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7-1]{100} 血弱氣盡하야 腠理開하면 邪氣因入하야 與正氣相搏하야 結於脇下라
正邪分爭하니 往來寒熱하야 休作有時하고 黙黙不欲飮食이라
藏府相連하야 其痛必下하고 邪高痛下 故로 使嘔也라 小柴胡湯 主之라
『혈기가 약해져서 주리가 열리면 사기가 안으로 들어와 정기와 서로 뭉쳐 협하에 뭉친다. 정기와 사기가 싸우므로 한열이 왕래하여 때때로 발작하고, 말을 하지 않으면서 음식을 먹으려 하지 않는다. 장과 부는 서로 연계하고 있기 때문에 통증은 아래까지 미치고, 사기는 높으나 통증이 아래에 있으므로 嘔逆하게 된다. 소시호탕으로 다스린다.』
✺人之氣血은 隨時盛衰하니 當月郭空之時하면 則爲血弱氣盡하야 腠理開疏之時也라 邪氣勝虛하면 傷人則深이라 鍼經에 曰 月郭空하면 則海水는 東盛하고 人은 血氣虛하며 衛氣去하며 形獨居하며 肌肉減하며 皮膚緩하며 腠理開하며 毛髮殘하며 瞧理薄하며 垢落하니 當是時에 遇賊風하면 則其入深者가 是矣라 邪因正虛하야 自表之裏하야 而結於脇下하야 與正分爭하면 作往來寒熱이라 黙黙不欲飮食은 此爲自外之內라 經絡與藏府相連하니 氣隨經必傳於裏라 故로 曰 其痛下라하니라 痛은 一作病이라 邪在上焦가 爲邪高오 邪漸傳裏가 爲痛下니 裏氣가 與邪氣로 相搏하야 逆而上行이라 故로 使嘔也라 與小柴胡湯하야 以解半表半裏之邪라(≪注解傷寒論≫)
✺一云 臟腑相連하니 其病이 必脇膈中痛이라(≪傷寒補亡論·卷五·太陽經證治下九十一條≫)
✺痛은 當作病이라 此總上二條而申明之하야 以決言小柴胡湯爲的於用之意라 血弱氣盡은 以經水之適來適斷言也라 腠理開 邪氣因入은 以中風之熱入血室言也라 脇下者는 少陽之部分也라 邪傳少陽하야 熱旣入於血室而不出하면 則邪摶於脇下而不散하니 明前條之如結胸狀也라 邪正分爭三句는 言正氣與邪氣並爭하면 則寒熱交作하고 分則退니 明上條之如瘧狀也라 默默不欲飮食者는 少陽經中或爲之一證이니 脾胃亦傷之故也라 臟腑相連者는 以主熱入血室之厥陰肝 與主往來寒熱之少陽膽言 而明其義也라 夫以臟腑論之컨대 心肺之配大小腸은 以言其居 則有上下之遠隔이오 腎配膀胱은 其相去則差別前後之分이오 脾胃之爲配合은 雖則皆位乎中이나 亦是各開而不相著이오 獨有肝之配膽이아 乃得相連而不相離라 夫性은 必戀於婦하니 所以陽邪之熱은 必下就而入於陰之血室이라 陰主受 故로 受其熱而通其往來하나니 所以謂之必이오 必者는 定然之詞也라 邪高病下者는 言惟其邪乃陽邪니 陽上浮而居高하고 惟其病在血室이니 屬乎陰而低下라 下往上來할새 脾胃間中하야 雖不受病이라도 未免受傷이니 嘔之爲嘔者가 此也라 然이나 小柴胡湯者는 出表入裏하야 往來寒熱之主冶也오 而熱入血室者는 乃下往上來之寒熱로 似不相同이어늘 亦以之爲主治는 何也오 曰 出入上下는 雖不同이나 