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2][107] 傷寒 二三日에 心中悸而煩者는 小健中湯 主之라
『상한 2~3일에 心中이 悸動하면서 煩擾할 때에는 소건중탕으로 다스린다.』
✺傷寒二三日은 邪氣在表하고 未當傳裏之時니 心中悸而煩은 是非邪氣搏所致라 心悸者는 氣虛也오 煩者는 血虛也라 以氣血內虛하니 與小建中湯하야 先建其裏라(≪注解傷寒論≫)
✺二三日은 當傳之時어늘 不傳不變하고 但心中悸而煩者는 邪雖衰微나 正亦虛弱하야 不足以退散之니 所以持也라 小建中者는 桂枝湯에 倍芍藥而加膠飴也라 桂枝湯은 扶陽而固衛하니 衛固則榮和라 倍芍藥者는 酸以收陰이니 陰收則陽歸附也라 加膠飴者는 甘以潤土니 土潤則萬物生也라 建은 定法也라 定法惟中이오 不偏不黨이니 王道蕩蕩은 其斯之謂乎ᅟᅵᆫ져(≪傷寒論條辨≫)
✺邪熱傳裏한대 不經發汗吐下則爲煩熱이니 與發熱로 似同而異라 經曰 病人煩熱은 汗出則解라하니라 如未作膈熱은 但當和解微熱而已라 若心下滿而煩은 則有吐下之異니 宜別其證之虛實而爲劑之輕重也라 先煩而悸者는 爲實이오 先悸而煩者는 爲虛니 虛煩而心中欲嘔吐鬱悶之狀이라(≪傷寒六書·煩熱≫)
✺前條心下悸而煩은 皆與柴胡湯이어늘 此條悸而煩에 建中主之는 何也오 前條悸而煩은 以往來寒熱 默默不食하야 自表傳裏之悸煩也어니와 此條悸而煩은 以邪氣在表裏하야 頭疼發熱之時而悸煩이니 此는 裏虛血氣不勝其邪之故也라 故로 與建中湯以溫裏니 如此可悟凡治悸煩之例也라(≪張卿子傷寒論≫)
✺欲傳未傳之證에 其人內實이면 差可無慮어니와 若陽氣內虛而心悸하고 陰氣內虛而心煩하면 將來邪與虛搏하야 必至危困이니 建立其中氣면 則邪不易入이오 卽入이라도 亦足以禦之也니라(≪尙論篇≫)
✺陽氣內虛而心悸하고 陰氣內虛而心煩하야 將來邪與虛搏하야 必致危困이니 急用建中하야 養正祛邪하면 庶免內入之患이라(≪傷寒纘論≫)
✺傷寒二三日은 邪當傳裏之時어늘 今則別無他證하고 但心中悸而煩者는 此外邪已微而不傳하고 正氣驟虛하야 不能自持也라 蓋陽氣內虛 則心悸하고 陰氣內虛 則心煩이라 故로 與小建中湯하야 以建其裏氣之虛라 愚以此條病은 必是太陽傷寒發汗之後所變이라 故로 建中湯은 卽桂枝湯小變其制也라(≪傷寒論辨症廣注≫)
✺傷寒二三日은 乃陽明少陽主氣之期라 心中悸而煩者는 胃絡上通於心하고 少陽三焦는 與心包相合하니 心血虛而悸煩也라 病氣가 入於心主之血分이라 故로 宜小建中湯主之라(≪傷寒論集注≫)
✺心中은 心胸之間이오 非必心臟之中也라 悸는 虛病也오 煩은 陽邪也라 傷寒二三日은 表證未解之時也라 大凡中風傷寒之心下悸者는 或誤汗亡陽 或飮水過多 及氣血皆虛 脈見結代而然也라 此條는 旣未誤汗飮水하고 又不言表證하고 但曰心中悸而煩者니 是寒邪已去한대 中氣已虛하야 僅存中風之陽邪가 將次入裏而先煩也라 中氣虛餒면 則膻中呼吸之氣不得伸이라 故로 築築然而悸動이오 陽邪將陷 故로 熱邪內犯而虛煩也라 若寒邪在營 則不應用桂枝湯矣라 此는 因寒邪已去하고 風邪仍在太陽이라 故로 以桂枝湯爲主하야 以解衛分之邪하고 加入膠飴 倍芍藥하야 以建立中氣也라(≪傷寒溯源集≫)
