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小柴胡湯方
柴胡半斤 黃芩三兩 人參三兩 甘草三兩 炙 半夏半升 洗 生薑各三兩 切 大棗十二枚 擘
上七味를 以水一斗二升으로 煮取六升하야 去滓하고 再煎하야 取三升하야 溫服一升호대 日三服이라
『위 7가지 약물을 물 1말 2되로 달여 6되를 취해서 찌꺼기를 버리고 다시 달여 3되를 얻어 1되를 따뜻하게 복용하되 하루에 3번 복용한다.』
✺內經에 曰 熱淫於內하면 以苦發之라하니 柴胡 黃芩之苦는 以發傳邪之熱이라 裏不足者는 以甘緩之니 人參 甘草之甘은 以緩中和之氣라 邪半入裏則裏氣逆하니 辛而散之니 半夏以除煩嘔오 邪半在表하면 則營衛爭之하니 辛甘解之니 薑棗以和營衛라(≪注解傷寒論≫)
✺傷寒에 邪氣在表者는 必漬形以爲汗이오 邪氣在裏者는 必蕩滌以爲利어니와 其於不外不內半表半裏는 旣非發汗之所宜오 又非吐下之所對니 是當和解則可矣라 小柴胡는 爲和解表裏之劑也라 柴胡는 味苦平微寒이오 黃芩은 味苦寒이라 內經에 曰熱淫於內어든 以苦發之라하니라 邪在半表半裏 則半成熱矣라 熱氣內傳之면 不可하니 則迎而奪之호대 必先散熱이니 是以苦寒爲主라 故로 以柴胡爲君하고 黃芩爲臣하야 以成徹熱發表之劑라 人蔘은 味甘溫이오 甘草는 味甘平이라 邪氣傳裏하면 則裏氣不治하니 甘以緩之라 是以甘物爲之助라 故로 用人蔘甘草爲佐하야 以扶正氣而復之也라 半夏는 味辛微溫이라 邪初入裏면 則裏氣逆하니 辛以散之라 是以辛物爲之助라 故로 用半夏爲佐하야 以順逆氣而散邪也라 裏氣平正하면 則邪氣不得深入이라 是以三味로 佐柴胡하야 以和裏라 生薑은 味辛溫이오 大棗는 味甘溫이라 內經에 曰 辛甘發散爲陽이라하니라 表邪未已하야 迤邐內傳호대 旣未作實이어든 宜當兩解라 其在外者는 必以辛甘之物로 發散이라 故로 生薑大棗爲使하야 輔柴胡以和表라 七物相合하야 兩解之劑當矣라 邪氣가 自表로 未斂爲實할새 乘虛而湊하면 則所傳不一이라 故로 有增損以禦之니라(≪傷寒明理論≫)
✺頌曰 張仲景은 治傷寒에 有大小柴胡 及柴胡加龍骨 柴胡加芒硝等湯이라 故로 後人이 治寒熱에 此爲最要之藥이라(≪本草綱目·茈胡≫)
✺少陽之證은 寒熱하며 胸脇痞滿하고 默默不欲飮食하며 心煩嘔하고 或渴或痞하며 或小便不利라 雖曰病在半表半裏라하나 而胸脇痞滿은 實兼心肺上焦之邪오 心煩喜嘔 默默不欲飮食은 又兼脾胃中焦之證이라 故로 用黃芩以治手足少陽相火하니 黃芩도 亦少陽本經藥也라 成無己 注傷寒論에 但云柴胡·黃芩之苦는 以發傳邪之熱하고 芍藥·黃芩之苦는 以堅斂腸胃之氣라하니 殊昧其治火之妙라 楊士瀛 直指方에 云 柴胡退熱이 不及黃芩이라하니 蓋亦不知柴胡之退熱은 乃苦以發之니 散火之標也오 黃芩之退熱은 乃寒能勝熱이니 折火之本也라(≪本草綱目·黃芩≫)
✺俗醫는 治傷寒에 不分陰陽虛實하고 槪用小柴胡湯호대 去人參하고 加淸熱消導之藥하야 以爲常法이라 蓋喜其不犯汗吐下溫四法하니 凡在表在裏에 總無大害하야 可以藏拙이오 可以免怨也라 噫嘻라 每論及此에 不禁捧腹矣라 夫小柴胡는 爲少陽經 半表半裏 和解之劑라 苟未至此經은 謂之引邪入室이오 旣過此經은 謂之守株待兔라 倘太陽之表熱 及陽明之標熱은 豈此湯所能治乎아 若夫陰寒假熱 足冷脈沈者는 投以此湯이면 立致危殆矣라 嗟乎라 人命至重이오 冥報難逃라 後之學者는 須詳審經症하야 有是疾 則用是方이오 萬勿蹈此陋轍也라(≪傷寒括要·卷下·少陽篇凡一方·小柴胡湯≫)
✺愚按컨대 柴胡는 乃從太陰地土 陽明中土而外達於太陽之藥也라 故로 仲祖卒病論에 言傷寒中風이 不從表解하고 太陽之氣가 逆於中土하야 不能樞轉外出하면 則用小柴胡湯達太陽之氣於肌表라하니 是柴胡는 並非少陽主藥이어늘 後人有病在太陽 而用柴胡 則引邪入於少陽之說은 此庸愚無稽之言이니 後人宗之면 鄙陋甚矣라(≪本草崇原·柴胡≫)
✺琥按컨대 上柴胡湯方은 專治少陽經 往來寒熱 頭角痛 耳聾口苦 脇痛脈弦者니 倘其病初傷本經이어나 或初自太陽陽明二經傳來하야 邪氣方盛할샌 人參一味를 斷不可用이오 若其病過經不解어나 或本經中에 有留邪未盡하고 正氣已虛하면 人參一味를 方可加之也라(≪傷寒論辨症廣注≫)
✺琥又按컨대 加減法은 不但原方後所傳云云코 外有師傳加減者라 內臺金鏡에 云 如發熱小便不利者는 和五苓散이오 嘔惡者는 加橘紅이오 胸中痞結者는 加枳實이오 咳逆而發熱者는 加丁香柿蒂오 嘔吐者는 加竹茹라하니라 據上師傳加減法에 云 咳逆發熱에 咳逆은 當是呃逆이니 呃逆候는 未必盡由於胃寒이라 其加丁香은 不無所誤라하니라(≪傷寒論辨症廣注≫)
✺柴胡는 根生白蒻하고 香美可食하야 感一陽之氣而生이오 半夏는 氣味辛平하고 形圓色白하야 感一陰之氣而生이라 柴胡半夏는 啓一陰一陽之氣而上合於中焦라 人蔘甘草生薑大棗는 滋補中焦之氣而橫達於四旁이라 黃芩은 氣味苦寒하고 外肌皮而內空腐하야 能解軀形之邪熱이라 正氣內出하고 邪熱外淸하니 此는 運樞却病之神方也라(≪傷寒論集注≫)
✺蓋柴胡는 入於表裏之間하야 自能通達經絡이라 故로 可爲佐使오 而性又輕淸微寒하야 所到之處에 春風和氣가 善於解紛이니 所以用之 無不宜也라 然이나 世人은 正因其用無不宜하야 無論可用不可用하고 動卽用之라 如陰虛癆瘵之類에 亦終日煎服하야 耗散眞元하야 內熱更熾하야도 全然不悟하니 不重可悲乎아 夫柴胡는 只可解鬱熱之氣 而不可釋骨髓之炎也오 能入於裏以散邪언정 不能入於裏以補正이라 能提氣以升於陽하야 使參芪歸朮로 共健脾而開胃하고 不能生津以降於陰하야 使麥冬 丹皮로 同益肺以滋腎이라 能入於血室之中以去熱이언정 不能入於命門之內以去寒이라 無奈世人妄用柴胡以殺人也니 余所以探辨之耳니라(≪本草新編·柴胡≫)
✺或問柴胡는 乃半表半裏之藥이라 故로 用之以治肝經之邪最效라 然而肝經은 乃陰臟也니 邪入於肝은 已入於裏矣어늘 又何半表半裏之是云이며 乃往往用柴胡而奏效如神者는 何也오 夫肝經與膽經爲表裏니 邪入於肝에 未有不入於膽者라 或邪從膽而入於肝하고 或邪已入肝 而尚留於膽하야 彼此正相望而相通也라 柴胡는 乃散肝邪 而亦散膽邪之藥이라 故로 入於肝者半而入於膽者亦半也라 所以治肝而膽之邪出이오 治膽而肝之邪亦出也라(≪本草新編·柴胡≫)
✺或問柴胡는 旣是半表半裏之藥이니 邪入於裏할새 用柴胡하야 可引之以出於表하면 則病必輕이어니와 邪入於表에 亦用柴胡하야 倘引之以入於裏면 不病增乎아 不知柴胡는 乃調和之藥이오 非引經之味也라 邪入於內者를 能和之而外出이어늘 豈邪入於內者를 反和之而內入乎아 此傷寒汗吐下之病에 仲景夫子가 所以每用柴胡하야 以和解於半表半裏之間하야 使反危而爲安하고 撥亂而爲治也라(≪本草新編·柴胡≫)
✺柴胡는 能引淸陽之氣하야 從左上升이니 足少陽膽經之藥이라 膽爲淸淨之府오 無出無入하고 禁汗吐下오 惟宜和解니 以其經居半表半裏이라(≪本經逢原·卷一·山草部·柴胡≫)
✺丹溪言黃芩治三焦火라하고 仲景治傷寒少陽證에 用小柴胡湯하고 汗下不解하고 胸滿心煩에 用柴胡桂薑湯하고 溫病에 用黃芩湯하고 太陽少陽合病에 用葛根黃芩黃連湯하고 心下痞滿에 用瀉心湯하고 寒格吐逆에 用乾薑黃芩黃連人參湯等方은 皆用黃芩以治表裏諸熱하야 使邪從小腸而泄이니 皆本經主諸熱之綱旨라(≪本經逢原·卷一·山草部·黃芩≫)
✺昔人은 以柴胡去熱不及黃芩이라 蓋柴胡는 專主少陽往來寒熱이오 少陽爲樞니 非柴胡면 不能宣通中外라 黃芩은 專主陽明蒸熱이오 陽明居中이니 非黃芩이면 不能開泄蘊隆이라 一主風木客邪하고 一主濕土蘊著어늘 詎可混論이리오 芩雖苦寒이나 畢竟治標之藥이니 惟軀殼熱者宜之오 若陰虛伏熱 虛陽發露면 可輕試乎아 其條實者는 兼行衝脈하야 治血熱妄行이라(≪本經逢原·卷一·山草部·黃芩≫)
