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8]{102} 得病六七日에 脈遲浮弱 惡風寒 手足溫한대 醫二三下之하야 不能食而脇下滿痛 面目及身黃 頸項强 小便難者는 與柴胡湯하면 後必下重이라
(本渴한대 飮水而嘔者는 柴胡湯을 不中與也라 食穀者는 噦이라)
『병을 얻은 지 6∼7일에 맥이 遲하면서 浮弱하고 오풍한하며 손발이 따뜻했는데, 의원이 2∼3번 하법을 써서 음식을 먹지 못하고 협하가 답답하고 아프며 얼굴과 눈과 몸이 노랗게 되고 頸項이 뻣뻣하며 소변이 잘 나오지 않게 되었다. 이 때 소시호탕을 주면 뒤에 반드시 下重한다. 본래 갈증이 있는데 물을 마시면 嘔逆하는 것은 시호탕을 줄 수 없다. 이 때 곡식을 먹으면 딸꾹질한다.』
✺得病六七日에 脈遲浮弱 惡風寒 手足溫은 則邪氣가 在半表半裏오 未爲實이어늘 反二三下之하면 虛其胃氣하고 損其津液하야 邪蘊於裏라 故로 不能食而脇下滿痛이라 胃虛하야 爲熱烝之하야 熏發於外하야 面目及身悉黃也라 頸項强者는 表仍未解也라 小便難者는 內亡津液이라 雖本柴胡湯證이나 然이나 以裏虛하야 下焦氣澁而小便難한대 若與柴胡湯하야 又走津液하면 後必下重也라 不因飮水而嘔者는 柴胡湯證이라 若本因飮而嘔者는 水停心下也라 金匱要略에 曰 先渴却嘔者는 爲水停心下하니 此屬飮家라하니라 飮水者는 水停而嘔하고 食穀者는 物聚而噦하니 皆非小柴胡湯所宜오 二者는 皆柴胡湯之戒니 不可不識也니라(≪注解傷寒論≫)
✺常氏云 可五苓散 小半夏橘皮湯이오 雍曰 出千金十八卷痰飮門이라(≪傷寒補亡論·卷五·太陽經證治下九十一條≫)
✺常氏曰 可柴胡桂枝湯 乾薑湯이오 飮水嘔者는 五苓散이오 噦者는 小半夏湯이라(≪傷寒補亡論·卷十一·發汗吐下後七十三條≫)
✺雍曰 治在吐下後證中이니 身黃小便難은 治如前法이라 千金方曰 諸病黃疸은 宜利其小便이오 假令脈浮면 當以汗解니 宜桂枝黃芪湯이라(≪傷寒補亡論·卷十四·發黃三十條≫)
✺六七日은 經盡之時也라 脈遲浮弱은 風寒入裏而表未除니 所以猶惡風寒也라 手足溫은 半入於裏而未可下也라 不能食은 誤下而裏傷也라 脇下滿痛은 邪摶少陽也라 面目及身黃은 土受木賊而色外薄也라 頸項强은 太陽陽明之證猶在也라 小便難은 亡津液也라 後는 以大便言이니 下重者는 柴胡寒하야 裏陰已虛而氣滯也라 本渴而飮水嘔者는 水逆也라 柴胡不中與者는 以嘔由水逆이오 非少陽或爲之證也라 食穀者噦은 言過飽則亦當噦噫라 申明上文 嘔가 非柴胡所宜之意라 末後에 疑有脫落이라(≪傷寒論條辨≫)
✺或云下重 渴欲飮水 嘔者는 五苓加茵陳蒿湯이라(≪證治準繩·卷三·陽明病·渴≫)
✺六七日無大熱 手足溫은 邪氣將入於裏也라 以脈遲浮弱이라 故로 尚留連肌表하야 惡風未除어늘 反二三下之하야 致太陽之邪內陷하야 胃氣虛寒不能食하고 脇下滿痛하야 似痞非痞하고 面目及身黃 頸項强 小便難者는 上下寒飮停結也니 止宜五苓散解利라 若認少陽하야 又與柴胡寒劑하면 必下重嘔噦하니 皆亡津液 胃寒之徵也라(≪傷寒纘論≫)
