問曰 上工治未病은 何也니잇고
師曰 夫治未病者는 見肝之病이어든 知肝傳脾하야 當先實脾호대 四季는 脾旺하야 不受邪하나니 卽勿補之라
中工은 不曉相傳하야 見肝之病이어든 不解實脾코 惟治肝也니라
『물어 이르기를 上工은 未病을 다스린다는데 무슨 말입니까? 스승이 이르기를 무릇 未病을 다스린다는 것은 肝病을 보면 肝에서 脾로 전해질 것을 알아 마땅히 먼저 脾를 實하게 하는 것인데, 四季는 脾氣가 旺盛해서 邪氣를 받지 않으니 補하지 않는다. 中工은 서로 傳해진다는 사실을 깨닫지 못해서 肝病을 보면 脾를 實하게 할 생각은 하지 않고 오직 肝만 다스린다.』
✺醫中有大關目은 不可專指一病者니 仲景於首卷에 特掲數十端以定治療之法이라 此는 則論五行相克之理에 必以次傳 而病亦當預備以防其傳也라 問古云上工治未病이라하니 豈眞毫無所病 而先治之乎아 謂五行相克之理는 每傳於所勝라 假如見肝之病은 肝木勝脾土라 故로 知必傳脾 而先務實脾라 脾未病而先實之니 所謂治未病也라 然이나 四季土旺하야 旺不受邪니 卽勿補之는 恐實實也라 其中工은 不曉此理하야 不預爲脾計 則專治肝하니 以脾爲未病而不治라가 逮旣病而治之면 則已晩矣라(≪金匱要略論註≫)
✺五臟屬陰이오 六腑屬陽이라 內經에 云 五臟은 藏精氣而不泄이라 故滿而不能實이오 六腑는 傳化物而不藏이라 故로 實而不能滿也라하니라 然이나 臟有五어늘 而扁鵲謂有六臟者는 因腎有兩臟이니 其左爲腎 右爲命門也라하니라 腑有六 而止言五腑者는 以五臟各一腑라 三焦亦是一腑나 然이나 不屬於五臟이라 故로 言腑有五焉이라 又內經에 云 形臟四 神臟五라하니 則自心 肝 脾 肺 腎而外에 若頭角者 耳目者 口齒者 胸中者도 亦得名之爲臟 而以類推焉이라 經者는 手足三陰三陽이 合爲十二經也라 直者爲經이오 橫者爲絡이며 循內者爲經이오 浮外者爲絡이라 難經에 云 經有十二오 絡有十五라하니 蓋又有陽蹻之絡 陰蹻之絡及脾之大絡也라 素問에 云 經有常色 而絡無常變也라 陰絡之色은 應其經이오 陽絡之色은 變無常하야 隨四時而行者也라하니라 先後病者는 總臟腑經絡而言이라 蓋臟腑經絡相傳之病에 有先有後하니 治臟腑經絡之病者도 亦有宜先宜後云爾라(≪金匱要略廣註≫)
✺按컨대 素問에 云 邪氣之客於身也에 以勝相加라하니 肝應木而勝脾土하니 以是知肝病當傳脾也라 實脾者는 助令氣王하야 使不受邪니 所謂治未病也라 設不知而徒治其肝하면 則肝病未已에 脾病復起하니 豈上工之事哉리오(≪金匱要略心典≫)
✺此는 承上條受病三因하야 以明其治라 上工은 良醫也오 中工은 常醫也라 已病은 已然之病也오 未病은 未然之病也라 假如現在肝病은 此已然之病也오 肝病將來傳脾는 此未然之病也라 良醫는 知肝病傳脾하야 見人病肝이어든 先審天時衰旺하고 次審脾土虛實하야 時旺脾實則知不受肝邪니 不須補脾하고 直治已病之肝이오 若時衰脾虛하면 則知肝必傳脾니 先補未病之脾하고 兼治已病之肝이라 彼常醫는 不曉四時所勝 五藏相傳之理하고 見肝之病이어든 惟瀉已病之肝하고 不知補未病之脾也라(≪醫宗金鑑≫)
✺程林曰 經云 因其輕而揚之 因其重而減之 因其衰而彰之라하니 所謂因者는 乘其機也라 治未病者는 謂治未病之藏府오 非治未病之人也라 見肝之病이어든 當先實脾하야 使土旺則能勝水하고 水不行則火盛而制金하고 金不能干木하야 肝自愈矣라 此는 治肝補脾 治未病之法也라(≪醫宗金鑑≫)
✺高世栻曰 實脾는 專爲制水니 使火盛金衰하야 肝不受制면 則肝自愈라 其理甚精微라 故로 曰 此는 治肝補脾之要妙也라(≪醫宗金鑑≫)