✺[辨誤] 小建中湯은 卽桂枝湯倍芍藥而加膠飴也라 各注家가 不辨桂枝湯爲傷寒之禁劑하고 漫因傷寒二字하야 遂置之傷寒條下 而謂邪氣欲傳未傳之時에 恐其內虛라 故로 建立中氣하야 令邪不易入이오 卽入이라도 亦足以禦之라하니 如此議論은 則此方이 僅足以暫阻邪氣而已라 豈仲景立方이 猶不足以療病歟아 余不得已하야 移置太陽下篇하야 以俟有識者訂之니라(≪傷寒溯源集≫)
✺傷寒二三日에 無陽明證은 是少陽發病之期라 不見寒熱頭痛胸脇苦滿之表하고 又無腹痛苦嘔或咳或渴之裏하며 但心悸而煩은 是少陽中樞受寒 而木邪挾相火爲患이라 相火旺則君火虛하야 離中眞火不藏 故로 悸하고 離中眞火不足 故로 煩이라 非辛甘以助陽하고 酸苦以維陰이면 則中氣亡矣라 故로 制小建中以理少陽하야 佐小柴胡之不及이라 心煩心悸는 原屬柴胡證而不用柴胡者는 首揭傷寒不言發熱 則無熱而惡寒을 可知라 心悸而煩은 是寒傷神이오 熱傷氣矣라 二三日間에 熱已發裏하고 寒猶在表하니 原是半表半裏證이나 然이나 不往來寒熱則柴胡不中與也라 心悸는 當去黃芩하고 心煩不嘔는 當去參半이라 故로 君桂枝하야 通心而散寒하고 佐甘草棗飴하야 助脾安悸하며 倍芍藥하야 瀉火除煩하고 任生姜하야 佐金平木이라 此는 雖桂枝加飴而倍芍藥이나 不外柴胡加減之法이라 名建中은 寓發汗於不發之中이오 曰小者는 以半爲解表하야 不全固中也라 少陽妄汗後에 胃不和하야 因煩而致躁는 宜小柴胡淸之오 未發汗 心已虛하야 因悸而致煩은 宜小建中和之라(≪柯氏傷寒論注≫)
✺傷寒裏虛則悸오 邪擾則煩이니 二三日에 悸而煩者는 正虛不足 而邪欲入內也라 是不可攻其邪오 但與小建中湯하야 溫養中氣니 中氣立則邪自解오 卽不解라도 而攻取之法를 亦可因而施矣라 仲景禦變之法이 如此하니 誰謂傷寒非全書哉아(≪傷寒貫珠集≫)
✺傷寒二三日은 未經汗下니 卽心悸而煩은 必其人中氣素虛라 雖有表證이라도 亦不可汗之니라 蓋心悸는 陽已微오 心煩은 陰已弱이라 故로 以小建中湯으로 先建其中하고 兼調榮衛也니라(≪醫宗金鑑≫)
✺程應旄曰 可見陽去入陰하면 必有其先兆하나니 善治者는 急宜杜之於未萌이라 心中悸而煩은 則裏氣虛而陽爲陰襲이니 建中湯으로 補虛和裏하고 保定中州하야 以資氣血爲主라 雖悸與煩은 皆小柴胡湯中兼見之證이나 而得之二三日은 裏證未必卽具니 小柴胡湯非所宜也라(≪醫宗金鑑≫)
✺魏荔彤曰 建中者는 治其本也라 與建中後에 徐審其在表면 則仍當發汗이니 以中州旣建이면 雖發汗이라도 陽亦不致亡矣라 審其傳裏면 則應下之니 以中州旣建이면 雖下라도 陽亦不致陷矣라 所謂急則從標 而緩則從本也라(≪醫宗金鑑≫)
✺悸而煩은 其爲虛煩을 可知라 故로 用建中湯하야 以補心脾之氣라 蓋梔子湯는 治有熱之虛煩이오 此는 治無熱之虛煩也라(≪傷寒論類方≫)