✺此條는 系太陽陽明證居多니 醫人이 不可以其脇下滿痛而嘔로 全以爲少陽之證 而輕用柴胡湯也라 得病六七日 而脈遲者는 當是陽明受病이라 手足溫者는 系在太陰이라 故로 醫家認以爲可下之證은 殊不知脈雖遲而兼浮弱이오 手足雖溫而惡風寒이니 縱六七日이라도 其邪猶在太陽之經하고 未入於府니 爲不可下라 醫反二三下之爲誤也니 誤下之則損其胃氣라 故로 不能食이라 熱邪傳裏하야 搏於少陽이라 故로 脇下滿痛이라 面目及身黃者는 胃氣損하야 爲熱所蒸이라 故로 發黃色也라 頸項强者는 太陽陽明之證猶在也라 小便難者는 內亡津液하야 膀胱之氣燥熱이라 故로 小水澁也라 若此者는 醫人不可以其脇下滿痛 而與小柴胡湯이니 以柴胡湯中有半夏가 乃解肌兼燥津液之劑라 如誤與之면 則大便後에 必燥澁而下重也라 本渴而飮水嘔者는 水停心下也니 此非少陽證喜嘔之比라 故로 云 柴胡不中與也라 食穀而噦者도 亦然이라 噦者는 食入氣逆而嘔也라 凡此者는 皆輕用柴胡湯之所當禁也라(≪傷寒論辨症廣注≫)
✺愚按컨대 此條論은 本太陽中篇移附於此라 曰脈浮弱 曰惡風寒 曰項强은 皆系太陽病이어늘 醫人不識하고 以六七日로 爲可下而誤下之면 邪入少陽이나 又不專在少陽이라 故로 柴胡在所當禁이라 本渴飮水而嘔者는 補亡論常器之云 宜五苓散이라하야늘 愚以身黃未退者는 加茵陳이오 頸項强者는 還宜以葛根湯加減增入用之니라(≪傷寒論辨症廣注≫)
✺首節은 論太陽之氣가 在太陰之地中이오 次節은 論太陽之氣가 在陽明之中土니 皆柴胡湯主之라 此節은 總論太陰陽明之氣虛者는 柴胡不中與也라 蓋中焦之氣는 本於下焦所生이라 如土氣虛敗而與柴胡湯則拔其根氣而元神將憊矣라 得病六七日은 太陽之氣가 當來復於肌表라 脉遲는 裏虛也라 浮爲氣虛오 弱爲血弱이니 脉遲浮弱은 裏之氣血虛也라 惡風寒은 表之氣血虛也라 手足溫者는 繫在太陰也라 太陰篇에 曰 傷寒脉浮而緩 手足自溫者는 繫在太陰이라하니라 後凡言手足溫者는 俱做此也라 醫二三下之則大傷其中土矣라 不能食者는 中焦之氣虛也라 脇下滿痛者는 生陽之氣逆也라 面目及身黃者는 太陰濕土之虛黃也라 頸項强者는 太陽之氣虛也라 小便難者는 脾不能轉輸其津液也라 夫裏氣虛微는 急當救裏니 與柴胡湯하야 啓其生氣之根原則地氣虛陷而後必下重하야 太陰之土氣가 將敗矣라 本渴飮水而嘔者는 陽明胃氣虛也라 入胃之水穀은 亦藉下焦之生氣以溫蒸이라 故로 胃氣虛者는 柴胡不中與也라 若再啓其根原則食穀不化而發呃逆而陽明之土氣將敗矣라 嗟嗟로다 後人皆以小柴胡湯으로 爲傷寒和解之劑하고 不知柴胡半夏가 啓下焦之生陽이오 黃芩은 徹太陽之表熱이오 生薑은 散陽明之胃氣라 元陽之氣는 發原在下하니 根氣虛者에 誤用此湯이면 是猶堰苗助長이니 鮮不敗矣리라(≪傷寒論集注≫)
✺張氏曰柴胡湯不中與는 但指柴胡니 不必拘泥全方이라 如厥陰篇에 反與黃芩湯徹其熱도 亦然이라(≪傷寒論集注≫)
