出也라(≪傷寒論集注≫)
✺太陽之經脈은 起於目內眥之睛明穴하야 上額交巔하야 從巔入絡腦하고 還出別下項하야 挾脊抵腰中하고 入循膂하야 絡腎屬膀胱而終於足小趾之至陰穴이라 故로 太陽爲膀胱之經이오 膀胱爲太陽之腑라 此以太陽中風之陽邪不解하야 熱邪內走而結於膀胱하면 則熱在下焦니 卽下文所謂太陽隨經瘀熱在裏也라 其人如狂者는 調經論에 云 血並於陰하고 氣並於陽하니 故로 爲驚狂이라하고 生氣通天論에 云 陰不勝其陽하면 則脈流薄疾하야 並乃狂이라하니 謂之如狂者는 狂而未甚之詞라 其語言動靜이 或是或非나 猶未至於棄衣而走 登高而歌 逾垣上屋 妄言罵詈 不避親疏之甚也라 熱在下焦 故로 迫血自下하니 血下則熱邪隨血下泄 故로 愈也니라 若其血不得自下 而留蓄於少腹者는 當攻之라 然이나 外證未解者는 恐裏虛邪陷이라 故로 尚未可攻이라 必當先解外邪하야 得外邪已解하고 但覺少腹急結者는 乃可攻之니 宜以桃仁承氣湯으로 下盡蓄血하면 則愈矣니라(≪傷寒溯源集≫)
✺[辨誤] 此條之如狂은 成氏謂熱在膀胱하야 與血相搏호대 未至於狂하고 但不寧爾라하고 條辨은 以爲心主血而屬火하고 膀胱은 居下焦而屬水라 膀胱熱結하야 水不勝火하야 心火無制면 熱與血搏하야 不歸經而反侮所不勝이라 故로 走下焦而爲蓄血이라 心雖未病이나 以火無制라 故로 悖亂顚倒하야 與心狂으로 無異라 又曰少腹者는 膀胱也라 急結者는 有形之血蓄積也라하고 尚論因之 遂以爲熱邪搏血하야 結於膀胱이라 膀胱爲太陽寒水之經이라 水得熱邪면 必沸騰而上侮心火라 故로 其人如狂이라 若少腹急結하면 則膀胱之血이 蓄而不行이라하니라 余歷觀注傷寒家호니 動輒以驚狂譫語 及心下悸者는 皆作心病論하니 已屬乖謬오 而血蓄膀胱之說은 恐尤爲不經이라 愚謂仲景之意는 蓋以太陽在經之表邪不解라 故로 熱邪隨經內入於腑 而瘀熱結於膀胱 則熱在下焦라 血受煎迫 故로 溢入回腸하고 其所不能自下者는 蓄積於少腹而急結也라 況太陽은 多血少氣하고 陽明은 多氣多血하며 腸胃는 爲受盛之器로 傳化糟粕之濁道오 百物之所彙니 血熱妄行이 豈有不歸腸胃者乎아 且膀胱은 爲下焦淸道니 其蒸騰之氣가 由氣化而入하고 氣化而出하야 未必能藏蓄血也라 卽另有溲血一證하니 亦由腎臟受傷하야 下焦氣化乖離라 故로 有氣血錯亂之病이라 然이나 自小便流出者는 亦非瘀蓄留滯 成形作塊之血也라 若果膀胱之血이 蓄而不行이면 則膀胱瘀塞하니 下文所謂少腹硬滿 小便自利者가 又何自出乎아 曆見蓄血必從大便而出이어니와 未見有傷寒蓄血而出於小便者라 若果出於小便이면 因何反用桃仁承氣 及抵當通其大便乎아 恐有識者는 必不以爲然也라(≪傷寒溯源集≫)
✺此條는 不以小便利不利以定血하고 惟以其如狂으로 斷其蓄血下焦니 當攻其血이라 然이나 表邪未解면 當先解外邪오 表解하고 小腹脹急이라야 乃可攻之니라(≪傷寒大白·卷二·蓄血≫)
