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초학교과서>복습

<본초학교과서/발산풍한약/계지> 복습하기

동원당 2024. 6. 17. 15:24
728x90
반응형

樟科(녹나무과:Lauraceae)에 속한 常綠喬木인 육계 Cinnamomum cassia Blume 또는 기타 동속 근연식물의 어린 가지이다. 중국에서는 C. cassia Presl 만을 기원으로 한다. (본초학교과서)

 

發汗解肌, 溫經通脈, 助陽化氣. 治風寒表證, 脘腹冷痛, 血寒經閉, 關節痹痛, 痰飮, 水腫, 心悸, 奔豚.

 

辛味하고 溫性通行케 하여 로는 에 작용하여 오로지 肌表의 풍한을 발산하며, 四肢橫走하여 經絡宣通케 하며 關節하게 한다. 또한 溫通의 작용은 活血通經하고 散寒止痛하는 효능이 있어 外感風寒風寒濕痺 經閉, 痛經 등 증상을 치료하는 요약이 된다.(본초학교과서)

 

여기서 가장 중요한 단어는 '온통'이다. 

 

發汗作用麻黃에 비하여 緩和하므로 風寒表證無汗과 有汗을 莫論하고 적용할 수 있으며, 더우기 體虛感冒上肢肩臂疼痛한 증 등에 적합하다. (본초학교과서)

 

계지는 유한이냐 무한이냐를 가리지 않는다. 

 

痰飮蓄水를 치료하는데 이는 溫化의 작용이 있기 때문이다. 水濕陰邪하게 되면 化濕하게 되므로 桂枝通陽化氣의 효능으로 化濕利水의 효과를 증강케 하고 利水化濕藥과 배오하여 상용하므로서 陽氣不行으로 水濕停留되어 나타나는 痰飮蓄水의 증을 치료하게 된다. (본초학교과서)

 

오령산이나 영계출감탕에서 계지의 역할을 이렇게 어렵게 설명하고 있다. 

몸이 차면 물이 생기는데, 계지가 몸을 따뜻하게 해서 물을 수기로 기화시킨다는 말이다. 

 

汗出, 惡風表虛證을 치료하는데 酸斂시키는 약물을 배오하여 한편으로는 發散시키고 또 한편으로는 收斂하여 營衛를 조화케 하여 散風斂營되고 表邪하게 되며, 大汗出하는 가 없이 병증이 치료된다. 소위 桂枝無汗에는 發汗시키고 有汗에는 止汗시킨다는 은 이와 같이 배합된 약물의 효과이며, 실제로 桂枝辛溫發散시키는 으로 止汗作用은 없다.  (본초학교과서)  

 

마황을 더해서 마황탕으로 갈꺼냐, 작약을 더해서 계지탕으로 갈꺼냐라는 말이다. 알고 보면 그 말인데, 모르고 보면 참 난해하다. 

 

그러므로 陰虛盜汗에 계지를 誤用하면 火邪가 심해져 盜汗이 더욱 심하게 되어 亡陽證을 일으켜 動風 또는 動血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본초학교과서)

 

음허는 추위를 타지 않는다. 몸이 차지 않다. 더위를 탄다. 거기에 왜 계지를 쓰겠는가?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