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小陷胸湯方
黃連一兩 半夏半升 洗 瓜蔞實大者一枚
上三味를 以水六升으로 先煮瓜蔞하야 取三升하고 去滓하야 內諸藥하고 煮取二升이어든 去滓하고 分溫三服이라
『위 3가지 약물을 물 6되로 먼저 과루실을 달여 3되를 취하고 찌꺼기를 버리고 나머지 약물을 넣고 달여 2되를 취해서 찌꺼기를 버리고 3번에 나누어 따뜻하게 복용한다.』
✺又治心下結痛 氣喘而悶者라(≪金鏡內臺方議·小陷胸湯(44)≫)
✺議曰 心下鞕 不按而痛 手不可近者는 大結胸也오 心下滿 按之則痛者는 邪熱淺結이니 爲小結胸也라 此는 不可下오 只宜散也라 故로 用栝蔞爲君이니 其味苦性寒하야 能破胸膈結氣라 半夏爲佐爲使는 以辛能散氣也라 黃連爲臣은 苦以泄之하야 以輔君主之藥 而下心下之結也라(≪金鏡內臺方議·小陷胸湯(44)·湯議≫)
✺以半夏之辛으로 以散結氣하고 黃連之苦로 以瀉滿實하고 瓜蔞之苦로 以寬中潤下니라(≪醫學入門·傷寒用藥賦≫)
✺王海藏云 大陷胸은 治熱實이오 大陷胸丸은 兼喘이오 小陷胸은 治痞라(≪張卿子傷寒論≫)
✺大結胸者는 不按亦痛이오 小結胸者는 必手按而後覺痛也라 邪輕於前 故로 曰小陷胸이라 夫苦以泄之하고 辛以散之니 黃連栝蔞之苦寒以泄熱하고 半夏之辛溫以散結하면 邪自解矣라(≪傷寒括要·卷下·太陽篇七十三方·小陷胸湯≫)
✺琥按컨대 成注에 云 苦以泄之오 辛以散之니 黃連栝蔞實之苦寒以泄熱하고 半夏之辛以散結이라하니 三物性味雖平이나 尚論篇에 稱其泄熱散結이 亦能突圍而入이니 所以名爲小陷胸湯也라하니라 大抵此湯은 病人痰熱內結者에 正宜用之라(≪傷寒論辨症廣注≫)
✺栝蔞實은 味苦 氣寒하야 降也 陰也오 無毒이라 入肺 胃二經이라 最能下氣滌穢하고 尤消鬱開胃하야 能治傷寒結胸하고 祛痰하며 又解渴生津하고 下乳라 但切戒輕用이니 必積穢滯氣結在胸上 而不肯下者라야 始可用之以蕩滌이오 否則 萬萬不可孟浪이라 蓋栝蔞實은 最消人之眞氣니 傷寒結胸은 乃不得已用之也라 苟無結胸之症에 何可輕用이리오 至於消痰 解渴 下乳하얀 只可少少用之호대 亦戒不可重任이라 他本에 言其能治虛怯勞嗽는 此殺人語니 斷不可信이오 總惑於補肺之說也라 夫栝蔞는 乃攻堅之藥이오 非補虛之品이라 天花粉은 卽栝蔞之根 而性各不同이라 蓋栝蔞實은 其性最悍하야 非比天花粉之緩이니 用栝蔞實은 不若以天花粉代之라 天花粉도 亦消痰降氣 潤渴生津 淸熱除煩 排膿去毒 逐瘀定狂 利小便而通月水하야 其功用이 多於栝蔞實하고 虛人有痰者도 亦可少用以解燥而滋枯니 又何必輕用栝蔞實哉리오(≪本草新編·栝蔞實≫)
