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柴胡加龍骨牡蠣湯方
柴胡四兩 龍骨 黃芩 生薑切 鉛丹 人參 桂枝去皮 茯苓各一兩半 半夏二合半 洗 大黃二兩 牡蠣一兩半 熬 大棗六枚 擘
上十二味를 以水八升으로 煮取四升하야 內大黃 切如碁子하고 更煮一兩沸하야 去滓하고 溫服一升이라 本云 柴胡湯 今加龍骨等이라
『위 12가지 약물을 물 8되로 달여 4승을 취해서 대황을 바둑알 만하게 썰어서 넣고 다시 1~2번을 끓여 찌꺼기를 버리고 1되를 따뜻하게 복용한다. 본래 시호탕에 용골 등을 더한 것이라고 하였다.』
✺議曰 傷寒八九日에 邪氣錯雜하야 表裏未分한대 而誤下之면 則虛其裏而傷其表라 胸滿而煩者는 邪熱客於胸中이라 驚者는 心惡熱而神不守也라 小便不利者는 裏虛而津液不行也라 譫語者는 胃熱也라 一身盡重 不可轉側者는 陽氣內榮於裏하야 不行於表也라 故로 用柴胡爲君하야 以通表裏之邪而除胸滿하고 以人參半夏爲臣輔之라 加生薑大棗而通其津液하고 加龍骨 牡蠣 鉛丹하야 收斂神氣而鎭驚爲佐라 加茯苓以利小便而行津液하고 加大黃以逐胃熱 止譫語하고 加桂枝以行陽氣而解身重錯雜之邪하니 共爲使라 以此十一味之劑가 共救傷寒壞逆之法也라(≪金鏡內臺方議·柴胡加龍骨牡蠣湯(38)·湯議≫)
✺以傷寒八九日에 邪氣將復傳陽經할새 誤下하야 虛其裏而熱不解하야 以致胸滿煩驚 譫語 小便不利는 皆心胃熱而津液不行故也라 又一身重痛 不可轉側者는 陽氣內行而不營於表也라 宜小柴胡以除胸滿하고 加龍蠣 鉛丹以斂神氣하고 茯苓以行津液利便하고 大黃 以除胃熱하고 桂枝以行陽氣 而解身重錯雜之邪라(≪醫學入門·傷寒用藥賦≫)
✺此湯은 治少陽經邪犯本之證이라 故로 於本方中에 除去甘草黃芩行陽之味而加大黃行陰하야 以下奪其邪하고 兼茯苓以分利小便하고 龍骨牡蠣鉛丹以鎭肝膽之怯하고 桂枝以通血脈之滯也니 與救逆湯으로 同義라 彼는 以桂枝龍骨牡蠣蜀漆로 鎭太陽經火逆之神亂이오 此는 以柴胡兼龍骨牡蠣鉛丹으로 鎭少陽經誤下之煩驚이니 亦不易之定法也라(≪傷寒纘論·正方·柴胡加龍骨牡蠣湯≫)
✺琥按컨대 上方은 用柴胡爲君하야 專走少陽 以解胸膈之煩滿하고 用人參半夏薑棗茯苓爲臣하야 以健脾利小便而療身重하고 用龍骨牡蠣鉛丹爲佐하야 以鎭心除驚熱이라 輔以大黃者는 乃滌胃實而止譫語也오 使以桂枝者는 兼入太陽而外行肢體也라 要컨대 是方也는 表裏齊走 補瀉兼施 通澁並用이니 恐非仲景之舊어나 或系叔和采輯時有差錯者라 若臨是證而用是藥에 吾不敢也는 何也오 倘謂胸滿譫語가 是實證이면 則當用大黃者니 不當用人參이오 倘謂驚煩小便不利身重이 是虛證이면 則當用人參大棗茯苓龍骨等藥者니 不當用大黃이오 況龍骨牡蠣鉛丹은 皆系重墜收澁陰毒之品이니 恐非小便不利身重所宜라 尚論篇에 稱此方에 有安內攘外 補天浴日之功이라하야늘 余實愚蒙하야 不敢信以爲是也니라(≪傷寒論辨症廣注≫)
✺邪入少陽이라 故로 以小柴胡之半劑爲主하야 以和解少陽之邪라 人參以補益下後之虛하고 半夏以滑利胸膈之氣하고 薑以宣達其陽氣하고 棗以和潤其津液也라 去甘草者는 恐助胸滿也오 去黃芩者는 陽虛陰盛하니 避寒凉也라 桂枝는 辛溫하야 助陽和衛하고 合薑棗而爲桂枝去芍藥湯이니 可以汗解太陽之餘邪 而成太少兩解之劑라 其去芍藥者는 恐其益陰收斂也오 且桂枝全湯爲傷寒之禁劑者는 亦惡芍藥之酸收也라 下篇蜀漆龍骨牡蠣救逆湯中之去芍藥도 亦此義也라 牡蠣者는 小柴胡本方加減法中에 原有脇下痞硬者는 去大棗加牡蠣四兩之法이라 觀其但用之於脇下痞硬 而不用之於心下痞硬이면 則知非但鹹以輭堅이오 抑且可以平木氣而伐肝邪矣라 李時珍云 龍者는 東方之神이라 故로 其骨與角齒가 皆主肝病이라하고 許叔微云 肝藏魂하니 魂遊不定者는 以此治之라하니 則亦非但前人所謂重澁而已라 總之컨대 