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9]「114」 傷寒에 發熱 嗇嗇惡寒한대 大渴欲飮水하면 其腹必滿이라 (自汗出 小便利하면 其病欲解라) 此肝乘肺也니 名曰橫이오 刺期門이라
『상한에 발열하면서 오싹오싹 추운데 갈증이 심하여 물을 마시려고 하면 배가 반드시 창만한다. 만약 저절로 땀이 나면서 소변이 잘 나오면 병이 풀리려는 것이다. 이는 肝木이 肺金을 乘한 것으로 橫이라고 하니 期門에 자침한다.』
✺傷寒發熱 嗇嗇惡寒은 肺病也라 大渴欲飮水는 肝氣勝也라 玉函에 曰 作大渴하야 欲飮酢漿은 是知肝氣勝也라하니라 傷寒에 欲飮水者는 愈오 若不愈而腹滿者는 此肝行乘肺하야 水不得行也라 經에 曰 木行乘金을 名橫이라하니 刺期門하야 以瀉肝之盛氣하면 肝肺氣平하고 水散而津液得通하야 外作自汗出하고 內爲小便利而解也라(≪注解傷寒論≫)
✺傷寒發熱 嗇嗇惡寒은 風寒尚在太陽而未除也라 大渴欲飮水者는 肝木本自盛而邪熱熾欲得潤也라 腹必滿者는 水漫而泛濫也라 自汗出 則津液得外滲矣오 小便利 則水得下行矣라 夫水는 木之母也라 母必爲子니 木得水則益甚而橫이라 故로 挾水爲邪하야 反侮所不勝而上乘於肺라 肺金若虛하야 受其邪而不能派散之면 則水不得泄而腫作矣라 乃金臟實하야 不納其邪而轉運散之면 渙爲自汗而外滲하고 瀦爲小便而下行이니 此肝乘肺者所以不足爲害 而反欲自解也라 橫亦見辨脈法上縱同條라 然이나 縱橫不同 而同刺期門者는 縱以木賊土 橫以木侮金이 皆由木自盛 而以瀉木爲主治一也라(≪傷寒論條辨≫)
✺按컨대 傷寒發熱惡寒은 表病也니 至於自汗出則表已解矣라 大渴腹滿은 裏病也니 至於小便利則裏自和矣라 故로 曰其病欲解라하니 欲解則當俟其自愈矣라 刺期門三字는 疑衍이라(≪證治準繩·卷四·太陰病·腹滿≫)
✺肝脈乘肺金을 名曰橫이라 發熱 濇濇惡寒者는 太陽之本證也라 大渴飮水者는 木盛則熱熾 而求水以潤之也라 木得水助면 其勢益橫하야 反侮所不勝 而上乘乎肺하고 水勢泛溢하야 其腹必滿이라 然이나 肺金素無他病者는 必能暗爲運布하야 或自汗而水得外滲이어나 或小便利而水得下行이라 其病欲解也는 亦由但腹滿而不譫語라 故로 易解耳라 直貫上下曰縱이오 眠亘兩旁曰橫이라 木本剋土 而乘乎土면 其事直이라 故로 爲縱이오 木受制於金 而反乘金하면 其事不直이라 故로 曰橫이라 直則難愈오 不直則易安이니 理之常也라 然이나 縱橫之證不同 而同刺期門穴者는 以賊土侮金이 皆由木盛이라 腹滿譫語는 證涉危疑라 故로 急以瀉木爲主治也니라(≪尙論篇≫)
✺肝木反乘肺金爲橫이니 此亦太陽少陽並病이라 以其人素常肝盛肺虛라 故로 其證雖發熱惡寒하야 爲太陽表證未除라도 而大渴飮水 則少陽裏熱已著라 蓋木盛則火易燔하고 金虛則水不生하니 所以求水爲潤이라 木得水助면 其勢益橫하야 水勢泛溢하야 其腹必滿이니 亦當刺期門以泄肝邪면 則肺自安矣라 然이나 但腹滿而不譫語는 其邪稍輕이오 以肺金較肝木雖虛나 原無他病이니 能暗爲運布하야 或自汗而水得外滲이어나 或小便利而水得下行하니 是以病欲自解오 不必刺也라 讀者는 毋以刺期門在欲解下 而以辭害義也라(≪傷寒纘論≫)