✺或問栝蔞實은 能陷胸中之邪하야 爲傷寒要藥이어늘 而吾子切切戒之하시니 何不刪去栝蔞하고 獨存天花粉之爲當哉아 曰醫道는 必王霸並用 而後出奇制勝이라야 始能救生死於頃刻이라 結胸之症은 正死在須臾也니 用天花粉以消痞滿은 其功遲오 用栝蔞以消痞滿은 其功捷이라 但結胸之痞滿不同하니 小痞小滿之症은 不妨用天花粉以消之어니와 大痞大滿之症은 非栝蔞면 斷然不可라 又在人臨症細辨이오 非栝蔞之竟可不用也라(≪本草新編·栝蔞實≫)
✺或疑栝蔞는 推胸中之食하고 蕩胃中之邪하야 其勢甚猛한대 傷寒至結胸은 其正氣已大喪矣어늘 又用此以推蕩之면 不虛其虛乎아 先生又謂不可用天花粉相代라하시니 豈傷寒之虛에 可以肆然罔顧乎아 曰 傷寒에 不顧其虛면 則邪且鑠盡人之元氣하야 頃刻卽死矣어늘 烏可肆然罔顧乎아 用栝蔞以陷胸이 正所以顧其虛也라 夫陷胸之成은 由於邪退之時 而亟用飮食 則邪仍聚而不肯散이라 夫邪之所以散者는 由於胃中空虛 邪無所得이라 故로 有不攻而散之意라 邪甫離胃면 而胃氣自開하야 以致饑而索食하니 此時而能堅忍半日하면 則邪散盡矣라 無如邪將散 而人卽索食하면 食甫下喉 而邪復群聚而逐矣라 仲景張夫子所以又立陷胸湯하야 用栝蔞爲君이니 突圍而出하야 所向無前하야 群邪驚畏하야 盡皆退舍하니 於是에 漸次調補 而胸胃之氣安焉이라 是推蕩其邪氣가 非卽急救其正氣之明驗乎아 倘畏首畏尾하야 不敢輕用栝蔞면 雖久則食消라도 亦可化有事爲無事라 然이나 所傷正氣多矣니 此栝蔞之宜急用 而不可失之觀望耳라(≪本草新編·栝蔞實≫)
✺或問栝蔞陷胸 以救胃中之正氣는 是矣나 然이나 吾恐栝蔞祛邪以入脾하야 走而不守하면 則脾當其害니 不猶以鄰國爲壑乎아 曰 栝蔞는 但能陷胸 而不能陷腹이라 胸中之食은 可推之以入於腹이어니와 脾中之食은 不必蕩之以入於腸이라 蓋脾主出而易化나 胃主納而難消也라(≪本草新編·栝蔞實≫)
✺或問栝蔞는 陷胸中之邪아 抑陷胸中之食耶아 曰 結胸之症은 未有不因食而結者也라 陷胸湯은 乃陷食 而非陷邪也라 雖然이나 邪因食而復聚하면 雖邪不入於胃之中이나 而邪實布於胃之口라 陷胸中之食而邪解散하니 卽謂之陷邪도 亦可也라 然而食可陷 而邪不可陷이라 食陷하면 必入於脾하고 邪陷하면 必入於腎이라 入脾者는 栝蔞可乘勝而長驅오 入腎者는 栝蔞不能入腎이니 勢必變生不測이라 今用陷胸 而食消邪散은 是陷胸湯實陷食 而非陷邪也라 但止陷食而不陷邪 而邪何以竟散耶아 是結胸之症이 因得食而結하면 則陷胸之湯에 其邪亦因陷食而散也라(≪本草新編·栝蔞實≫)
✺或疑陷胸湯用栝蔞는 不止陷胸中之邪오 亦陷腹中之邪也니 邪在腹中할새 安知不祛之入腎乎아 曰 陷胸湯은 勢最捷하야 邪逢栝蔞卽散이어늘 安在又入於腎乎아 況邪已在腹은 與在胸者로 有別이니 在胸者는 居高臨下하야 恐有走失入腎之虞어니와 在腹者는 邪趨大腸하야 其勢甚便이니 豈返走於腎經哉리오(≪本草新編·栝蔞實≫)
