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7] [155] 傷寒 五六日에 已發汗 而復下之하야 胸脇滿 微結 小便不利 渴而不嘔 但頭汗出 往來寒熱 心煩者는 此爲未解也니 柴胡桂枝乾薑湯 主之라
『상한 5~6일에 이미 발한법을 쓰고 다시 하법을 써서 胸脇이 창만하면서 약간 結하고 소변이 잘 나오지 않으면서 갈증이 있고 구역하지는 않으며, 머리에만 땀이 나고 한열이 왕래하면서 心煩하는 경우는 병이 아직 풀리지 않은 것이니 시호계지건강탕으로 다스린다.』
✺傷寒五六日에 已經汗下之後는 則邪當解어늘 今胸脇滿 微結 小便不利 渴而不嘔 但頭汗出 往來寒熱 心煩者는 卽邪氣가 猶在半表半裏之間이니 爲未解也라 胸脇滿 微結 寒熱心煩者는 邪在半表半裏之間也라 小便不利而渴者는 汗下後에 亡津液하야 內燥也라 若熱消津液하야 令小便不利而渴者는 其人必嘔어늘 今渴而不嘔하니 知非裏熱也라 傷寒은 汗出하면 則和어늘 今但頭汗出而餘處無汗者는 津液不足而陽虛於上也라 與柴胡桂枝乾薑湯하야 以解表裏之邪하고 復津液而助陽也라(≪注解傷寒論≫)
✺此는 被下後에 小便不利而渴者 可用也라(≪傷寒補亡論·卷四·太陽經證治上九十五條≫)
✺胸은 太陽陽明也라 脇은 少陽也라 小便不利는 太陽之膀胱不淸也라 渴而不嘔는 陽明之胃熱而氣不逆也라 頭汗出者는 三陽之邪熱甚於上而氣不下行也라 往來寒熱心煩者는 少陽半表半裏之邪出入不常也라 柴胡黃芩은 主除往來之寒熱이오 桂枝甘草는 和解未罷之表邪오 牡蠣乾薑은 鹹以軟其結하고 辛以散其滿이오 栝蔞根者는 苦以滋其渴하고 凉以散其熱이라 是湯也도 亦三陽平解之一法也라(≪傷寒論條辨≫)
✺難知曰若用柴胡而移時於早晚하고 氣移於血하며 血移於氣는 是邪無所容之地라 故로 知其欲自解也라하니라 傷寒五六日에 已經汗下之後는 是邪當解어늘 今胸脇滿 微結 小便不利 渴而不嘔 但頭汗出 往來寒熱 心煩者는 則邪氣猶在半表半裏之間하야 爲未解也라 胸脇滿 微結 寒熱心煩者는 邪在半表半裏之間也라 小便不利而渴者는 汗下後에 亡津液內燥也라 若熱消津液하야 令小便不利而渴者는 其人必嘔어늘 今渴不嘔는 知非裏熱也라 傷寒汗出則和어늘 今但頭汗出 餘處無汗者는 津液不足而陽虛於上也라 與柴胡桂枝乾薑湯以解表裏之邪하고 復津液以助陽也라(≪證治準繩·卷三·少陽病·往來寒熱≫)
✺已發汗而復下之면 雖不失先發後攻之序 及當汗而反下之宜나 然이나 旣汗之면 邪當自散이어늘 若不待其全解及內實而復下之는 是猶傷於早也라 烏得不結이리오 然이나 已發汗 則邪勢已衰하니 雖或失之下早라도 故結亦當微也라 成注欠明이라 故로 著之라(≪證治準繩·卷三·少陽病·往來寒熱≫)
✺少陽證에 尚兼太陽하니 所以誤下而胸間微結也라 太陽中篇結胸條內에 頭微汗出 用大陷胸湯은 以其熱結在裏라 故로 從下奪之法也오 此頭汗出而胸微結에 用柴胡桂枝乾薑湯은 以裏證未具라 故로 從和解之法也라 小柴胡方中에 減半夏人參 而加桂枝以行太陽하고 加乾薑以散滿하고 栝蔞根以滋乾하고 牡礪以軟結하니 一一皆從本例也라(≪尙論篇≫)