✺臟腑經絡은 隱不可見이라 然이나 有其外著者焉이라 若聲臭色脈 若寒熱痛癢 若喜怒愛憎 若便溺飮食이 是皆可卽顯以知微者어늘 但粗工不解耳라 先師張仲景이 究天人之際에 通神明之德하고 於臟腑經絡之內에 示望聞問切之法이니 是亦長桑見物之神丹 太眞燭怪之靈犀也라 古聖賢四診玄機가 悉在於此니 此論은 不可不熟也라(呂覽語라)(≪金匱懸解≫)
✺五行生克은 肝木克土 脾土克水 腎水克火 心火克金 肺金克木하야 克其所勝이라 故로 以病傳之라 見肝之病이어든 知脾土被賊하야 先實其脾니 是謂未病而早醫라 土旺四季하야 其時脾不受邪니 卽勿補之라 中工은 未曉相傳之義하야 見肝之病이어든 不解實脾하고 惟治肝也니 是以肝病未已에 脾病復起라 餘臟도 准此類推라(此는 引難經文이라)(≪金匱懸解≫)
✺問曰 上工이 治未病은 何也오 師曰 病은 不外邪正虛實이니 邪氣盛則實이오 正氣奪則虛라 是邪正이 統於虛實中也라 夫上工治未病者는 見肝邪之爲實病이어든 知已病之肝이 必傳未病之脾니 當先實脾라 若春之三月 夏之六月 秋之九月 冬之十二月은 四季脾王하야 不受邪니 卽勿補之라 所以然者는 臟病은 惟虛者受之오 而實則不受며 臟邪는 惟實則能傳 而虛則不傳也라 中工은 不曉邪實則相傳하야 見肝之病이어든 不解先實未病之脾하고 惟治其肝하야 不防其傳也라(≪金匱要略淺注≫)
✺按컨대 傷寒論每篇首에 冠以辨字어늘 今要略無之者는 蓋後人所刪也라 外臺療瘧方에 引張仲景傷寒論할새 每條首에 有辨瘧病 辨瘧脈等字하니 亦足以證이라(≪金匱玉函要略述義≫)
✺[魏]此條는 乃仲景總揭諸病當預圖于早오 勿待病成方治以貽悔也라 治之預면 則用力少 而成功多니 所謂曲突徙薪之勛이 宜加于焦頭爛額之上也라 先言肝者는 以四時之氣始乎春이오 五臟之氣始于肝이라 洪範言履端于始 序則不愆이라 故로 先引肝하야 以爲之准云이라(≪金匱玉函要略述義≫)
✺承上文하야 言內外因 及不內外因之病由라 凡後文二十四篇之證은 俱宜如此治未病之法也라 言一肝 而其餘臟腑之補法를 可類推矣라 故로 曰餘臟仿此라하니라 言一補肝 而其餘臟腑之瀉法을 又可反悟矣라 故로 曰補不足 損有餘라하니라 上工治未病은 上古醫經之文이니 仲景特借爲問答以發論耳라 見肝之病者는 如經所云平旦慧 下晡甚 夜半靜하고 又目䀮䀮無所見 耳無所聞 善恐 如人將捕之之類라 是肝氣已虛하야 勢必挾其虛木之氣 以凌脾土하야 將來脾必受病이니 法當實脾하야 以治脾之未病也라 土寄王於四時之季月이오 人之臟氣는 與天時相應하니 逢季月하면 則脾氣王而足以自持라 故로 不用此例라 中下之工은 不知라 故로 知之者爲上工也라(≪高注金匱要略≫)
✺此節은 借肝病傳脾하야 以明上工治未病之說也라 肝藏血虛하면 則其葉燥挺而壓於脾라 脾氣鬱하면 則痛延腹部하야 遂有腹中急痛之證이라 傷寒論에 云 陽脈急 陰脈弦하면 腹中急痛하니 先予小建中湯이라하니 蓋桂枝湯은 其味本甘이니 加飴糖則其味益甘이라 內經所謂 肝苦急 急食甘以緩之니 卽實脾之說也라 脾王不必泥四季나 但濕土當旺之時卽是니 長夏에 用小建中하면 卽病脹懣이라 故로 曰勿補라하니라 中工은 不知因肝藏血虛之故 而用甘味以實脾 而以小建中湯爲治肝補脾不二法門이니 則大誤矣라(≪金匱發微≫)
'<선호금궤요략>확장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호상한론>확장판 150조문 (0) | 2025.04.09 |
---|---|
<선호금궤요략>확장판 일러두기 (0) | 2024.06.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