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小建中湯方
桂枝三兩 去皮 甘草二兩 炙 大棗十二枚 擘 芍藥六兩 生薑三兩 切 膠飴一升
上六味를 以水七升으로 煮取三升하야 去滓하고 內飴하야 更上微火하야 消解어든 溫服一升호대 日三服이라 嘔家는 不可用建中湯이니 以甛故也라
『위 6가지 약물을 물 7되로 달여 3되를 얻어 찌꺼기를 버리고 엿을 넣어 다시 약한 불에 얹어서 엿이 녹으면 1되를 따뜻하게 복용하되 하루에 3번 복용한다. 嘔逆하는 경우에는 건중탕을 쓸 수 없는데 달기 때문이다.』
✺建中者는 健脾也라 內經에 曰 脾欲緩하니 急食甘以緩之라하니라 膠飴 大棗 甘草之甘은 以緩中也라 辛은 潤散也니 營衛不足에 潤而散之라 桂枝 生薑之辛은 以行營衛라 酸은 收也오 泄也니 正氣虛弱에 收而行之라 芍藥之酸은 以收正氣라(≪注解傷寒論≫)
✺內經에 曰 肝生於左하고 肺藏於右하고 心位左上하고 腎處左下라 左右上下에 四藏居焉하고 脾者는 土也니 應中央이오 處四藏之中하야 爲中州라 治中焦하야 生育營衛하고 通行津液이라하니 一有不調하면 則營衛失所育하고 津液失所行하니 必以此湯으로 溫建中藏이라 是以로 建中名焉이라 膠飴는 味甘溫이오 甘草는 味甘平이라 脾欲緩이어든 急食甘以緩之니 建脾者는 必以甘爲主라 故로 以飴膠爲君이오 甘草爲臣이라 桂는 辛熱이니 辛은 散也오 潤也라 營衛不足이어든 潤而散之라 芍藥은 味酸微寒하니 酸은 收也오 泄也라 津液不通이어든 收而行之라 是以로 桂芍藥으로 爲佐라 生薑은 味辛溫이오 大棗는 味甘溫이라 胃者는 衛之源이오 脾者는 榮之本이라 黃帝鍼經에 曰 榮出中焦하고 衛出上焦 是矣라 衛爲陽이니 不足者益之에 必以辛이오 榮爲陰者니 不足者補之에 必以甘이라 辛甘相合하면 脾胃健而營衛通이라 是以로 薑棗爲使라 或謂호대 桂枝湯은 解表而芍藥數少하고 建中湯은 溫裏而芍藥數多라하니 殊不知二者 遠近之制라 皮膚之邪는 爲近하니 則制小其服也라 桂枝湯은 芍藥으로 佐桂枝同用하야 散하니 非與建中同體라 取心腹之邪는 爲遠하니 則制大其服也라 建中湯은 芍藥으로 佐膠飴以建脾하니 非與桂枝同用爾라 內經에 曰近而奇耦에 制小其服하고 遠而奇耦에 制大其服이라하니 此之謂也라(≪傷寒明理論≫)
✺如腹中痛에 惡寒而脈弦者는 是木來克土也니 小建中湯主之라 蓋芍藥味酸은 於土中瀉木하니 爲君이라(≪仁齋直指方·卷之六·腹痛脇痛·四時用藥加減法≫)
✺如脈弦하고 惡寒腹痛은 乃中氣弱也니 以仲景小建中湯加黃芪 錢氏異功散加芍藥을 選而用之니라(≪仁齋直指方·卷之六·內傷·辨內傷飮食用藥所宜所禁≫)
✺議曰 建中者는 建其脾也라 脾欲緩이어든 急食甘以緩之니 建中之味甘也라 陽脈澁 陰脈弦者는 爲中虛內寒也라 心中悸者는 爲氣虛오 煩者는 爲血虛라 故로 用膠飴爲君하고 甘草大棗爲臣하야 以甘佐甘以緩之也라 白芍藥之酸은 能收斂脾氣而益其中이라 故로 用之爲佐라 桂枝 生薑之辛은 以散餘邪而益其氣也라(≪金鏡內臺方議·小建中湯(39)·湯議≫)