✺自汗出云云至病欲解三句는 當在刺期門三字之下라 傷寒發熱 嗇嗇惡寒者는 此太陽之風邪가 尚未除也라 然이나 肺主皮毛하니 邪在手太陰肺經도 亦然이라 大渴欲飮水者는 成注에 引玉函云 作大渴欲飮酢漿은 是知肝氣勝也라 肝來乘肺하야 肺受邪熱하면 則渴欲飮水하고 飮水旣多면 其腹必滿이라 肺屬金이오 金本制木 而反受木乘하니 其事不直이라 故로 曰橫이라 法宜刺期門하야 以瀉肝經之盛氣라 成注에 云 肝肺氣平하야 水散而津液得通하면 外作自汗出하고 內爲小便利而解也라하니라(≪傷寒論辨症廣注≫)
✺或問此條病은 旣云發熱 嗇嗇惡寒하고 又云 大渴欲飮水하니 焉知非太陽陽明證잇가 余答云 若果系陽明胃熱로 大渴欲飮하면 則熱能消水하고 未必腹滿이오 熱邪旣傳陽明하면 雖太陽經中之邪 或不盡除라도 又未必嗇嗇惡寒이라 故로 成注云 大渴欲飮水는 爲肝氣勝也라하니라(≪傷寒論辨症廣注≫)
✺愚按컨대 文義에 此肝乘肺也 名曰橫 刺期門 十一字는 當在其腹必滿之下라 傷寒發熱 嗇嗇惡寒者는 太陽之氣主皮毛 而肺氣 亦主皮毛니 皮毛閉拒 故로 發熱而嗇嗇惡寒也라 大渴欲飮水者는 肝主木火之氣니 肝是動病에 甚則嗌乾而渴也라 其腹必滿者는 此肝乘肺金하야 氣虛而脾無所制也라 名曰橫은 猶云橫行而無忌也니 亦刺肝之期門以瀉肝經之熱이라 夫刺之而自汗出 小便利者는 此肝木平而肺氣通 水津布而病欲解也라(≪傷寒論集注≫)
✺高子曰 按컨대 上古素問에 以湯液助正氣하고 用毒藥攻邪하고 病在經脈者는 以鍼取之라 此則首論病在三陰三陽之氣分에 用柴胡湯以助正氣하고 加芒硝大黃之類以去邪하고 末結血脈相乘者 以鍼取之니 經氣之道는 乃醫學之大綱이니 學者는 宜潜心體析者也라(≪傷寒論集注≫)
✺傷寒發熱은 乃已發熱之傷寒也라 嗇嗇惡寒은 風邪在表也라 大渴欲飮水之證은 上篇中風發熱 六七日不解而煩 有表裏症 故渴欲飮水라하니 此는 邪犯太陽之裏而渴也라 又太陽病發汗後 大汗出 胃中乾 欲得飮水는 此因大汗出後에 胃中津液乾燥而渴也라 上文風寒並感之渴欲飮水 及陽明篇之渴欲飮水 口乾舌燥者는 皆以白虎加人參湯主之니 此等은 俱無表證而熱邪入胃之渴也라 今發熱而嗇嗇惡寒 則邪猶在表오 大渴欲飮水 則邪又在裏라 以表邪如此之盛 或兼見裏證者는 固有之나 然이나 未必有若此之裏症也라 裏症如此之甚은 表邪未解者도 亦有之나 而未必猶有若此之表證也라 其所以然者는 雖系傷寒發熱而嗇嗇惡寒은 乃營衛不和之證也라 蓋以肺主皮毛而通行營衛하니 肺臟受邪하야 皮毛不密이라 故로 嗇嗇惡寒也라 大渴欲飮水者는 注家俱謂木盛則熱熾라하니 非也라 其腹必滿이 豈獨飮水而後滿乎아 腹滿은 本爲脾病이니 經脈別論에 云 飮入於胃하면 遊溢精氣하야 上輸於脾하고 脾氣散精하야 上歸於肺하고 通調水道 下輸膀胱하고 水精四布 五經並行이라하니 豈有所謂大渴欲飮水之證乎아 此는 因肝木克制脾土라 故로 知其腹必滿이니 以脾病而不能散精하야 無以上輸於肺 則肺氣困弱이어늘 何以朝百脈而輸精於皮毛乎아 