✺傷寒五六日 已發汗 復下之 胸脇滿 微結 小便不利 渴而不嘔 但頭汗出 往來寒熱은 邪在半表半裏也라 小便不利而渴者는 汗下津亡內燥也라 若熱消津液하야 令小便不利而渴者는 當嘔라 今桂枝乾薑湯하야 以解表裏之邪하고 復津液以助陽也라(≪傷寒括要·卷下·太陽篇七十三方·柴胡桂枝乾薑湯≫)
✺五六日에 已發汗한대 邪雖未解而勢已微하고 因誤下之하야 微邪凝聚於上焦하면 則肺氣壅遏하야 所以渴而不嘔 頭汗出 往來寒熱 心煩이니 知邪氣已入少陽之界라 故로 爲不解라 因與柴胡 桂枝로 解太陽少陽之邪하고 黃芩 甘草로 散內外之熱하고 乾薑은 主胃中寒飮하고 栝蔞根은 治膈上熱渴하고 牡蠣는 以開脇下之微結也라 服湯後에 反加微煩者는 近世謂之藥煩이니 以汗後에 津液受傷하고 胃氣虛熱하야 不能勝藥力也라 必須復服하야 藥勝病邪라야 方得汗出而解라(≪傷寒纘論≫)
✺上二條는 皆太陽少陽並病이라 因本文中에 有支結微結하니 所以後世遂認結胸이라 致節庵이 又以小柴胡加桔梗으로 治痞結하니 亦不過治表邪初犯中焦者라야 方克有效오 若眞結胸은 則邪已因誤下引入內結이니 非大小陷胸湯丸峻攻이면 必不能解散也라(≪傷寒纘論≫)
✺此條도 亦太陽病傳入少陽之證이라 傷寒五六日에 已發汗矣 而復下之면 不無少誤라 惟誤下하니 以故胸脇滿微結이라 微結者는 言其邪不甚하야 未入於府하고 正當表裏之間也라 小便不利者는 此因汗下之後 而津液少也라 惟津液少而非停飮이니 以故渴而不嘔라 但頭汗出者는 此熱鬱於經하야 不得外越이라 故로 但升於頭而汗出也라 心煩者는 卽胸煩이니 往來寒熱 胸煩者는 此爲少陽之邪未解也라 故로 與柴胡桂枝乾薑湯하야 以專解其半表之邪하고 兼散其半裏之結也라(≪傷寒論辨症廣注≫)
✺愚按컨대 上節六日은 厥陰屬心包오 此節六日은 厥陰合少陽이니 以證六氣變通하야 不可執一之義라 傷寒五六日은 當少陰厥陰主氣之期니 夫厥陰은 不從標本하고 從中見少陽之化하고 少陽少陰은 并主神機樞轉者也라 如已發汗而復下之면 則神機內鬱하야 不能樞轉於外라 胸脇滿者는 少陽之氣 不能合太陽而外出也오 微結者는 少陰之氣不能合太陽而外出也라 三焦不和라 故로 小便不利오 結在君火之分이라 故로 渴이오 不涉于中胃라 故로 不嘔也라 但頭汗出者는 心液上蒸也라 往來寒熱者는 少陽欲出而不能也오 心煩者는 少陰欲出而不能也라 故曰此爲未解也니 宜柴胡桂枝乾薑湯이라 牡蠣는 啓厥陰之初陽이오 蔞根은 起少陰之陰液이오 柴胡桂枝黃芩은 從少陽而達兩陰之氣於太陽이오 乾薑甘草는 和中胃而資其土氣니 病雖不涉中土나 必藉土灌四旁後라야 能陰陽和하고 樞機轉而汗出愈라(≪傷寒論集注≫)