✺建中湯으로 治虛痛者는 加黃芪오 治心痛者는 加元胡索이오 治血虛者는 加當歸 川芎이오 治盜汗多者는 加小麥 茯神이오 治虛中生熱은 加北柴胡 地骨皮라(≪金鏡內臺方議·小建中湯(39)·加減法≫)
✺問曰 建中湯方은 與桂枝湯으로 同이오 只多膠飴어늘 所主治病은 全不同하니 何也오 答曰 桂枝湯中에 桂枝芍藥等分은 以芍藥佐桂枝 而治衛氣也오 建中湯中에 芍藥多半而桂枝減半은 以桂枝佐芍藥 而益其榮氣也라 是以大有不同이라(≪金鏡內臺方議·小建中湯(39)·疑問≫)
✺治傷寒에 陽脈濇하고 陰脈弦하면 法當腹中急痛有汗이오 及少陰惡寒 手足踡而溫이라 凡傷寒初起 及過經當汗吐下한대 尺脈遲者는 宜先服此라 又治傷寒二三日 心悸而煩 及諸汗不止等證이라(≪醫學入門·汗吐下滲和解溫補總方·陰證·小建中湯≫)
✺[垣] 仲景이 治表虛할새 制此湯이라 桂枝는 味辛熱發散하야 助陽體輕하니 本乎天者親上이라 故로 桂枝爲君이오 芍藥 甘草佐之라 如陽脈澁 陰脈弦하면 法當腹中急痛이니 乃制小建中湯호대 以芍藥爲君이오 桂枝甘草佐之라 一則治其表虛오 一則治其裏虛라 故로 各有主用也라 後學은 當觸類而長之라 以桂枝易肉桂면 治寒腹痛이니 神品藥也라 如夏中熱腹疼이면 少加黃芩하고 去桂면 痛立止라 桂於春夏二時爲禁藥이라(≪證治準繩·卷二·太陽病≫)
✺按컨대 桂枝湯方中芍藥桂枝等分은 用芍藥佐桂枝以治衛氣오 小建中方中加倍芍藥은 用桂枝佐芍藥以治營氣라 更加膠飴以緩其脾라 故로 名之曰建中이니 則其功用이 大有不同耳라(≪傷寒纘論·正方·小建中湯≫)
✺建中湯之妙用은 人所不知라 蓋瀉痢는 皆太陰之病이니 建中은 專主太陰腹痛也라 ······ 建中湯中에 用以培土臟하야 而治陽邪內陷腹痛이니 此皆仲景用藥之微妙나 端不外本經之義라(≪本經逢原·白芍藥≫)
✺嘔家는 必胃有邪熱 而胸中作滿이니 中滿者는 勿食甘이라 若用建中湯之甜은 是助其滿이니 內經云實實者가 是也라(≪傷寒論辨症廣注≫)
✺琥按컨대 小建中湯은 補中有發散之義라 大抵中氣虛寒者에 宜用之오 倘傷寒家에 有水氣衝心而悸 熱邪壅膈而煩者는 上湯不宜輕用也라 內臺方議에 或問曰 建中湯方은 與桂枝湯으로 同이오 只多膠飴어늘 所主之病은 全然不同하니 何也오 答曰 桂枝湯中에 桂枝芍藥等分은 以芍藥佐桂枝而治衛氣也오 建中湯中에 芍藥多半 而桂枝減少는 以桂枝佐芍藥 而益其營氣也라 是以大有不同이라하니 愚以上言도 猶爲未盡其義라 蓋桂枝湯中에 以芍藥佐桂枝하면 則辛甘相合하야 散而助表오 建中湯中에 以桂枝佐芍藥하면 則酸甘相合하야 斂而補中이니 能達此義면 斯仲景制方之意가 無餘蘊矣라(≪傷寒論辨症廣注≫)