✺此는 因陷入之熱邪가 較輕이라 故로 治法이 亦變其制而爲小陷胸湯也라 然이나 其小也는 非若小承氣之減其制而曰小오 亦非若小靑龍之變其法而曰小也라 此所謂小者는 名同而藥實不同이오 藥雖不同而用意則同이오 用意雖同而其功用又不同也라 夫邪結雖小나 同是熱結이니 故로 以黃連之苦寒主之니 寒以解其熱하고 苦以開其結이오 非比大黃之苦寒蕩滌也라 邪結胸中則胃氣不行하야 痰飮留聚라 故로 以半夏之辛溫滑利 化痰蠲飮而散其滯結也라 栝蔞實은 李時珍謂其甘寒不犯胃氣하고 能降上焦之火하야 使痰氣下降이라하니 蓋亦取其滑潤也오 亦非比芒硝甘遂之鹹寒逐水之峻也라 然이나 半夏栝蔞 皆取其滑者는 何也오 蓋滑은 乃十劑之一이니 謂滑可去著也라 著者는 有形之邪는 留著於胸膈腸胃之中하고 無形之邪는 留著於經絡臟腑之間也라 古人云 著而難去者는 以滑去之라하니 如油之洗物也라 此方之制는 病小則制方亦小니 卽內經所云 有毒無毒은 所治爲主오 適大小爲制也니라(≪傷寒溯源集≫)
✺按컨대 小柴胡湯에 加枳桔은 治少陽表裏有邪者오 柴胡陷胸湯은 治少陽表裏熱邪 兼有痰結者오 小陷胸湯은 治內有熱痰 外無表症者라 加枳桔則力專이오 加甘草則力緩이라(≪傷寒大白·卷三·胸滿≫)
✺以半夏辛散豁痰하고 栝蔞蕩滌邪穢하고 川連去積熱하면 則熱散痰消라(≪傷寒大白·卷三·結胸≫)
✺熱入은 有淺深하고 結胸은 分大小라 心腹硬痛 或連小腹하야 不可按者는 爲大結胸이라 此는 土燥水堅이라 故로 脈亦應其象而沈緊이라 止在心下하고 不及胸腹하야 按之라야 知痛하고 不甚硬者는 爲小結胸이라 是는 水與熱結하야 凝滯成痰하야 留于膈上이라 故로 脈亦應其象而浮滑也라 穢物이 据淸陽之位하니 法當瀉心而滌痰이니 用黃連으로 除心下之痞實하고 半夏로 消心下之痰結하야 寒溫幷用하면 溫熱之結이 自平이라 瓜婁實은 色赤形圓하고 中含津液하야 法象于心하니 用以爲君하야 助黃連之苦하고 且以滋半夏之燥니 洵爲除煩滌痰 開結寬胸之劑라 雖同名陷胸이나 而與攻利水穀之方으로 懸殊矣라 大小靑龍은 攻太陽之表나 有水火之分하고 大小陷胸은 攻太陽之裏나 有痰飮之別하니 不獨以輕重으로 論也라(≪傷寒附翼≫)
✺結胸에 按之始痛者는 邪在脈絡也라 故로 小陷胸은 止陷脈絡之邪하야 從無形之氣而散이라 栝蔞는 生於蔓草라 故로 能入絡이오 半夏는 成于坤月이라 故로 亦通陰이라 二者는 性皆滑利하야 內通結氣하야 使黃連直趨少陰하야 陷脈絡之熱이라 攻雖不峻이나 胸中亦如陷陣이라 故로 名陷胸이라 僅陷中焦脈絡之邪하고 不及下焦라 故로 名小니라(≪絳雪園古方選註·上卷·下劑·小陷胸湯≫)
✺黃連滌熱 半夏導飮 栝蔞潤燥下行을 合之以滌胸膈痰熱하고 開胸膈氣結이라 攻雖不峻이나 亦能突圍而入이라 故로 名小陷胸湯이라 分服三服은 乃緩以治上之法也라(≪醫宗金鑑≫)