是以嗇嗇惡寒하니 大渴欲飮水는 以潤其枯涸也라 此所謂肝乘肺者는 肺本金藏이라 肝木之所受制어늘 焉能乘之리오 以肝木之旺氣가 乘克土之勝하야 賈其餘勇하야 來侮困弱之肺金이니 於理爲不順이라 故로 謂之橫이라 若肺能自振하야 終不爲木所侮하야 其氣自能行營衛하야 通皮毛而自汗出하면 則發熱惡寒當解오 能通水道 輸膀胱하면 則小便利而腹滿當消라 故로 曰其病欲解라하니라 若未得解者는 刺期門以泄肝邪之旺 則脾肺之圍解矣라(≪傷寒溯源集≫)
✺傷寒發熱은 本非肺病이어늘 今灑灑惡寒 大渴飮水는 此肺熱不能通調水道니 其腹必滿이라 若自汗出 小便利면 則肺病得解라 設汗不出 小便不利면 此肝膽熱邪가 乘侮肺金이니 急刺期門이라(≪傷寒大白·卷一·發熱≫)
✺發熱惡寒은 寒爲在表오 渴欲飮水는 熱爲在裏라 其腹因飮多而滿이니 非太陰之腹滿이오 亦非厥陰之消渴矣라 此는 肝邪挾火而克金이라 脾精이 不上歸於肺라 故로 大渴이오 肺氣ㅣ 不能通調水道라 故로 腹滿이라 是는 侮所不勝이니 寡於畏也라 故로 名曰橫이니 必刺期門하고 隨其實而瀉之라 得自汗則惡寒發熱自解오 得小便利則腹滿自除矣라(≪柯氏傷寒論注≫)
✺發熱惡寒은 表有邪也라 其病不當有渴 而反大渴은 則非內熱이오 乃肝邪乘肺하야 氣鬱而燥也라 以裏無熱하야 不能消水라 故로 腹滿而汗出이니 小便利 則肺氣以行이라 故로 愈라 橫은 不直也니 以木畏金而反乘金하면 於理爲曲이라 故로 曰橫이라 二者는 俱瀉肝邪則愈라 故로 刺期門이니 期門은 肝之募也라 設不知而攻其實熱則誤矣라 此病機之變은 不可不審也라(≪傷寒貫珠集≫)
✺傷寒發熱 嗇嗇惡寒은 無汗之表也라 大渴欲飮水 其腹必滿은 停飮之滿也라 若自汗出하면 表可自解오 小便利면 滿可自除라 故로 曰 其病欲解也라 若不汗出 小便閉면 以小靑龍湯으로 先解其外하고 外解已한대 其滿不除어든 十棗湯下之면 亦可愈也라 此肝乘肺 名曰橫 刺期門은 亦與上文義로 不屬이니 似有遺誤라(≪醫宗金鑑≫)
✺傷寒發熱 嗇嗇惡寒 大渴欲飮水 其腹必滿은 是肺病也라 自汗出 小便利는 見風木之疏泄이라 此肝乘肺金也니 名曰橫이라 亦當刺厥陰之期門하야 以泄肝熱이라 肺統衛氣而性收斂하고 肝司營血而性疏泄이라 發熱惡寒 大渴腹滿은 是金氣斂閉而木不能泄也라 汗出便利는 是木氣發泄而金不能收也라 營泄而衛宣라 故로 其病欲解라(≪傷寒懸解≫)
✺橫者는 犯其所不勝이니 橫逆犯上也라 刺期門은 皆所以泄肝之盛氣라(≪傷寒論類方≫)
✺傷寒發熱은 病在表也라 太陽主表 而肺亦主表라 嗇嗇惡寒은 皮毛虛也라 太陽主皮毛 而肺亦主皮毛라 金受火克 故로 大渴欲飮水한대 飮水過多하면 肺氣不能通調水道라 故로 其腹必滿이라 若得自汗出하면 則發熱惡寒之證이 便有出路오 小便利하면 則腹滿之證이 便有去路라 此는 肺氣有權하야 得以行其治節이니 則其病欲解라 而不然者는 發熱惡寒如此하고 腹滿又如此하니 此는 肝木乘肺金之虛而侮其所不勝也라 名之曰橫이니 謂橫肆妄行 無復忌憚也라 亦刺期門二穴하야 以平其橫이라(≪傷寒論淺注≫)
✺水는 玉函 脈經에 作酢漿二字오 千金翼은 作截漿이라(≪傷寒論輯義≫)
