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104] 傷寒에 陽脈澁 陰脈弦하면 法當腹中急痛이니 先與小建中湯이오
不差者는 與小柴胡湯 主之라
『상한에 양맥이 澁하고 음맥이 弦하면 배가 拘急하면서 아플 것이니 먼저 소건중탕을 주고, 복통이 가시지 않으면 소시호탕을 준다.』
✺龐曰 凡脈緊은 病必無汗이나 唯濡而緊은 病必自汗이니 勿誤行桂枝오 宜建中湯也라 脈濡弱은 不可發汗이니 汗則厥而煩躁 不得眠이라(≪傷寒總病論·卷第二·不可發汗證≫)
✺小柴胡에 去黃芩하고 加芍藥이라(≪活人書·93問≫)
✺尺脈遲者는 血少也니 宜建中湯이오 仲景建中證에 云 傷寒陽脈澁 陰脈弦 法當腹中急痛 與建中湯이라하니 遲弦은 雖不同이나 皆少血之脈也라(≪傷寒百證歌·卷二·第二十三證·傷寒歌≫)
✺脈陽澁陰弦 而腹中急痛者는 當作裏有虛寒治之니 與小建中湯하야 溫中散寒이오 若不差者는 非裏寒也오 必由邪氣自表之裏하야 裏氣不利所致니 與小柴胡湯去黃芩加芍藥하야 以除傳裏之邪라(≪注解傷寒論≫)
✺脾者는 土也니 應中央이오 處四藏之中하야 爲中州라 治中焦하야 生育營衛하고 通行津液이라하니 一有不調하면 則營衛失所育하고 津液失所行하니 必以此湯으로 溫建中藏이라 是以로 建中名焉이라 膠飴는 味甘溫이오 甘草는 味甘平이라 脾欲緩이어든 急食甘以緩之니 建脾者는 必以甘爲主라 故로 以飴膠爲君이오 甘草爲臣이라 桂는 辛熱이니 辛은 散也오 潤也라 營衛不足이어든 潤而散之라 芍藥은 味酸微寒하니 酸은 收也오 泄也라 津液不通이어든 收而行之라 是以로 桂芍藥으로 爲佐라 生薑은 味辛溫이오 大棗는 味甘溫이라 胃者는 衛之源이오 脾者는 榮之本이라 黃帝鍼經에 曰 榮出中焦하고 衛出上焦가 是矣라 衛爲陽이니 不足者益之에 必以辛이오 榮爲陰者니 不足者補之에 必以甘이라 辛甘相合하면 脾胃健而營衛通이라 是以로 薑棗爲使라 或謂호대 桂枝湯은 解表而芍藥數少하고 建中湯은 溫裏而芍藥數多라하니 殊不知二者가 遠近之制라 皮膚之邪는 爲近하니 則制小其服也라 桂枝湯은 芍藥으로 佐桂枝同用하야 散하니 非與建中同體라 取心腹之邪는 爲遠하니 則制大其服也라 建中湯은 芍藥으로 佐膠飴以建脾하니 非與桂枝同用爾라 內經에 曰近而奇耦에 制小其服하고 遠而奇耦에 制大其服이라하니 此之謂也라(≪傷寒明理論≫)
✺陽主氣오 澁主痛이며 陰主血이오 弦主急이라 投以小建中者는 求之於益陰而和陽也라 不瘥 則不對를 可知矣라 小柴胡者는 少陽之主治也라 蓋少陽屬木이오 其脈弦하니 木盛則土受制라 故로 澁而急痛也라 然則是治也者는 伐木以救土之謂也라(≪傷寒論條辨≫)