✺柴胡湯而有大小之分者는 非柴胡有大小之異也오 蓋以其用之輕重 力之大小而言也라 大柴胡湯이 能兩解表裏之邪者는 以柴胡湯으로 解其半表之邪하고 而以大黃으로 攻下其在裏之實邪하야 其功力較大라 故로 謂之大라 小柴胡湯은 兼能和解半表半裏之邪하고 且可以調護其正氣하야 其功用較緩이라 故로 謂之小也라 夫小柴胡湯은 乃升發少陽之要劑也라 草木은 得陽氣而升發이오 陽氣出地而發生草木이니 陽氣附於草木이라 故로 木爲少陽이라 若木得邪氣而抑鬱不舒 則少陽之氣가 不能宣布其發生矣라 故로 六元正紀大論에 云 木鬱則達之라하니 木氣條達하면 則少陽之氣升發하야 天地變化而草木蕃矣라 人身之陽氣는 由腎水中命門而出하야 從三陰而始達少陽이니 若爲邪氣所遏하야 其氣不得由陽明而達太陽하면 邪客其經하니 所以往來寒熱 胸脇滿而脇下痞硬 或嘔或渴之證이라 肝膽受邪 故로 口苦咽乾目眩也라 邪在少陽하야 內逼三陰하면 達表之途遼遠하니 汗之면 徒足以敗衛亡陽이라 少陽은 雖外屬三陽이나 而入裏之路較近하니 下之면 適足以陷邪傷胃라 汗下俱所不宜 故로 立小柴胡湯하야 以升發少陽之鬱邪하야 使淸陽達表而解散之니 卽所謂木鬱達之之義也라 故로 少陽一經은 惟此一方이오 無他法也라 雖有多證이나 亦不過因此出入變化而已라 至變證已離少陽은 柴胡不中與之니 則更用他法矣라 雖後人之補中益氣湯及逍遙散之類라도 其升發淸陽開解鬱結之義는 亦皆不離小柴胡之旨也라(≪傷寒溯源集≫)
✺方用柴胡爲君者는 李時珍云 柴胡는 乃手足厥陰少陽之藥이니 勞在脾胃有熱 或陽氣下陷 則柴胡는 乃引淸氣退熱에 必用之藥이라하고 李東垣謂能引淸氣而行陽道하니 傷寒外에 諸有熱則加之오 無熱則不必也라 又能引胃氣上行하야 升騰而行春令이라 又凡諸瘧에 以柴胡爲君하고 隨所在經分하야 佐以引經之藥이라 十二經瘡疽中에 須用以散諸經血結氣聚라하니라 愚按컨대 所謂淸氣者는 下焦所升淸陽之氣也라 謂之淸陽者는 蓋穀之濁氣가 降於下焦하야 爲命門眞陽之所蒸하야 其淸氣는 騰達於上하야 聚膻中而爲氣海하고 通於肺而爲呼吸하고 布於皮膚而爲衛氣하고 運行於周身內外上中下而爲三焦하고 附於肝膽而爲少陽風木이라 故로 淸陽不升하면 內無以達生發陽和之氣니 所以外不能驅邪出表矣라 陰陽應象論에 云 淸氣在下 則生飧泄이오 濁氣在上 則生䐜脹이라하니 此는 陰陽反作 病之逆從也라 因此而東垣有能引胃氣上行 升騰而行春令之語하고 瀕湖有脾胃有熱 陽氣下陷 引淸氣而退熱之用하니 是下焦之眞陽虛 則當以溫補命門爲主오 下焦之眞陽不上行 則當以升發淸陽爲急이라 必使陽氣運行하야 淸陽出上竅하고 濁陰出下竅하며 淸陽發腠理하고 濁陰走五臟하며 淸陽實四肢하고 濁陰歸六腑 然後에 陰陽各得其用也라 小柴胡湯之用柴胡는 蓋取其淸陽發腠理也오 黃芩者는 佐柴胡而徹其熱也라(≪傷寒溯源集≫)
✺藏氣法時論云 肝苦急이어든 急食甘以緩之라하니 故로 用人參甘草之甘緩이라 膽爲奇恒之府오 其精汁無餘하니 所以藏而不瀉오 與他腑之傳化로 不同이라 況少陽爲春生之始氣오 春氣旺則百物皆生이라 故로 十一臟皆取決焉이라 手少陰三焦는 以氣爲用이니 氣不旺 則不能運化流行이라 故로 以人參助其升發運行之力也라 其在本方에 已有因證加減之法이어늘 今世俗皆棄人參而不用 以爲穩當하니 乃盲醫不知虛實之故也라 惟熱盛而邪實者라야 乃可去之오 或有兼證之不相合者도 亦可去也어니와 若邪輕而正氣虛者는 未可槪去也오 或邪氣雖盛而正氣大虛者도 亦當酌其去取也라 如柴胡桂枝湯은 雖發熱微惡寒 支節煩疼 微嘔而心下支結이 爲外證未去나 乃太少兼證이라 故로 於小柴胡之半劑에 加入桂枝湯之半以兩解之 而人參仍不去也라 又如柴胡桂枝乾薑湯은 雖已發汗而復下之하야 不爲不虛矣나 又以胸脇滿而微結 但頭汗出 往來寒熱하야 非惟少陽之邪未解오 太陽亦未解也라 故로 增入桂枝乾薑栝蔞牡蠣하고 而人參半夏薑棗를 皆減去矣라 又如柴胡加芒硝湯은 雖有潮熱胃實之證이나 以其胸脇滿而嘔는 本屬柴胡證이니 奈以非其治之丸藥下之하야 致成少陽壞病이라 故로 但加芒硝而人參仍不去也라 更如大柴胡湯은 以太陽病而過經十餘日한대 反二三下之니 亦可謂虛矣라 更後四五日而柴胡證仍在라 故로 先與小柴胡湯이오 服湯而嘔不止 心下反急 鬱鬱微煩不解者는 蓋因邪自太陽誤下入裏오 且柴胡證仍在라 故로 仍以柴胡解少陽之邪하고 加入大黃枳實하야 以攻入裏之邪니 合而爲兩解表裏之劑라 然이나 以太陽入裏之熱邪未去하니 所以竟去人參也라 若此之類가 皆去取之法이오 仍小柴胡湯之變法也라 總之컨대 邪氣獨在少陽은 未見有去人參者오 若兼太陽表症 及陽明胃實者는 未有不去人參者也라 若能得其去取之旨면 便能隨證加減에 無不得心應手矣라 半夏辛溫滑利는 可以去胸脇之滿 及痞硬之邪니 卽半夏瀉心之義오 非獨治痰蠲飮也라 生薑은 辛而能散이오 大棗는 甘而和緩이니 可以和營衛而調其往來之寒熱也라 以一方而該一經之證이니 苟非靈機活潑 隨證轉移면 曷足以盡其變哉리오(≪傷寒溯源集≫)
✺少陽經은 行半表半裏니 少陽受邪하야 邪並於陰則寒하고 邪並於陽則熱이라 柴胡는 和解少陽이라 故로 主寒熱之邪氣也라(≪本草經解·柴胡≫)
✺柴胡는 感一陽之氣而生이라 故로 能直入少陽하야 引淸氣上升而行春令하니 爲治寒熱往來之第一品藥이라 少陽表邪不解면 必需之라 半夏는 感一陰之氣而生이라 故로 能開結氣 降逆氣 除痰飮하니 爲嘔家第一品藥이라 若不嘔而胸煩口渴者는 去之니 以其散水氣也새라 黃芩은 外堅內空이라 故로 能內除煩熱하야 利胸膈逆氣라 腹中痛者는 是少陽相火爲害니 以其苦從火化라 故로 易芍藥之酸以瀉之라 心下悸 小便不利者는 以苦能補腎이라 故로 易茯苓之淡以滲之라(≪柯氏傷寒論注≫)
✺人蔘甘草는 補中氣和營衛하야 使正勝則邪却하나니 內邪不留면 外邪勿復入也라 仲景於表證不用人蔘이나 此는 因有半裏之無形證이라 故로 用之以扶元氣하야 使內和而外邪勿入也라 身有微熱은 是表未解니 不可補오 心中煩與咳는 是逆氣有餘니 不可益氣라 故로 去之라 如太陽汗後身痛而脈沈遲와 下後協熱利而心下硬은 是太陽之半表半裏證也라 表雖不解나 因汗下後重在裏라 故參桂兼用이라 先輩論此湯호대 轉旋在柴芩二味하야 以柴胡淸表熱 黃芩淸裏熱也라하고 盧氏 以柴胡半夏得二至之氣而生이니 爲半表半裏之主治라하니 俱似有理나 然이나 本方七味中에 半夏 黃芩은 俱在可去之例어니와 惟不去柴胡甘草하니 當知寒熱往來는 全賴柴胡解外甘草和中이라 故로 大柴胡는 去甘草하야 便另名湯하고 不入加減法하니라(≪柯氏傷寒論注≫)
✺此는 爲少陽樞機之劑니 和解表裏之總方也라 少陽之氣는 游行三焦 而司一身腠理之開闔이라 血弱氣虛하야 腠理開發하면 邪氣因入하야 與正氣相搏하야 邪正分爭이라 故로 往來寒熱이라 與傷寒頭疼發熱而脈弦細와 中風兩無關者는 皆是虛火游行於半表라 故로 取柴胡之輕淸微苦微寒者하야 以解表邪하고 卽以人參之微甘微溫者로 預補其正氣하야 使裏氣로 和而外邪勿得入也라 其口苦 咽乾 目眩 目赤 頭汗 心煩 舌胎等症은 皆虛火游行於半裏라 故로 用黃芩之苦寒以淸之하고 卽用甘棗之甘以緩之니 亦以提防三陰之受邪也라 太陽에 傷寒則嘔逆하고 中風則乾嘔라 此欲嘔者는 邪正相搏於半裏라 故로 欲嘔而不逆이라 脇居一身之半하야 爲少陽之樞라 邪結於脇 則樞機不利하니 所以胸脇苦滿 黙黙不欲食也라 引用薑半之辛散하야 一以佐柴芩而逐邪하고 一以行甘棗之泥滯하니 可以止嘔者는 卽可以泄滿矣라 夫邪在半表하고 勢已向裏하야 未有定居라 故로 有或爲之證이라 所以方有加減이니 藥無定品之可拘也라(≪傷寒附翼≫)
