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5. {153} 婦人이 傷寒에 發熱이라가 經水가 適來하야 晝日明了하고 暮則譫語하야 如見鬼狀者는 此爲熱入血室이니 無犯胃氣及上二焦면 必自愈라
『부인이 상한으로 발열하다가 월경이 마침 시작되어 낮에는 정신이 명료한데 저녁이 되면 헛것을 본 것처럼 섬어하는 것은 열입혈실이 된 것이니 중초와 상초를 범하지 않으면 저절로 낫는다.』
✺先宜小柴胡湯이오 不愈면 可刺期門이라(≪傷寒總病論·卷第二·和表證≫)
✺無犯胃氣者는 言不可下也니 小柴胡湯主之라 若行湯遲면 則熱入胃하야 令津燥 中焦上焦不榮하야 成血結胸狀하나니 須當針期門也라(≪活人書·19卷≫)
✺又問 仲景云無犯胃氣는 何如오 答曰 熱因經水適來 乘虛入室이라 故로 血室有熱하야 遂令譫語니 當以小柴胡解之라 卽與胃實譫語로 不同이니 胃實有燥糞이라 故로 宜調胃承氣湯下之나 若血實有熱譫語는 非胃家實이라 仲景恐人作胃實攻之라 故로 曰無犯胃氣也라 大抵譫語는 是熱屬陽而反見陰證者는 逆이라(≪活人書·19卷≫)
✺又婦人이 病溫已十二日에 診之호니 其脈六七至而澁하고 寸稍大 尺稍小하며 發寒熱하고 頰赤口乾 不了了하며 耳聾이라 問之호니 病後數日에 經水乃行하니 此屬少陽熱入血室也라 若治不對病 則必死라 乃按其證하고 與小柴胡湯服之하고 二日에 又與小柴胡湯加桂枝乾薑湯하고 一日에 寒熱雖已나 又云 我臍下急痛이라하니 又與抵當丸하야 微利하니 臍下痛痊이라 身漸凉和하고 脈漸勻이나 尚不了了하니 乃復與小柴胡라 次日云 我但胸中熱燥 口鼻乾이라하야늘 又少與調胃承氣湯이나 不得利라 次日에 又云 心下痛이라하야늘 又與大陷胸丸半服하니 利三行이오 而次日虛煩不寧 時妄有所見 時復狂言이라 雖知其尚有燥屎나 以其極虛하니 不敢攻之오 遂與竹葉湯하야 去其煩熱이라 其夜에 大便自通하고 至曉兩次어늘 中有燥屎數枚 而狂言虛煩盡解라 但咳嗽唾沫하니 此肺虛也라 若不治면 恐乘虛而成肺痿니 遂與小柴胡去人參 大棗 生薑하고 加乾薑 五味子湯이라 一日咳減하고 二日而病悉愈라 以上은 皆用張仲景方이라(≪本草衍義·卷三·序例下≫)
✺傷寒發熱者는 寒已成熱也라 經水適來하면 則血室虛空하야 邪熱이 乘虛入於血室이라 若晝日譫語는 爲邪客於府하야 與陽爭也오 此晝日明了라가 暮則譫語하야 如見鬼狀은 是邪不入府하고 入於血室하야 與陰爭也라 陽盛譫語는 則宜下오 此熱入血室은 不可與下藥하야 犯其胃氣라 熱入血室하야 血結實熱者는 與小柴胡湯하야 散邪發汗이어니와 此는 雖熱入血室이나 而不留結이니 不可與發汗藥하야 犯其上焦라 熱入血室하야 胸脇滿如結胸狀者는 可刺期門이어니와 此雖熱入血室이나 而無滿結이니 不可刺期門하야 犯其中焦라 必自愈者는 以經行則熱隨血去하고 血下也已면 則邪熱悉除而愈矣니라 所謂發汗爲犯上焦者는 發汗則動衛氣하니 衛氣는 出上焦故也라 刺期門爲犯中焦者는 刺期門하면 則動營氣하니 營氣는 出中焦故也라 脈經에 曰 無犯胃氣及上二焦면 必自愈라하니 豈謂藥不謂鍼耶아하니라(≪注解傷寒論≫)
✺雍曰 上焦中焦는 營衛所出也라 如不自愈者는 服小柴胡湯이라(≪傷寒補亡論·卷五·太陽經證治下九十一條≫)
