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老因血衰】노화는 혈쇠로 인한 것
夫人兩腎中間 白膜之內에 一點動氣가 大如筯頭하고 鼓舞變化하야 大闔周身하야 熏蒸三焦하며 消化水穀하고 外禦六淫하며 內當萬慮하야 晝夜無停이라가 年老하야 精血俱耗하면 平居에 七竅反常하야 啼哭無淚하고 笑反有淚하며 鼻多濁涕하며 耳作蟬鳴하며 喫食口乾하고 寐則涎溢하며 溲尿自遺하고 便燥或泄하며 晝則多睡하고 夜臥惺惺不眠하니 此가 老人之病也라<入門>
무릇 양쪽 신의 중간 흰 막의 안에 한 점의 동기가 젓가락만한 크기로 고무하면서 변화해서 크게 온몸을 덮어 삼초를 훈증하고 수곡을 소화하고 밖으로 육음(六淫)을 막으며 안으로 만 가지 염려에 응해서 밤낮으로 쉬지 않다가 나이가 들어 정혈이 소모되면, 평소에 칠규가 제 기능을 하지 못해서 울어도 눈물이 없고, 웃으면 도리어 눈물이 나오며, 코에 탁한 콧물이 많고, 귀에서 매미우는 소리가 나며, 음식을 먹을 때 입이 마른다. 잠을 자면 침이 넘치고, 오줌이 절로 새고, 대변이 굳거나 설사하고, 낮에는 잠이 많고 밤에는 또렷해서 잠을 자지 못하니, 이것이 노인의 병이다.(≪의학입문≫)
*老人無非血液衰라 兩腎中間 白膜之內에 一點動氣가 大如筯頭하고 鼓舞變化하야 開闔周身하야 薰蒸三焦하며 消化水穀하고 外禦六淫하며 內當萬慮하야 晝夜無停이라 年老하야 精血俱耗하면 平居에 七竅反常하야 啼號無淚하고 笑如雨流하며 鼻不嚔而出涕하고 耳無聲而蟬鳴하며 喫食口乾하고 寐則涎溢하며 溲不利而自遺하고 便不通而或泄하며 晝則對人瞌睡하고 夜則獨臥惺惺하니 此老人之病也니라(≪醫學入門≫)
*論衰老: 少年旣往 歲不我與 孔子曰 及其老也 血氣旣衰 戒之在得 蓋因馬念車 因車念蓋 未得則慮 得之亦慮 失之趦趄 囁嚅而未決 寤寐驚悸而不安 夫二五之精 妙合而凝 兩腎中間 白膜之內 一點氣動 大如箸頭 鼓舞變化 開闔周身 熏蒸三焦 消化水穀 外禦六淫 內當萬慮 晝夜無停 八面受攻 由是神隨物化 氣逐神消 榮衛告衰 七竅反常 啼號無淚 笑如雨流 鼻不嚏而涕出 耳無聲而蟬鳴 喫食口乾 寐則涎溢 溲不利而自遺 便不通而或泄 由是眞陰妄行 脈絡疏澁 晝則對人瞌睡 夜則獨臥惺惺 故使之導引擦摩 以通徹滯固 嗽津嚥液 以灌溉焦枯 若扣齒集神而不能斂念 一曝十寒 而徒延歲月 雖云老者非肉不飽 肥則生風 非帛不暖 暖則多淫 僥幸補藥者 如油盡添油 燈焰高而速滅(≪廣嗣要語·附論·論衰老≫)
≪醫學入門·雜病分類·虛類·養老≫에는 ‘開闔’이 ‘大闔’으로 되어 있는데 康熙刊本에 따라 ‘開闔’으로 고쳐야 한다. ≪廣嗣要語·附論·論衰老≫에도 ‘開闔’으로 나온다.(역자주)
728x90
반응형
'<선호동의보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호동의보감/내경편/권1/身形/附養老/老人治病>② (0) | 2024.10.27 |
---|---|
<선호동의보감/내경편/권1/身形/附養老/老人治病>① (0) | 2024.10.26 |
<선호동의보감/내경편/권1/身形/煉臍法/熏臍秘方/灸臍法> (0) | 2024.10.24 |
<선호동의보감/내경편/권1/身形/神枕法> (0) | 2024.10.23 |
<선호동의보감/내경편/권1/身形/單方>白粥(흰죽) (0) | 2024.10.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