✺合而觀之컨대 但顧邪氣之散 而正氣無傷이 此制小柴胡之意歟져 是方也는 與桂枝湯으로 相仿이어늘 而柴胡之解表는 遜於桂枝하며 黃芩之淸裏는 重於芍藥하고 薑棗甘草는 微行辛甘發散之常이오 而人參甘溫은 已示虛火可補之義라 且去滓再煎之法은 又與他劑로 不同이라 粗工은 恐其閉住邪氣하야 妄用柴芩而屛絶人參하니 所以來虛之症이 不能奏功하고 反以速斃也라 按컨대 本方七味는 柴胡는 主表邪不解하고 甘草는 主裏氣不調하고 五物은 皆在進退之列이라 本方에 若去甘草면 便名大柴胡오 若去柴胡면 便名瀉心 黃芩 黃連等湯矣라 前輩가 皆推柴胡爲主治하고 盧氏는 又以柴胡三生半冬하야 配半夏爲主治하니 皆未審本方加減之義耳라(≪傷寒附翼≫)
✺邪傳太陽陽明은 曰汗曰吐曰下어니와 邪傳少陽은 惟宜和解오 汗吐下三法이 皆在所禁이니 以其邪在半表半裏 而角於軀殼之內界라 在半表者는 是客邪爲病也오 在半裏者는 是主氣受病也라 邪正在兩界之間하야 各無進退而相持라 故로 立和解一法이라 旣以柴胡로 解少陽在經之表寒하고 黃芩으로 解少陽在府之裏熱한대 猶恐在裏之太陰正氣一虛하야 在經之少陽邪氣乘之라 故로 以薑棗人參으로 和中而預壯裏氣하야 使裏不受邪而和 還表以作解也라 世俗不審邪之所據 果在半表半裏之間 與所以應否和解之宜하고 及陰陽疑似之辨에 總以小柴胡爲套劑라 醫家는 幸其自處無過오 病者는 喜其藥味平和니 殊不知因循誤人이 實爲不淺이라 故로 凡治病者는 當識其未然하야 圖機於早也라(≪醫宗金鑑≫)
✺程應旄曰 方以小柴胡名者는 取配乎少陽之義也라 至於制方之旨及加減法은 則所云上焦得通 津液得下 胃氣因和로 盡之矣라 方中以柴胡疏木하야 使半表之邪로 得從外宣하고 黃芩淸火하야 使半裏之邪로 得從內徹하고 半夏豁痰飮하야 降裏氣之逆하고 人參補內虛하야 助生發之氣하고 甘草佐柴芩하야 調和內外하고 薑棗佐參夏하야 通達榮衛하니 相須相濟하야 使邪不至內向而外解也라(≪醫宗金鑑≫)
✺總之컨대 邪在少陽은 是半表半裏之熱이 鬱而不升이라 故로 以小柴胡治之니 所謂升降浮沈則順之也라(≪醫宗金鑑≫)
✺凡此諸病은 總是少陽中鬱하야 表裏不和之故라 小柴胡湯에 柴芩은 淸半表而瀉甲木하고 參甘棗는 溫半裏而補己土하고 生薑半夏는 降胃逆而止嘔吐也라 少陽은 在半表半裏之間하니 半裏之陰虛하면 則自陽明之經而入於陽明之腑하고 半裏之陽虛하면 則自太陰之經而入太陰之臟이라 小柴胡柴芩은 淸泄半表하야 使不入於陽明이오 參甘은 溫補半裏하야 使不入於太陰이니 則邪解於本經 而無入陰入陽之患이니 是之謂和解表裏也라 蓋木病則傳土하니 所謂病則傳其所勝也라 少陽은 與陽明太陰爲鄰이니 防其克土而傳陽明이라 故로 以柴芩으로 瀉半表而淸陽明이오 防其克土而傳太陰이라 故로 以參甘으로 補半裏而溫太陰이니 於是表裏雙解矣라(≪傷寒懸解≫)
✺此湯은 除大棗하고 共廿八兩이니 較今稱亦五兩六錢零이오 雖分三服이라도 已爲重劑라 蓋少陽은 介於兩陽之間이니 須兼顧三經이라 故로 藥不宜輕이라 去渣再煎者는 此方이 乃和解之劑니 再煎則藥性和合하야 能使經氣相融하야 不復往來出入이라 古聖은 不但用藥之妙오 其煎法도 俱有精義라(≪傷寒論類方≫)
✺玉函은 七味下에 有㕮咀字하고 再煎은 作再煮하고 無三服之服하고 若渴下에 有者字하니 成本도 亦有라 千金翼은 無栝蔞根四兩五字하고 玉函 千金翼은 硬이 作堅이오 下有者字라 牡蠣四兩은 千金翼 外臺에 作六兩이라 成本 玉函 千金翼은 缺桂枝之枝라 錢氏는 不見宋版이라 故로 有爲桂枝無疑之說이라(≪傷寒論輯義≫)
✺蘇沈良方에 曰 此藥은 傷寒論에 雖主數十證이나 大要는 其間有五證이 最的當이니 服之면 必愈라 一者는 身熱心中逆 或嘔吐者 可服이오 若因渴飮水而嘔者는 不可服이오 身體不溫熱者는 不可服이라 二者는 寒熱往來者 可服이오 三者는 發潮熱者 可服이오 四者는 心煩脇下滿 或渴或不渴이 皆可服이오 五者는 傷寒已瘥後 更發熱者 可服이라 此五證에 但有一證이어든 更勿疑오 便可服이라 若有三兩證以上이면 更的當也라 世人이 但知小柴胡湯治傷寒하고 不問何證코 便服之니 不徒無效오 兼有所害는 緣此藥差寒故也라 元 二年에 時行無少長皆咳할새 本方에 去人參大棗生薑하고 加五味子乾薑各半兩하야 服此하니 皆愈라 常時에 上壅痰實에 只依本方하야 食後臥時服하니 甚妙라 赤白痢에 尤效니 痢藥中에 無知此妙는 蓋痢多因伏暑어늘 此藥이 極解暑毒이라(≪傷寒論輯義≫)
✺徐春甫古今醫統에 曰 張仲景著傷寒論은 專以外傷爲法이나 其中顧盻脾胃元氣之秘는 世醫鮮有知之라 觀컨대 其少陽證小柴胡湯에 用人參은 則防邪氣之入三陰이오 或恐脾胃稍虛하야 邪乘而入이어든 必用人參甘草하야 固脾胃以充中氣니 是外傷未嘗不內因也라 可見仲景公之立方이 神化莫測이라 或者는 只以外傷是其所長 而內傷非所知也라하니 此는 誠不知公之論也라(≪傷寒論輯義≫)
✺千金方에 婦人在蓐得風할새 蓋四肢苦煩熱은 皆自發露所爲니 若頭不痛 但煩熱하면 與三物黃芩湯이오 頭痛하면 與小柴胡湯이라(≪傷寒論輯義≫)
✺又黃龍湯은 治傷寒瘥後에 更頭痛壯熱煩悶方이라 仲景이 名小柴胡湯이라(活人書 黃龍湯은 不用半夏라)(≪傷寒論輯義≫)
✺聖惠方에 治陽毒傷寒 四肢壯熱 心膈煩躁 嘔吐不定方은 於本方에 去大棗하고 加麥門冬 竹葉이라(十便良方은 名人參飮子라)(≪傷寒論輯義≫)
✺又治傷寒乾嘔不止 心胸煩躁四肢熱 柴胡散方은 於本方에 加麥門冬 枳殼 枇杷葉이라(≪傷寒論輯義≫)
✺又治傷寒十餘日 熱氣結於胸中 往來寒熱 柴胡散方은 於本方에 去人參하고 加枳殼 赤芍藥 桔梗이라(≪傷寒論輯義≫)
✺又治妊娠傷寒에 微嘔 心下支滿 外證未去 柴胡散方은 於本方에 加芍藥 犀角屑 麥門冬이라(≪傷寒論輯義≫)
✺小兒直訣 地骨皮散은 治虛熱이니 於本方에 加知母 茯苓 地骨皮라(≪傷寒論輯義≫)
✺直指方 小柴胡湯은 治男女諸熱出血 血熱蘊隆이니 於本方에 加烏梅라(≪傷寒論輯義≫)
✺又治傷暑外熱內渴이니 於內에 更加生薑하면 爲妙라(≪傷寒論輯義≫)
✺保命集에 治上焦吐 頭發痛 有汗脈弦 鎭靑丸은 於本方에 去棗하고 加靑黛하야 爲細末하야 薑汁浸蒸餅爲丸이라(≪傷寒論輯義≫)
✺又治産後經水適斷 感於異證 手足牽搐 切牙昏冒에 宜增損柴胡湯이니 於本方에 加石膏 知母 黃芪라(≪傷寒論輯義≫)
✺又治産後日久니 雖日久 而脈浮疾者는 宜服三元湯이라 本方에 合四物湯이라(又名柴胡四物湯이오 醫壘元戎은 名調經湯이라)(≪傷寒論輯義≫)
✺又産後日久虛勞한대 針灸小藥俱不效者는 宜服三分湯이니 本方에 合四物湯하고 加白朮 茯苓 黃芪라(≪傷寒論輯義≫)
✺得效方小柴胡湯은 治挾嵐嶂溪源蒸毒之氣하야 自嶺以南하야 地毒苦炎하고 燥濕不常할새 人多患此狀이라 血乘上焦하면 病欲來時에 令人迷困하고 甚則發躁狂忘이라 亦有啞不能言者는 皆由敗毒瘀心하야 毒涎聚於脾所致니 於此藥中에 加大黃 枳殼各五錢이라(≪傷寒論輯義≫)
✺傷寒蘊要에 近代名醫加減法이라 若胸膈痞滿不寬 或胸中痛 或脇下痞滿 或脇下痛하면 去人參하고 加枳殼 桔梗各二錢하니 名柴胡枳殼湯이라 若胸中痞滿 按之痛者는 去人參하고 加栝蔞仁三錢 枳殼 桔梗各二錢五分 黃連二錢이니 名柴胡陷胸湯이라 若脈弱虛發熱 口渴不飮水者는 人參倍用하고 加麥門冬一錢五分 五味子十五個니 名參胡淸熱飮이오 又名淸熱生脈湯이라 若脈弦虛發熱 或兩尺且浮無力은 此必有先因房事니 或曾夢遺走精 或病中還不固者는 宜加知母 黃柏各二錢 牡蠣粉一錢이니 名滋陰淸熱飮이라 如有咳嗽者는 更加五味子十一個라 若脈弦虛 發熱口乾 或大便不實 胃弱不食者는 加白朮 白茯苓 白芍藥各一錢五分이니 名參胡三白湯이라 若發熱煩渴 脈浮弦而數 小便不利 大便泄利者는 加四苓散用之니 名柴苓湯이라 內熱多者는 此名協熱而利니 加炒黃連一錢五分 白芍藥一錢五分이오 腹痛은 倍用이라 若腹疼惡寒者는 去黃芩하고 加炒白芍藥二錢 桂一錢이니 名柴胡建中湯이라 若自汗惡風 腹痛發熱者도 亦主之라(≪傷寒論輯義≫)
