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본초학교과서>복습 22

<본초학교과서/발산풍한약/계지> 복습하기

發汗解肌, 溫經通脈, 助陽化氣. 治風寒表證, 脘腹冷痛, 血寒經閉, 關節痹痛, 痰飮, 水腫, 心悸, 奔豚. 辛味는 散하고 溫性은 通行케 하여 外로는 表에 작용하여 오로지 肌表의 풍한을 발산하며, 四肢에 橫走하여 經絡을 宣通케 하며 關節을 利하게 한다. 또한 溫通의 작용은 活血通經하고 散寒止痛하는 효능이 있어 外感風寒과 風寒濕痺 및 經閉, 痛經 등 증상을 치료하는 요약이 된다.(본초학교과서) 여기서 가장 중요한 단어는 '온통'이다.  發汗作用은 麻黃에 비하여 緩和하므로 風寒表證의 無汗과 有汗을 莫論하고 적용할 수 있으며, 더우기 體虛感冒로 上肢肩臂가 疼痛한 증 등에 적합하다. (본초학교과서)  계지는 유한이냐 무한이냐를 가리지 않는다.  痰飮과 蓄水를 치료하는데 이는 溫化의 작용이 있기 때문이다. 水濕의 陰..

<본초학교과서/발산풍한약/마황> 복습하기

마황은 내가 가진 사진이 없다.  味辛性溫하고 質이 輕하여 辛味는 發散하고, 溫性은 祛寒하며 體輕升浮하여 肺와 膀胱經에 들어간다. 肺는 皮毛와 表裏가 되고, 膀胱은 一身의 表를 주관하므로 發汗解表시키고 散寒시키는 효능이 있어 外感風寒으로 表實無汗한 證을 치료한다. 능히 宣肺하여 平喘止咳하므로 사기가 肺에 壅遏하고 肺氣不宣하여 나타나는 咳嗽氣喘에 寒熱痰飮과 表證의 유무에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痲疹의 透發이 不暢하거나 風疹으로 身痒 등의 병증이 있을 때 응용하고, 溫散寒邪의 효능이 있으므로 병정에 상응되는 약물을 배합하여 風濕痹痛 및 陰疽 등의 병증을 다스린다. 이외에도 위로는 肺氣를 開宣하여 발한하고 또한 水道를 通調케 하여 방광으로 下輸하여 利水케 하므로 水腫에 표증을 겸한 증에 가장 적합하..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