✺陽氣太重하야 標本俱病이라 故로 其人如狂이라 血得熱則行 故로 尿血也라 血下則不結 故로 愈라 衝任之血은 會於少腹하니 熱極則血不下而反結 故로 急이라 然이나 病自外來者는 當先審表熱之輕重 以治其表하고 繼用桃仁承氣以攻其裏之結血이라 此는 少腹未硬滿 故로 不用抵當이라 然이나 服五合取微利니 亦先不欲下意라(≪柯氏傷寒論注≫)
✺首條는 以反不結胸句로 知其爲下後證이어니와 此는 以尙未可攻句하니 知其爲未下證이라 急結者는 宜解니 只須承氣오 硬滿者는 不易解니 必仗抵當이라 表證仍在에 竟用抵當하고 全不顧表者는 因邪甚於裏하야 急當救裏也라 外證已解에 桃仁承氣호대 未忘桂枝者는 因邪甚於表하야 仍當顧表也라(≪柯氏傷寒論注≫)
✺太陽之邪가 不從表出 而內傳於腑하야 與血相搏을 名曰蓄血이라 其人當如狂이니 所謂蓄血在下면 其人如狂이 是也라 其證當下血이니 血下則熱隨血出而愈하나니 所謂血病見血自愈也라 如其不愈而少腹急結者는 必以法攻而去之라 然이나 其外證不解者는 則尚未可攻이니 攻之면 恐血去而邪復入裏也라 是必先解其外之邪 而後攻其裏之血이니 所謂從外之內而盛於內者는 先治其外 而後調其內也라 以下三條는 並太陽傳本 熱邪入血 血蓄下焦之證이니 與太陽傳本 熱與水結 煩渴小便不利之證으로 正相對照니 所謂熱邪傳本者는 有水結 血結之不同也라(≪傷寒貫珠集≫)
✺太陽病不解하면 當傳陽明이어늘 若不傳陽明而邪熱隨經하야 瘀於膀胱榮分하면 則其人必如狂이라 如狂者는 瘀熱內結하야 心爲所擾하야 有似於狂也라 當此之時에 血若自下면 下者自愈오 若不自下 或下而未盡하면 則熱與瘀血 下蓄膀胱하야 必少腹急結也라 設外證不解者는 尚未可攻이니 當先以麻黃湯解外오 外解已하고 但少腹急結痛者는 乃可攻之니 宜桃核承氣湯이라 卽調胃承氣加桃核이니 所以攻熱逐血也라 蓋邪隨太陽經來라 故로 又加桂枝以解外而通榮也라 先食服者는 謂空腹則藥力下行捷也라(≪醫宗金鑑≫)
✺太陽病不解하야 不傳陽明하고 邪熱隨經入裏를 謂之犯本이니 犯本者는 謂犯膀胱之府也라 膀胱府之衛爲氣分이오 膀胱府之榮爲血分이니 熱入而犯氣分하야 氣化不行하야 熱與水結者는 謂之犯衛分之裏니 五苓散證也오 熱入而犯血分하야 血蓄不行하야 熱與血結者는 謂之犯榮分之裏니 桃核承氣湯證也라 二者는 雖皆爲犯本之證이오 二方은 雖皆治犯本之藥이나 而一從前利오 一從後攻니 水與血 主治各不同也라(≪醫宗金鑑≫)
✺程知曰 太陽病不解하고 隨經入府라 故로 熱結膀胱이라 其人如狂者는 瘀熱內結하야 心不安寧하야 有似於狂也라 若血自下면 下則熱隨瘀解矣라 然이나 必外證已解라야 乃可直攻少腹急結之邪니 於謂胃承氣中加桃核者는 欲其直達血所也오 加桂枝以通血脈은 兼以解太陽隨經之邪耳라(≪醫宗金鑑≫)