其主往來爲寒熱之少陽則一也라 邪屬少陽은 發表則無表可發이오 攻裏則胃不可攻이오 取之於血室 則邪又結於脇下니 肝膽同歸一治오 婦道必從於夫라 故로 從少陽之小柴胡爲解厥陰之血室이니 乃主其夫婦之和 而潮熱期之於必愈라 此熱入血室之爲病이 所以決於用小柴胡而無二也라 中篇末條는 與此互相發明이오 下篇無出하니 由此其推也라 然則婦人風寒爲病之治가 其所以殊於男子者는 止惟如此乎아 曰 非謂止於如此也라 謂大要差在血氣之分耳나 循經以爲治 則一也라 觀熱入血室不外小柴胡一湯 則他可知矣라 經之所以反復詳明以示教가 豈非開諭後學하야 當知致力於斯乎아 噫라 微矣哉로다(≪傷寒論條辨≫)
✺邪氣外甚하야 陽不主裏하고 裏氣不和하야 氣下而不上者는 但下利而不嘔오 裏氣上逆而不下者는 但嘔而不下利也라 與小柴胡湯하야 以解半表半裏之邪라(≪證治準繩·卷三·陽明病·嘔≫)
✺按컨대 血弱氣盡至結於脇下는 是釋胸脇苦滿句오 正邪分爭三句는 是釋往來寒熱句니 倒裝法也라 默默不欲飮食은 兼上文滿痛而言이오 臟腑相連四句는 釋心煩喜嘔也라(≪證治準繩·卷三·少陽病·往來寒熱≫)
✺如結胸狀四字는 仲景이 尚恐形容不盡하야 重以臟腑相連 邪高痛下之語로 暢發病情이라 蓋血室者는 衝脈也니 下居腹內오 厥陰肝之所主也라 而少陽之膽은 與肝相連하야 腑邪在上하고 臟邪在下어늘 胃口逼處二邪之界하니 所以默默不欲飮食而但喜嘔耳라(≪尙論篇≫)
✺此條病은 乃承上條中風하야 所以往來寒熱之故 而申言之也라 少陽은 本少血之經이라 故로 云血弱이라 中風者는 風傷氣니 至五六日之時 則正氣漸消라 故로 云氣盡이라 血弱氣盡하면 則營中之陰旣虛하고 衛外之陽不固하니 以故로 腠理開疏라 風邪之氣가 因入於裏하야 與正氣로 相搏擊而結於脇下니 正當少陽之部分也라 正邪分爭者는 正氣與邪氣互相並爭이니 是以往來寒熱也라 休作有時者는 此發明往來之意니 蓋言寒休則熱作하고 熱休則寒作하야 往來有時而不能止也라 默默不欲飮食은 注見上條라 五臟에 惟肝與膽府相連하야 位近於下하니 此卽脈經云腎肝居沈之義라 故로 其痛이 亦必在脇之下也라 痛雖在下 而病邪之氣는 必挾肝膽之火 上而犯胃라 故로 使嘔也라 高字는 作上字解라 臟腑相連하니 臟從腑治라 故로 與小柴胡湯하야 以和解半表半裏之邪라 愚以湯中人參宜加用이니 以此條病이 本血弱氣盡故也라(≪傷寒論辨症廣注≫)
✺上文은 論太陽之氣가 逆於五運之中而病在三陰이오 此는 論邪氣가 結於少陽之脇下하야 太陽이 從陽明之闔而不能外出이니 病在三陽也라 成氏가 引靈樞歲露篇하야 曰月郭空則海水東盛하고 人氣血虛하며 衛氣去하고 形獨居라하니라 血弱氣盡者는 月郭空之時也라 腠理開는 正氣從太陽之開也라 邪氣因入은 邪從陽明之闔也라 與正氣相搏結於脇下는 邪正之氣가 並逆而少陽樞轉不利也라 上節은 言傳邪오 此節은 言自受라 故로 正氣欲出하고 邪氣欲入하야 以致正邪分爭이라 往來寒熱 休作有時者는 邪正之氣相離則休라가 復集則更作也라 上節은 往來寒熱 胸脇苦滿이라 