✺建中者는 建立中焦之脾土也라 蓋土爲五行之主오 脾爲四臟之本이니 卽洪範建中立極之義也라 中氣虛餒하면 脾弱不運하고 胃氣不行하야 致心中悸動이라 故로 以建立中氣爲急也라 謂之小建中者는 以風邪未解니 未可以參朮補中이오 止加膠飴하고 倍芍藥於桂枝全湯하야 和衛解邪之中에 以稍裨中土라 故로 謂之小建中湯이라 芍藥은 性雖酸收나 旣無寒邪니 在所不計라 李時珍謂其益脾하니 能於土中瀉木이라 故로 倍用之라 飴糖은 爲米蘖之上品이니 能和潤中州라 經所云脾欲緩 急食甘以緩之가 是也라 中氣旣和하고 陽邪得解하면 則心中之悸煩이 自止矣라(≪傷寒溯源集≫)
✺厥陰爲闔이니 外傷于寒하야 肝氣不舒하면 熱鬱于下하야 致傷中氣라 故로 制此方以主之라 凡六經外感未解者는 皆用桂枝湯解外라 如太陽誤下하야 而陽邪下陷于太陰者는 桂枝湯에 倍加芍藥하야 以瀉木邪之干脾也라 此肝火上逼于心脾는 于桂枝加芍藥湯中에 更加飴糖하니 取酸苦以平肝藏之火하고 辛甘以調脾家之急하며 又資其穀氣以和中也라 此方은 安內攘外하고 瀉中兼補라 故로 名曰建이오 外症未除하야 尙資姜桂以散表하고 不全主中이라 故로 稱曰小라 所謂中者는 有二하니 一曰心中이오 一曰腹中이라 如傷寒二三日에 心中悸而煩者는 是厥陰之氣逆上衝于心也라 比心中疼熱者로 稍輕이나 而有虛實之別이니 疼而熱者는 爲實이니 當用苦寒以瀉心火오 悸而煩者는 爲虛니 當用甘溫以保心氣라 是는 建腹中之宮城也라 傷寒에 陽脈澁하고 陰脈弦하며 腹中急痛者는 是厥陰之逆氣上侵脾胃也라 比饑不欲食 食則吐蛔者로 爲更重이나 而有形氣之別이라 食卽吐蛔는 爲有形이니 當用酸苦以安蛔오 腹中急痛은 爲無形이니 當用辛寒以止痛이라 是는 建腹中之都會也라(≪傷寒附翼≫)
✺世不明厥陰之爲病하야 便不知仲景所以制建中之理하니 不知膽藏肝內면 則不明仲景先裏後表之法이라 盖寒雖外來나 而熱從中發이라 必先開厥陰之闔이라야 始得轉少陰之樞오 先平厥陰陰脈之弦이라야 始得通少陽陽脈之澁이라 此는 腹中痛者에 先與少建中湯하고 不差者에 繼用小柴胡湯之理也라 凡腹痛而用芍藥者는 因相火爲患이라 若因于虛寒者는 大非所宜라 故로 有建中 理中之別이라(≪傷寒附翼≫)
✺或問호대 腹痛에 旣與小建中하야 溫之하고 更用小柴胡로 凉之하야 先熱後寒하니 仲景도 亦姑試之乎아 曰 不差者는 但未愈오 非更甚也라 先之以建中은 是解肌而發表니 止痛은 在芍藥이오 繼之以柴胡는 是補中以逐邪니 止痛은 在人蔘이라 按컨대 柴胡加減法에 腹中痛者는 去黃芩加芍藥이라하니 其功은 倍于建中이라 可知陽脈仍澁이라 故로 用人蔘以助桂枝하고 陰脈仍弦이라 故로 用柴胡以助芍藥이라 若一服建中而卽差면 則不必人蔘之補오 亦不須柴胡之散矣라(≪傷寒附翼≫)
✺是方也는 卽桂枝湯倍芍藥加膠飴也라 名曰小建中者는 謂小小建立中氣也라 蓋中氣雖虛라도 表尚未和면 不敢大補라 故로 仍以桂枝和榮衛하고 倍芍藥加膠飴하야 調建中州호대 而不啜稀粥溫覆令汗者는 其意重在心悸中虛 而不在傷寒之表也라 中州建立하면 榮衛自和하야 津液可生이오 汗出乃解하야 悸煩可除矣라 嘔家不可用은 謂凡病嘔者 不可用이니 恐甜助嘔也라(≪醫宗金鑑≫)