✺程知曰 此熱結未深者니 在心下오 不似大結胸之高在心上이라 按之痛은 比手不可近爲輕이라 脈之浮滑은 又緩於沈緊이라 但痰飮素盛하야 挾熱邪而內結이니 所以脈見浮滑也라 以半夏之辛散之하고 黃連之苦瀉之하고 栝蔞之苦潤滌之니 皆所以除熱散結於胸中也라 先煮栝蔞하야 分溫三服은 皆以緩治上之法이라(≪刪補名醫方論≫)
✺程應旄曰 黃連滌熱 半夏導飮 栝蔞潤燥를 合之以開結氣니 亦名曰陷胸者라 攻雖不峻이나 而一皆直瀉하야 其胸裏之實邪도 亦從此奪矣라(≪刪補名醫方論≫)
✺按컨대 大承氣所下者는 燥屎오 大陷胸所下者는 蓄水오 此所下者는 爲黃涎이니 涎者는 輕於蓄水 而未成水者也라 審病之精 用藥之切이 如此라(≪傷寒論類方≫)
✺張令韶曰 氣分無形之邪가 結於胸膈之間하야 以無形而化有形이라 故로 痛不可按而爲大結胸證이라 結於胸中脈絡之間하야 入于有形之經絡 而仍歸于無形이라 故로 正在心下 按之則痛 而爲小結胸證이라 方用黃連以解心下之熱하고 半夏以疏脈絡之結하고 瓜蔞는 延蔓似絡하고 性寒涼而實下行하니 所以導心下脈絡之結熱從下而降也라 若大結胸證에 亦用此湯하면 藥不及病하야 多死니라(≪長沙方歌括·卷三·太陽方·小陷胸湯≫)
✺又曰 氣는 無形者也오 經은 有形者也라 以無形之邪가 結於胸膈之內라 故로 用大黃甘遂輩하야 從有形之腸胃而解오 結於脈絡之間에 又用黃連 半夏輩하야 從無形之氣分而散이니 此는 經氣互相貫通之理라(≪長沙方歌括·卷三·太陽方·小陷胸湯≫)
✺三服下에 總病論은 有微解下黃涎卽愈七字라 活人書 准繩도 並同이라(≪傷寒論輯義≫)
✺汪昂醫方集解에 劉心山이 曰 結胸은 多挾痰飮하야 凝結心胸이라 故로 陷胸瀉心에 用甘遂半夏栝蔞枳實旋復之類는 皆爲痰飮而設也라(≪傷寒論輯義≫)
✺汪氏云 大抵此湯은 病人痰熱內結者에 正宜用之라하고 錫駒云 案컨대 湯에 有大小之別하고 症에 有輕重之殊어늘 今人이 多以小陷胸湯으로 治大結胸症하야 皆致不救하고 遂諉結胸 爲不可治之證이니 不知結胸之不可治者는 止一二節이오 餘皆可治者也라 苟不體認經旨하야 以致臨時推諉하고 誤人性命하니 深可歎也라(≪傷寒論輯義≫)
✺傷寒直格에 曰 栝蔞實은 惟銼其殼이오 子則不銼니 或但用其中子者는 非也라(≪傷寒論輯義≫)
✺醫學綱目에 曰 工部郎中 鄭忠厚가 因患傷寒하야 胸腹滿하고 面黃如金色한대 諸翰林醫官이 商議나 略不定하고 推讓曰 胸滿은 可下어니와 恐脈浮虛라 召孫兆至 曰 諸公이 雖疑나 不用下藥은 鄭之福也라 下之면 必死라 某有一二服藥하면 服之必瘥라하고 遂下小陷胸湯하니 尋利하고 其病이 遂良愈라 明日面色改白하니 京城人이 稱服이라(≪傷寒論輯義≫)
✺又曰 孫이 主簿述之母한대 患胸中痞急하야 不得喘息하고 按之則痛하며 脈數且澁하니 此는 胸痹也라 因與仲景三物小陷胸湯하니 一劑而和하고 二劑而愈라하니라(≪傷寒論輯義≫)