✺傷寒發汗은 固所宜然이니 雖五六日이라도 若表證未除면 非必當攻下之期也라 必察其汗後表證盡去하고 裏邪已實 然後라야 方可議下라 汗下得宜면 自無他變矣어늘 今已發汗而復下之하야 致胸脇滿而微結은 是必汗不徹而表邪未盡하고 因下早而外邪內陷也라 胸脇滿者는 邪入少陽也니 少陽之脈이 下頸合缺盆하야 下胸中하야 循脇裏故也라 微結者는 邪之所結者小니 不似結胸之大且甚也라 小便不利而渴者는 汗下兩竭其津液之所致라 雖爲太陽之邪入裏而犯膀胱이나 然이나 亦少陽之兼證也라 不嘔者는 邪未盡入少陽也오 但頭汗出 則知邪在陽經하고 未入於陰也라 邪氣旣不全在於表하고 又未全入於裏 而在半表半裏之間이니 少陽之分 故로 往來寒熱也라 心煩은 邪在胸膈也라 凡此者는 皆太少兩經之外證未解니 小柴胡湯不中與也라 故로 以柴胡桂枝乾薑湯主之라(≪傷寒溯源集≫)
✺五六日에 已汗下하야 胸脇微結 小便不利 渴而不嘔 但頭汗 往來寒熱하고 又心煩은 此太陽表症未罷한대 少陽諸症又急이라 故로 用柴胡桂枝合治라 因汗下後니 略加乾薑하야 和中이라(≪傷寒大白·卷一·寒熱≫)
✺又傷寒五六日에 已汗復下한대 反見胸脇滿 微結 小便不利 渴而不嘔하며 但頭汗 遍身無汗하고 又寒熱心煩은 少陽太陽表症未解也라 故로 宜此湯이라(≪傷寒大白·卷三·頭汗≫)
✺小便不利는 裏熱者多나 然이나 尚見少陽太陽表證이라 故로 立散表法門이라(≪傷寒大白·卷四·小便不利≫)
✺汗下後 而柴胡證仍在者는 仍用柴胡湯加減이라 此는 因增微結一證이라 故變其方名耳라 此微結은 與陽微結로 不同이라 陽微結은 對純陰結而言이니 是指大便硬이오 病在胃라 此微結은 對大結胸而言이니 是指心下痞오 其病在胸脇이라 與心下痞硬 心下支結로 同義라(≪柯氏傷寒論注≫)
✺汗下之後에 胸脇滿微結者는 邪聚於上也라 小便不利 渴而不嘔者는 熱勝於內也라 傷寒汗出 周身 人靜不煩者는 爲已解나 但頭汗出而身無汗 往來寒熱 心煩者는 爲未欲解라 夫邪聚於上 熱勝於內 而表復不解는 是必合表裏以爲治니 柴胡 桂枝는 以解在外之邪하고 乾薑 牡蠣는 以散胸中之結하고 栝蔞根 黃芩은 除心煩而解熱渴이라 炙甘草는 佐柴胡 桂枝하야 以發散하고 合芩 栝蔞 薑 蠣하야 以和裏하니 爲三表七裏之法也라(≪傷寒貫珠集≫)
✺傷寒五六日에 已發其汗한대 表未解而復下之라 若邪陷入陽明之裏면 則必作結胸痞硬協熱下利等證이어늘 今邪陷入少陽之裏라 故로 令胸脇滿微結也라 小便不利 渴而不嘔者는 非停水之故오 乃汗下損其津液也라 論中有身無汗 獨頭汗出 發熱不惡寒 心煩者는 乃陽明表熱이 鬱而不得外越之頭汗也어늘 今但頭汗出 往來寒熱 心煩者는 無陽明證이니 知爲少陽表熱이 鬱而不和하야 上蒸之頭汗也라 此爲少陽表裏未解之證이라 故로 主柴胡桂枝乾薑湯하야 以專解半表之邪하고 兼散半裏之結也라(≪醫宗金鑑≫)
✺林瀾曰 五六日에 已經汗下之後 則邪當解어늘 今胸脇滿微結 寒熱心煩者는 是邪猶在半表半裏之間也라 小便不利而渴은 乃汗下後亡津液內燥也라 若有熱飮이면 其人必嘔어늘 今渴而不嘔하니 知非飮熱也라 傷寒汗出則和어늘 今但頭汗出 餘處無汗者는 津液不足而未和也라 與柴胡桂枝乾薑湯하야 以解表裏而復津液也라(≪醫宗金鑑≫)