✺若心下痞滿 發熱者는 加枳實二錢 黃連一錢五分이오 若血虛發熱 至夜尤甚者는 加當歸身 川芎 白芍藥各一錢五分 生地黃一錢이오 若口燥舌乾 津液不足者는 去半夏하고 加栝蔞根一錢五分 麥門冬一錢五分 五味子十五個라(≪傷寒論輯義≫)
✺若內熱甚者가 錯語心煩하고 不得眠者는 加黃連 黃柏 山梔仁各一錢이니 名柴胡解毒湯이오 若脈弦長하고 少陽與陽明合病 而熱者는 加葛根三錢 白芍藥二錢이니 名柴葛解肌湯이오 若脈洪數하고 無外症하며 惡熱하고 內熱甚하야 煩渴飮水者는 合白虎湯主之니 名參胡石膏湯이라(≪傷寒論輯義≫)
✺醫方考에 瘧發時에 一身盡痛 手足沈重 寒多熱少 脈濡者는 名曰濕瘧이니 柴平湯主之라하니 本方에 合平胃散이라(≪傷寒論輯義≫)
✺醫經會解에 曰 脇下痞悶은 去棗하고 加牡蠣 枳實이니 名小柴胡加枳實湯이오 鼻衄은 加生地 茅花하고 痰盛喘은 加桑白皮 烏梅하고 口乾舌燥는 去半夏하고 加天花粉 貝母하고 自汗惡熱 譫語煩渴은 去半夏하고 合白虎湯正方하고 血虛夜發熱하고 有小柴胡一二證하면 加當歸 芍藥 麥門冬 熟地하고 壞證은 加鱉甲이라(≪傷寒論輯義≫)
✺本草權度에 曰 玉莖挺長도 亦濕熱이니 小柴胡湯에 加連이오 有塊면 靑皮오 外用絲瓜汁에 調五倍子敷라(≪傷寒論輯義≫)
✺按컨대 柴胡는 感一陽之氣而生이니 少陽之邪는 非此不解라 合之甘草以兩和表裏니 此爲小柴胡湯中에 不可移掇之藥이라 生薑은 兼散太陽之寒하야 使半表之邪로 得從外宣이오 黃芩은 兼淸陽明之熱하야 使半裏之邪로 得從內徹이라 半夏는 有逐飮之能하니 取以降逆而止嘔오 大棗는 擅和中之用이니 取以安土而戢木이라 用人參者는 非取其補正이오 以邪在半表半裏之界니 預行托住裏氣하야 使邪不內入也라 以此爲往來寒熱 胸脇苦滿 默默不欲飮食 心煩喜嘔諸證的對之主方이라(≪傷寒尋源·下集·小柴胡湯≫)
✺仲景所用柴胡는 是今四川産者니 一莖直上 中通 有白瓤라 故로 能通三焦之膜膈이라 色靑氣香하고 春日生成하야 恰得少陽之氣니 非別省紅軟銀白等柴胡也라 各省柴胡性烈은 非少陽之性也니 用之傷人이라 比羌獨活更烈하니 決不可用이라 讀仲景書者는 若見四川柴胡 則知仲景用藥之妙라(≪傷寒論淺注補正≫)
✺黃芩은 味苦하며 中多虛空하야 有孔道어늘 人身은 惟三焦가 是行水氣之孔道로 主相火라 黃芩이 中空有孔하니 入三焦하고 而味又苦라 故로 主淸相火라(≪本草問答≫)
✺人身生發之氣는 全賴少陽이니 少陽屬春이오 其時에 草木句萌以至暢茂하야 不少停駐라 然이나 當陰盡生陽之後에 未離乎陰이니 易爲寒氣所鬱이오 寒氣鬱하면 則陽不得伸而與陰爭하야 寒熱始作이라 柴胡는 乃從陰出陽之藥이니 香氣徹霄 輕淸疏達하야 以治傷寒寒熱往來로 正爲符合이라 鄒氏所謂暢鬱陽以化滯陰也라(≪本草思辨錄·卷一·柴胡≫)
✺人知黃芩爲少陽藥而不識其所以然이어늘 竊思其色靑勝於黃하야 得甲膽之氣며 又中空似膽府오 氣寒能淸膽熱이라 膽屬少陽相火니 相火者는 佐君而行其令者也라 人賴此火以動作云爲라 故로 氣分之熱은 少陽爲多오 治氣熱之藥도 亦惟黃芩爲方中易見이라(≪本草思辨錄·卷一·黃芩≫)
✺少陽爲三陽之樞오 少陰爲三陰之樞라 凡言樞者는 皆一經中有陰有陽하야 入則爲陰이오 出則爲陽이니 猶樞機之轉移라 少陰水臟而寓君火하니 固陰陽兼具矣오 少陽은 似有陽無陰이나 然이나 藏於肝葉이니 是一陽初生而尚不離乎陰이라 故로 二經相感極易라 肝病有熱卽挾膽火하고 膽病有寒卽挾肝風이라 肝氣之上逆卽膽이오 膽氣之下降卽肝이라 往來寒熱은 雖少陽病이나 却非全不涉肝이니 以陽之稚하야 不能竟遠乎陰하야 而有出入相爭之象也ᅟᅵᆯ새라 爭則宜解宜和니 人知小柴胡湯爲少陽和解之劑어니와 不知柴芩專解邪오 參乃所以和之라 病兼陰陽한대 何以解之第有寒藥이리오 蓋此固少陽勢重이니 退少陽則厥陰自靖이오 且有人參調停其間이니 何患寒熱之不止아 參爲少陽藥有鑿鑿可據者는 瀉心湯에 心煩無參이라가 而脇下有水氣則用之하고 胸痹諸方에 無參이라가 而脇下逆搶心則用之오 卽小柴胡湯有加減法에 而獨於嘔於渴於脇下痞硬에 不去參이니 此可知人參爲和少陽之專藥矣라(≪本草思辨錄·卷一·人參≫)
✺仲聖方에 乾薑黃連並用之證은 必兼有嘔라 嘔屬少陽이라 故로 方中必有黃芩人參少陽專門之藥이라 蓋少陽爲三陽之樞니 以黃連降胃陽하고 乾薑升脾陰하야 脾升胃降하면 少陽乃得轉樞라 此少陽無往來寒熱之治法이니 治在此而效見於彼者也라(≪本草思辨錄·卷三·乾薑≫)
後加減法
①若胸中煩而不嘔者는 去半夏 人參하고 加瓜蔞實一枚라
『胸中이 煩하고 嘔逆하지 않으면 반하와 인삼을 빼고 과루실 1개를 더한다.』
✺胸中煩而不嘔는 熱聚而氣不逆也라 甘者는 令人中滿하니 方熱聚엔 無用人參之補오 辛散은 逆氣하니 旣不嘔면 無用半夏之辛溫이라 熱宜寒療오 聚宜苦니 栝蔞實은 苦寒하야 以泄胸中蘊熱이라(≪注解傷寒論≫)
✺胸中煩而不嘔어든 去半夏人參하고 加栝蔞實이라 煩者는 熱也라 嘔者는 氣逆也라 胸中煩而不嘔는 則熱聚而氣不逆이니 邪氣欲漸成實也라 人參은 味甘爲補劑니 去之하야 使不助熱也라 半夏는 味辛爲散劑니 去之하야 以無逆氣也라 栝蔞實은 味苦寒이라 除熱엔 必以寒이오 泄熱엔 必以苦니 加栝蔞實하야 以通胸中鬱熱이라(≪傷寒明理論≫)
✺胸中煩而不嘔者는 熱聚而氣不逆也라 甘草는 令人之中滿오 方熱聚에 無用人參之補라 辛散逆氣한대 旣不能嘔하니 無用半夏之辛이라 治熱宜寒 破聚宜苦라 故로 用栝蔞實苦寒之劑하야 以瀉胸中蘊結之熱氣也라(≪金鏡內臺方議·小柴胡湯·加減法≫)
✺煩은 熱悶也라 去人參은 熱聚而悶에 不宜固氣也라 不嘔는 無伏飮以爲逆也라 去半夏은 旣無伏飮爲逆이니 不須辛散也라 栝蔞實者는 寒以泄熱 苦以散滿也라(≪傷寒論條辨≫)
✺煩者는 熱也오 嘔者는 逆也라 煩而不嘔면 則熱雖聚 而氣未逆이니 邪氣欲漸實也라 去人參者는 恐其助熱이오 去半夏者는 以無逆氣이오 加栝蔞實者는 專除煩熱耳라(≪傷寒括要·卷下·少陽篇凡一方·小柴胡湯≫)
✺胸爲陽分이오 煩爲陽邪라 以陽邪留薄於胸中이라 故로 去半夏人參之助陽而加栝蔞이니 實以滌飮除煩也라(≪傷寒纘論≫)
✺其實黃色이오 內如重樓하며 其仁色綠多脂하고 性能從上而下라 ······ 治煩滿大熱者는 謂降在上之火熱下泄이니 此實之功能也라(≪本草崇原·卷中·瓜蔞根≫)
✺煩者는 熱也오 嘔者는 氣逆也라 胸中煩而不嘔 則熱聚而氣不逆이니 邪氣欲漸成實也라 人參味甘爲補劑니 去之하야 使不助熱也오 半夏味辛爲散劑니 去之는 以無逆氣也라 栝蔞實은 味苦寒이라 除熱必以寒이오 泄熱必以苦니 加栝蔞實하야 以通胸中鬱熱이라(≪傷寒論辨症廣注≫)
✺或胸中但煩而不嘔는 涉於少陰心主之氣分矣라(≪傷寒論集注≫)
✺若胸中煩而不嘔는 煩은 乃火熱上乘이라 故로 去半夏之辛燥오 不嘔則中胃不虛니 無庸人參之助胃라 加栝蔞實하야 導胸中之煩熱以下降이라(≪傷寒論集注≫)
✺栝蔞實은 甘寒潤燥니 宜其爲治嗽消痰止渴之要藥은 以能洗滌胸膈中垢膩鬱熱耳라 仲景治喉痹痛 引心腎咳唾喘息及結胸滿痛에 皆用栝蔞實은 取其甘寒不犯胃氣하고 能降上焦之火하야 使痰氣下降也라 其性較栝蔞根稍平 而無寒鬱之患이나 但脾胃虛及嘔吐自利者는 不可用이라(≪本經逢原·卷二·蔓草部·栝蔞實≫)
✺傷寒鬱熱之邪 及中風之陽邪在胸은 皆可發煩이오 邪在少陽도 可煩이오 太陽之邪在胸하야도 亦煩이니 以邪熱摶聚於胸中而煩悶은 不宜補氣라 故로 去人參이라 外邪犯胃하야 寒飮聚於胃口則嘔라 故로 用半夏之辛溫滑利以蠲飮이라 若不嘔면 則邪未犯胃 飮未摶結이라 故로 去半夏也라 栝蔞實은 甘寒潤燥하니 降火하야 治咳嗽라 故로 加之以去胸邪而止煩熱이라 李時珍云 張仲景이 治胸痹痛引心背 咳唾喘息 及結胸滿痛에 皆用栝蔞實은 乃取其甘寒不犯胃氣하야 能降上焦之火하야 使痰氣下降也라 成氏가 不知此意하고 乃云苦寒以瀉熱이라하니 蓋不嘗其味하고 隨文附會耳라하니라 然이나 栝蔞之性滑하고 半夏亦滑이나 因栝蔞甘寒은 宜於煩熱이오 半夏辛溫 故로 不用也라(≪傷寒溯源集≫)
