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柴胡桂枝湯方
桂枝一兩半 去皮 芍藥一兩半 黃芩一兩半 人參一兩半 甘草一兩 炙 半夏二合半 洗 大棗六枚 擘 生薑一兩半 切 柴胡四兩
上九味를 以水七升으로 煮取三升하야 去滓하고 溫服一升이라
『위 9가지 약물을 물 7되로 달여 3되를 취해서 찌꺼기를 버리고 1되를 따뜻하게 복용한다.』
✺治少陽病으로 頭額痛하고 項强하며 脇痛胸滿하고 發熱惡寒이 乍往乍來와 及自汗亡陽하야 譫語作渴이오 兼治風溫으로 汗後身熱하고 及動氣等證이라 或小柴胡湯 桂枝湯 麻黃湯을 選用이라(≪醫學入門·傷寒用藥賦≫)
✺琥按컨대 上方은 乃柴胡合桂枝湯兩方相合之復方이어늘 其不曰桂枝柴胡湯者는 以柴胡爲君也니 益可見少陽邪甚 太陽邪微矣니라(≪傷寒論辨症廣注≫)
✺此는 因太少兼證이라 故로 用兩方合治之法이라 然이나 邪自太陽陷入而結於心下하면 則必由陽明少陽之經하야 假道而入矣라 但用柴胡桂枝而不及陽明者는 以陽明裏證居多나 無解肌發表之專藥이오 且無陽明見症故也라 太陽陽明證中에 雖有葛根湯이나 亦必借麻黃桂枝兩方하야 加入葛根以解其邪耳라 然이나 旣曰傷寒이라하고 不用麻黃而但用桂枝者는 豈桂枝湯非太陽傷寒之禁劑邪아 蓋以邪入少陽이면 卽以少陽爲主니 卽前所謂傷寒中風 有柴胡證 但見一證便是 不必悉具之義也라 邪在少陽은 又在禁汗禁下之例라 故로 但以桂枝合柴胡로 並解太少之邪也라 以兩方各用原方之半하야 合作一劑同用이라 故로 謂之柴胡加桂枝湯也라 然이나 表邪尚盛之傷寒은 參芍非所宜用이니 當於臨證時에 去取가 可也니라(≪傷寒溯源集≫)
✺柴胡二湯은 皆調和表裏之劑라 桂枝湯은 重解表 而微兼淸裏하고 柴胡湯은 重和裏 而微兼散表라 此傷寒六七日은 正寒熱當退之時오 尙見發熱惡寒諸表症하고 更兼心下支結諸裏症은 表裏不解니 法當雙解之라 然이나 惡寒微 則發熱亦微를 可知오 支節煩疼 則一身骨節不痛을 可知라 微嘔하면 心下亦微結이라 故로 謂之支結이라 表症은 雖不去而已輕하고 裏症은 雖已見而未甚하니 此는 太陽小陽幷病之輕者라 故로 取桂枝之半하야 以解太陽未盡之邪하고 取柴胡之半하야 以解少陽之微結이라 凡口不渴하고 身有微熱者는 當去人參이라 此는 以六七日來邪雖不解 而正氣已虛라 故로 用人參以和之也라 外症雖在而病機已見於裏라 故로 方以柴胡로 冠桂枝之前하니 爲雙解兩陽之輕劑라(≪傷寒附翼≫)
✺成本은 不見此方하고 載在第十卷이라 無本云二十九字니 玉函도 同이라(≪傷寒論輯義≫)
✺外臺秘要에 療寒疝腹中痛者는 柴胡桂枝湯이라(卽本方이라)(≪傷寒論輯義≫)
✺此는 合桂枝小柴胡二方 而各取其半하야 用以和解太陽少陽各半之邪라 經云 傷寒六七日에 發熱微惡寒 支節煩疼은 此太陽之表邪未解也라 微嘔 心下支結은 則證兼少陽矣라 按컨대 支結者는 結而不痛하야 與結胸殊하니 不可攻下오 只宜和解라 此方之義는 和營衛以通津液이라 仲景이 已自注明白이라 故로 發汗多 亡陽譫語者는 亦用此方하야 以復陽和陰이어늘 今人誤用此湯以發汗은 豈非大謬리오(≪傷寒尋源·下集·柴胡加桂枝湯≫)
✺傷寒有表證者는 仲聖絶不用參이니 不特麻黃大小靑龍桂枝等湯에 絲毫不犯也오 卽小柴胡湯에 外有微熱하야도 亦且去之라 黃連湯은 有桂枝而並無表證이오 桂枝人參湯은 有表證而參不以解表라 柴胡桂枝湯은 表裏之邪俱微라 故로 表裏兼治오 表裏兼治 故로 用參以和之니 此傷寒定法也라(≪本草思辨錄·卷一·人參≫)
✺有和營衛而薑棗之數加少者는 柴胡桂枝湯이 是也라 柴胡桂枝兩方은 皆取微似汗이라 此는 合兩方爲一方이니 不在取汗이오 而在化太少兩經之邪하야 使藥力微偏於裏라 故로 雖和營衛而薑棗特減其數也라(≪本草思辨錄·卷三·大棗≫)
'<선호상한론>확장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호상한론>확장판 147조문(柴胡桂枝乾薑湯方) (0) | 2025.04.05 |
---|---|
<선호상한론>확장판 147조문 (0) | 2025.04.04 |
<선호상한론>확장판 146조문 (0) | 2025.03.09 |
<선호상한론>확장판 145조문 (0) | 2025.03.07 |
<선호상한론>확장판 144조문 (0) | 2025.03.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