✺邪氣已深은 一時不能卽出하니 如蒸蒸而振 發熱汗出而解之類라 [傷寒五六日已發汗而復下之] 一誤再誤라 [胸脇滿] 用牡蠣라 [微結 小便不利 渴] 以上은 皆少陽證이라 渴 故로 用栝蔞라 [而不嘔] 故로 去半夏 生薑이라 [但頭汗出] 陽氣上越이니 用牡蠣라 [往來寒熱] 用柴芩이라 [心下煩者] 黃芩 牡蠣라 [此爲未解也 柴胡桂枝乾薑湯主之](≪傷寒論類方≫)
✺魏荔彤曰 此는 亦三陽並見之證이니 宜從少陽治之 而少變其法也라 蓋已發汗而表未除한대 復下之而裏邪入이라 胸脇滿微結은 是太陽外感之邪가 彌漫於三陽이니 胸滿은 太陽也오 脇滿은 少陽也라 因不專滿在胸이라 故로 其結較結胸也微니 又可見陽明亦病이라 小便不利 渴而不嘔는 津液短而化氣衰하야 胃病을 可知矣라 此所以三陽俱病也라 未解者는 不獨陽明少陽이오 正太陽表邪未盡解也라 太陽未解는 似宜治表나 然이나 陽明少陽已病이니 不可復發汗이오 法應三陽並治 而以太陽少陽爲兩路出邪之門戶라 蓋少陽之邪는 終亦必由太陽透表라 故로 治少陽은 亦所以治太陽也라 陽明은 更不必專治矣라 本方以柴胡爲主는 意在少陽이오 入桂枝는 太陽之治寓焉이라 去人參加乾薑하야 下藥寒結可開오 易半夏爲栝蔞根하야 已傷之津液可復이라 牡蠣는 制水安神이라 小柴胡는 升淸降濁하야 使半表解 半裏和者니 是又小柴胡加減法外에 神明之一法이오 一了百當者也라(≪傷寒論綱目·卷十一·少陽經證·寒熱往來≫)
✺許叔微曰 本條는 著眼微結二字라 微結者는 對大結胸而言이니 是指心下痞오 其病留著胸脇間이라 故로 胸脇滿微結五字는 當作一句看이니 與心下痞硬 心下支結로 同義也라(≪傷寒論綱目·卷十二·脇滿腹痛≫)
✺支結之外에 又有微結이라 傷寒過五日而至六日은 爲厥陰主氣之期라 經云 厥陰之上에 中見少陽이라하니 已發汗而復下之면 則逆其少陽之樞不得外出이라 故로 胸脇滿호대 不似結胸證之大結 而爲微結하고 氣不得下行하니 故로 小便不利라 經云 少陽之上에 火氣治之라하니 故로 渴이오 無樞轉外出之機라 故로 渴而不嘔오 熱結在上而不在下라 故로 別處無汗而但頭汗被蒸而出이오 少陽欲樞轉而不能이라 故로 爲往來寒熱이라 心煩者는 少陽與厥陰爲表裏오 厥陰內屬心包 而主脈絡故也라 總之컨대 太陽之病이 六日而涉厥陰之氣하야 不能得少陽之樞以外出이니 若此면 此爲未解也라 以柴胡桂枝乾薑湯主之니 此湯은 達表 轉樞 解結 止渴 理中이 各絲絲入扣라 此一節은 言太陽病値厥陰主氣之期而爲微結也라(≪傷寒論淺注≫)
✺張令韶曰 傷寒五六日은 厥陰主氣之期也라 厥陰之上에 中見少陽하니 已發汗而復下之 則逆其少陽之樞하야 不得外出이라 故로 胸脇滿微結이오 不得下行이라 故로 小便不利라 少陽之上에 火氣治之라 故로 渴이오 無樞轉外出之機라 故로 不嘔라 但頭汗出者는 太陽之津液이 不能旁達하고 惟上蒸於頭也라 少氣欲樞轉而不能이라 故로 有往來寒熱之象也라 厥陰內屬心包而主脈絡이라 故로 心煩이라 此는 病在太陽而涉厥陰之氣하야 不得少陽之樞以外出이라 故로 曰此爲未解也라 用柴胡 桂枝 黃芩하야 轉少陽之樞而達太陽之氣하고 牡蠣는 啟厥陰之氣以解胸脇之結하고 蔞根는 引水液之上升而止煩渴이오 汗下後에 中氣虛矣라 故로 用乾薑 甘草以理中이라(≪長沙方歌括·卷四·太陽方·柴胡桂枝乾薑湯≫)