✺醫壘元戎 小陷胸湯은 去半夏하고 加大黃이라(≪傷寒論輯義≫)
✺赤水玄珠에 徐文學三泉先生令郎이 每下午發熱하고 直至天明이라가 夜發更甚이라 右脇脹痛하고 咳嗽吊疼하며 坐臥俱疼한대 醫以瘧治나 罔效라 逆予診之호대 左弦大 右滑大搏指라 予曰 內經云 左右者는 陰陽之道路라하야늘 據脈컨대 肝膽之火가 爲痰所凝이라 必勉强作文하야 過思不決하야 鬱而爲疼이라 夜甚者는 肝邪實也니 乃以仲景小陷胸湯爲主라 栝蔞一兩 黃連三錢 半夏二錢 前胡 靑皮各一錢을 水煎하야 飮之하고 夜服當歸龍薈丸하야 微下之라 夜半에 痛止熱退하고 兩帖에 全安이라(≪傷寒論輯義≫)
✺醫林集要 加味陷胸湯은 治壅熱痞滿 胸膈痛 或兩脇痛이니 於本方에 加桔梗 黃芩 黃連 麥門冬하야 薑水煎하야 饑時에 服이니 利下黃涎하면 卽安이라 凡瘧痢病後餘熱 留滯胸膈 及有飮酒過度 胸結痛도 亦宜服此면 神效라 一法은 只用小陷胸湯에 加桔梗 枳殼이니 甚效라(≪傷寒論輯義≫)
✺醫學入門 小調中湯은 治一切痰火 及百般怪病하고 善調脾胃니 神效라 於本方에 加甘草 生薑이라(≪傷寒論輯義≫)
✺證治大還 加味小陷胸湯(秘方)은 治火動其痰嘈雜이니 於本方에 加枳實 梔子라(≪傷寒論輯義≫)
✺張氏醫通에 凡咳嗽面赤 胸腹脇常熱 惟手足有凉時 其脈洪者는 熱痰在膈上也니 小陷胸湯이라(卽本方이라)(≪傷寒論輯義≫)
✺視大結胸證 從心上至少腹痛不可近者로 有間矣라 邪入未深이라 故로 本方黃連淸熱 蔞半散結은 但開中焦之熱結이오 勿犯下焦라 故로 曰小라 大陷胸證은 痛不可近이오 小陷胸證은 按之則痛이며 大陷胸證은 痛連心上이오 小陷胸證은 正在心下니 同一陷胸이나 證隔天淵하니 不能通用이라(≪傷寒尋源·下集·小陷胸丸≫)
✺栝蔞實之長은 在導痰濁下行이라 故로 結胸胸痹에 非此不治라 然이나 能導之使行이오 不能逐之使去라 蓋其性柔하니 非濟之以剛이면 則下行不力이라 是故로 小陷胸湯則有連夏하고 栝蔞薤白等湯則有薤酒桂朴이니 皆伍以苦辛迅利之品하야 用其所長호대 又補其所短也니라(≪本草思辨錄·栝蔞根栝蔞實≫)
'<선호상한론>확장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호상한론>확장판 140조문 (0) | 2025.01.09 |
---|---|
<선호상한론>확장판 139조문 (0) | 2025.01.08 |
<선호상한론>확장판 138조문 (0) | 2025.01.06 |
<선호상한론>확장판 137조문 (0) | 2025.01.05 |
<선호상한론>확장판 136조문 (0) | 2025.0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