性味가 苦辛性溫하여 苦味는 肺經에 들어가 肺氣를 降하게 하고, 辛味는 疏散하며 또한 宣肺除痰하므로 痰이 消하여 肺氣가 宣通하게 되어 咳喘이 스스로 平喘되므로 宣肺化痰하고 止咳平喘의 效能이 있어 咳喘證을 치료하는 要藥이 된다.
가래가 있는 기침에 쓴다.
각종 喘咳證의 원인에 따라 적용하는데, 熱이 있는 者는 淸熱藥을, 寒이 있는 者는 溫化藥을, 表證을 兼한 者는 解表藥을 配伍하여야 한다. 다만 虛咳證에는 응용하는 것이 마땅하지 않다.
몸이 약하거나 소화가 안 되는 경우는 별로다. 태음인이면 좋겠지.
이 외에도 油質을 함유하여 大腸經에 들어가 滑腸通便의 효능이 있어 腸燥便秘證에 적용하여 치료하고 便溏者는 愼用하여야 한다.
그러면서 변비가 있는 경우라야 한다.
또한 杏仁은 苦甛의 二種이 있어 性味가 같지 않아 적용할 때 구별하여 사용해야 하며, 苦杏仁은 苦辛宣肺하여 性이 疏泄에 속하여 外感으로 인한 肺實의 咳喘을 치료하는데 다용하고, 甛杏仁은 甘平潤肺하고 性이 滋養에 속하여 肺虛로 인한 勞嗽에 다용하며 潤腸通便의 효능은 서로 같다.
이건 별로 중요한 내용은 아니다.
'<본초학교과서>복습'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본초학교과서/淸化熱痰藥/길경> 복습하기 (0) | 2024.07.24 |
---|---|
<본초학교과서/발산풍한약/자소엽>복습하기 (0) | 2024.06.26 |
<본초학교과서/안신약/합환피> 복습하기 (0) | 2024.06.24 |
<본초학교과서/보음약/흑지마> 복습하기 (0) | 2024.06.23 |
<본초학교과서/발산풍열약/우방자>복습하기 (0) | 2024.06.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