一身皆重 不可轉側은 皆少陽肝膽之邪가 偏著於脇耳라 二物之用은 旣能平肝木之邪하고 又以重鎭之性으로 兼治其煩驚也라 若曰載神之舟楫이면 則枯骨朽殼이 豈能載虛靈之生氣乎아 吾恐未必然也라 至於鉛丹一味는 皆以爲重鎭心臟之驚이어늘 余細閱論中하니 並無心臟受病之文이라 若必以驚爲心病이면 則仲景이 胡不以丹砂鎭之 而偏以鉛丹爲重이리오 蓋心固主驚 而肝臟亦主驚駭라 是故로 鉛丹之爲物也는 非惟金能制木 重可鎭驚이오 況鉛本北方之黑이어늘 因制煉之功하야 化而爲南方之赤이니 則坎離一交 水火旣濟하야 以之治肝木之邪면 有三家相見之奇 五行攢簇之妙矣라 大黃은 乃蕩滌之藥이니 熱邪在胃하야 譫語神昏은 非此不療라 但因下後之虛라 故로 切如棋子하야 僅煮一二沸하야 使性味不全이니 則不成峻下矣라 同人參則補瀉兼施오 佐茯苓則滲利並用이니 此所以爲非常之治也라 殫心思하고 竭智力하니 其所以爲立法之聖歟ᅟᅵᆫ져(≪傷寒溯源集≫)
✺此方은 取柴胡湯之半하야 以除胸滿心煩之半裏라 加鉛丹龍蠣 以鎭心驚하고 茯苓以利小便하고 大黃以止譫語라 桂枝者는 甘草之誤也라 身無熱無表證하니 不得用桂枝라 去甘草則不成和劑矣라 心煩譫語而不去人蔘者는 以驚故也라(≪柯氏傷寒論注≫)
✺足經方治手經病者니 參苓龍牡鉛丹이 入足經而可轉行於手經者也라 手少陰煩驚은 從足太少陽而來라 故로 仍從柴桂立方이라 邪來錯雜不一하니 藥亦錯雜不一以治之라 柴胡는 引陽藥하야 升陽하고 大黃은 領陰藥하야 就陰하며 人參 炙草는 助陽明之神明하니 卽所以益心虛也라 茯苓 半夏 生薑은 啓少陽三焦之樞機니 卽所以通心機也라 龍骨 牡蠣는 入陰攝神하야 鎭東方甲木之魂하니 卽所以鎭心驚也라 龍牡頑鈍之質은 佐桂枝卽靈이라 邪入煩驚은 痰氣固結於陰分이니 用鉛丹卽墜라 至於心經浮越之邪는 借少陽樞轉出於太陽하면 卽從玆收安內攘外之功矣라(≪絳雪園古方選註≫)
✺是證也는 爲陰陽錯雜之邪오 是方也도 亦攻補錯雜之藥이라 柴桂는 解未盡之表邪하고 大黃은 攻已陷之裏熱하고 人參薑棗는 補虛而和胃하고 茯苓半夏는 利水而降逆하고 龍骨牡蠣鉛丹之澁重은 鎭驚收心而安神明하니 斯爲以錯雜之藥 而治錯雜之病也니라(≪醫宗金鑑≫)
✺大黃을 只煮一二沸는 取其生而流利也라(≪傷寒論類方·卷一·柴胡湯類·四·柴胡加龍骨牡蠣湯≫)
✺成本은 十二味가 作十一味라 切如棋子는 玉函에 無라 外臺는 棋上에 有博字라 一兩沸는 玉函 外臺에 作取二升이오 服一升은 外臺에 作分再服이라 本云以下는 玉函에 作本方은 柴胡湯內에 加龍骨 牡蠣 黃丹 桂 茯苓 大黃也 今分作半劑二十四字라(≪傷寒論輯義≫)
✺案컨대 汪氏云 是方也는 表裏齊走 補瀉兼施 通澁並用이니 恐非仲景之舊어나 或系叔和采輯時 有差錯者라 若臨是證而用是藥에 吾不敢也는 何也오 倘謂胸滿譫語가 是實證이면 則當用大黃者니 不當用人參이오 倘謂驚煩小便不利身重이 是虛證이면 則當用人參大棗茯苓龍骨等藥者니 不當用大黃이오 況龍骨牡蠣鉛丹은 皆系重墜收澁陰毒之品이니 恐非小便不利所宜也라하니 汪氏此說은 似有所見이나 然而今以是方으로 治此症 而奏效者가 不鮮이라 故로 未敢爲得矣라(≪傷寒論輯義≫)
'<선호상한론>확장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호상한론>확장판 109조문 (0) | 2024.11.28 |
---|---|
<선호상한론>확장판 108조문 (0) | 2024.11.27 |
<선호상한론>확장판 107조문 (0) | 2024.11.25 |
<선호상한론>확장판 106조문(桃核承氣湯方) (0) | 2024.11.24 |
<선호상한론>확장판 106조문 (0) | 2024.1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