✺此는 言誤下之後 已成壞病에 不可仍用柴胡湯再誤也라 六七日은 六經傳遍之後에 入裏傳陰之時也라 脈遲는 非寒邪入裏 及邪中三陰之遲也오 浮弱은 卽太陽中風陽浮陰弱也니 言風邪在衛는 脈但陽浮而陰弱이어늘 尚未鬱而爲裏熱하야 未見數脈이라 故로 云遲也라 惡風寒者는 卽太陽上篇嗇嗇惡寒 淅淅惡風이니 乃陽浮陰弱之見證也라 手足溫은 非系在太陰之脈浮緩而手足自溫之溫이오 亦非少陰手足溫者可治之溫이오 並非厥陰晬時脈還之手足溫也라 此所謂手足溫者는 言脈雖遲而惡寒이나 其手足則溫이라 病已六七日 而其邪猶在太陽이니 非若三陰之脈沈遲則手足厥冷也라(≪傷寒溯源集≫)
✺俗醫不知脈遲浮弱而惡風寒이 爲表邪未解하고 但拘日數之多 而於脈症不加察焉하고 意謂六七日之久니 邪必在裏라하야 遂二三次下之하야 致裏虛邪陷하야 由少陽而內入陽明之裏라 故로 有不能食而脇下滿痛之少陽證 面目及身黃之陽明裏症하니 卽陽明篇所謂瘀熱在裏也라 邪雖內陷이나 究竟頸項仍强하니 則太陽陽明之表證猶在라 然이나 何以知其爲兩經之表證乎아 蓋頸在身之前而屬陽明이오 項在身之後而屬太陽故也라 又因裏熱內瘀하야 腸胃之傳化失常하고 三焦不運하야 氣化不行이라 故로 小便難이라 若小便利 則不能發黃矣라 如此之表裏有邪 三陽俱病에 而與柴胡湯하면 不惟不足以和解少陽之邪 而太陽陽明未散之表邪 及陽明發黃之瘀熱在裏가 得湯中人參甘草之滯補而愈固하니 所以濕熱下墜하야 後必下重也라 後는 謂大便也라 下重者는 非下體沈重이오 卽大便後重이니 皆濕熱壅滯하야 欲大便而後重不得出也라 瘀熱在胃 故로 本渴이어늘 渴而飮水한대 胃中之實邪壅塞하면 則不能容受하고 胃氣不行하면 則小腸亦不能傳送이라 故로 小便不利라 膀胱不瀉하고 腸胃不通하면 大氣不得流行하니 所以上逆而嘔也라(≪傷寒溯源集≫)
✺若此者는 非少陽一經獨病이라 故로 曰柴胡湯不中與也라 然則何以治之오 仲景不云乎아 知犯何逆 以法治之라 所謂法者는 如此條未下以前之證은 不過脈遲浮弱而惡風寒이니 前太陽中風之治가 卽法也오 二三下之後에 致不能食而脇下滿痛 則小柴胡가 一法也오 至面目及身黃 則爲陽明裏證이니 柴胡湯卽不中與之矣오 茵陳蒿湯이 一法也라 中風之頸項强은 乃太陽陽明之表證이니 桂枝加葛根湯이 一法也오 傷寒之頸項强은 有麻黃之葛根湯이 又一法也라 太陽之小便不利는 五苓散이 一法也오 陽明之小便不利는 猪苓湯이 一法也라 若少陽陽明兼證之胃實者는 則有表裏兩解之大柴胡湯이 一法也오 若少陽陽明兼證而正虛裏實者는 則柴胡芒硝湯이 又一法也라 此等諸法은 不可枚舉니 論中無不具載라 但貴臨證施治에 審證察脈하고 詳辨經絡하야 分別虛實 何重何輕 何主何客 何先何後 應用何法 應服何方 或一方加減 或兩方合用 量時度勢하야 以定取舍니 眞所謂圓融活變 觸類旁通이라 經云 審察病機 無失氣宜者가 是也라(≪傷寒溯源集≫)
