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1-1][148] 病在陽은 應以汗解之로대 反以冷水로 噀之어나 若灌之하야 其熱被却하야 不得去하고 彌更益煩 肉上粟起하며 意欲飮水나 反不渴者는 服文蛤散이오 若不差者는 與五苓散이라
『병이 태양에 있으면 마땅히 발한법으로 풀어야 하는데 도리어 냉수를 뿜거나 몸에 부어서 사열이 풀리지 않고 물러나, 煩이 더욱 심해지며 肌肉에 돌기가 생기고(닭살 돋고) 물을 마시고 싶어 하나 갈증이 없는 것에는 문합산을 복용하고, 낫지 않으면 오령산을 준다.』
✺病在陽은 爲邪在表也니 法當汗出而解로대 反以冷水로 潠之어나 灌洗하면 熱被寒水하야 外不得出하니 則反攻其裏라 彌更益煩하며 肉上粟起者는 水寒之氣가 客於皮膚也라 意欲飮水者는 裏有熱也라 反不渴者는 寒在表也라 與文蛤散하야 以散表中水寒之氣라 若不差는 是水熱相搏하야 欲傳於裏니 與五苓散하야 發汗以和之라(≪注解傷寒論≫)
✺在陽은 謂表未罷熱未除也라 潠은 噴之也오 灌은 漑之也오 被는 蒙也니 言邪蒙冒於灌之水하야 鬱閉而不散하야 熱悗煩惱益甚也라 粟起는 言膚上粒起如粟이니 水寒鬱留於表而然也라 意欲得水而不渴者는 邪熱雖甚이나 反爲水寒所制也라 文蛤은 卽海蛤之有文理者니 鹹寒走腎而利水라 以之獨專任者는 蓋取督腎而行水也라 不瘥者는 水雖內漬나 猶有外被者라 故로 用五苓散하야 內以消之 外以散之 而兩解也라(≪傷寒論條辨≫)
✺熱爲寒閉하야 火鬱於肺 而不得泄越이라 故로 彌煩也라 此는 不可以凉藥解除오 宜以文蛤之酸平으로 斂而降之라(≪傷寒括要·卷下·太陽篇七十三方·文蛤散≫)
✺病在陽者는 爲邪熱在表也니 法當以汗解之어늘 醫反以冷水潠之라 潠者는 口含水噴也라 若灌之에 灌은 澆也라 灌則更甚於潠矣라 表熱被水止劫하면 則不得去하고 不得去者는 陽邪無出路也라 邪無從出하면 其煩熱이 必更甚於未用水之前矣라 彌更益者는 猶言甚之極也라 水寒之氣가 客於皮膚하면 則汗孔閉라 故로 肉上起粒如粟也라 意欲飮水不渴者는 邪熱雖甚이나 反爲水寒所制也라 意欲飮水者는 先與文蛤散하야 以解其彌甚之煩熱이라 若不瘥者는 水寒與熱相搏하야 下傳太陽之府니 與五苓散하야 內以消之하고 外以散之니 乃表裏兩解之法也라(≪傷寒論辨症廣注≫)
✺此言邪之中人에 必始於皮毛하니 留而不去 則入於肌腠하고 留而不去 則入於經脈하고 留而不去 則入於腑也라 病在陽은 病在太陽之皮毛也라 當是之時에 可汗而散也어늘 反以冷水潠之니 若灌之하야 其熱被却하면 則入於肌腠矣오 復留而不得去하면 則入於經脈矣라 夫經脈不能合心主之神氣以流通則煩이오 更不能由肌腠而達於皮毛則益煩이라 彌更者는 輾轉之意也리 夫心主之神이 合三焦出氣以溫肌肉한대 水寒折之하야 不能合三焦而溫肌肉이라 故로 肉上粟起라 心火不達이라 故로 意欲飮水니 意欲飮水則當渴矣어늘 反不渴者는 假象也라 文蛤은 外剛內柔하야 秉高明之象以資心主之氣라 故로 可服이오 若不差者는 與五苓散하야 助脾土而達三焦하면 水道行而經脈通矣라(≪傷寒論集注≫)