故로 黙黙不欲飮食이오 此節은 結於脇下하야 往來寒熱이라 故로 亦黙黙不欲飮食也라 夫黙黙者는 病在太陽이오 不欲飮食者는 病在陽明이라 陽明은 主胃府而居中土오 太陰은 主脾藏而亦居中土니 此가 藏府之相連也라 三陽之氣가 逆於陽明之中土而不得外出하면 必下及於太陰之脾藏而爲痛이라 故로 其痛必下也라 邪在太陽之高하고 痛在太陰之下하며 而陽明少陽之氣가 逆於中而不能外達이라 故로 使嘔也라 小柴胡湯主之니 轉少陽之樞機하야 以達太陽之正氣於外라(≪傷寒論集注≫)
✺血弱氣盡者는 謂血氣皆虛也니 言經血已盡之後에 不惟血弱而氣亦虛衰矣라 蓋人은 以陽氣陰血이 兩相依附而成形體니 蓋血瀉之後에 氣亦隨之而虛矣라 以血弱氣盡之時에 營衛不密하고 腠理偶開한대 邪氣因其開而遂入하야 與正氣兩相搏聚而結於脇下少陽之分이라 正氣與邪氣分爭하면 一如少陽症之往來寒熱 休作有時 默默不欲飮食이니 其所以然者는 以少陽與厥陰이 肝臟膽腑니 與其他臟腑로 不同이라 膽附肝葉之中하야 兩相連屬이라 故로 膽病肝亦病也라 此條는 邪從腠理而入이니 與前熱入血室로 不同이라 然이나 經盡血虛之候에 邪氣乘虛而入하야 與熱入血室로 無異라 肝爲藏血之臟이오 足厥陰之脈은 起於足大趾하야 上循足跗하야 上膕內廉하야 循股陰하야 入毛中하고 過陰器하야 抵小腹이니 邪入其絡하면 則小腹必痛이라 故로 其痛必下라 邪在少陽而結於胸脇이라 故로 曰邪高오 痛在厥陰之絡而居少腹이라 故로 曰痛下니 所以謂之邪高痛下也라 邪在胸脇 而厥陰之氣又上逆이라 故로 使嘔也라 證雖臟腑相連 而邪結脇下나 往來寒熱 默默不欲食은 皆少陽本病也라 故로 以柴胡湯主之 而厥陰血分之藥은 或可量入也라(≪傷寒溯源集≫)
✺此는 仲景自注柴胡證이라 首五句는 釋胸脇苦滿之因이오 正邪三句는 釋往來寒熱之義라 此下는 多有闕文이라 故文理不連屬也라(≪柯氏傷寒論注≫)
✺血弱氣盡 腠理開는 謂亡血新産勞力之人이 氣血不足하야 腠理疏豁 而邪氣乘之也라 邪入하면 必與正相摶 而結於脇下하니 脇下者는 少陰之募오 而少陰者는 陰陽之交也라 邪氣居之할새 陰出而與邪爭則寒하고 陽入而與邪爭則熱호대 陰陽出入에 各有其時라 故로 寒熱往來 休作有時也라 默默不欲飮食은 義如上條라 臟腑相連四句는 是原所以邪氣入結之故라 謂膽寄於肝하야 地逼氣通이니 是以其邪必從腑而入臟하나니 所謂其痛必下也라 邪高는 謂病所來處오 痛下는 謂病所結處라 邪欲入而正拒之면 則必上逆而嘔也라 至其治法도 亦不出小柴胡和解表裏之法이라(≪傷寒貫珠集≫)
✺此詳申上三條라 婦人中風傷寒할새 經水適來過多하야 以致血弱氣盡하야 腠理不密하야 邪熱之氣乘虛入於血室하고 邪與正相摶하야 結於少陽之界라 故로 邪結於脇下也라 邪正相爭할새 爭於陽則熱하고 爭於陰則寒이라 故로 往來寒熱也라 爭已必衰하고 衰則止라 故로 休作有時也라 少陽病이 已入半裏하야 將近厥陰이라 故로 默默不欲飮食也라 少陽膽은 與厥陰肝으로 相爲表裏라 故로 曰 藏府相連也라 少陽之脈은 下胸中하야 循脇表하고 厥陰之脈은 抵少腹하야 循脇裏라 故로 其痛은 必及於脇下也라 少陽之邪는 從胸而下脇하야 因胸而病及於脇이라 故로 曰 邪高痛下也라 邪從胸循脇入裏하야 裏氣上拒라 故로 使嘔也라 仲景重出此條하야 仍主之以小柴胡湯者는 使知法不外少陽이오 不必另從厥陰血室中求治也니라(≪醫宗金鑑≫)