✺至於食穀者噦은 以不能食而脇下滿痛 身黃小便不利 而又有下重渴嘔之證에 若再誤犯穀氣하면 必至噦而不治矣라 噦者는 卽呃逆也라 靈樞에 云 平人之噦者는 穀入於胃하야 氣注於肺할새 有故寒氣가 與新穀氣로 俱還入於胃하야 新故相亂하야 眞邪相攻하면 氣並相逆하야 復出於胃라 故로 爲噦이라하니 若病深而噦은 乃胃敗而中氣將絶也라 故로 素問寶命全角論에 云 鹽之味鹹者는 其氣令器津泄하고 弦絶者는 其音嘶敗하고 病深者는 其聲噦이니 人有此三者는 是爲壞腑라 毒藥無治오 短針無取니 此는 皆絶皮傷肉하며 血氣爭黑이라하니 所以仲景陽明中風에 卽有加噦者不治之語는 其原文이 與此條로 亦大同小異라 乃成氏以爲食穀者物聚而噦하고 方氏謂過飽則亦當噦噫라하니 豈有病至如此之劇에 尚能過飽乎아 觀其以噦噫並言하면 是以呃逆與噯食氣同論矣라 輕重不分하고 吉凶不辨하니 毫不知其爲不治之證이오 所以疑其爲末後尚有脫落은 不知仲景以不治之證作結이라 彼竟茫然不知어늘 何哉尚論並棄而不載하니 又不知何意라 前輩用心이나 終莫知其意指也라(≪傷寒溯源集≫)
✺浮弱은 爲桂枝脈이오 惡風寒은 爲桂枝證이나 然이나 手足溫而身不熱이라 脈遲는 爲寒 爲無陽 爲在藏이니 是表裏虛寒也라 法當溫中散寒이로대 而反二三下之하니 胃陽喪亡하야 不能食矣라 食穀則噦이오 飮水則嘔라 虛陽外走 故로 一身面目悉黃이오 肺氣不化 故로 小便難而渴이오 營血不足 故로 頸項强이오 少陽之樞機無主 故로 脇下滿痛이라 此는 太陽中風誤下之壞病이오 非柴胡證矣라 柴胡證은 不欲食이오 非不能食이며 小便不利오 非小便難이며 脇下痞硬이오 不是滿痛이며 或渴이오 不是不能飮水며 喜嘔오 不是飮水而嘔라 與小柴胡湯後必下利者는 雖有參甘이나 不禁柴芩栝樓之寒也라 此條는 亦是柴胡疑似證이나 而非柴胡壞證이라 前條는 似少陰而實少陽이오 此條는 似少陽而實太陽壞病이니 得一證相似處어든 大宜着眼이어다(≪柯氏傷寒論注≫)
✺病六七日에 脈浮不去하고 惡風寒不除는 其邪猶在表也라 醫反二三下之하야 胃氣重傷하야 邪氣入裏하면 則不能食而脇下滿痛하고 且面目及身黃 頸項强 小便難하니 所以然者는 其人脈遲弱而不數하고 手足溫而不熱이 爲太陰本自有濕한대 而熱又入之하야 相得不解하야 交蒸互鬱 而面目身體悉黃矣라 頸項强者는 濕痹於上也라 脇下滿痛者는 濕聚於中也라 小便難者는 濕不下走也라 皆與熱相得之故也라 醫以其脇下滿痛으로 與柴胡湯以解其邪하야 後必下重者는 邪外解而濕下行하야 將欲作利也라 設熱濕並除면 則汗液俱通而愈矣니 何至下重哉리오 本渴而飮水嘔者는 金匱所謂先渴却嘔者 爲水停心下 此屬飮家也라 飮在心下면 則食穀必噦이니 所謂諸嘔吐 穀不得下者 小半夏湯主之가 是也라 豈小柴胡所能治哉리오(≪傷寒貫珠集≫)
✺食穀者噦四字는 衍文이라 食穀嘔者는 有之나 從無噦者라(≪醫宗金鑑≫)
✺得病六七日은 少陽入太陰之時也라 脈遲는 太陰脈也오 浮弱은 太陽脈也오 惡風寒은 太陽證也오 手足溫은 太陰證也라 醫不以柴胡桂枝湯으로 解而和之하고 反二三下之하니 表裏兩失矣라 今不能食 脇下滿痛은 雖似少陽之證이나 而實非少陽也라 面目及身發黃은 太陰之證已具也오 頸項强은 則陽明之邪未已也라 小便難者는 數下奪津之候也라 此는 皆由醫之誤下하야 以致表裏雜揉 陰陽同病이라 若更以有少陽 脇下滿痛之一證 不必悉具로 而又誤與柴胡湯하면 則後必下重하니 是使邪更進於太陰也라 雖有渴證이라도 乃系數下奪津之渴이오 其飮水卽嘔는 亦非少陽本證之嘔오 緣誤下所致라 故로 柴胡湯不中與也니라(≪醫宗金鑑≫)