✺蓋以樞者는 內外之樞紐也니 可從樞而外出하고 亦可從樞而內入이라 傷寒病에 過服發表之劑하야 其惡風寒等症已解 而內虛之症이 漸形이라 至二日은 爲陽明主氣之期오 三日은 爲少陽主氣之期어늘 外邪旣淨하니 無庸從少陽之樞而外出이라 而發表後에 虛弱不支之病이 轉入於所合之心包絡이라 包絡主血하니 血虛則心中悸하고 不獨悸而且煩者는 以煩이 涉於心主之血分 而不涉於樞脇之氣分이라 故로 以小建中湯主之라 此一節은 淺言之不過虛補二字 而言外合一樞字之義見이라 少陽三焦는 內合厥陰心包而主血이라 故로 亦可隨樞而入也라 心包主血하니 血虛하야 神無附麗而自悸면 則悸爲虛悸오 而煩亦虛煩也라(≪傷寒論淺注≫)
✺陳平伯云 但云心中煩悸하고 不云無汗惡寒等症하니 可知服過麻黃湯後에 表實已解하고 裏虛漸著라 故로 以此湯補之오 否則大靑龍湯 梔子湯之證에 誤服하면 害事라(≪傷寒論淺注≫)
✺外臺는 作傷寒一二日이라(≪傷寒論輯義≫)
✺少陽病에 有煩而悸者는 此屬胃라 胃不和則煩而悸니 和胃爲主라 又有悸而煩者는 如經云傷寒二三日 心中悸而煩者 小建中湯主之가 是也라 大凡先煩而後悸者는 屬實이오 先悸而後煩者는 屬虛니 補虛瀉實 治各不同矣라(≪傷寒尋源·中集·虛煩≫)
✺三焦는 卽膜網也오 包絡은 俗曰護心油니 膜膈上循腔子하야 上肺系하야 至心爲包絡이라 經에 曰 三焦는 上合心包라하니 以其膜網相連也라 膜與油는 古又名膏肓이니 膏卽是油오 肓卽是膜網이라 小柴胡는 是疎膜網이오 建中湯은 是溫補膏油니 膏油는 是脾土所屬이오 心包之火가 從護心油而下하야 以溫周身之膏油니 是爲火生土오 建中湯이 卽此義也라 故로 以桂枝入心爲主오 而其餘藥은 皆是補脾니라(≪傷寒論淺注補正≫)
✺傷寒二三日은 爲二三候之期限이라(二候는 爲十四日이오 三候는 爲二十一日이라) 過七日則當傳陽明이오 過十四日則當傳少陽이라 此時에 脾陽不振하야 血分中熱度漸低하면 太陽水氣가 與標熱로 並陷中脘하니 水氣在心下則悸호대 水氣微라 故로 顚不眩이오 熱在心下則煩호대 熱不甚이라 故로 不見燥渴이라 此證은 但用桂枝湯이면 不能發肌理之汗이니 必加飴糖以補脾藏之虛 然後에 太陽標本內陷者가 乃能從肌理外達而爲汗이니 此用小建中湯之旨也라 陳修園은 誤以爲補中之劑 而以悸爲虛悸오 煩爲虛煩이니 殊失本旨라 不然이면 桂枝湯은 本發汗之劑어늘 豈一加飴糖하면 全失其發汗之作用乎아(≪傷寒發微≫)
'<선호상한론>확장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호상한론>확장판 103조문(大柴胡湯方) (0) | 2024.11.19 |
---|---|
<선호상한론>확장판 103조문 (0) | 2024.11.18 |
<선호상한론>확장판 101-2조문 (0) | 2024.11.16 |
<선호상한론>확장판 101-1조문 (0) | 2024.11.15 |
<선호상한론>확장판 100조문(小建中湯方) (0) | 2024.1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