✺是方也는 卽桂枝湯倍芍藥加膠飴라 名曰小建中은 謂小小建立中氣니 以中雖已虛나 表尙未和하야 不敢大補也라 故로 以桂枝湯으로 仍和營衛하고 倍芍藥하고 加膠飴하야 調建中州 而不啜稀粥溫服令汗은 蓋其意重在中虛 而不在傷寒之表也라 中虛建立하면 營衛自和하야 津液可生하야 汗出乃解하고 煩悸可除矣니라 傷寒浮得脈澁은 營衛不足也오 沈得脈弦은 木入土中也라 營衛不足則表虛하고 木入土中則裏急하니 表虛裏急 故로 亦以此湯主治也라 嘔家不可用은 謂凡病嘔者는 不可用이니 恐甛助嘔也라하니라(≪刪補名醫方論≫)
✺素慣嘔家不可與建中湯은 以桂甘飴棗之甜이 最動嘔吐也라(≪傷寒懸解≫)
✺程扶生曰 傷寒二三日은 邪尚在表하고 未及傳裏之時라 悸則陽虛오 煩則陰虛라 故로 以芍藥之苦以益陰하고 薑桂之辛以扶陽하고 而復用甘草大棗之甘溫緩其中이라 中旣建 則邪不致入裏矣오 而薑桂等은 又能托邪外出이니 此는 爲陰陽兩虛之人而立一養正驅邪法也라(≪長沙方歌括·卷三·太陽方·小建中湯≫)
✺張令韶曰 經隧之血脈은 流行不息이어늘 今寒氣入而稽遲之라 入陽絡則陽脈澁하고 入陰絡則陰脈弦이라 法當腹中急痛이니 先與建中湯이라 以經隧之血脈은 皆中胃之所生이니 更得小柴胡湯以轉樞機하야 樞機利則經隧之血脈通矣오 通則不痛也라(≪長沙方歌括·卷三·太陽方·小建中湯≫)
✺蔚考컨대 金匱黃芪建中湯에 有加減法이어니와 小建中湯에 無加減法이어늘 今查內臺方議호니 亦有加減이라 未知爲年久脫簡이어나 抑或許氏新附與否라 姑錄之 以備參考라 方議載 建中湯治虛痛者는 加黃芪오 治心痛者는 加元胡索이오 治血虛者는 加當歸 川芎이오 治盜汗多者는 加小麥 茯神이오 治虛中生熱은 加柴胡 地骨皮라(≪長沙方歌括·卷三·太陽方·小建中湯≫)
✺玉函 成本은 飴上에 有膠字라 外臺는 作先煮五味 取三升 去滓 納飴 更上火微煮 令消解오 用은 作服이라 玉函 千金翼도 亦作服이오 無建中湯三字라(≪傷寒論輯義≫)
✺案컨대 小建中은 視之大建中할새 藥力和緩이라 故로 曰小爾라 金鑑에 云 小小創建中氣는 恐非也라 錢氏注 及王子接解도 同義라 醫方集解에 曰 昂案컨대 此湯은 以飴糖爲君이라 故로 不名桂枝芍藥 而名建中이니 今人用小建中者가 絶不用飴糖은 失仲景遺意矣라(≪傷寒論輯義≫)
✺傷寒蘊要曰 膠飴는 卽餳糖也라 其色紫深如琥珀者가 佳라(≪傷寒論輯義≫)
✺案컨대 外臺載集驗黃芪湯은 卽黃芪建中湯이라 方後에 云 嘔者는 倍生薑이라 又古今錄驗黃芪湯도 亦卽黃芪建中湯이니 方後에 云 嘔卽除飴糖이라 千金에 治虛勞內傷 寒熱嘔逆吐血方은 堅中湯이니 卽本方에 加半夏三兩이라 總病論에 曰 舊有微溏或嘔者는 不用飴糖也라하니 據以上數條컨대 嘔家는 亦不可全禁建中湯이라(≪傷寒論輯義≫)
✺案컨대 此方은 金匱要略에 治虛勞裏急悸衄 腹中痛 夢失精 四肢酸疼 手足煩熱 咽乾口燥하고 又治男子黃疸 小便自利라 後來方書에 增減藥味하야 所用頗博이어늘 今以本方治雜病者를 茲錄其一二라(≪傷寒論輯義≫)