✺太陽病에 表證不解하야 經熱內蒸 而結於膀胱이라 膀胱者는 太陽之腑니 水腑不淸하야 膀胱素有濕熱한대 一因表鬱하야 腑熱內發이라 故로 表熱隨經而深結也라 熱結則其人如狂하니 緣膀胱熱結하면 必入血室이라 血者는 心所生하야 胎君火而孕陽神이니 血熱則心神擾亂하니 是以狂作也라 若使瘀血自下면 則熱隨血泄하야 不治而愈라 不下則宜攻之라 如其外證不解者는 尚未可攻이오 攻之면 恐表陽內陷이니 當先解外證이라 外證已除하고 但餘小腹急結者라야 乃可攻之니 宜桃核承氣湯이라 桂枝桃仁은 通經而破血하고 大黃芒硝는 下瘀而泄濕하고 甘草는 保其中氣也라(≪傷寒懸解≫)
✺[太陽病 不解 熱結膀胱] 太陽之邪가 由經入腑라 [其人如狂 血自下 下者愈] 膀胱은 多氣多血하니 熱甚則血凝 而上干心包라 故로 神昏而如狂이오 血得熱而行이라 故로 能自下 則邪從血出이니 與陽明之下燥屎로 同이라 [其外不解者 尚未可攻] 外不解而攻之면 則邪反陷入矣라 [當先解其外 宜桂枝湯 外解已 但小腹急結者 乃可攻之 宜桃核承氣湯] 小腹急結은 是蓄血現證이라 按컨대 宜桂枝湯四字는 從金匱增入이라(≪傷寒論類方≫)
✺張兼善曰 此少腹硬滿은 爲物聚於下를 可知矣라 物者는 血也라 滲之利之를 參酌隨宜라야 可爲上工이라(≪傷寒論綱目·卷四·少腹硬滿≫)
✺鼇按컨대 此條는 少腹雖急結이나 尚未硬滿이라 故로 不用抵當이오 只須承氣라(≪傷寒論綱目·卷四·少腹硬滿≫)
✺張介賓曰 觀仲景諸論 則知傷寒蓄血者는 以熱結在裏하야 摶於血分하야 留於下焦而不行이라 故로 易生煩躁也라 然이나 又有陽明證喜忘도 亦爲蓄血之證이라 故로 診傷寒에 但見少腹硬滿而痛하면 便當問其小便하야 若小便自利者는 知爲蓄血之證이니 蓋小便는 由於氣化니 病在血而不在氣라 故로 小便利而無恙也라 血瘀於下者는 血去則愈니 其在仲景 則以抵當湯丸主之라 愚謂但以承氣之類加桃仁紅花以逐之오 或其兼虛者는 以玉燭散下之면 則蓄血自去 而病無不除矣라(≪傷寒論綱目·卷五·蓄血≫)
✺鼇按컨대 此小便尿血也라 緣陽氣太重하야 標本俱病이니 血得熱則行이라 故로 尿血이라 若熱極則血反結이니 少腹爲膀胱之室이라 故로 膀胱之熱結하면 少腹必急結하니 用桃仁承氣하야 以攻其裏之結血이니 所以解之也라(≪傷寒論綱目·卷五·下血便膿血≫)
✺太陽病不解하야 若從胸脇而入하야 涉于陽明少陽之分은 此小柴胡湯之證也라 今從背經而入於本腑는 名爲熱結膀胱이니 膀胱在少腹之間이라 經曰 膀胱者는 胞之室也라하니 胞爲血海오 居膀胱之外라 熱結膀胱하면 薰蒸胞中之血이라 血은 陰也니 陰不勝陽이라 故로 其人如狂이니 若血自下면 則熱亦隨血而下者自愈오 若其邪在外는 猶是桂枝證이니 不解者는 尙未可攻이오 當先解其外라 外解已하고 但見少腹急結者는 無形之熱邪結而有形之蓄血이라 乃可攻之니 宜桃核承氣湯方이라 此一節은 言太陽之邪가 循經而自入本腑也라(≪傷寒論淺注≫)
✺玉函은 自上에 有必字하고 愈上에 有卽字라 成本은 解下에 無其字라 脈經은 其外下에 有屬桂枝湯證五字니 千金翼도 同이라(≪傷寒論輯義≫)
