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선호동의보감> 134

<선호동의보감/내경편/권1/身形/附養老/老人保養>服人乳法

[服人乳法]無病婦人乳汁二盞과 好淸酒半盞을 入銀器或石器內하고 同滾하야 頓服이니 每日五更時에 一服이라種杏>병이 없는 부인의 젖 2잔과 좋은 청주 반잔을 은그릇이나 돌그릇에 넣고 함께 달여 단번에 복용한다. 매일 5경에 한 번씩 복용한다.(≪종행선방≫)*一方 治諸虛百損 五勞七傷이라 用人乳二盞 好酒半盞 入銀鏇或錫器內 頓服 每日五更一服이라(≪種杏仙方≫)

<선호동의보감/내경편/권1/身形/附養老/老人保養>增損白朮散

[增損白朮散]保養衰老라 쇠로함을 보양한다.人參 白朮 白茯苓 陳皮 藿香 乾葛各七分 木香 乾生薑 甘草三分 右剉하고 水煎하야 不拘時溫服이라丹溪附餘>위 약물을 썰어 물에 달여 때에 구애받지 않고 따뜻하게 복용한다.(≪단계심법부여≫)*增損白朮散(御藥院方) 治傷寒雜病後 一切吐瀉煩渴 虛損 氣弱 保養衰老 及治酒積嘔噦 白朮(一兩) 人參(一兩) 茯苓(一兩) 甘草(半兩) 木香(半兩) 藿香(一兩) 葛根(一兩) 陳皮(一兩) 乾生薑(半兩) 右㕮咀 每服四錢 水一鍾煎七分 去滓溫服(≪丹溪心法附餘≫)*增損白朮散 生津止渴 順氣下痰이라 白朮 葛根 茯苓(去皮) 藿香葉 人參 木香(各一兩) 陳皮(二兩) 乾生薑(一錢) 右件八味爲粗末 每服五錢 水一大盞半煎至七分 去滓溫服 不計時候 或涼服亦得(≪御藥院方·卷二·治傷寒方≫)*御藥院增損白朮散 病後最宜服之 生..

<선호동의보감/내경편/권1/身形/附養老/老人保養>却病延壽湯

[却病延壽湯]治老人이 小水短少니라 노인의 소변단소를 다스린다.人參 白朮各一錢 牛膝 白芍藥各七分 陳皮 白茯苓 山査肉 當歸 甘草各五分 右剉하고 薑三片에 煎服호대 不拘時라 春加川芎하고 夏加黃芩 麥門冬하고 秋冬에 倍當歸 生薑이라 小水如舊면 乃止藥이니 此는 老人養生之捷法也라入門>위 약물을 썰어 생강 3쪽에 달여 복용하는데 때에 구애받지 않는다. 봄에는 천궁을 더하고, 여름에는 황금과 맥문동을 더하고, 가을겨울에는 당귀와 생강을 배로 한다. 소변이 예전과 같으면 약을 그칠 것이니 이는 노인이 양생하는 첩경이다.(≪의학입문≫)*却病延壽湯 人參 白朮 牛膝 白芍 陳皮 茯苓 山査各一錢 當歸 甘草各五分 薑煎服 春加川芎 夏秋加黃芩 麥門冬 冬倍生薑 小水長如舊 止藥(≪醫學入門≫)*卻病延壽丹(百八十九) 年高老人 但覺小水短少 卽是病..

<선호동의보감/내경편/권1/身形/附養老/老人保養>

若一向憊乏之人은 則當加溫補調停하며 饘粥以爲養이니 宜補中益氣湯 異功散(方並見內傷部) 衛生湯 固眞飮子오(方並見虛勞) 且於養性延年之藥을 皆可選用이라 又人乳 牛乳를 常服하면 最佳라入門>피곤하고 기운이 없는 사람은 온보하는 약을 더해서 고르게 하며 죽을 먹어 보양해야 하는데, 보중익기탕·이공산·위생탕·고진음자가 좋고, 성(性)을 기르고 수명을 길게 하는 약물을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또 사람의 젖과 우유를 상복하는 것이 가장 좋다.(≪의학입문≫)*若是從來無虛陽之氣로대 一向憊乏之人은 全在斟酌湯劑니 當加溫補調停하며 饘粥以爲養이니 治宜補中益氣湯 橘半枳朮丸 平胃散 竹瀝枳朮丸이라 ······ 任是衰老라도 不宜峻補니라 古方固眞飮子 神仙訓老丸 遇仙益壽丹 秤金丹 七仙丹 及諸虛門養性延年之藥을 皆可選用이라(≪醫學入門≫)