✺[吳] 凡腹中痛은 可按可揉者는 內虛也오 不可按不可揉者는 內實也라 王海藏言 中脘痛者는 屬脾土니 脈沈細 內寒者는 理中湯 或用附子理中丸主之오 若陽脈澁 陰脈弦은 小建中湯主之오 若小腹痛은 屬厥陰經分이니 宜當歸四逆湯加吳茱萸主之오 厥逆者는 四逆湯加吳茱萸主之오 若大實腹滿而痛 或繞臍刺痛 不大便 脈實者는 以大承氣湯下之라 凡潮熱 不大便 從心下至少腹硬滿而痛 手不可近者는 大陷胸湯下之라 若脈弦 腹痛 無熱無寒者는 芍藥甘草湯主之라 凡脈弦 口苦發熱 腹中痛者는 小柴胡去人參加炒白芍湯主之오 若寒熱交作 腹中痛者는 加肉桂 芍藥主之오 若寒多而痛者는 去黃芩하고 倍肉桂芍藥也라 凡少陰發熱 手足冷 腹中痛者는 四逆散加附子湯 肉桂 炒芍藥 吳茱萸主之也라 凡發熱 脈洪弦而腹痛者는 芍藥黃芩湯主之라 大抵腹痛은 有虛有實 有冷有熱하니 要在脈證辨而用之라 凡蓄血도 亦令人腹痛 手不可近이니 自有本條라 若自利腹痛 小便淸白은 便當溫也니 理中 四逆을 看微甚用이니 輕者는 五積散이오 重者는 四逆湯이오 無脈者는 通脈四逆湯하야 使陰退而陽復也라 腹痛 欲吐利而煩躁者는 多有痧毒이니 世俗括刺委中穴이라 凡脈微弦 少腹痛은 厥陰也니 宜刺太沖 太淵 大陵하고 灸歸來關元이오 脈沈 臍腹痛은 少陰也니 宜刺太白 神門 三陰交하고 灸中脘이라(≪證治準繩·卷四·太陰病·腹痛≫)
✺陽脈濇 陰脈弦은 渾似在裏之陰寒이니 所以法當腹中急痛이라 故로 以小建中之緩 而和其急하면 腹痛止 而脈不弦澁矣라 若不差면 則弦爲少陽之本脈 而澁乃汗出不徹이오 腹痛乃邪欲傳太陰也니 則用小柴胡湯以和陰陽이 爲的當無疑矣니라(≪尙論篇≫)
✺傷寒二三日 悸而煩은 小建中湯이오 陽脈澁 陰脈弦은 腹中急痛이니 與小建中湯이라 二三日은 邪方盛이오 又未經汗下어늘 見症은 不過悸而煩이오 不審何故하고 便行建中이니 疑必有脫文也라 若陽脈澁而陰脈弦 腹中掣急而痛은 灼然虛寒이니 建中溫之當矣라 脾居四藏之中하야 生育營衛하고 通行津液이라 一有不調 則營衛失育하고 津液失行하니 此湯甘溫하야 善爲中州培養하야 有創建之氣라 故로 曰建中이라 脾欲緩 急食甘以緩之라 故로 以膠飴甘溫爲君이오 甘草甘平爲臣이라 脈弦木旺은 土之仇也니 以桂與芍藥制之爲佐라 益衛宜辛이오 補營宜甘이라 故로 以薑棗爲使라(≪傷寒括要·卷下·太陽篇七十三方·小建中湯≫)
✺[論建中之法] 傷寒에 有小建中湯一法하니 乃桂枝湯加膠飴하야 共六味오 治二三日에 心悸而煩하야 欲傳不傳之邪라 以其人中氣餒弱하야 不能送邪外出이라 故로 用膠飴之甘하야 小小創建中氣하야 以祛邪也라 金匱에 有黃芪建中湯一法은 於小建中湯內에 加黃芪하야 治虛勞裏急 自汗表虛 肺虛諸不足證 而建其中之衛氣也라 金匱에 復有大建中湯一法하니 以其人이 陰氣上逆하야 胸中大寒하야 嘔不能食 而腹痛至極하야 用蜀椒 乾薑 人參 膠飴하야 大建其中之陽하야 以驅逐濁陰也라 後人이 推廣其義하야 曰樂令建中湯은 治虛勞發熱이니 以之並建其中之榮血이오 曰十四味建中湯은 治臟氣素虛니 以之兩建其脾中 腎中之陰陽이라 仲景爲祖오 後人爲孫하야 一脈淵源하니 猗歟盛矣라 建中은 如天子建中和之極이니 揖遜徵誅는 皆建中內當然之事라 虛羸之體는 服建中後에 可汗可下니 誠足恃也라 至理中則燮理之義오 治中則分治之義라 補中溫中은 莫非惠先京國之大端矣라 緣傷寒外邪가 逼處域中하면 法難盡用이라 仲景은 但於方首에 以小之一字로 示其微意니 至金匱治雜證하야 始盡建中之義라 後人이 引伸觸類 曲暢建中之旨니 學人은 必於前人之方에 一一會其大意하면 庶乎心手之間에 無入而不自得也라(≪醫門法律≫)