✺蘇沈良方에 曰 此藥은 治腹痛如神이나 然이나 腹痛은 按之便痛이오 重按하면 卻不甚痛이라 此止是氣痛이오 重按愈痛而堅者는 當自有積也라 氣痛은 不可下니 下之면 愈甚이라 此는 虛寒證也라 此藥은 偏治腹中虛寒하고 補血이니 尤止腹痛이라 若作散하면 卽每五錢匕니 生薑五片 棗三個 飴一栗大라 若疾勢甚하면 須作湯劑니 散服은 恐力不勝病也라(≪傷寒論輯義≫)
✺本事方後集에 治腸風痔漏할새 赤芍藥 官桂去皮 甘草炙 以上等分이라 上㕮咀하야 每服二錢호대 生薑二片 白糖一塊를 水一盞에 同煎하야 至七分하야 去滓하고 空心服이라(坊本에 糖字는 作礬이니 誤라)(≪傷寒論輯義≫)
✺證治准繩에 曰 治痢에 不分赤白久新하고 但腹中大痛者는 神效라 其脈弦急 或澁浮大하고 按之空虛하며 或舉按皆無力者가 是也라(≪傷寒論輯義≫)
✺赤水玄珠에 曰 張二尹近川翁이 始以內傷外感하야 過服發散消導之劑하야 致胃脘當心而痛하고 六脈皆弦而弱이니 此는 法當補而斂之也라 白芍藥 酒炒五錢 炙甘草三錢 桂枝一錢半 香附一錢 大棗三枚 飴糖一合하야 煎服하니 一帖而瘳라(≪傷寒論輯義≫)
✺張氏醫通에 形寒飮冷하야 咳嗽하며 兼腹痛脈弦者는 小建中湯에 加桔梗하야 以提肺氣之陷이오 寒熱自汗하면 加黃芪라하고 又云 案虛勞而至於亡血失精은 消耗津液하야 枯槁四出하야 難爲力矣라 內經에 於針藥莫制者는 調以甘藥이라하니 金匱遵之 而用小建中湯 黃芪建中湯하야 以急建其中氣하고 俾飮食增而津液旺也라(≪傷寒論輯義≫)
✺證治大還曰 凡膈氣病은 由脾胃不足하야 陽氣在下하고 濁氣在上이라 故로 痰氣壅塞膈上 而飮食難入也라 若脈弦하면 宜建中湯이라(≪傷寒論輯義≫)
✺東垣又云 心火乘脾하야 腹中急痛 腹肉急縮者는 甘草宜倍用之라하야늘 按컨대 小建中湯이 治裏急腹痛할새 甘草炙用이나 病非心火乘脾라 生甘草는 瀉心火 而不治心火乘脾之腹痛이라 本經에 黃連主腹痛 治心火乘脾之腹痛이라하니 卽仲聖黃連湯이 是라 東垣之說로 殊有未合이라 劉潛江發心火乘脾之義 而深贊之오 鄒氏又引東垣此說하야 以證梔子甘草豉湯之虛煩不得眠이어늘 不得眠이 豈是脾病이리오 三君은 皆名家어늘 而於甘草에 不細辨如是하니 眞爲不解라(≪本草思辨錄·卷一·甘草≫)
✺土爰稼穡作甘이니 飴糖은 乃稼穡精華中之精華라 脾土는 位居中央하니 若虛乏而當建中이오 建中而不旁騖者는 惟飴糖爲然이라 故로 仲聖方에 凡名建中은 必有飴糖이오 否則不與以是名이라 補脾之物이 有五하니 曰人參 曰大棗 曰粳米 曰甘草 曰飴糖이 皆能治脾虛之腹痛 而皆有宜有不宜라 虛而挾寒 則必君以驅寒之品이니 如大建中湯之以參飴協椒薑이 是也라 寒在下焦不宜니 如當歸生薑羊肉湯 烏頭桂枝湯之無此五物이 是也라 附子粳米湯은 治腹中寒氣 雷鳴切痛 胸脇逆滿嘔吐니 何嘗不是下焦之寒이어늘 何以有粳米甘草大棗며 又何以無參飴오 曰 此는 無味不確切이니 須就其證細審之耳라 寒在腹中而痛하고 實由下焦濁陰上泛하야 致胸脇逆滿嘔吐라 附子所以溫腎이오 半夏所以止嘔라 脾虛宜補 而有嘔吐之虛면 則中不宜滯오 陰則宜益이니 米棗甘草 所以補虛而益陰이나 人參은 嫌其升氣오 飴는 嫌其滯中이라 故로 避之라 小建中甘草는 用炙而此不炙도 亦以其滯故也라 脇硬은 當去棗而此不避는 以其脇滿而非硬也라 可謂頭頭是道矣라(≪本草思辨錄·卷二·飴糖≫)