✺刺期門二節은 有數疑竇하니 不特無刺期門之確證이오 卽本文도 多不可通이라 腹滿譫語는 似陽明實證이니 脈應滑大而數이오 不應見浮緊之太陽脈이니 一可疑也라 卽張隱庵引辨脈篇에 曰 脈浮而緊을 名曰弦이라하나 不知緊與弦은 本自無別이라 若卽以此爲肝脈이면 其何以處麻黃證之浮緊者리오 是使後學으로 無信從之路也니 二可疑也라 金匱婦人雜病에 原自有熱入血室而譫語者나 然이나 必晝明了而夜譫語오 卽不定爲夜分譫語라도 亦必兼見胸脇滿如結胸狀이라 又有下血譫語者는 又必以但頭汗出爲驗이어늘 今皆無此兼證이니 三可疑也라 發熱惡寒은 病情이 正屬太陽이니 不應卽見渴欲飮水之陽明證이니 四可疑也라 腹滿爲病은 固屬足太陰脾나 然이나 腹滿而見譫語는 何以謂之肝乘脾아 五可疑也라 且渴飮은 胃熱也오 腹滿은 脾濕也어늘 何證屬肝 何證屬肺 而必謂之肝乘肺아 六可疑也라 不知書傳數千年할새 累經傳寫하야 遺脫譌誤를 在所不免이니 仍其譌脫之原文를 奉爲金料玉律하니 此亦信古之過也라 吾謂上節은 爲太陽寒水가 不行於表하야 分循三焦하야 下陷胞中하야 水與血이 並結膀胱之證이니 屬血分이오 次節은 爲胃中膽汁鬱熱上薄하야 吸引水道不得下行之證이니 屬氣分이라 故로 首節은 當云 少腹滿痛 譫語 寸口脈沈而緊이오 惟少腹滿痛而見譫語者라야 乃可據爲膀胱蓄血이라 脈沈緊者는 責諸有水라 太陽之水가 合其標熱하야 下陷寒水之一臟一府하면 乃有蓄血之證이라 蓄血則痛은 卽前文所謂藏府相連 其痛必下者가 是니 如是라야 方與金匱刺期門條例로 相合이라 蓋水勝則肝鬱하고 鬱則傷及血分이라 氣閉而爲痛이니 小柴胡 小建中湯諸方이 並同此例라 然則刺期門者는 正所以宣肝鬱而散其血熱也라 次節은 當云 發熱汗出 渴欲飮水 其腹必滿이라 蓋胃中膽汁太多하야 化爲陽明浮火라 發熱自汗者는 浮火之上炎也라 浮火在上하면 則吸引水氣而不得下泄이라 故로 其腹必滿이라 膽火上炎하면 外達肺主之皮毛爲發熱 爲自汗이라 故로 謂之肝乘肺라 陽熱在上하야 吸水不行하면 則腹爲之滿이니 非刺期門而疏肝鬱하면 則膽火不泄이오 膽火不泄하면 則浮陽上吸而小便不利오 小便不利하면 卽腹滿不去리니 病將何自而解乎아 水氣直下爲縱이니 縱者는 直也오 水氣倒行爲橫이니 橫者는 逆也라 後文太陽少陽並病刺期門者도 義與此同이라 若夫嗇嗇惡寒四字는 決爲衍文이니 削之가 可也라(≪傷寒發微≫)

'<선호상한론>확장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호상한론>확장판 111조문 (0) | 2024.11.30 |
---|---|
<선호상한론>확장판 110조문 (0) | 2024.11.29 |
<선호상한론>확장판 108조문 (0) | 2024.11.27 |
<선호상한론>확장판 107조문(柴胡加龍骨牡蠣湯方) (0) | 2024.11.26 |
<선호상한론>확장판 107조문 (0) | 2024.1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