<선호동의보감/내경편/권1/身形/附養老/老人治病>②

②老人은 覺小水短少하면 卽是病進이니 宜服却病延壽湯이오 病後虛弱하면 宜增損白朮散이오 小便頻數者는 腎氣丸에 去澤瀉 加茯神 益智라(方見虛勞) 大便乾燥者는 宜疎風順氣丸 蘇麻粥이오(方並見大便部) 痰病엔 宜六君子湯(方見痰飮) 三子養親湯(方見咳嗽) 潤下丸 二賢散이라(方並見痰飮)入門>노인은 소변이 적게 나오는 것을 느끼면 병이 진행되는 것이니, 마땅히 각병연수탕을 복용할 것이고, 병후에 허약하면 증손백출산이 좋고, 소변이 빈삭하면 신기환에 택사를 빼고 복신과 익지를 더할 것이다. 대변이 건조하면 소풍순기환과 소마죽이 좋고, 담병(痰病)에는 육군자탕·삼자양친탕·윤하환·이현산이 좋다.(≪의학입문≫)*火證 風證으로 戰掉氣亂하고 目直口噤筋急者는 通聖散이오 痰證은 二陳湯 三子養親湯 淸氣化痰丸 節齋化痰丸이라 凡年老覺小水短少는 卽..

<선호동의보감/내경편/권1/身形/附養老/老因血衰>

【老因血衰】노화는 혈쇠로 인한 것夫人兩腎中間 白膜之內에 一點動氣가 大如筯頭하고 鼓舞變化하야 大闔周身하야 熏蒸三焦하며 消化水穀하고 外禦六淫하며 內當萬慮하야 晝夜無停이라가 年老하야 精血俱耗하면 平居에 七竅反常하야 啼哭無淚하고 笑反有淚하며 鼻多濁涕하며 耳作蟬鳴하며 喫食口乾하고 寐則涎溢하며 溲尿自遺하고 便燥或泄하며 晝則多睡하고 夜臥惺惺不眠하니 此가 老人之病也라入門>무릇 양쪽 신의 중간 흰 막의 안에 한 점의 동기가 젓가락만한 크기로 고무하면서 변화해서 크게 온몸을 덮어 삼초를 훈증하고 수곡을 소화하고 밖으로 육음(六淫)을 막으며 안으로 만 가지 염려에 응해서 밤낮으로 쉬지 않다가 나이가 들어 정혈이 소모되면, 평소에 칠규가 제 기능을 하지 못해서 울어도 눈물이 없고, 웃으면 도리어 눈물이 나오며, 코에 탁한 콧..

<선호동의보감/내경편/권1/身形/煉臍法/熏臍秘方/灸臍法>

【煉臍法】연제법卽彭祖가 固陽固蔕하며 長生延壽丹也라 詳見臍部라곧, 팽조가 양기와 배꼽을 단단하게 하며 장생하고 수명을 연장하던 방법이다. 제부에 상세하게 보인다. 【熏臍秘方】훈제 비방除百病하며 保命延年이라 詳見臍部라갖가지 병을 없애고 수명을 연장한다. 제부에 상세하게 보인다. 【灸臍法】배꼽에 뜸 뜨는 법①有人이 年老而顔如童子者러니 盖每歲에 以鼠糞으로 灸臍中一壯故也라資生經>어떤 사람이 나이가 들었는데도 얼굴이 동자와 같았는데 대개 매년 쥐똥으로 배꼽에 뜸을 한 장씩 떴기 때문이다.(≪침구자생경≫)*舊傳有人年老而顏如童子者 蓋每歲以鼠糞灸臍中一壯故也(≪鍼灸資生經≫)②本朝 韓雍侍郞이 討大藤峽하야 獲一賊한대 年逾百歲而甚壯健이어늘 問其由한대 曰少時에 多病이러니 遇一異人한대 敎令每歲에 灸臍中케하야늘 自後康健云이라彙言>명..

<선호동의보감/내경편/권1/身形/神枕法>

①昔泰山下에 有老翁이러니 失其名字라 漢武帝 東巡할새 見老翁이 鋤於道傍한대 背上有白光이 高數尺이라 帝怪而問之호대 有道術否아 老翁이 對曰 臣이 昔年八十五時에 衰老垂死하야 頭白齒豁이러니 有道士者가 敎臣服棗 飮水 絶穀하고 幷作神枕法이라 中有三十二物한대 其中二十四物은 善하니 以當二十四氣하고 其八物은 毒하니 以應八風이라 臣行之하니 轉少하야 白髮이 還黑하고 墮齒復生하며 日行三百里라 臣이 今年一百八十矣로대 不能棄世入山하고 顧戀子孫하야 復還食穀이 已二十餘年이로대 猶得神枕之力하야 往不復老라하니라 武帝가 視其顔狀하니 常如五十許人이라 驗問隣人하니 皆云信然이라 帝乃從受其方하야 作枕이나 而不能隨其絶穀飮水也라옛날 태산 아래에 한 노인이 있었는데 이름은 알지 못한다. 한무제가 동쪽으로 순행할 때 노인이 길옆에서 김을 매고 있었는데 ..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