脣形科(꿀풀과:Labiatae)에 속한 일년생 초본인 차조기 Perilla frutescens var. acuta kudo 또는 기타 동속 근연식물의 잎 및 끝자리로, 여름에 줄기와 잎이 무성할 때 채취하여 曬乾한다.(본초학교과서)
性味가 辛溫하고 芳香이 있어 肺 脾經에 들어가 風寒의 邪氣를 發散시킬 뿐 아니라 또한 行氣寬中시켜 惡寒 發熱 頭痛 鼻塞 無汗에 咳嗽를 겸한 外感風寒表證에 효과가 있으며, 表寒에 氣滯를 겸하여 胸悶不舒한 증에 적합하다. 脾肺氣滯로 인한 咳嗽痰多 및 胸悶嘔惡 등 증에 적용한다. 그러므로 風寒表證에 胸悶嘔惡 등 증이 겸하여 나타나면 紫蘇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적합하다.
감기에 걸렸는데 가슴이 답답하고 속이 메슥거릴 때 쓴다는 말이다.
평소에 소화가 잘 안 되거나 신경쓰는 일이 있어서 가슴이 갑갑한 사람이 감기에 걸렸을 때 쓴다는 말이다.
發汗作用은 麻黃과 桂枝에 미치지 못하므로 外感風寒의 輕證에 상용하고,
그래서 소음인의 외감에 자소엽을 쓴다.
마황을 쓰면 안 될 것 같은 자에게 자소엽을 쓴다.
安胎의 효능은 行氣시키는 작용 때문이며, 行氣시키면 氣機가 通暢하게 되어 胎氣가 自和되기 때문이다.
그래서 임신부의 감기에 쓸 수 있다.
葉과 梗과 種子를 分別하여 응용하는데 蘇葉은 發表散寒시키고, 蘇梗은 理氣安胎시키며, 蘇子는 降氣消痰하므로 外感風寒에는 蘇葉을 다용하고, 胸悶嘔惡와 氣滯 및 胎動不安에는 蘇梗을 다용하며, 痰多喘咳에는 蘇子를 다용한다.
잎과 줄기와 씨앗의 장점이 다르므로 구별해서 쓴다는 말이다.
'<본초학교과서>복습'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본초학교과서/溫化寒痰藥/선복화>복습하기 (0) | 2024.07.25 |
---|---|
<본초학교과서/淸化熱痰藥/길경> 복습하기 (0) | 2024.07.24 |
<본초학교과서/지해평천약/행인>복습하기 (0) | 2024.06.25 |
<본초학교과서/안신약/합환피> 복습하기 (0) | 2024.06.24 |
<본초학교과서/보음약/흑지마> 복습하기 (0) | 2024.06.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