✺若胸中煩而不嘔者는 去半夏人參하니 恐其助煩也라 若煩而嘔者는 則人參可去 而半夏는 不得不用矣라 加栝萎實者는 取其苦寒하야 降火而除煩也라(≪傷寒附翼≫)
✺胸中煩而不嘔者는 邪聚於膈而不上逆也라 熱聚則不得以甘補오 不逆則不必以辛散이라 故로 去人參半夏 而加瓜蔞實之寒하야 以除熱而蕩實也라(≪傷寒貫珠集≫)
✺至若煩而不嘔者는 火氣燥實逼胸也라 故로 去人參半夏하고 加栝蔞實也라(≪醫宗金鑑≫)
✺不嘔면 不必用半夏오 煩은 不可用人參이라 栝蔞實은 除胸痹니 此小陷胸之法也라(≪傷寒論類方≫)
✺栝蔞實은 滌淤而淸煩이라(≪傷寒懸解≫)
✺功專降火하야 下氣墜痰이라 緣肺受火逼 則水必停而痰生하고 痰生則肺失養而氣壅이라 故로 有喘急胸滿 咳嗽 咽閉 口渴之病矣라 栝樓는 性寒味甘하야 能除上焦傷寒 胸膈鬱結痰氣하야 使之入腸胃而下降이라 故로 仲景小陷胸湯에 用此以治邪結在胸하고 又以小柴胡湯에 用此易半夏하야 以治少陽證見口渴等證이라(≪本草求眞·瓜蔞仁≫)
✺胸中煩者는 邪氣內侵君主라 故로 去半夏之燥오 不嘔者는 胃中和而不虛라 故로 去人參之補하고 加栝蔞實之苦寒하야 導火熱以下降也라(≪長沙方歌括·卷三·太陽方·小柴胡湯≫)
✺本方之用人參은 以邪正相爭 故로 宜輔正이오 用半夏는 以證見嘔滿이라 故로 宜止嘔라 若但煩而不嘔면 不嘔則並無飮邪니 何須半夏逐飮이리오 不嘔而但煩이면 則煩은 非本證心煩喜嘔之煩이오 而正爲熱邪摶結하야 將欲入裏之煩이니 若用人參하면 不能轉正이오 反能實邪하야 禍不小矣라 故로 並去之而加栝蔞實은 以栝蔞實이 能降熱痰而開胸痹也라(≪傷寒尋源·下集·小柴胡湯≫)
✺小柴胡湯에 胸中煩而不嘔者는 去半夏人參하고 加栝萎實一枚라 徐注에 云 不嘔는 不必用半夏오 煩은 不可用人參이오 栝蔞實은 除胸痹니 此小陷胸之法이라하니라 按컨대 心煩喜嘔는 爲少陽本證이어늘 或煩而不嘔는 則方有加減이라 觀心煩喜嘔之用參하면 卽可知參之去는 爲煩而不嘔라 不嘔는 自無需半夏라 故로 以去半夏人參並言之라 蓋嘔則胸中之邪가 不至於窒이니 若不嘔而用參 則更閉其邪라 故로 去參而加以蕩胸之栝蔞實이라 徐는 以不嘔與煩을 拆講이라 又但知別錄栝蔞實主胸痹 而不知證之何以胸痹라 故로 其注語는 全不中肯이라 況柴胡加龍骨牡蠣湯은 煩而有參이오 柴胡桂枝乾薑湯은 煩而不嘔하야 無參이니 不可參觀而得之邪아(≪本草思辨錄·敍說≫)
✺心爲牡臟이니 煩而補之면 則煩彌甚이라 然이나 小柴胡湯 煩而兼嘔에 不忌하고(煩而不嘔에 去半夏人參은 謂煩而嘔則不去也라 徐氏傷寒類方注誤라) 白虎加人參湯 煩而兼渴에 不忌는 以嘔渴이 皆少陽木火爲之니 生其津以和之면 而煩亦自已也ᅟᅵᆯ새라(≪本草思辨錄·卷一·人參≫)
②若渴은 去半夏하고 加人參 合前四兩半 瓜蔞根四兩이라
『갈증이 있으면 반하를 빼고 인삼을 앞의 것과 섞어 4냥 반이 되게 하고 괄루근 4냥을 더한다.』
✺半夏은 燥津液이니 非渴者所宜라 人參은 甘而潤하고 栝蔞根은 苦而凉하야 徹熱生津하니 二物爲當이라(≪注解傷寒論≫)
✺若渴者는 去半夏하고 加人參栝蔞根이라 津液不足則渴이라 半夏는 味辛性燥하야 滲津液物也니 去之면 則津液易復이라 人參은 味甘而潤이오 栝蔞根은 味苦而堅이니 堅潤相合하면 津液生而渴自已라(≪傷寒明理論≫)
✺半夏는 性燥하야 能損津液하니 渴者故로 去之라 栝蔞根은 性寒하야 能生津止渴除熱이오 人參은 能潤養津液이라 故로 加此二者用之라(≪金鏡內臺方議·小柴胡湯·加減法≫)
✺渴은 津液不足也니 半夏는 燥津液이라 故로 去之라 人參은 生津而止渴하고 栝蔞根은 徹熱而益津하니 所以加之也라(≪傷寒論條辨≫)
✺渴爲津枯어늘 半夏性燥라 故로 去之오 人參甘潤 栝蔞苦堅은 可以生津而止渴이라(≪傷寒括要·卷下·少陽篇凡一方·小柴胡湯≫)
✺渴爲津液受傷이라 故로 去半夏之辛燥 而用栝蔞根之淸潤하고 加用人參之甘以益津也라(≪傷寒纘論≫)
✺津液不足則渴이라 半夏는 味辛性燥하야 滲津液物也니 去之則津液易復이라 人參은 味甘而潤이오 栝蔞根은 味苦而堅이니 堅潤相合하야 津液生而渴自已라 愚以胃實熱甚而渴者는 人參恐不宜用이니 加藥法을 不可執也니라(≪傷寒論辨症廣注≫)
✺或渴者는 在於陽明也라(≪傷寒論集注≫)
✺若渴者는 乃陽明燥熱之氣라 故로 去助火土之半夏하고 易啓陰液之蔞根하고 倍人參以滋陽明之津液이라(≪傷寒論集注≫)
✺半夏는 辛辣而溫熱이라 故로 不宜於燥渴이오 栝蔞根은 苦寒而能徹熱生津이라 故로 宜加入이라 增人參者는 所以益氣而添津液也라(≪傷寒溯源集≫)
✺若渴者는 是元氣不足而津液不生이니 去半夏之辛溫하고 再加人參以益氣而生津液이라 更加栝萎根之苦寒者는 以升陰液而上滋也라(≪傷寒附翼≫)
✺渴者는 木火內煩 而津虛氣燥也라 故로 去半夏之溫燥 而加人參之甘潤 瓜蔞根之凉苦하야 以徹熱而生津也라(≪傷寒貫珠集≫)
✺渴者는 燥已耗液逼肺也라 故로 去半夏하고 加栝蔞根也라(≪醫宗金鑑≫)
✺半夏는 能滌痰濕이니 卽能耗津液이라 ······生津液이라 ······ 治消渴이라(≪傷寒論類方≫)
✺人參栝蔞根은 益氣而生津하고 淸金而止渴이라(≪傷寒懸解≫)
✺渴者는 陽明燥金氣盛이라 故로 去半夏之辛하고 倍人參以生津하고 加栝蔞根하야 引陰液以上升也라(≪長沙方歌括·卷三·太陽方·小柴胡湯≫)
✺半夏는 辛溫而性燥하니 寒濕之痰에 宜之오 熱痰則不宜也니라 若渴則津液已竭이니 並無痰之可伐矣라 本方에 雖有黃芩甘草大棗가 能養正而祛熱이나 但胃中津液은 非人參이면 不能鼓舞라 故로 加人參以喚胃氣호대 而得栝蔞根以生津潤燥하면 人參도 仍無實邪之患也라(≪傷寒尋源·下集·小柴胡湯≫)
③若腹中痛者는 去黃芩하고 加芍藥三兩이라
『만약 배가 아프면 황금을 빼고 작약 3냥을 더한다.』
✺去黃芩은 惡寒中이오 加芍藥은 以通壅이라(≪注解傷寒論≫)
✺若腹中痛者는 去黃芩하고 加芍藥이라 宜通而塞爲痛이라 邪氣入裏하야 裏氣不足하고 寒氣壅之면 則腹中痛이라 黃芩은 味苦寒이라 苦性堅而寒中이니 去之면 則中氣易和라 芍藥은 味酸苦微寒이라 酸性泄而利中하니 加之면 則裏氣得通而痛自已라(≪傷寒明理論≫)
✺少陽腹痛者는 爲中有寒이라 故로 去黃芩之寒하고 加白芍藥하야 止痛而益其中也라(≪金鏡內臺方議·小柴胡湯·加減法≫)
✺腹中痛은 血澁而內寒也니 黃芩은 苦堅而寒中이라 故로 去之라 芍藥은 通宣而愈痛이라 故로 加也라(≪傷寒論條辨≫)
✺通壅功少하고 止痛功大라(≪證治準繩·卷三·少陽病·往來寒熱≫)
✺仲景又云 少陽證腹中痛者는 去黃芩하고 加芍藥하고 心下悸 小便不利者는 去黃芩하고 加茯苓하니 似與別錄治少腹絞痛·利小腸之文으로 不合이오 成氏言黃芩은 寒中하고 苦能堅腎이라 故로 去之라하니 蓋亦不然이라 至此當以意逆之오 辨以脈證이 可也라 若因飮寒受寒 腹中痛 及飮水心下悸 小便不利 而脈不數者는 是裏無熱證이니 則黃芩不可用也어니와 若熱厥腹痛 肺熱而小便不利者는 黃芩을 其可不用乎아 故로 善觀書者는 先求之理오 毋徒泥其文이라 昔有人이 素多酒欲하야 病少腹絞痛不可忍하고 小便如淋한대 諸藥不效라 偶用黃芩·木通·甘草三味煎服하니 遂止라 王海藏言有人이 因虛하야 服附子藥多하고 病小便秘어늘 服芩·連藥而愈하니라 此는 皆熱厥之痛也니 學人其可拘乎아(≪本草綱目·黃芩≫)