✺少陽之病은 緣太陽陽明之經이 外感風寒하야 經氣鬱勃하야 逼侵少陽이라 少陽之經은 因於二陽之侵하야 血弱氣盡하야 腠理開泄이라 二陽經邪가 因而內入하야 與本經正氣로 兩相搏戰하야 經氣鬱迫하야 結滯脇下라 少陽之經은 自頭走足할새 脈循脇肋하니 病則經氣不降하야 橫塞脇肋하나니 此胸脇苦滿 脇下痞硬之故也라 正氣病則正亦爲邪니 陰鬱而爲寒하면 是爲陰邪오 陽鬱而爲熱하면 是爲陽邪라 邪正分爭하야 休作有時니 此往來寒熱之故也라 分爭之久면 正氣困乏하고 精神衰倦하야 靜默無言하고 飮食不思하니 此默默不欲飮食之故也라 脾臟胃腑는 以膜相連이니 一被木邪면 則胃氣上逆하고 脾氣下陷이라 脾氣旣陷하면 則肝氣抑遏而克脾土하야 其痛必在下部니 此腹中作痛之故也오 胃土旣逆하면 則上脘塡塞하야 君火不降하야 濁氣湧翻하니 於是心煩而喜嘔吐라 胃土逆則邪高오 脾下陷則痛下니 痛下而邪高는 此心煩喜嘔之故也라 是皆小柴胡證이니 宜以主之니라 邪氣入內者는 正氣病而成邪니 是卽邪氣之內傳이오 非必風寒之裏入也라(≪傷寒懸解≫)
✺此條는 申明所以往來寒熱 及不欲食 下痛上嘔之故가 皆因正衰邪入하야 臟腑相牽所致니 則立方之意를 可推而知矣라(≪傷寒論類方≫)
✺劉完素曰 邪氣入한대 正氣不爭하면 則但熱無寒이오 正與邪爭하면 寒熱作矣라 爭則氣鬱不發於外 而寒熱爭焉이오 爭甚 則憤然而熱이라 故로 寒已而熱作焉이니 茲乃寒熱之理也라(≪傷寒論綱目·卷十一·少陽經證·寒熱往來≫)
✺魏荔彤曰 此는 總見婦人經來適斷之時에 血旣出而必弱하고 血室中之氣도 亦隨之盡矣라 此際에 內虛則表疏하고 腠理開하야 而邪氣易乘以入하야 隨與正氣相搏이니 正氣足 則邪入可拒어니와 正氣虛 則邪入相溷이니 凡病皆然也라 旣屬婦人血分之病 則肝爲血之專司오 其部位는 正在脇下니 正氣忽盛而拒라가 正氣忽衰而迎하야 與邪迎拒하니 遂作分爭之勢오 且梗塞阻滯於陰陽升降道路之間하야 於是往來寒熱 休作有時 兼見默不欲飮食하나니 純爲少陽之證이라 誰知此非傷寒由太陽而陽明而少陽遞傳之邪乎아 蓋熱入血室은 可以在太陽卽入이오 亦可以太陽罷而入이니 迥非傷寒傳經이 必由太陽陽明方入少陽也라 此治法은 雖同於少陽이나 病之由來는 大不同於男子之得少陽病也라 所以然者는 肝木屬臟 爲厥陰이오 膽木屬腑 爲少陽이니 二木同氣오 部位又相連이라 熱入血室은 肝旣司血이니 肝必爲邪所乘이오 膽附於肝이니 邪入肝分하면 必侵膽爲患이라 一臟一腑가 體旣相連하야 病則俱病이니 又不比於別臟腑表裏之義矣라 於是熱入而血結하고 血結而爲痛하며 痛則氣沈하고 氣沈則痛愈下라 然이나 少陽之膽은 