✺古法無犯胃氣 及上二焦라하니 犯胃氣者는 謂攻下也오 犯上焦者는 謂發汗也오 犯中焦者는 謂取吐也라 不可發汗吐下니 但當和解라(≪醫學入門·瘥危死證及婦人傷寒≫)
✺此는 與上篇末三조문으로 少異而證同이니 上篇은 言脈與如結胸狀이오 此는 言晝日明了 暮則譫語오 上篇은 言刺期門及與小柴胡湯이오 此는 言無犯胃氣及上二焦니 皆互言以明互見之意라 晝屬陽이니 明了者는 陰邪退也오 暮屬陰이니 譫語者는 血證得陰而劇也라 毋者는 禁止之詞라 犯胃氣는 以禁下言也라 上二焦는 謂上焦中焦니 以禁汗吐言也라 蓋衛氣는 出上焦하고 津液은 蓄於中焦하야 汗則損衛氣而亡津液이니 是汗則犯二焦也라 又上焦主受納하고 中焦主受盛한대 吐則納與盛俱爲逆이니 是吐則上中二焦亦俱犯也라 然이나 下固損胃오 下焦犯矣니 是三法皆不可用也라 三法皆不可用者는 邪本在血室이니 亦非三者攻之所可能及也라 必自愈者는 言伺其經行血下면 則邪熱得以隨血而俱出이니 猶之紅汗而然이라 故로 決言必定自解而愈니 以警人勿妄攻取하야 致謬誤以生變亂之意라 夫以三法旣皆不可用이면 則與其欲治인댄 寧刺期門 及與小柴胡湯 而法在焉이라 卽此條之必自愈而觀之면 則上篇之期門雖不刺하고 小柴胡湯雖不行이라도 亦皆得終當自愈를 從可知矣라 且上篇出三條 而此篇一條하니 下篇雖無出이나 要皆欲人同推也라 讀者는 通考而參詳之면 則男子婦人風寒爲病에 證治之異同을 大端可見矣라(≪傷寒論條辨≫)
✺活人에 云小柴胡湯和之라하니라 犯胃氣는 謂下之오 犯上二焦는 謂發汗也라(≪證治準繩·卷七·婦人傷寒≫)
✺四條는 皆互文見意也라 一云經水適來오 一云經水適斷이라 一云七八日熱除 而脈遲身凉이오 一云七八日續得寒熱 發作有時라 一云胸脇下滿이오 一云邪氣因入하야 與正氣相搏하야 結於脇下라 一云如結胸狀이오 一云邪高痛下라 一云譫語오 一云晝日明了 暮則譫語 如有鬼狀이라 一云如瘧狀이오 一云往來寒熱 休作有時라 一云刺期門이오 一云用小柴胡湯이오 一云毋犯胃氣及上二焦라 皆互文以明大義 而自爲註脚也니 學者는 試因此而紬釋全書면 思過半矣니라(≪尙論篇≫)
✺傷寒熱邪在表라 故로 經水來而不斷이라 雖爲熱入血室이나 以氣分不受邪라 故로 晝日明了하고 但夜則譫語하니 候經盡熱隨血散하면 自愈라 不可刺期門이오 妄犯胃氣 及用柴胡犯上二焦也라(≪傷寒纘論≫)
✺此條는 言婦人傷寒者가 可見風寒之邪 皆有熱入血室證也라 發熱者는 寒鬱而成熱也라 經水適來者는 蓋言經水適當其時而來라 過多不止면 則血室空虛하야 邪熱乘虛而入也라 晝日明了云云者는 晝屬陽 陽主氣오 暮屬陰 陰主血이어늘 今則熱邪入血室而爲病이니 以故晝日明了 而病輕이라가 暮則譫語 如見鬼狀 而病劇也라 譫語者는 系胃家實이니 醫人用下藥者多어늘 此非胃家實이라 故로 云 無犯胃氣라하니 言不可下也라 上二焦者는 營衛之所出也라 汗傷營血하고 吐傷衛氣니 此言三法은 皆不可用也라 必也 與小柴胡湯以和解邪熱하면 斯不調其經而經血調하고 譫語等證은 可不治而自愈라 按컨대 此條論에 仲景不言用小柴胡어늘 補亡論郭白云云 如不愈者는 服小柴胡湯이라하니 則知其湯與證甚相對 可無疑矣라(≪傷寒論辨症廣注≫)