✺氣不通暢하고 血不和調하면 則爲腹痛이라 黃芩은 能滯氣라 故로 去之오 芍藥은 能和營이라 故로 加之라(≪傷寒括要·卷下·少陽篇凡一方·小柴胡湯≫)
✺腹中痛者는 爲陽邪攻陰이니 以黃芩은 能傷胃中淸陽之氣라 故로 去之오 芍藥은 專主陽邪傳陰이니 爲陰中伐木之要藥이라 故로 滯下에도 亦咸用之라 設陰寒腹痛自利는 又爲切禁也라(≪傷寒纘論≫)
✺宜通而塞爲痛이니 邪氣入裏하야 裏氣不足하고 寒氣壅之면 則腹中痛이라 黃芩은 味苦寒性하야 堅而寒中이니 去之則中氣易和오 芍藥은 味酸苦微寒하야 酸性泄而利中하니 加之則塞氣得通而痛自已라 愚以此必是裏寒血滯 而腹中痛이니 以故去黃芩 加芍藥이라 若邪熱實結而腹中痛이면 恐黃芩不宜去오 芍藥不宜加也라 又上云芍藥性泄而利中도 亦非正解라(≪傷寒論辨症廣注≫)
✺或腹中痛者는 涉於太陰之脾氣矣라(≪傷寒論集注≫)
✺若腹中痛者는 太陰脾土虛寒이라 故로 去黃芩之寒凉하고 加芍藥하야 以助心火之神而益太陰之氣라(≪傷寒論集注≫)
✺腹痛爲太陰脾病이라 張元素云 芍藥은 白補赤散하야 能瀉肝益脾胃라 酒浸行經하고 上中部腹痛이오 與薑同用하면 溫經散濕通塞하니 利腹中痛 胃氣不通이라 白芍은 入脾經하야 補中焦하니 乃下利必用之藥이라 蓋瀉利는 皆太陰病이라 故로 不可缺이라 得甘草爲佐면 治腹中痛이오 熱則少加黃芩하고 寒則加桂니 此仲景神方也라하니라 李時珍謂白芍은 益脾하니 能於土中瀉木이오 赤芍은 散邪하니 能行血中之滯라 日華言赤補氣 白治血은 欠審矣라 如此 則丹溪所云腹痛多是血脈凝澁 亦必酒炒用 然止能治血虛腹痛 餘並不治之說은 非確論矣라 腹痛은 已屬太陰이니 黃芩은 寒中이라 故로 去之라 愚謂太陰腹痛者는 合溫藥治之則可어니와 若兼陽明胃實 腹滿而痛 當用承氣湯者는 非芍藥所能治오 若腹雖痛而有表邪未去者도 亦未可用이니 不可槪以芍藥爲腹痛必用之藥也니라(≪傷寒溯源集≫)
✺若腹中痛者는 雖相火爲患이나 恐黃芩之苦가 轉屬於太陰이라 故로 易芍藥之酸以瀉木이라(≪傷寒附翼≫)
✺腹中痛者는 木邪傷土也라 黃芩은 苦寒하니 不利脾陽이오 芍藥은 酸寒하야 能於土中瀉木하니 去邪氣止腹痛也라(≪傷寒貫珠集≫)
✺腹中痛者는 木氣散入土中하야 胃陽受困이라 故로 去黃芩以安土하고 加芍藥以戢木也라(≪醫宗金鑑≫)
✺芍藥은 瀉甲木而淸相火하고 息風燥而止腹痛이라(≪傷寒懸解≫)
✺腹中痛者는 邪干中土라 故로 去黃芩之苦寒하고 加芍藥以通脾絡也라(≪長沙方歌括·卷三·太陽方·小柴胡湯≫)
✺黃芩은 苦寒하니 本文에 用此以淸半裏之熱이라 若腹中痛 則陽邪가 轉陷太陰이어늘 豈能復任黃芩之苦寒乎아 不宜黃芩이어늘 何以反宜芍藥잇가 以證雖屬太陰이나 而病因은 却是從陽邪陷入이라 故로 用此以約脾陰也라 太陽病轉屬太陰은 但於桂枝湯中加芍藥이니 若桂枝加芍藥湯이 是也라 少陽病兼見太陰은 卽於柴胡湯中加芍藥이니 卽本方之加芍藥이 是也라 後人은 執藥治病에 遂謂芍藥이 能止腹痛이라하야늘 試思太陰寒濕之證에 芍藥宜之乎아 熱發大實痛之證에 芍藥宜之乎아 殊不知陽邪陷裏면 本方中에 自有柴胡人參生薑半夏하야 已足以升舉陽氣 而理脾胃之困이니 但加芍藥以約陰하면 則邪返於陽而陰亦安하야 不除痛而痛自止니 仍不離和解之法也라(≪傷寒尋源·下集·小柴胡湯≫)
✺本經에 黃連主腸澼腹痛이오 黃芩主腸 不主腹痛이라 故로 小柴胡湯은 腹痛에 去黃芩이오 而黃連湯은 腹痛則用黃連이니 同一寒藥이라도 不能通用이 如是라(≪本草思辨錄·卷三·吳茱萸≫)
④若脇下痞硬이어든 去大棗하고 加牡蠣四兩이라
『옆구리 아래가 단단하면 대조를 빼고 모려 4냥을 더한다.』
✺甘은 令人中滿痞者니 去大棗之甘이라 鹹以軟之니 痞硬者는 加牡蠣之鹹이라(≪注解傷寒論≫)
✺若脇下痞硬이어든 去大棗하고 加牡蠣라 內經에 曰 甘者는 令人中滿이라하니라 大棗는 味甘溫하니 去之면 則硬浸散이라 鹹以耎之라 牡蠣는 味酸鹹寒하니 加之면 則痞者消而硬者耎이라(≪傷寒明理論≫)
✺甘能令人中滿이니 痞者故로 去大棗之甘이라 鹹能軟物하니 痞鞕者故로 加牡蠣之鹹也라(≪金鏡內臺方議·小柴胡湯·加減法≫)
✺脇下痞硬은 邪熱伏飮摶聚爲實也라 去大棗는 甘能聚氣而令人中滿也라 加牡蠣는 鹹能軟堅而主除寒熱也라(≪傷寒論條辨≫)
✺好古曰 牡蠣는 入足少陰하니 爲軟堅之劑라 以柴胡引之면 能去脇下硬이오 以茶引之면 能消項上結核이오 以大黃引之면 能消股間腫이오 以地黃爲使면 能益精收澁하야 止小便이니 本腎經血分之藥也라(≪本草綱目·牡蠣≫)
✺王三陽云 不如枳桔穩當이라(≪張卿子傷寒論≫)
✺痞則氣滿이어늘 甘能滿中이라 故로 去大棗오 硬則形堅이라 故로 加牡蠣라(≪傷寒括要·卷下·少陽篇凡一方·小柴胡湯≫)
✺脇下痞硬은 爲飮結少陽部分이라 故로 去大棗之甘壅而加牡蠣하야 以軟堅逐邪爲務也라(≪傷寒纘論≫)
✺內經曰 甘者는 令人中滿이라하니라 大棗는 味甘溫하니 去之則痞者消라 鹹以軟之어늘 牡蠣는 味酸鹹寒하니 加之而硬者軟이라(≪傷寒論辨症廣注≫)
✺或脇下痞硬者는 涉於厥陰之肝氣矣라(≪傷寒論集注≫)
✺若脇下痞硬은 乃厥陰肝木之不舒라 牡蠣는 鹹能軟堅하야 能啓厥陰之生陽하야 以解脇下之痞硬이오 大棗는 補脾土而緩中이라 故로 去之라(≪傷寒論集注≫)
✺少陽之經脈은 下胸中하야 貫膈하야 屬肝絡膽하고 循脇裏하야 邪入其絡이라 故로 脇下痞硬이라 去大棗者는 恐其甘緩也라 牡蠣之加는 成氏謂鹹以軟堅而已라하니 後人은 皆附會焉이라 不知仲景이 但以之治脇下痞硬 而不用之以治心下痞硬이니 則知不但鹹以軟堅이오 並可以平肝邪而入少陽之絡矣라 神農本經에 不言及此오 惟名醫別錄에 有治心脇下痞熱之語라 王好古亦云 以柴胡引之면 能去脇下硬이오 以茶引之면 能消項上結核이오 以大黃引之면 能消股間腫이오 以地黃爲使면 能益精澁小便이라하니 想亦有所自也라 柴胡龍骨牡蠣湯中에 用之以治胸滿煩驚 不可轉側하니 亦所以平木氣而解少陽之邪也라 豈止鹹以軟堅之用耶리오(≪傷寒溯源集≫)
✺若邪結於脇下而痞硬者는 去大棗之甘能助滿하고 加牡蠣之鹹하야 以軟堅也라(≪傷寒附翼≫)
✺脇下痞硬者는 邪聚少陽之募라 大棗는 甘能增滿이나 牡蠣는 鹹能軟堅이라 好古云 牡蠣는 以柴胡引之면 能去脇下痞也라하니라(≪傷寒貫珠集≫)
✺脇下痞硬者는 邪旣留則木氣實이라 故로 去大棗之甘而緩하고 加牡蠣之鹹而耎也라(≪醫宗金鑑≫)
✺以其能補脾胃라 ······ 別錄에 云 治脇下痞熱이라(≪傷寒論類方≫)
✺牡蠣는 軟堅而消痞硬이라(≪傷寒懸解≫)
✺脇下痞硬者는 厥陰肝氣不舒라 故로 加牡蠣之純牡니 能破肝之牝臟하고 其味鹹能軟堅하니 兼除脇下之痞라 去大棗之甘緩은 欲其行之捷也라(≪長沙方歌括·卷三·太陽方·小柴胡湯≫)
✺本方之用大棗는 慮木邪賊土하야 用以安中也라 若脇下痞硬 則邪滯中焦니 便不宜大棗之守中矣라 脇下는 屬少陽部位오 痞硬則氣血交結이라 故로 以牡蠣로 佐柴胡니 一以散氣分之結이오 一以軟血分之堅也라(≪傷寒尋源·下集·小柴胡湯≫)
⑤若心下悸 小便不利者는 去黃芩하고 加茯苓四兩이라
『心下가 뛰고 소변이 잘 나오지 않으면 황금을 빼고 복령 4냥을 더한다.』
✺飮而水畜不行하야 爲悸 小便不利라 內經에 曰 腎欲堅이라하니 急食苦以堅腎하면 則水益堅이라 故로 去黃芩이라 淡味滲泄爲陽이니 茯苓은 甘淡하야 以泄伏水라(≪注解傷寒論≫)
✺若心下悸 小便不利者는 去黃芩하고 加茯苓이라 心下悸하며 小便不利는 水畜而不行也라 內經에 曰 腎欲堅하니 急食苦以堅之라하니라 堅腎則水益堅이라 黃芩은 味苦寒하니 去之면 則畜水浸行이라 內經에 曰 淡味는 滲泄爲陽이라하니라 茯苓은 味甘淡하니 加之면 則津液通流라(≪傷寒明理論≫)