✺又慮心悸爲水飮停蓄이오 煩爲心氣不寧이라 故로 復以嘔證之라 蓋嘔爲濕熱在膈上이라 故로 禁甜味戀膈耳라 ○按컨대 小建中은 本桂枝湯風傷衛藥也라 中間에 但加飴倍芍以緩其脾하야 使脾胃行其津液하면 則營衛自和니 卽命之曰建中은 其旨微矣라(≪傷寒纘論≫)
✺如腹中痛에 惡寒而脈弦者는 是木來克土也니 小建中湯이라(≪張氏醫通·卷二·諸傷門·勞倦≫)
✺虛勞裏急 悸衄 腹中痛 夢失精 四肢酸疼 手足煩熱 咽乾口燥는 小建中湯主之라(≪張氏醫通·卷二·諸傷門·虛損≫)
✺此條는 乃少陽病兼挾裏虛之證이라 傷寒脈弦者는 弦本少陽之脈이니 宜與小柴胡湯이라 茲但陰脈弦 而陽脈則澁이니 此陰陽은 以浮沈言이라 脈浮取之則澁 而不流利하고 沈取之면 又弦而不和緩이라 澁主氣血虛少오 弦又主痛이니 法當腹中急痛이라 與建中湯者는 以溫中補虛 緩其痛而兼散其邪也라 先溫補矣 而弦脈不除하고 痛猶未止者는 爲不瘥니 此爲少陽經有留邪也라 後與小柴胡湯호대 去黃芩하고 加芍藥하야 以和解之라 蓋腹中痛은 亦柴胡證中之一候也라 愚以先補後解는 乃仲景神妙之法이라 然이나 亦必少陽經氣虛無鬱熱者라야 宜之라(≪傷寒論辨症廣注≫)
✺此言小柴胡湯은 主旋轉少陽之樞하야 能行皮膚氣分之邪하고 又能行經脈外內之血者也라 夫皮膚經脈之血은 生於胃腑水穀之精하야 由胃之大絡而注於脾之大絡이니 脾之大絡은 名曰大包오 從大包而行於臟腑之經隧하고 從經隧而外出於孫絡皮膚라 傷寒陽脈澁 陰脈弦은 是皮膚經脈之血氣逆於脾絡之間이라 故로 法當腹中急痛이라 先與小建中湯은 桂枝辛走氣 芍藥苦走血이라 故로 易以芍藥爲君하고 加膠飴之甘以守中이니 不宣發穀精而爲汗이라 故로 名曰建中이라 曰先與는 便含不差意오 不差者는 與小柴胡湯이니 夫小柴胡湯은 主旋轉少陽之樞者也오 少陽三焦는 又與厥陰包絡相合하야 而主通體之血脈이니 少陽樞轉則通體之血脈도 亦行이라 故로 可與之니라(≪傷寒論集注≫)
✺陽主表 陰主裏오 弦主肝邪勁急 澁爲營血留滯라 故로 弦屬肝邪 澁爲陰脈也라 寒在半表하야 衛氣不行하고 營血不貫하면 則脈不流利而澁하고 邪入少陽하야 肝木氣旺하야 脈來勁急則弦이라 陽脈澁者는 蓋輕取其浮候則澁也오 陰脈弦者는 重按其沈候則弦也라 陽脈澁 則知營衛不和하야 氣血澁滯而邪在半表오 陰脈弦 則知邪氣半已入裏하야 木旺乘土하야 太陰受病矣라 太陰脾土 爲肝邪所犯이라 故로 腹中急痛也라 腹中者는 足太陰之脈이 起於足大趾之端하야 上膝股內前廉하야 入腹하야 屬脾絡胃라 故로 腹爲太陰之部位也라 急痛者는 厥陰肝木勁急之陰邪傷脾也라 藏氣發時論에 云 肝苦急이어든 急食甘以緩之라하고 又云脾欲緩이어든 急食甘以緩之라하니 故로 先用小建中湯之甘하야 以緩肝脾之急而創建中氣也라 中氣已旺하면 肝邪當退矣라 若猶不瘥者는 是少陽之邪猶未解也니 仍與小柴胡湯主之하야 以和解其邪라 但恐腹中急痛이 其中氣必寒이니 成氏去黃芩加芍藥之外에 或薑桂를 可加入也니라(≪傷寒溯源集≫)