✺婦人은 有餘於氣하고 不足於血者也라 婦人傷寒發熱者는 寒邪在氣在表也라 經水適來하면 則在氣之邪入於血分하고 在表之邪入於裏陰矣라 夫氣屬陽而主日이오 血屬陰而主夜니 晝日明了者는 邪不在氣分也라 暮則譫語 如見鬼狀者는 邪入於血分也니 此亦爲熱入血室이라 盖胞中之血은 生於胃腑水穀之精이라 故로 無犯胃氣及上二焦者는 以上焦出胃上口 中焦亦並胃中也니 胃氣和而三焦通暢 則流溢於中하야 布散於外하야 血室不虛而外邪自散矣라(≪傷寒論集注≫)
✺前言中風이오 此言傷寒이니 以見風寒鬱熱之邪가 皆可入血室而致變也라 傷寒發熱者는 謂寒邪已發熱而經水適來也라 晝日明了者는 邪不在陽分氣分이니 且晝則陽氣用事하야 衛氣行陽二十五度之時라 生氣通天論에 云 平旦人氣生하야 日中而陽氣隆하고 日西而陽氣已虛하야 氣門乃閉가 是也라 暮則譫語者는 邪在陰分血分이니 夜則陰氣用事하야 衛氣行陰二十五度之時라 五藏生成篇에 云 人臥則血歸於肝이니 肝受血而能視라하니라 熱邪入陰血之分이라 故로 不得眠而譫語如見鬼狀也라 熱入血室이 非惟不在營衛 而更與腸胃無涉이라 故로 曰無犯胃氣라 病在下焦血分하야 與上二焦로 絶不相關이니 汗吐下三法은 徒損無益이라 犯之면 適足以敗胃亡陽 故로 禁止之曰無犯胃氣라 使眞元無損하야 正旺邪衰하면 必自愈也라 設或未解면 期門可刺오 如前小柴胡加減可用也라(≪傷寒溯源集≫)
✺上條는 一言結胸狀이오 一言如瘧狀이며 此條는 又言如見鬼狀이니 此는 互發熱入血室 病形不一이라 兩條는 言刺期門이오 一條는 言小柴胡湯主之오 此條는 言無犯胃氣及上二焦하니 此는 總結上文熱入血室에 惟刺期門 小柴胡湯二法이라(≪傷寒大白·卷四·熱入血室≫)
✺熱入血室은 傷寒論分四條라 首條陽明病下血譫語는 總論男女均有此病이라 故로 曰下血이오 不曰經水라 但頭汗出하면 刺期門이라 少陽三條 則專言婦人矣라 第一言經水適來 七八日 熱除身凉 胸脇下滿 如結胸狀은 言渾似太陽誤下 身不發熱 表邪乘虛入裏 結胸症이나 但彼以誤下하야 邪熱傳入陽明腸胃라 故로 成結胸이오 此는 以熱邪自傳厥陰血室이라 故로 刺期門이라 第二條言經水適斷 發作有時而寒熱은 渾似少陽似瘧症이나 但彼는 以邪入少陽心胸之間 而成似瘧이오 此는 以邪熱入厥陰血室之所 而成熱入血室이라 二者는 病不同 而同用小柴胡湯은 以其寒熱發作이 如瘧狀相同하니 肝膽同治라 故로 以小柴胡湯同和解라 第三言雖有傷寒發熱之表症 譫語見鬼之裏症이나 然이나 不用汗吐下等法 以犯胃氣하고 惟用刺期門 以泄裏熱하고 服小柴胡湯和解表裏라 大凡發熱은 有氣血之分이니 日間發熱은 爲氣熱이오 夜間發熱은 爲血熱이라 故로 晝安靜 夜發熱은 名熱入血室이라 然이나 血熱之症은 又有虛實不同이라 血虛發熱은 營血不足이니 如陰虛內熱之症이라 故로 脈必細數하니 治以補血凉血이오 如海藏四物湯 倍加柴胡 黃芩 以定寒熱이라 血實發熱은 邪熱入血이니 卽熱入血室等症이라 故로 脈必數大하니 治宜凉血이오 不必補血이니 歸芍柴胡湯 導赤各半湯 倍加柴胡 芍藥 生地 黃芩 丹皮 引入血分이라 然이나 其症狀에 各有分別이라 血虛者는 其人陰血素虛라가 漸漸夜間發熱하고 日間仍能舉動하니 其熱也緩하고 其脈細數無神이라 血實者는 素無不足이라가 偶因外有感冒하야 內有積熱하야 表邪未散하고 裏熱未淸이오 或因早食厚味 或因早服補藥하야 每夜發熱이니 其熱也甚하고 其脈數大有力이라(≪傷寒大白·卷四·熱入血室≫)