✺程知曰 前言柴胡證은 但見一證이면 便是라하고 此更言脇下滿痛이라도 亦有不宜柴胡者하야 以爲戒也라(≪醫宗金鑑≫)
✺程應旄曰 以一渴證으로 辨之컨대 前條之手足溫而渴者는 熱在裏한대 未經數下하야 自能消水오 今本渴而飮水則嘔는 知其渴爲膈燥津亡之渴이니 數下中虛하야 不能消水오 究於胃陽無涉이라 然則柴胡湯之於少陽에 豈可云但見一證便是乎며 又豈可云下之而柴胡證不罷者復與柴胡湯乎아(≪醫宗金鑑≫)
✺鼇按컨대 此는 太陽中風誤下之壞病이오 非柴胡證也라 故로 與柴胡湯而必下重이니 猶是誤與之也라(≪傷寒論綱目·卷十二·脇滿腹痛≫)
✺太陽之邪不解는 可以柴胡轉其樞어니와 太陽之氣內陷은 不可以柴胡虛其裏라 得病六日은 六經之氣已周 而又來復於太陽이오 正是七日에 診其脈遲는 氣虛也오 浮弱은 血虛也라 氣血俱虛 而見太陽證之惡風惡寒은 當於尋常之太陽證外에 另參脈息 日期而分別이라 且又有獨見之症하니 曰手足溫은 系在太陰也라 此氣血俱虛어늘 醫者不知하고 反二三下之하야 虛其中氣하야 以致不能食이라 而脇下爲少陽之部位오 其樞逆而不轉이라 故로 無往來寒熱하고 惟滿而且痛이라 面目及身黃은 爲太陰土氣虛 而眞色現也라 雖頸項强은 爲太陽之經氣不利나 而脾不轉輸爲小便難者는 是中氣虛之大關鍵이라 柴胡湯은 乃從內達外之品이니 裏氣虛者는 忌用이라 若與柴胡湯하면 裏氣虛陷하야 後必下重이라 夫嘔渴은 乃柴胡湯之見證이나 而本不渴而飮水嘔者는 中胃虛也라 柴胡湯은 非中胃之藥이니 不中與也라 與之而中氣愈虛한대 食穀者噦라 此는 緣二三下之旣誤니 不可以柴胡湯而再誤也라 此一節은 言太陽之氣陷於太陰之地中 太陰陽明氣虛 不能從樞外出 又非柴胡湯之所主也라(≪傷寒論淺注≫)
✺玉函 脈經은 上而字가 作其人이오 小便黃은 作小便難이라 千金翼 成本도 亦作難이라 成本은 本渴飮水而嘔者가 作本渴而飮水嘔者라 玉函은 不中間에 有復字라 喻氏 周氏 魏氏 張氏本은 並缺此條라(≪傷寒論輯義≫)
✺浮主陽이니 浮於外오 遲弱은 主陽氣虛弱이오 非血虛也라 陽氣不振 故로 惡風寒이라 手足溫者는 別於手足潮熱而言이니 謂陽氣虛弱하면 手足當厥冷이어늘 卽不厥冷 而手足溫이니 亦與潮熱不同이라 醫者不知爲陽虛하고 乃二三下之면 其脾必寒이라 膜上之膏油는 卽脾之物也니 膜油寒하야 不能薰化腸中水穀이라 故로 不能食이라 膏油之大者는 是脇下兩大板油니 寒氣歸此면 則脇下滿痛이라 周身之油寒은 乃脾土陽虛之極이니 現出土之本色則黃이오 雖頸項强이라도 亦是寒이오 非風熱也라 小便難도 亦是水入膜網之中할새 其膏油가 不能薰蒸滑利하니 所謂脾不健運이오 亦非熱也라 膏油旣弱하면 則其質虛軟하니 若再用小柴胡湯하야 淸利其膜網하면 則膜網弛緩不收하야 大小腸往下墜하야 後陰必下重이니 卽今所謂脫肛也라 腸連於膜網 而膜網도 又賴有膏油以充攝之也어늘 今膏油虛軟한대 復用柴胡疏其膜網하니 是以弛縱而下墜라 此理는 近人少知하니 不得不詳悉言也라 又本渴은 有似燥熱이나 而飮水嘔者는 則渴是津不升이오 嘔是虛寒이니 脾之膏不能化水라 柴胡는 是疎三焦之網이라 故로 不中與也라 若與之하야 傷其膏油之氣면 則食穀不化而噦逆이라 總見膏油不能化水穀은 與膜網不通利者로 有別이니 須辨到此라야 乃知仲景論證之精이라(≪傷寒論淺注補正≫)