✺病在陽者는 蓋指邪在太陽也라 然이나 仲景但言病在陽이어늘 何以知其獨指太陽乎아 曰 仲景陽明篇首云 身熱汗自出 不惡寒 反惡熱者 爲陽明外證이라하야늘 旣云汗自出이니 不應再以汗解오 唯邪氣雖入陽明 而太陽證尚未罷者라야 方有用麻黃之葛根湯及桂枝葛根湯以汗解之오 此外則更無陽明發表之專藥矣니 是以知其非陽明也라 少陽에 雖有半表之邪 而汗吐下皆有禁例오 又不當有應以汗解之句라 故로 又知其非少陽也라 唯太陽爲最外一層이오 專主營衛風寒하니 犯之則必應以汗解矣라 此因不得汗解而煩熱은 非唯不以汗解 而反以冷水噀之灌之라 噀者는 噴噀之也오 灌者는 灌洗之也라 以冷水灌之者는 蓋欲以寒治熱나 乃不知者之妄耳니 遂使皮膚鬱熱之邪 爲冷水所却하야 不得散去라 故로 彌更益增其煩熱也라 然이나 煩熱雖甚이나 其先所感之邪가 本已惡寒無汗한대 又增噀灌之水寒이 外客皮膚라 故로 肉上之寒粟聳起라 意欲飮水者는 煩熱所致也오 反不渴者는 水寒侵入也라 見證如此면 似當仍以汗解爲是어늘 因水寒外侵하야 邪熱被却하야 已不在表라 故로 以鹹寒潤下利水之文蛤散으로 導水下出이라(≪傷寒溯源集≫)
✺若未效而不瘥者는 因水寒內犯太陽之腑하야 膀胱受病이니 當與五苓散하야 助其下焦蒸騰之用하면 則氣化流行而水氣自除矣라 卽有表邪未解라도 服五苓散法中에 更有多飮暖水 使汗出之法하니 可去也라 此條는 當與中風失治之渴欲飮水 水入卽吐之水逆證으로 互看이니 彼因飮水所致 爲內入之水寒이오 此因噀灌所致 爲外入之水寒이라 病情相似라 故로 治法도 亦相同也라(≪傷寒溯源集≫)
✺病發于陽은 應以汗解로대 庸工이 用水攻之法하야 熱被水劫而不得散이라 外則肉上粟起하니 因濕氣凝結于玄府也오 內則煩熱 意欲飮水는 是陽邪內鬱也라 當渴而反不渴者는 皮毛之水氣入肺也라 夫皮肉之水氣는 非五苓散之可任이오 而小靑龍之溫散은 又非內煩者之所宜라 故로 制文蛤湯이라 文蛤은 生於海中而不畏水하니 其能制水를 可知라 鹹能補心하고 寒能勝熱하며 其殼은 能利皮膚之水하고 其肉은 能止胸中之煩이라 故로 以爲君이라(≪傷寒附翼≫)
✺然이나 陽爲陰鬱은 非汗不解오 而濕在皮膚는 又不當動其經絡이오 熱淫于內는 亦不可發以大溫이라 故로 于麻黃湯에 去桂枝而加石膏薑棗라 此는 亦大靑龍之變局也라 其不差者는 更與五苓散以除未盡之邪오 若汗出已而腹中痛者는 更與芍藥湯以和肝脾之氣라 按컨대 本論에 以文蛤一味爲散 以沸湯和方寸匕 服滿五合이라하니 此等輕劑는 恐難散濕熱之重邪라 金匱要略에 云渴欲飮水不止者 文蛤湯主之라하니 審症用方하면 則此湯而彼散이라 故로 移彼方而補入于此라(≪傷寒附翼≫)
✺病在陽者는 邪在表也니 當以藥取汗이어늘 而反以冷水潠之 或灌濯之면 其熱得寒被劫而又不得竟去하야 於是熱伏水內 而彌更益煩이라 水居熱外 而肉上粟起 而其所以爲熱은 亦非甚深而極盛也라 故로 意欲飮水 而口反不渴이라 文蛤은 鹹寒而性燥하야 能去表間水熱互結之氣라 若服之而不瘥者는 其熱漸深 而內傳入本也라 五苓散은 辛散而淡滲하니 能去膀胱與水相得之勢라(≪傷寒貫珠集≫)
✺病在陽은 謂病發於陽而身熱也라 此應以汗解之 而反以冷水潠之灌之면 則身熱雖被劫而暫却이라 然이나 終不得去라 故로 熱煩益甚也라 水寒外束하야 膚熱乍凝이라 故로 肉生膚粟이오 熱入不深이라 故로 意欲飮水 反不甚渴也라 故로 以文蛤散으로 內疏膚熱이라 若不差면 與五苓散하야 外解水寒하면 則皮粟身熱當解矣라 若不解且惡寒 引衣自覆은 是尚有表也니 當以桂枝湯汗解之라 假令服桂枝湯하야 汗已出하야 熱粟俱解 而腹中增痛은 又爲表已和裏未調也라 宜與桂枝湯倍加芍藥하야 調裏以和其表라 若渴欲飮水而不腹痛하면 則不須調太陰裏 而仍當調太陽府矣니 宜仍取乎五苓也라(≪醫宗金鑑≫)
✺五苓散證은 水飮在內하야 鬱格經陽 而生外熱이라 病在陽分은 應當以汗解之하야 使裏水化汗하면 病可立愈라 乃反以冷水噀之灌之하야 皮膚得冷하면 汗孔皆闔하야 表熱被冷水却逐 而不得外去하니 彌更益其煩躁라 衛鬱欲發하야 升於孔竅 而外寒闔秘하야 不能透發하니 於是에 衝突皮膚하야 肉上如粟粒凝起라 經熱內蒸하야 煩熱作渴하고 意欲飮水 而停水在內하야 其實反不渴者는 宜服文蛤散이니 文蛤은 利水解渴也라 若不瘥者는 則是水旺濕多니 文蛤은 不能勝任이오 仍與五苓散이라(≪傷寒懸解≫)