✺前言中風코 此言傷寒者는 見婦人傷寒中風이 皆有熱入血室證也라 然이나 此三條ㅣ 皆因譫語而發하니 不重在熱入血室이오 更不重在傷寒中風이라 要知譫語多有不因於胃者하니 不可以譫語爲胃實而犯其胃氣也라 發熱不惡寒은 是陽明病이라 申酉譫語는 疑爲胃實이나 若是經水適來면 固知熱入血室矣라 此는 經水未斷이니 與上條血結로 不同이라 是肝虛魂不安而妄見이오 本無實可瀉니 固不得妄下以傷胃氣라 亦不得刺之令汗하야 以傷上焦之陽이오 刺之出血하야 以傷下焦之陰也라 俟其經盡 則譫語自除 而身熱自退矣라 當以不治로 治之라 熱入血室에 寒熱如瘧而不譫語者는 入柴胡證이라 上은 論陽明譫語脈證이라(≪柯氏傷寒論注≫)
✺上二條는 發明風邪熱入血室之證이오 此條는 發明寒邪熱入血室之證이라 婦人傷寒에 發熱無汗한대 經水適來면 則必熱入血室이라 故로 晝則明了는 知邪不在陽也오 暮則譫語 如見鬼狀者는 是爲邪在陰也라 無犯胃氣及上二焦者는 通謂三焦也라 蓋禁人汗吐下三法은 皆不可輕用이니 當俟其經行하야 必熱隨血去而愈也라(≪醫宗金鑑≫)
✺林瀾曰 傷寒發熱者는 寒已成熱也라 經水適來하면 則血室空虛하니 邪熱乘虛入於血室이라 若晝日譫語는 爲邪客於府하야 與陽爭也라 此晝日明了 暮則譫語 如見鬼狀者는 是邪不入府而入於血室하야 與陰爭也라 陽盛譫語는 宜下나 此不可下者는 犯胃氣也라 彼熱入血結寒熱者는 與小柴胡湯하야 散邪發汗이어니와 此雖熱入血室이나 而不留結하니 不可與發汗藥하야 犯其上焦也라 若熱入胸脇滿如結胸者는 可刺期門이어니와 此雖熱入血室而無滿結하니 不可刺期門하야 以犯其中焦也라 必自愈者는 以經行則熱隨血去오 血下則邪熱悉除而愈矣라(≪醫宗金鑑≫)
✺婦人傷寒 發熱 而值經水適來之時하야 晝日淸白明了하고 暮則譫語 如見鬼狀者는 此爲熱入血室이라 以血爲陰이니 夜則陽氣潛入陰分하야 血熱發作이라 故로 譫妄不明也라 熱邪在下하니 治之勿犯中焦胃氣及上焦淸氣면 必自愈也라(≪傷寒懸解≫)
✺[婦人傷寒發熱 經水適來 晝日明了 暮則譫語 如見鬼狀者 此爲熱入血室] 晝淸而夜昏者는 血室屬陰이오 病在陰經也라 [無犯胃氣 及上二焦 必自愈] 此는 爲中焦營氣之疾이니 汗下二法은 皆非所宜오 小柴胡湯 刺期門 則其治也라 按컨대 熱入血室之狀은 此二條爲最詳이오 婦人傷寒은 此證最多나 前條證稍輕이오 後二條證尤重이라 男子도 亦有之니라(≪傷寒論類方≫)
✺劉完素曰 血病則肝傷하고 肝藏魂하니 肝傷則魂無所歸하고 心神無主하니 此所以發譫語也라 要之컨대 此非胃實이오 因熱入血室而肝實也라 肝熱하면 心亦熱하니 肝與心相近也라 熱傷心氣하면 旣不能主血하고 亦不能作汗이라 故로 但頭有汗而不能遍身이라 此三條는 皆因譫語而發이오 不重熱入血室이며 更不重在傷寒中風이니 須知譫語에 有不因於胃者라 故로 不可以譫語로 定爲胃實之證 而犯其胃氣라(≪傷寒論綱目·卷八·陽明經證·譫語鄭聲≫)