✺鄒氏謂桂枝加芍藥湯은 主腹滿痛하고 小建中湯은 主腹急痛하니 蓋芍藥은 酸而破陰이오 飴糖은 甘而緩急이라하니 此言이 是矣라 然이나 小建中이 治急痛 而芍藥仍在者는 有故也라 徐氏云 桂枝湯은 外證得之爲解肌 調營衛오 內證得之爲化氣 和陰陽이라 桂薑協草棗는 所以化陰이오 芍藥協草棗는 所以化陽이라 芍藥不止治腹滿이라 故로 小建中이 於虛勞裏急 悸衄等證에 皆主之라 惟以治滿痛은 則於桂枝湯原方에 加一倍 而飴糖則擯之耳라하니라(≪本草思辨錄·卷二·飴糖≫)
✺鄒氏는 於建中大小之分에 創爲勢合勢分 力專力薄二說 而斷之以君尊而臣從命 君卑而臣擅命이어늘 實則終無一當也니 何以言之오 小建中所治不一 而其扼要在建中이라 以云建中은 猶建中之小者耳라 若大建中則專治中藏虛寒호대 不兼顧他經之證이라 腹中寒句是主오 餘皆腹寒之所波及이라 周揚俊云 中氣虛則陽氣不布라 故로 所積者爲寒飮이오 所衝者爲寒氣라하고 尤在涇云 陰凝成象이니 腹中蟲物이 乘之而動이라하니 二說極當이라 溫脾는 無過乾薑이오 補脾는 無過人參膠飴라 椒能由脾達腎하야 以消飮而殺蟲하니 亦溫脾之要藥이라 此四物은 大溫大補호대 不出中宮이니 建中에 有大於是者乎아 觀於大建中은 惟入腹滿一門이어니와 小建中則分隸於傷寒論 與金匱之血痹黃癉婦人雜病各門하니 仲聖制劑標名之意를 更灼然可見이라 自來注家無論及此者가 殊足怪也라(≪本草思辨錄·卷二·飴糖≫)
✺此는 桂枝湯에 倍芍藥而加膠飴也라 本太陽表藥을 一轉移而卽變爲安太陰之制니 神化極矣라 傷寒二三日에 心中悸而煩者는 中土虛餒하야 都城震恐이라 桂枝湯는 本主和營復陽이나 而但倍芍藥하고 加膠飴하면 奠安中土라 故로 曰建中이라 甘能滿中은 仍與桂枝湯同이라 故로 重申其禁曰 嘔家는 不可用建中湯이니 以甜故也라하니라 傷寒 陽脈澁 陰脈弦 腹中急痛者는 先與小建中湯이니 蓋陽脈澁은 則中土已虛오 陰脈弦은 則木來賊土之象이오 腹中急痛은 是脾陽下陷이라 此時에 若用小柴胡制木하면 其如中土先已虛餒는 何오 夫中土虛餒는 非甘不補오 土受木克은 非酸不安이니 必先以小建中湯하야 扶植中土오 土氣旣實한대 若不瘥면 再以小柴胡로 疏土中之木이라 用藥自有先後오 非先以小建中姑爲嘗試也니라(≪傷寒尋源·下集·小建中湯≫)
'<선호상한론>확장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호상한론>확장판 101-2조문 (0) | 2024.11.16 |
---|---|
<선호상한론>확장판 101-1조문 (0) | 2024.11.15 |
<선호상한론>확장판 100조문 (0) | 2024.11.13 |
<선호상한론>확장판 99조문 (0) | 2024.11.12 |
<선호상한론>확장판 98조문 (0) | 2024.1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