✺得病六七日은 當是論列小柴胡湯證 兼及不宜小柴胡湯證이라 所恨諸家望文生訓하고 不能補其脫漏하야 令仲師立言本旨로 前後自相刺謬也라 夫曰得病六七日 脈遲浮弱은 與上血弱氣盡으로 何異아 惡風寒 手足溫은 此證屬肌理凝閉니 與中風으로 同이라 本書所謂 傷寒脈浮而緩 手足自溫者 繫在太陰은 正以足太陰脾主一身肌肉故也라 此는 本桂枝二麻黃一湯證이어늘 醫家가 不知病在太陽 而反二三下之하야 以致中氣虛而不能食이오 太陽寒水가 陷於脇下而成滿痛이라 此는 與上默默不欲飮食 邪正相搏 結於脇下로 又何異아 況太陽病十日以去 胸滿脇痛者 與小柴胡湯이니 成例具在어늘 焉可誣也리오 若以小柴胡湯爲禁忌면 則後此陽明篇胸脇滿而不去 小柴胡湯主之와 脇下滿 不大便而嘔 舌上白苔者 可與小柴胡湯과 少陽篇 脇下硬滿 不能食 脈沈緊者 與小柴胡湯이 俱不可通矣라 吾直謂滿痛下에 遺脫小柴胡湯主之六字오 面目及身黃以下는 乃爲忌柴胡證이라 夫面目及身黃은 卽陽明篇身目俱黃 寒濕在裏不解之證이니 輕則宜麻黃加朮이오 重則桂枝附子 白朮附子二湯可知也라 頸項强 小便難은 此太陽經輸未解而裏陰先竭이니 上文所謂亡津液之證 陰陽和必自愈者也라 若寒濕在裏之證에 更投黃芩以撤熱하면 則腹痛下利가 可以立見이라 津液亡而更以柴胡劫其表汗하면 則虛陽吸於外하고 腸胃涸於內하야 必至欲大便而不得이라 雖下節頸項强 手足溫而渴者는 未嘗不用柴胡나 但彼係未經二三度誤下之證이니 不似此證之亡津液也라 此所謂與柴胡湯 後必下重者也라 若夫本渴 飮水而嘔는 是名水逆이오 爲五苓散證이니 或中有留飮故也라 於此而不以五苓散으로 利其小便하야 導上逆之衝氣하야 使之下行하고 反與小柴胡湯으로 迫其戰汗하면 致令陽氣外浮하야 胃中虛冷 而食入呃逆矣라 故로 曰 食穀者噦也라 無如庸工이 密傳衣缽하야 動以柴胡湯爲和解之劑하고 而不知爲發汗之劑니 何怪液虛者重虛之하야 卒令津枯胃敗하야 致人於死而不自知也아(≪傷寒發微≫)
'<선호상한론>확장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호상한론>확장판 100조문 (0) | 2024.11.13 |
---|---|
<선호상한론>확장판 99조문 (0) | 2024.11.12 |
<선호상한론>확장판 97-2조문 (0) | 2024.11.10 |
<선호상한론>확장판 97-1조문 (0) | 2024.11.09 |
<선호상한론>확장판 96조문(小柴胡湯方) (0) | 2024.1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