✺熱入血室은 不獨中風有之오 而傷寒亦然이라 婦人傷寒에 寒鬱而發熱한대 當其時經水適來하야 過多不止면 則血室空虛하야 而熱邪遂乘虛而入之也라 晝爲陽而主氣오 暮爲陰而主血이라 今主氣之陽無病이라 故로 晝日明了오 主血之陰受邪라 故로 暮則譫語如見鬼狀者니 醫者當于其經水適來而定其證曰 此爲熱入血室이오 非陽明胃實所致也라 旣非陽明胃實이면 則無以下藥으로 犯其胃氣及上二焦라 一曰胃脘之陽不可以吐傷之오 一曰胃中之汁不可以汗傷之라 惟俟其經水盡하면 則血室之血이 復生於胃腑水穀之精하야 必自愈니 愼不可妄治以生變端也라 此一節은 言婦人傷寒之入於血室也라(≪傷寒論淺注≫)
✺明了는 脈經에 作了了라 必下에 玉函 脈經은 有當字라 脈經注에 云 二字疑라하니라(≪傷寒論輯義≫)
✺案컨대 胃氣及上二焦는 方氏程氏汪氏가 並云 言汗吐也라하고 柯氏는 改作上下焦하니 蓋僭妄耳라 脈經疑之가 似是라 成氏가 以汗爲小柴胡오 且以刺期門爲犯中焦는 於義未妥라 然이나 亦他無明注라 故로 姑揭成注爾라(≪傷寒論輯義≫)
✺程林 金匱直解에 曰 上章은 以往來寒熱如瘧이라 故로 用小柴胡하야 以解其邪오 下章은 以胸脇下滿하야 如結胸狀이라 故로 刺期門하야 以瀉其實이나 此章則無上下二證이니 似待其經行血去하면 邪熱得以隨血出 而解也라(≪傷寒論輯義≫)
✺注에 經水適來爲過多不止오 熱乘虛入이라하니 觀컨대 上節經水適斷이 不是過多不止한대 熱亦入血室하니 便知此解非也라 且下文必自愈는 正是經水不止하야 熱隨經血而下瀉라 故로 其熱必自愈어늘 修園은 解爲血復生于胃라하니 非自愈之確解也라 不知無犯胃氣及上二焦는 是明血室在下焦膜中이니 不可妄治中上焦也라 又譫語見鬼는 淺注言因經水適來하야 始能辨其陽明證이라하니 不知仲景陽明篇에 并無見鬼之文이니 如見鬼狀은 專屬熱入血室이오 陽明證은 只譫語오 不見鬼也라 鬼者는 魄也라 人之魂屬氣오 魄屬血이니 血死卽爲死魄이오 魄掩其魂이라 故로 如見鬼라 男子傷寒도 亦有此證이니 皆是熱入血室이라 盖譫訓多言妄語니 言爲心聲이오 陽明熱合心包라 故로 多言妄語오 不干魄氣라 故로 亦不見鬼니 熱入血室이라야 乃見鬼也라 修園은 此節不免有誤라(≪傷寒論淺注補正≫)
✺婦人傷寒에 業經發熱 則全身腠理孫絡이 一時迸出至高之熱度하야 與表寒戰勝이라 此時病氣는 固已在營而不在衛어늘 若當經水適來하면 營分之標熱이 乃因類而乘其虛하니 營氣晝行於陰하야 不與天陽相接이라 故로 晝日明了라가 及其夜行於陽하야 血中邪熱이 隨陰氣而動者는 乃至上塞心竅而昏腦氣라 故로 暮則譫語 如見鬼狀이라 此證은 血熱在下라 故로 但需攻瘀泄熱하면 病當自愈라 若發其汗하면 損中脘之胃液하야 竭上中二焦之水分하니 血熱乃益無可制矣라 此則仲師言外之意也라(此證은 當用大柴胡湯이라)(≪傷寒發微≫)
'<선호상한론>확장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호상한론>확장판 146조문(柴胡桂枝湯方) (0) | 2025.03.16 |
---|---|
<선호상한론>확장판 146조문 (0) | 2025.03.09 |
<선호상한론>확장판 144조문 (0) | 2025.03.01 |
<선호상한론>확장판 143조문 (0) | 2025.01.24 |
<선호상한론>확장판 142조문 (0) | 2025.0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