✺案컨대 傷寒類方에 曰 當先解外는 宜桂枝湯이라하고 注에 云 宜桂枝湯四字는 從金匱增入이라하나 然이나 金匱는 無所考라 活人書에도 亦云 宜桂枝湯이오 總病論에 曰 不惡寒은 爲外解라하니라(≪傷寒論輯義≫)
✺此治太陽瘀熱入腑하야 膀胱蓄血하야 其人如狂이니 表已解而但少腹急結 血自下者라 主用桃仁以利瘀하고 承氣以逐實하야 使血分之結熱로 亟從下奪이니 與三承氣之攻陽明胃實者로 不同이라 方主攻裏 而仍用桂枝者는 用以分解太陽隨經之熱이라 喻嘉言曰 正恐餘邪稍有未盡하야 其血得以留戀不下라하니 析義最精이라 此先聖處方絲絲入扣處라 此는 與五苓散으로 同爲太陽府病立治法이라 膀胱은 爲太陽之府오 熱傷膀胱氣分則蓄溺니 當導其熱從小便而解오 熱傷膀胱血分則蓄血이니 當導其熱從大便而解라(≪傷寒尋源·下集·桃核承氣湯≫)
✺太陽病不解하야 標熱이 陷手少陽三焦하야 經少陰寒水之藏하야 下結太陽寒水之府하야 直逼胞中血海하야 而血爲之凝이니 非下其血이면 其病不愈라 攷其文義컨대 當云 血自結 下之愈라 若血旣以自下而愈矣면 不特下文尚未可攻 乃可攻之가 俱不可通이오 卽本方도 亦爲贅設矣라 此는 非仲師原文이니 必傳寫之譌謬也라 至如如狂之狀은 非親見者면 不能道니 非惟發卽不識人也오 卽荏弱少女도 亦能擊傷壯夫라 張隱庵은 以爲病屬氣分이니 非若抵當湯之發狂이라하니 徒臆說耳라 豈氣分亦可攻耶아 若進而求如狂所自來는 更無有能言之者라 蓋熱鬱在陰者는 氣發於陽이라 嘗見狐惑陰蝕之人이 頭必劇痛은 爲毒熱之上衝於腦也라 熱結膀胱之人은 雖不若是之甚이나 而蒸氣上蒙於腦하면 卽神智不淸이니 此卽如狂所由來라 熱傷血分하면 則同氣之肝藏이 失其柔和之性 而轉爲剛暴하니 於是에 有善怒傷人之事라 所謂銅山西崩 洛鐘東應也라 血之結否는 不可見이니 而特以如狂爲之候오 如狂之愈期何所定은 而以醫者用下瘀方治爲之候라 故로 曰 其人如狂 血自結 下之愈也라하니라 惟外邪未盡한대 先攻其裏가 最爲太陽證所忌라 故로 曰 尚未可攻이라하니 而解外方治는 仲師未有明言이라 惟此證은 由手少陽三焦水道하야 下注太陽之府니 則解外方治는 其爲小柴胡湯이 萬無可疑오 惟少腹急結無他證者라야 乃可用桃核承氣湯以攻其瘀라 此亦先表後裏之義也라(≪傷寒發微≫)
'<선호상한론>확장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호상한론>확장판 107조문 (0) | 2024.11.25 |
---|---|
<선호상한론>확장판 106조문(桃核承氣湯方) (0) | 2024.11.24 |
<선호상한론>확장판 105조문 (0) | 2024.11.22 |
<선호상한론>확장판 104조문(柴胡加芒硝湯方) (0) | 2024.11.21 |
<선호상한론>확장판 104조문 (0) | 2024.1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