畢竟屬陽이니 其性上升이오 厥陰之肝은 畢竟屬陰이니 其性下降이라 膽有邪면 自高而上衝하야 斯作嘔也오 肝有邪면 自下而沈結하야 斯作痛也라 邪高痛下 故로 使嘔也니 何非熱入血室이 血結少陽之所致乎아 證固非傷寒之少陽이나 而婦人熱入血室은 邪在少陽之本位니 法寧不從少陽爲治耶아 小柴胡主之니 其升淸降濁之義는 已言之矣라 此는 申明婦人經來經斷할새 熱邪易入血室이니 與男子不同病之大旨也라 然이나 男子有病은 卽非傷寒之遞傳이라도 其病原屬少陽者는 亦未嘗不可니 卽其法以通治之也라 此는 仲師가 專爲婦人熱入血室하야 明其來自太陽 無關陽明 病結少陽 所以然之故也라 再繹熱入血室은 卽結於血室이니 亦能作寒熱往來如瘧狀은 何也오 亦是臟腑相連 邪高痛下之義라 肝膽之血은 與血室之血로 一血也라 結於下則上亦不通이오 不通則不能升降矣니 所以寒熱作而如瘧也오 不必謂熱入血室而血結於肝下也라(≪傷寒論綱目·卷十一·少陽經證·寒熱往來≫)
✺上言太陽之病而値厥陰之期에 厥陰中見少陽이라 少陽主樞하니 太陽病이 値其主氣之期而外出者는 藉其樞之有力也라 經云 少陽은 外主腠理오 內主三焦라하니 腠者는 三焦通會元眞之處니 血氣所注라 今血弱氣盡 則腠理自開하야 太陽所受之邪氣가 因其氣血虛而入하야 邪氣가 與少陽中正之氣로 兩相擊搏하야 俱結于少陽所部之脇下라 正邪不兩立則分爭하니 正勝則熱하고 邪勝則寒이라 分爭則往來寒熱호대 離合無定則休作有時라 經云 少陽之上에 相火主之라하니 玆則陽明之火鬱而不伸이라 故로 其象默默이라 默默之象은 爲少陽專見之症이오 不欲飮食은 爲木氣內鬱而胃絡不和也라 胃病必及脾니 臟腑之膜이 本自相連이라 脾病은 其痛必在於下니 卽前所謂腹中痛이 是也라 然이나 腹中은 原不可以言下어늘 今以胃邪在胃脘之高 而此痛은 反居其下라 邪高라 故로 使嘔也라 用小柴胡湯하야 轉少陽之樞하야 達太陽之氣以主之라(≪傷寒論淺注≫)
✺玉函은 飮食이 作食飮이니 千金翼도 同이라 結은 作在오 使下에 有其字라(≪傷寒論輯義≫)
✺案컨대 方氏喻氏程氏張氏魏氏錢氏及金鑑은 皆以爲申明熱入血室之由나 似於經旨不相叶이라 故로 不敢從也라(≪傷寒論輯義≫)
✺腠理者는 三焦通會元眞之處오 血氣所注라한대 淺注는 不指出何處하니 則不知血氣如何往來也라 蓋三焦는 是內油膜이니 透出爲瘦肉外皮毛內之膜油하고 其瘦肉肥肉交界處夾縫中有紋理를 名曰腠理니 爲營血衛氣出入之路徑이라 血弱氣盡則其路徑空虛에 邪氣因入하야 從腠理內侵하야 及於脇下하고 入兩大板油之中하니 乃三焦之府也라 三焦根於腎系하고 由腎系生出兩大板油하니 邪入於此면 正氣欲出不得하고 遂結於脇下하니 其寒熱休作有時者는 亦因正與邪有或進或退하야 不相値則休也라 默默解見上이라 三焦爲行水化穀之府니 不欲飮食은 是上焦膜油與胃腕相交之處에 竅道不通이라 故로 食不入이라 內經云 胃有大絡이라하니 卽指胃通於膲膜中之管竅也라 內經名絡은 西醫名爲管이니 從膜膈下入網油라 網膜은 屬三焦니 網膜上之膏油 卽脾之物이라 脾臟之油는 生焦膜上하야 與胃府로 本自相連이니 邪在脾臟油膜之中 則結於脇下之板油內어나 或大小腸之油網內 則痛而不通이라 夫邪在上焦면 水穀不得入而痛在下焦니 逆氣上行이라 故로 使水穀嘔出也라(≪傷寒論淺注補正≫)