✺陽脈澁 陰脈弦 腹中急痛은 似三陰腹痛이라 故로 先與小建中이라 設不瘥는 乃是少陽鬱火未伸이라 故로 脈弦澁이니 用小柴胡하야 淸少陽하고 加芍藥하야 和弦澁之脈이라(≪傷寒大白·卷三·腹痛≫)
✺尺寸俱弦은 少陽受病也어늘 今陽脈澁而陰脈弦은 是寒傷厥陰 而不在少陽也라 寸爲陽이오 陽主表하니 陽脈澁者는 陽氣不舒하야 表寒不解也라 弦爲木邪오 必挾相火니 相火不能御寒이면 必還入厥陰而爲患이라 厥陰抵少腹하야 挾胃屬肝絡膽 則腹中은 皆厥陰部也라 尺爲陰이오 尺主裏라 今陰脈弦은 爲肝脈이니 必當腹中急痛矣라 肝苦急하니 甘以緩之하고 酸以瀉之하며 辛以散之니 此 小建中이 爲厥陰驅寒發表平肝逐邪之先着也라 然이나 邪在厥陰이면 腹中必痛이 原爲險證이라 一劑建中이 未必成功이니 設或不差면 當更用柴胡하야 令邪走少陽하야 使有出路라 所謂陰出之陽則愈는 又以小柴胡佐小建中之不及也라(≪柯氏傷寒論注≫)
✺前條는 辨證이오 此條는 辨脈이라 前條는 是少陽相火犯心而煩이니 其證顯이어니와 此條는 是厥陰相火攻腹而痛이니 其證隱이라 若腹痛而非相火면 不得用芍藥之寒이라 內經에 暴注脹大는 皆屬於熱이라하니 此 腹痛用芍藥之義라 或이 問호대 腹痛에 前以小建中溫之하고 後以小柴胡凉之하니 仲景이 豈姑試之乎아 曰非也라 不差者는 但未愈오 非更甚也라 先以建中解肌而發表하니 止痛在芍藥이오 繼以柴胡補中而達邪하니 止痛在人蔘이라 按컨대 柴胡加減法에 腹中痛者는 去黃芩加芍藥하면 其功이 倍於建中이라하니 豈有溫凉之異乎아 陽脈仍澁 故로 用人蔘以助桂枝하고 陰脈仍弦 故로 用柴胡以助芍藥이라 若一服差면 又何必更用人蔘之溫補 柴胡之升降乎아 仲景이 有一證用兩方者하니 如用麻黃汗解라가 半日復煩하면 用桂枝更汗으로 同法이라 然이나 皆設法御病은 非必然也니 先麻黃繼桂枝는 是從外之內法이오 先建中繼柴胡는 是從內之外法이라(≪柯氏傷寒論注≫)
✺傷寒 陽脈澁 陰脈弦 腹中急痛者는 此亦肝乘脾也라 故로 先與小建中하야 安脾하고 繼與小柴胡하야 疏木이라 要知小建中은 是桂枝湯에 倍加芍藥以平木하고 加飴糖以緩急이니 爲厥陰驅邪發表 和中止痛之神劑也라 不瘥者는 中氣虛而不振하야 邪尙留連이니 繼以小柴胡로 補中發表하야 令木邪直走少陽하야 使有出路니 所謂陰出之陽則愈也라 仲景有一症而用兩方者하니 在太陽에 先麻黃繼桂枝는 是先外後內法이오 在厥陰에 先建中後柴胡는 是先內後外法이니 亦是令厥陰轉屬少陽之機라(≪傷寒論翼·厥陰病解第六≫)
✺陽脈澁은 陽氣少也오 陰脈弦은 陰有邪也라 陽不足而陰乘之니 法當腹中急痛이라 故로 以小建中湯으로 溫裏益虛하야 散陰氣라 若不瘥는 知非虛寒在裏 而是風邪內干也라 故로 當以小柴胡湯으로 散邪氣 止腹痛이라(≪傷寒貫珠集≫)