✺心下悸 小便不利者는 爲水蓄不行이라 故로 去黃芩之寒이오 淡味는 滲泄爲陽이니 茯苓甘淡以泄停水也라(≪金鏡內臺方議·小柴胡湯·加減法≫)
✺悸는 心動也라 水停心下則悸하니 所以小便不利也라 腎主水오 黃芩堅腎이니 腎堅則水愈蓄이라 故로 去之라 茯苓은 利竅하니 竅利則水滲泄이라 故로 加之라(≪傷寒論條辨≫)
✺悸而小便不利는 停水之候也니 去黃芩之苦堅助水하고 加茯苓之淡滲行水라(≪傷寒括要·卷下·少陽篇凡一方·小柴胡湯≫)
✺心下悸而小便不利는 爲水停心下라 故로 去黃芩之苦寒助陰而加茯苓以淡滲利水也라(≪傷寒纘論≫)
✺心下悸 小便不利는 水蓄而不行也라 內經曰 腎欲堅이어든 急食苦以堅之라하니 堅腎則水益이라 黃芩은 味苦寒하니 去之則蓄水浸行이라 內經曰 淡味는 滲泄爲陽이라하야늘 茯苓은 味甘淡하니 加之則津液通流라 愚以津液通流 則蓄水自行矣니라(≪傷寒論辨症廣注≫)
✺或心下悸而小便不利者는 涉於少陰之腎氣矣라(≪傷寒論集注≫)
✺若心下悸 小便不利者는 腎藏寒水之氣가 欲逆於上이니 水氣上奔이라 故로 加伏苓하야 伏心氣하야 以助脾土而制伐其水邪라 芩은 乃苦寒之劑라 故로 去之라(≪傷寒論集注≫)
✺悸者는 惕惕然跳動之謂也라 然이나 有心下心中臍下之不同이라 如心中悸而煩者는 小建中湯之悸也라 脈結代而心動悸者는 炙甘草湯之悸也라 發汗過多 叉手冒心而悸者는 桂枝甘草湯之悸也라 汗出不解 發熱心下悸 頭眩身瞤動 振振欲擗地者는 眞武湯之悸也라 發汗後 臍下悸 欲作奔豚者는 茯苓桂枝甘草大棗湯之悸也라 凡此諸悸는 皆太陽誤治之虛邪所致也라 卽少陽中風 兩耳無聞 目赤胸滿而煩者는 亦因吐下之虛而致驚悸也라 雖傷寒脈弦細 頭痛發熱者는 已屬少陽이나 若誤汗之 致胃不和而譫語者는 當以小承氣으로 和胃則愈니 其證似乎胃實이나 然이나 亦因邪在少陽이니 不可汗而汗之하야 邪乘誤汗之虛하야 陷入於胃하야 胃不和則煩而悸耳니 亦虛邪也라 至於三陰之悸는 皆陰盛陽虛니 可不言而喻矣라 所以陽明一經은 實邪居多라 故로 絶無悸病이라 惟太陽病而小便利者가 飮水多하면 必心下悸오 小便少者는 必苦裏急之一條는 與此義相符니 蓋以太陽之熱邪가 尚未入腑하야 膀胱無熱이라 故로 小便通利라 裏旣無熱하니 所以飮水多則水寒停蓄이오 胃氣不得流行이라 故로 心下築築然悸動也니 況於小便不利者乎아 此는 以少陽虛無之腑오 以氣爲用이니 邪氣犯之則虛라 故로 小柴胡湯中에 有人參之補라 雖非飮水多而致心下悸도 以小便不利면 亦必三焦不運하야 陽氣不行하야 水飮停蓄於胃라 故로 令心下悸也라 去黃芩者는 惡其寒中也라 加茯苓者는 取其淡滲이라 其性上行而下降하야 利水而瀉下라 若小便得利면 悸自當止耳라 然이나 旣去黃芩之寒中하고 加茯苓之淡滲이니 則知中氣已寒이라 倘下焦無火하야 氣化不行한대 設小便仍不利者는 五苓散或可采擇也니라(≪傷寒溯源集≫)
✺若心下悸 小便不利者는 是爲小逆이니 恐黃芩之寒이 轉屬於少陰이라 故로 易茯苓之淡滲而利水라(≪傷寒附翼≫)
✺心下悸 小便不利者는 水飮蓄而不行也라 水飮은 得冷則停하고 得淡則利라 故로 去黃芩하고 加茯苓이라(≪傷寒貫珠集≫)
✺心下悸 小便不利者는 水邪侵乎心이라 故로 去黃芩之苦寒하고 加茯苓之淡滲也라(≪醫宗金鑑≫)
✺茯苓은 瀉水而去濕하니 濕去則木達風息하야 悸動自安이라(≪傷寒懸解≫)
✺心下悸 小便不利者는 腎氣上乘而積水在下라 故로 去黃芩이니 恐寒苦以傷君火오 加茯苓은 保心氣以制水邪也라(≪長沙方歌括·卷三·太陽方·小柴胡湯≫)
✺少陽屬木이니 木乘土位면 則土不能制水라 故로 有心下悸小便不利之證이라 若用黃芩이면 是助水邪爲瘧矣라 小便不利는 但當利其小便이라 本方中에 已有參甘薑棗之植土니 而但當加茯苓之淡滲하야 以兼導其水也라(≪傷寒尋源·下集·小柴胡湯≫)
⑥若不渴하며 外有微熱者는 去人參하고 加桂枝三兩하야 溫覆하야 微汗하면 愈라
『만약 갈증이 없고 외부에 약간의 열이 있으면 인삼을 빼고 계지 3냥을 더하여 따뜻하게 덮어서 약간 땀을 내면 낫게 된다.』
✺不渴者는 裏和也라 故로 去人參이라 外有微熱은 表未解也니 加桂以發汗이라(≪注解傷寒論≫)
✺若不渴하며 外有微熱이어든 去人參하고 加桂라 不渴則津液足이라 去人參은 以人參爲主內之物也라 外有微熱則表證多니 加桂하야 以取汗發散表邪也라(≪傷寒明理論≫)
✺不渴者는 無裏證이오 外有微惡寒而熱者는 表未解也라 故로 去人參之補하고 加桂以取微汗而散未盡之表邪也라(≪金鏡內臺方議·小柴胡湯·加減法≫)
✺不渴은 津液無虧也라 故로 不須人參以爲潤이라 外有微熱은 表未全罷也라 故로 加桂以解肌라(≪傷寒論條辨≫)
✺王三陽云 加桂句는 亦要顧寒多熱少라(≪張卿子傷寒論≫)
✺不渴者는 裏自和라 故로 去人參이오 微熱者는 表未解라 故로 加桂枝라(≪傷寒括要·卷下·少陽篇凡一方·小柴胡湯≫)
✺若不渴 外有微熱者는 知熱邪未入於裏라 故로 去人參而加桂枝 溫覆取微汗以解表也라(≪傷寒纘論≫)
✺不渴則津液足이니 去人參은 以人參爲主內之物也라 外有微熱 則表證多니 加桂以取汗하야 發散表邪也라 愚以此邪가 必自太陽經傳來者라(≪傷寒論辨症廣注≫)
✺或不渴身有微熱者는 無陽明胃熱之證而太陽合心主之神氣以外浮爲欲愈也라(≪傷寒論集注≫)
✺若不渴外有微熱者는 太陽合心主之神氣以外浮라 故로 加桂枝三兩하야 助心主之血液하고 而覆取微似汗則愈오 無陽明燥渴之證이라 故로 不必滋胃之人參이라(≪傷寒論集注≫)
✺不渴則邪未入裏오 外有微熱則表證未除라 去人參者는 恐其固太陽之表邪也라 然이나 何以知其爲太陽之表邪乎아 觀加桂去人參이면 則知爲太陽之表邪矣오 溫覆取微汗은 所以解太陽之風邪也라 所謂加桂者는 乃桂枝오 非桂肉也라 李東垣曰 經云 味薄則發泄이라 故로 桂枝는 上行而達表오 味厚則發熱하니 桂肉은 下行而補腎이라 此但曰加桂而未云桂枝나 然이나 以溫覆取微汗으로 推之면 知其爲桂枝無疑矣라 傳寫脫落이니 其義可見이라(≪傷寒溯源集≫)
✺若內不渴而外微熱者는 是裏氣未傷 而表邪未解니 不可補中이라 故로 去人參하고 加桂枝之辛散하고 溫覆而取其微汗이라(≪傷寒附翼≫)
✺不渴하고 外有微熱者는 裏和而表未解也라 故로 不取人參之補裏 而用桂枝之解外也라(≪傷寒貫珠集≫)
✺不渴 身有微熱者는 半表之寒이 尚滯於肌라 故로 去人參하고 加桂枝以解之也라(≪醫宗金鑑≫)
✺桂枝는 解太陽之表邪라(≪傷寒懸解≫)
✺不渴 外有微熱者는 其病仍在太陽이라 故로 不必生液之人參이오 宜加解外之桂枝하고 覆取微汗也라(≪長沙方歌括·卷三·太陽方·小柴胡湯≫)
✺渴은 爲邪欲入裏之兆라 若不渴則無裏證을 可知라 外有微熱은 則太陽之表證未罷를 又可知矣라 表邪未解에 人參實邪니 究宜去之라 本方加桂枝 則又易表裏和解之制하야 而偏乎表以爲治也라(≪傷寒尋源·下集·小柴胡湯≫)
⑦若咳者는 去人參 大棗 生薑하고 加五味子半升 乾薑二兩이라
『기침하면 인삼과 대조와 생강을 빼고 오미자 반 升과 건강 2냥을 더한다.』
✺咳者는 氣逆也라 甘則壅氣라 故로 去人參 大棗라 內經에 曰 肺欲收하니 急食酸以收之라하니 五味子之酸은 以收逆氣라 肺寒則咳하니 散以辛熱이라 故로 易生薑以乾薑之熱也라(≪注解傷寒論≫)
✺若咳者는 去人參大棗生薑하고 加五味子乾薑이라 肺氣逆則咳라 甘補中則肺氣愈逆이라 故로 去人參大棗之甘이라 五味子는 酸溫이라 肺欲收어든 急食酸以收之니 氣逆不收라 故로 加五味子之酸이라 生薑乾薑은 一物也나 生者는 溫而乾者는 熱이라 寒氣內淫則散以辛熱이라 蓋欲咳는 皆本於寒이라 故로 去生薑하고 加乾薑이라 是는 相假之以正溫熱之功이라 識諸此者는 小小變通하야 觸類而長焉이라(≪傷寒明理論≫)