✺已發汗 則陽氣外泄矣오 又復下之 則陽氣下陷하야 水飮內動하야 逆於胸脇이라 故로 胸脇滿微結 小便不利라 水結則津不升故渴이니 此는 與五苓散證으로 同一意也라 陽遏於內하야 不能四散하고 但能上冒爲頭汗出이라 而通身陽氣欲出不能 則往來寒熱이니 此는 與小柴胡證으로 同一意也라 此는 皆寒水之氣가 閉其胸膈腠理而火不得外發하면 則返於心包하니 是以心煩이라 故로 用柴胡以透達膜腠하고 用桂薑以散撤寒水하고 又用瓜蔞黃芩以淸內鬱之火라 夫散寒이어든 必先助其火어늘 本證心煩은 已是火鬱於內니 初服桂薑하야 反助其火라 故로 仍見微煩이니 復服則桂薑之性이 已得升達 而火外發矣라 是以汗出而愈라 原注는 稍涉含糊라(≪傷寒論淺注補正≫)
✺傷寒五六日은 未及作再經之期니 汗之可也어늘 已發汗而復下之 則非也라 苟令汗之而當 則病機가 悉從肌表外散하야 上自胸脇으로 下及三焦膀胱히 當可全體舒暢하리니 寧有停蓄之標熱本寒이 鬱於中而不達이리오 惟其當可汗之期에 早用芒硝 大黃하야 以牽掣其外出之路하니 於是에 未盡之汗液이 留於胸脇 而胸脇爲滿하고 並見蘊結不宣之象이라 標熱吸於上이라 故로 小便不利라 先經發汗하야 胃中留濕較輕이라 故로 渴而不嘔라 標熱吸於外하고 本寒滯於裏하야 表裏不融이라 故로 往來寒熱이라 陽浮於上하고 內陷之陰氣不從이라 故로 但頭汗出이라 陽上越이라 故로 心煩이라 此는 正與傷寒八九日 下之 胸滿煩驚으로 同例니 非似病後之虛煩이라 以曾經發汗이라 故로 早下而不成結胸也라 方用柴胡 桂枝 乾薑하야 溫中達表 以除微結之邪하고 用黃芩 生草 栝蔞根 牡蠣하야 淸熱解渴降逆 以收外浮之陽하니 於是에 表裏通徹하야 汗出而愈矣라 按컨대 此證은 與前證으로 略同하니 以其無支節煩疼而去芍藥하고 以其渴而不嘔하니 加栝蔞根而去半夏하고 以其胸脇滿兼有但頭汗之標陽하니 去人參而加牡蠣라 不難比較而得也라(≪傷寒發微≫)
'<선호상한론>확장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호상한론>확장판 148조문 (0) | 2025.04.06 |
---|---|
<선호상한론>확장판 147조문(柴胡桂枝乾薑湯方) (0) | 2025.04.05 |
<선호상한론>확장판 146조문(柴胡桂枝湯方) (0) | 2025.03.16 |
<선호상한론>확장판 146조문 (0) | 2025.03.09 |
<선호상한론>확장판 145조문 (0) | 2025.03.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