✺[病在陽 應以汗解之 反以冷水潠之 若灌之 其熱被劫 不得去 彌更益煩 肉上粟起] 寒在肉中이라 [意欲飮水 反不渴者 服文蛤散] 此는 熱結在皮膚肌肉之中이오 不在胃口라 故로 欲飮而不渴이라 文蛤은 取其軟堅逐水라 [若不瘥者 與五苓散] 不應則表裏同治라(≪傷寒論類方≫)
✺內因之水結而不散하면 則爲結胸之證이오 而外因之水入於皮膚하야도 亦有小結胸之患이라 病在太陽之表는 應以汗解之어늘 醫者反以冷水潠之어나 若于病人通身澆灌之하야 其在表之陽熱이 被冷水止却不得去하야 較未用水之前하야 彌更熱而益煩이오 熱因水阻하면 則汗孔閉而肉上結粒如粟起오 熱却於內라 故로 意欲飮水라 外寒制其內熱하야 反不作渴者는 宜服文蛤散하야 滲散其水氣오 若不差者는 與五苓散하야 助脾土以轉輸하야 仍從皮膚而散之라(≪傷寒論淺注≫)
✺男元犀按컨대 太陽病에 不發汗而以水噀之하야 致在表之陽이 反退却於內而不得去라 師取文蛤爲散하야 味鹹質燥로 以滲散其水氣라 若不瘥者는 用五苓하야 助其脾以轉輸之하야 俾仍從皮膚而散也라 柯韻伯謂此等輕劑 恐難散濕熱之重邪라 ≪金匱要略≫에 云 渴欲飮水不止者는 文蛤散主之라하고 又云 吐後 渴欲得水而貪飮者는 文蛤湯主之오 兼主微風脈緊頭痛이라하야늘 審證用方하면 則彼用散而此則用湯爲宜라(≪長沙方歌括·卷三·太陽方·文蛤散≫)
✺張令韶曰 前論內因之水結於胸脇而爲大陷胸湯證이오 此論外因之水入於皮膚而肉中粟起니 或解其熱하고 或用辛以散外寒하야 隨時制宜면 無不可也라(≪長沙方歌括·卷三·太陽方·文蛤散≫)
✺潠은 全書 脈經 千金翼에 作噀이오 程 錢도 亦同이라 玉函 脈經은 無冷字라 脈經 外臺는 無被字하고 劫은 作卻이라 玉函 脈經 外臺는 無彌更二字하고 肉이 作皮라 ○此條는 舊與小陷胸白散으로 合爲一條어늘 今從張氏周氏柯氏及金鑑하야 分爲二條라 喻氏魏氏는 並缺此條及白散條니 可疑라(≪傷寒論輯義≫)
✺潠之는 是外澆冷水오 灌之는 是內飮冷水라 其熱이 被外之冷却 則不得出하고 被內之冷却하야도 又不得入하야 遂止于肌肉之間하야 進退兩難이라 故로 彌更益煩이라 水氣與熱結于皮肉間 而起粟粒은 是熱與水가 不結胸中 而結在軀殼之皮肉間也라 熱在軀殼 故로 意欲飮水오 胃中無熱 故로 反不渴이니 與但欲漱水不欲飮水로 同意라 但欲漱는 是熱在經脈이오 不在胃中이어니와 此是熱在皮肉이오 不在胃中也라 故로 用文蛤 殼上起紋 有疙瘩者니 今之蚶子가 是矣라 用其殼하야 以治人身軀殼外之粟粒하야 滲水利熱하니 形象皆合이라 淺注는 解灌潠皆是外澆冷水니 不知反以字 若字가 顯分兩層이라 肉上又實指出是軀殼外오 文蛤亦是用殼이라 故로 能解皮肉間之熱與水也라 若不差 與五苓散도 亦正是散熱利水 行皮肉間之藥이니 此는 皆熱與寒水 結在外者也라(≪傷寒論淺注補正≫)
'<선호상한론>확장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호상한론>확장판 141-2조문 (0) | 2025.01.20 |
---|---|
<선호상한론>확장판 141-1조문(文蛤散方) (0) | 2025.01.19 |
<선호상한론>확장판 140조문 (0) | 2025.01.09 |
<선호상한론>확장판 139조문 (0) | 2025.01.08 |
<선호상한론>확장판 138조문(小陷胸湯方) (0) | 2025.0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