✺建中者는 建中氣也라 名之曰小者는 酸甘緩中하야 僅能建中焦營氣也ᅟᅵᆯ새라 前桂枝湯은 是芍藥佐桂枝어늘 今建中湯은 是桂枝佐芍藥이니 義偏重於酸甘하야 專和血脈之陰이라 芍藥甘草는 有戊己相須之妙오 膠飴爲稼穡之甘이오 桂枝爲陽木이니 有甲己化土之義라 使以薑棗助脾與胃行津液者는 血脈中之柔陽이 皆出於胃也라(≪絳雪園古方選註·上卷·和劑·小建中湯≫)
✺傷寒에 脈得浮澁은 榮衛不足也오 脈得沈弦은 木入土中也라 榮衛不足則表虛하고 木入土中則裏急이라 惟表虛裏急하야 腹中急痛하니 所以先用小建中湯하야 以其能補榮衛兼緩中急하면 則痛可差也라 或不差는 必邪尚滯於表니 知澁爲榮衛不通이오 弦爲少陽本脈이라 故로 與小柴胡湯호대 按法施治也라 成無己는 去黃芩하고 加芍藥하야 疏外調中하니 其說亦是라(≪醫宗金鑑≫)
✺甲乙同氣니 甲木不降 則寸脈澁이오 乙木不升 則尺脈弦이라 甲木上逆 而克戊土면 法當痛見於胸膈이오 乙木下陷 而克己土면 法當痛見於腹脇이라 木氣枯燥하니 是以其痛迫急이라 肝膽合邪하야 風火鬱發하면 中氣被賊하야 勢難延緩이니 宜先用小建中湯이라 膠飴甘棗는 補脾精而緩急痛이오 薑桂芍藥은 達木鬱而淸風火라 若不瘥者는 仍與柴胡하야 再瀉其相火也라 此는 申明首章腹痛者 加芍藥之義라(≪傷寒懸解≫)
✺[傷寒陽脈澁 陰脈弦] 中宮之陽氣虛하면 則木來乘土라 故로 陽澁而陰弦也라 [法當腹中急痛 先與小建中湯] 膠飴大甘으로 以助中宮이라 [不瘥者 與小柴胡湯主之] 治太陰不愈하야 變而治少陽이니 所以疏土中之木也라 以脈弦故로 用此法이라(≪傷寒論類方≫)
✺魏荔彤曰 陽脈以虛而反見澁하고 陰脈以寒而獨見弦하니 是陽微而陰盛之診이라 若執一以用小柴胡면 恐半表者는 以虛而不能越於外하고 半裏者는 以寒而更且陷下라 故로 當其證見腹中急痛은 雖屬少陽病 或中之一證이나 亦且不治其表오 裏急治其裏虛라 仲師示人先用小建中하야 以奠安內虛하야 助其生胃陽하야 使小柴胡之力으로 有所憑借라야 然後에 能上升下降 指揮如意니 所以服建中湯後에 少陽病不瘥면 仍與小柴胡湯主之라 法無改圖 而道有先後니 亦卽太陽陽明諸篇 裏虛先治裏之義니라(≪傷寒論綱目·卷十一·少陽經證·少陽經脈≫)
✺鼇按컨대 此條는 已偏於半裏矣라(≪傷寒論綱目·卷十二·脇滿腹痛≫)
✺太陽傷寒이 値厥陰主氣之期하야 浮分之陽脈澁은 是少陽之樞不能外轉也오 沈分之陰脈弦은 是厥陰木邪下于太陰 則太陰之營氣受傷이라 法當腹中急痛者는 先與小建中湯하야 建立中焦之營氣하야 令腹痛漸愈오 若不差者는 與小柴胡湯主之하야 以轉其樞니 樞轉則邪氣外達而痛愈矣라 此一節은 言太陽病이 値厥陰主氣之期하야 內干太陰而腹痛할새 當行補益於內 而後樞轉於外也라 按컨대 原法腹痛에 小柴胡湯에 去黃芩하고 加白芍이라(≪傷寒論淺注≫)