✺咳者는 爲氣逆也라 甘能壅氣 故로 去人參 大棗之甘하고 加五味子之酸以收逆氣라 肺寒則咳오 散以辛熱이라 故로 加乾薑之熱而易生薑이라(≪金鏡內臺方議·小柴胡湯·加減法≫)
✺上以上加減法은 系正經中加減이라 外有師傅加減者는 如發熱下利者 加五苓散하고 如嘔惡者 加橘紅하고 如胸中痞結者 加枳實하고 如咳逆而發熱者 加丁香 柿蒂하고 如嘔吐者 加竹茹라(≪金鏡內臺方議·小柴胡湯·加減法≫)
✺咳는 氣逆而嗽也라 去人參大棗者는 甘能益氣也라 水寒窒氣則咳어늘 本方에 有半夏하니 水可燥也라 寒宜熱散이라 故로 易生薑以乾薑之熱하야 散其寒也라 然이나 咳屬肺하니 肺欲收어든 加五味子者는 酸以收之也라 太陽一經은 惟榮衛之不同하니 所以風寒分異治오 陽明一經은 雖屬經絡臟腑나 最爲切近太陽하니 榮衛之道在邇하야 風寒之辨尚嚴이라 少陽一經은 越陽明하야 去太陽遠하니 榮衛無相關이오 經絡臟腑而已라 經絡臟腑無不同者는 經絡臟腑同하니 風寒無異治라 經以傷寒五六日中風 往來寒熱 交互爲文者는 發明風寒至此하야 同歸於一治也라 斯道之精微가 其在於斯乎ᅟᅵᆫ져(≪傷寒論條辨≫)
✺婁氏云 亦有肺熱而嗽者하고 亦有風邪未散而嗽者라 但咳與嗽不同하니 五味乾薑을 當斟酌이라(≪張卿子傷寒論≫)
✺咳爲氣逆이라 故로 去參棗之補오 肺欲收할새 酸收逆氣者는 五味之能也라 乾薑辛溫快氣는 固主散寒하고 亦司火逆이라 故로 仲景不分寒熱하고 每治咳症에 必用此二物也라(≪傷寒括要·卷下·少陽篇凡一方·小柴胡湯≫)
✺若咳者는 爲肺氣受邪라 故로 去參棗之益氣 生薑之上氣하고 而加乾薑之辛散 兼五味之酸收하야 以散邪斂肺也라(≪傷寒纘論≫)
✺肺氣逆則咳어늘 甘補中 則肺氣愈逆이라 故로 去人參大棗之甘이라 五味子는 酸溫이오 肺欲收어든 急食酸以收之니 氣逆不收 故로 加五味子之酸이라 生薑乾薑은 一物也니 生者溫而乾者熱이라 寒氣內淫하면 則散以辛熱이라 蓋諸咳皆本於寒이라 故로 去生薑하고 加乾薑이니 是相假以正溫熱之功이라 愚以如肺有邪熱而作咳는 恐五味子太斂 乾薑又太熱하니 不宜加也라 成氏又云 識諸此者는 小小變通하야 觸類而長이라하니 則知以上加減法은 不可拘也니라(≪傷寒論辨症廣注≫)
✺或欬者는 涉於太陰之肺氣矣라 此는 太陽之氣가 逆於太陰所主之地中而見五藏之證이라(≪傷寒論集注≫)
✺若欬者는 太陰肺氣之不利니 五味子는 秉陽春宣達之氣味니 從肝腎而上達於肺오 乾薑은 氣味辛溫하니 煖太陰之寒金하고 散肺氣之欬逆이라 人蔘大棗生薑은 皆補益中胃之品이니 肺氣逆이라 故로 去之라(≪傷寒論集注≫)
✺有聲無痰曰咳니 咳者는 肺氣上逆也라 肺爲主氣之臟이오 通呼吸而行衛氣하니 若氣上逆 則不宜於補라 故로 去人參大棗之甘이오 生薑則不必去也라 加五味子乾薑者는 卽小靑龍湯之制也라 小靑龍은 以水寒傷肺라 故로 以此收肺氣之逆이오 此方用之도 其義一也라 但肺寒氣逆者宜之오 肺熱氣盛者는 未可加也라 所謂半升者는 非今升斗之升也라 以五味子而加半升으로 令人讀之면 無不駭異라 以爲五味子之酸收는 本爲難用이어늘 寧有卽用半升之理잇가 孰知古之所謂升者는 其大如方寸匕니 以銅爲之호대 上口方各一寸 下底各六分 深僅八分하야 狀如小熨斗而方形이니 嘗於舊器中見之 而人皆不識하고 疑其爲香爐中之器用 而不知卽古人用藥之升也라 與陶隱居名醫別錄之形象으로 分寸皆同이나 但多一柄이니 想亦所以便用耳라 如以此升之半으로 作一劑而分三次服之면 亦理之所有오 無足怪也어늘 今廢而不用久矣라 故로 人皆不知有此하고 謂卽當今升斗之升이라하니 所以駭其用之不當 而曰古方不可治今病也라하니 宜哉로다(≪傷寒溯源集≫)
✺若咳者는 是相火迫肺니 不可益氣라 故로 去人參이니 所謂肺熱還傷肺者가 此也라 凡發熱而咳者는 重在表라 故로 小靑龍 於麻桂細辛中에 加乾薑五味라 此往來寒熱而咳者는 重在裏라 故로 幷去薑棗之和營衛者하고 而加乾薑之苦辛하야 以從治相火上逆之邪하고 五味之酸하야 以收肺金之氣也라(≪傷寒附翼≫)
✺咳者는 肺寒而氣逆也라 經曰 肺苦氣上逆이어든 急食酸以收之라하고 又曰 形寒飮冷則傷肺라하니 故로 加五味之酸하야 以收逆氣하고 乾薑之溫하야 以却肺寒이라 參棗는 甘壅하야 不利於逆이오 生薑之辛도 亦惡其散耳라(≪傷寒貫珠集≫)
✺咳者는 半表之寒이 湊入於肺라 故로 去參棗하고 加五味子하고 易生薑爲乾薑以溫之라 雖肺寒이라도 不減黃芩은 恐乾薑助熱也라(≪醫宗金鑑≫)
✺二味는 與嗽非宜이라 ······ 加乾薑이라 故로 去生薑이라 ······ 古方治嗽에 五味 乾薑必同用이라 一以散寒邪오 一以斂正氣라 從無單用五味治嗽之法이어늘 後人不知하니 用必有害라 況傷熱 勞怯 火嗆은 與此處寒飮犯肺之證으로 又大不同이어늘 乃獨用五味하야 收斂風火痰涎하야 深入肺臟하면 永難救療矣라 又按컨대 小柴胡與桂枝二方은 用處極多라 能深求其義면 則變化心生矣라 論中凡可通用之方은 必有加減法이라(≪傷寒論類方≫)
✺趙嗣眞曰 此二條는 是邪氣自表傳裏而咳者也라 雖皆爲邪氣傳裏나 而小柴胡所主는 爲陽邪傳裏動肺而咳오 四逆散所主는 爲陰邪傳裏動肺而咳니 又不可不識也라 夫或陽邪 或陰邪가 自表傳裏 則必動肺하니 以臟眞高於肺故也라 停飮而咳는 表邪傳裏而咳가 固已나 又有肺寒而咳者라 內經曰 肺之令人咳는 何也오 皮毛者는 肺之合也라 皮毛先受寒氣하야 寒氣以從其合也라 其寒飮食入胃하야 從肺脈上至於肺則肺寒하고 肺寒則外內合邪하야 因而客之 則爲咳嗽者는 是肺寒而咳也라(≪傷寒論綱目·卷四·咳嗽≫)
✺五味子乾薑은 降逆氣而止咳라(≪傷寒懸解≫)
✺咳者는 形寒傷肺 肺氣上逆이라 故로 加乾薑之熱以溫肺하고 五味之斂以降逆이라 凡咳에 皆去人參이라 長沙之秘旨는 旣有乾薑之溫이니 不用生薑之散이오 旣用五味之斂이니 不用大棗之緩也라(≪長沙方歌括·卷三·太陽方·小柴胡湯≫)
✺案컨대 錢氏曰 五味子半升者는 非今升斗之升也라 古之所謂升者는 其大如方寸匕니 以銅爲之호대 上口方各一寸 下底各六分 深僅八分하야 狀如小熨斗而方形이니 嘗於舊器中見之 而人疑其爲香爐中之器用 而不知卽古人用藥之升也라 與陶隱居名醫別錄之形像으로 分寸皆同이나 但多一柄이니 想亦所以便用耳라 如以此升之半으로 作一劑 而分三次服之면 亦理之所有오 無足怪也라하니 考本草序例컨대 凡方云半夏一升者는 秤五兩爲正이니 所謂一升은 豈方一寸者哉리오 半夏之半升은 與五味之半升으로 其升必同이니 錢說은 難從이라(≪傷寒論輯義≫)
✺咳는 屬水邪射肺니 人參大棗는 究非咳證所宜라 生薑은 散表有餘하고 溫裏不足이라 故로 以乾薑易生薑하야 以散寒而逐水라 用五味者는 以肺非自病이오 乃水邪從下而上하야 因之致咳라 故로 以五味與乾薑同用하야 一以散水邪오 一以收肺逆이니 與風火淫肺之忌五味로 不同也라 不去黃芩者는 留以制相火而存肺陰也라 按컨대 小柴胡湯之主少陽은 乃傷寒一大關鍵이니 此際出則陽이오 入則陰이라 凡陽邪之入陰者는 全賴少陽把守關口守隘하야 使不得遽入於陰이니 治之可不愼歟아 凡他經所有之證이 少陽病皆得兼見이니 其隨證加減之法이 絲絲入扣 頭頭是道라 讀仲景書者는 當於此處에 猛下一參이라(≪傷寒尋源·下集·小柴胡湯≫)
'<선호상한론>확장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호상한론>확장판 97-2조문 (0) | 2024.11.10 |
---|---|
<선호상한론>확장판 97-1조문 (0) | 2024.11.09 |
<선호상한론>확장판 96조문 (0) | 2024.11.07 |
<선호상한론>확장판 95조문 (0) | 2024.11.06 |
<선호상한론>확장판 94조문 (0) | 2024.1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