✺太陽部分은 爲肌表兩層이라 表氣는 統於手太陰肺하니 衛氣所從出也오 肌腠는 統於足太陰脾하니 營氣所從出也라 營衛兩傷하면 不獨表氣不固하고 肌理도 亦不密이니 病邪가 直薄太陽陷於脇下라 脇下者는 寒水之藏所居也라 正氣가 從裏出表하야 與外邪相抗할새 邪氣勝하면 則生表寒하고 正氣勝하면 則生表熱이라 休作有時之由는 古未有能言其意者라 蓋病은 雖起於營衛兩虛나 惟兩虛之中에 必有一勝이라 設衛氣差勝하면 則衛氣出하야 與邪爭而作於晝하니 以衛氣晝行於陽也오 設營氣差勝 而衛陽虛하면 則營氣出하야 與邪爭而作於夜하니 以營氣夜行於陽也라 正氣歷若干時而勝하면 卽歷若干時而休하니 此休作有時之確證也라 嘗見病瘧之人이 休作日早하면 則易愈하고 日晏하면 則難愈니 蓋以發於淸晨은 衛陽强盛이오 發於日晡는 衛陽日消故也라 所以默默不欲飮食者는 消水之力은 氣爲主어늘 氣盡則肺不能肅降 而水之上源渟하고 渟則不渴이오 消穀之力은 脾爲主어늘 血弱則脾不能健運 而消穀之力微하고 微則不飢라 水與宿食俱停이라 故로 不欲飮食이라 至於藏府相連數語는 尤爲解人難索이라 吾直以爲藏卽腎藏이니 寒水之藏也오 府卽膀胱이니 寒水之府也라 藏府相連은 爲下焦決瀆之道路니 卽西醫所謂輸尿管이오 內經所謂水道出焉者가 是也라 蓋腎與膀胱은 以二輸尿管相連屬이라 故로 仲師謂之藏府相連 邪正相搏 結於脇下는 適當太陽寒水藏府相連之處라 下焦決瀆이 阻而不行하니 於是에 脇下之痛이 下連少腹이라 太陽標陽이 吸於上하고 下焦水道가 阻於下하야 遂至倒行逆施而成嘔라 且痛之爲義는 本爲邪正相持하야 水擁腎與膀胱 而痛連一藏一府니 究其實則爲下焦不通이오 內經所謂不通則痛也라 至若方之所以用柴胡者는 柴胡發表寒也오 黃芩淸上熱也니 此는 爲寒熱往來設也라 人參所以滋肺陰은 以其主氣也오 大棗 甘草所以助脾陽은 以其統血也니 此는 爲血弱氣盡設也라 生薑以安胃하면 則不嘔오 生半夏以去水하면 則一藏一府之痛消 而以外無餘事矣라(≪傷寒發微≫)
'<선호상한론>확장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호상한론>확장판 98조문 (0) | 2024.11.11 |
---|---|
<선호상한론>확장판 97-2조문 (0) | 2024.11.10 |
<선호상한론>확장판 96조문(小柴胡湯方) (0) | 2024.11.09 |
<선호상한론>확장판 96조문 (0) | 2024.11.07 |
<선호상한론>확장판 95조문 (0) | 2024.1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