✺傷寒 陽脈澁 陰脈弦 法當腹中急痛은 此亦肝乘脾也니 先與小建中湯하야 平肝以補脾라 不瘥者는 中氣虛而不振하야 邪尚流連이니 與小柴胡湯主之하야 令木邪直走少陽하야 使有出路니 所謂陰出之陽則愈也니라(≪傷寒醫訣串解·卷六·厥陰篇≫)
✺按컨대 尺寸俱弦은 爲少陽受病이어늘 今陽澁陰弦은 是寒邪傷於厥陰也라 腹中은 爲厥陰部位라 故로 急痛이라 先用小建中은 所以平肝散寒也오 未瘥 仍用柴胡者는 使邪引出少陽而解也라(≪傷寒指掌·卷一·少陽本病述古≫)
✺成本은 痛下에 有者字하고 者小間에 有與字라 玉函은 者字가 作卽與라(≪傷寒論輯義≫)
✺陽脈屬氣分이오 衛氣는 從膜網而出하야 以達皮毛하니 網膜不通利면 則衛氣難於外出이라 故로 脈應之而澁이라 陰脈屬血分이오 血藏膏油之中하니 血滯油寒하야 氣不得與血流通하면 則血行氣阻而作痛하니 所謂痛則不通也라 故로 先與小建中湯하야 以溫其膏油라 建中者는 指中焦而言이니 此湯은 溫中焦之膏油오 膏油旣溫하면 則血不凝滯 而膜中之氣自暢하야 斯不痛矣라 若油旣溫和한대 痛仍不瘥者는 是膏油血分通利나 而膜網之微絲管竅不通利라 故로 陽氣不得出也니 復與小柴胡湯하야 疏利其網膜하면 則陽氣得通暢而愈라 建中柴胡二湯互用은 從無人實知其理라 淺注는 引經爲注하야 只囫圇解而不透徹이라 今特指出膜網是三焦오 膜網上所生之油는 是脾所司也라 故로 病在膏油에 用建中湯이오 病在膜網에 用小柴胡이니 義可知矣라(≪傷寒論淺注補正≫)
✺陽脈澁은 爲氣不足이오 陰脈弦은 爲水有餘라 氣不足而水有餘하면 則氣與血俱衰弱이라 膽汁由十二指腸下注迴腸者가 並爲寒水所遏하야 不得暢行이라 陽微而氣鬱腹中하니 所以急痛也라 桂枝湯은 本辛甘發散하야 助脾陽而泄肌理之汗이오 加飴糖하야 以補中氣之虛하야 但令脾陽內動 而氣之鬱結於足太陰部分者가 得以稍緩이니 所謂急則治標也라 此先予小建中湯之義也라 小柴胡湯方에 腹中痛者는 去黃芩하고 加芍藥三兩이니 腹中急痛에 服小建中湯不差하면 則此證不惟扶脾陽而建中이오 抑當疏營瘀而解外라 脾는 本統血之藏 而外主肌肉이오 肌肉은 爲微絲血管密佈之區니 陽氣外痹하면 則營血內阻라 小柴胡方은 用柴胡以資汗液之外泄하고 用芍藥以通血分之瘀塞하니 使血絡無所阻礙하고 汗仍得暢行無阻하면 寒濕之內沍者가 解矣라 寒濕解而膽汁之注於腸中者가 不復鬱結爲患矣니 此不差與小柴胡湯之義也라(≪傷寒發微≫)
'<선호상한론>확장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호상한론>확장판 101-1조문 (0) | 2024.11.15 |
---|---|
<선호상한론>확장판 100조문(小建中湯方) (0) | 2024.11.14 |
<선호상한론>확장판 99조문 (0) | 2024.11.12 |
<선호상한론>확장판 98조문 (0) | 2024.11.11 |
<선호상한론>확장판 97-2조문 (0) | 2024.1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