第五節 六氣之復의 證狀과 治法
【原文】
帝曰 六氣之復(1)은 何如오[1]
岐伯이 曰 悉乎哉라 問也시여 厥陰之復은 少腹堅滿하며 裏急暴痛하고 偃木飛沙(2)하며 倮蟲不榮하고 厥心痛하며 汗發嘔吐하야 飮食不入하며 入而復出하며 筋骨<1>掉眩淸厥하며 甚則入脾하야 食痺而吐하니[2] 衝陽이 絶하면 死不治하고[3]
少陰之復은 燠熱內<2>作하야 煩躁鼽嚔하며 少腹絞痛하고 火見燔焫(3)하야 嗌燥하며 分注時止하고 氣動於左하야 上行於右(4)하면 欬하며 皮膚痛하며 暴瘖하며 心痛하며 鬱冒不知人하며 乃灑浙<3>惡寒하야 振慄譫妄하며 寒已而熱하야 渴而欲飮하며 少氣骨痿<4>하며 隔腸不便하며 外爲浮腫 噦噫하고 赤氣後化(5)하야 流水不氷하고 熱氣大行하야 介蟲不復<5>하고 病疿胗瘡瘍과 癰疽痤痔하고 甚則入肺하야 欬而鼻淵하니[4] 天府絶하면 死不治하고[5]
太陰之復은 濕變乃擧하야 體重中滿하야 食飮不化하고 陰氣上厥하야 胸中不便하고 飮發於中하야 欬喘有聲하고 大雨時行하야 鱗見於陸(6)하고 頭頂<6>痛重 而掉瘈尤甚(7)하며 嘔而密黙하며 唾吐淸液하고 甚則入腎하야 竅瀉無度하니[6] 太谿絶하면 死不治하고[7]
少陽之復은 大熱將至하야 枯燥燔焫하야 介蟲乃耗하고 驚瘛欬衄하며 心熱煩躁하며 便數憎風하며 厥氣上行하야 面如浮埃하며 目乃瞤瘛하고 火氣內發하야 上爲口糜하며 嘔逆血溢血泄하며 發而爲瘧하야 惡寒鼓慄하고 寒極反熱하야 嗌絡(8)焦槁하며 渴引<7>水漿하며 色變黃赤하며 少氣脈萎하고 化而爲水(9)하야 傳爲胕腫하고 甚則入肺하야 欬而血泄하니[8] 尺澤絶하면 死不治하고[9]
陽明之復은 淸氣大擧하야 森木蒼乾하며 毛蟲乃厲하고 病生胠脇하야 氣歸於左(10)하며 善太息하고 甚則心痛否滿하며 腹脹而泄하며 嘔苦<8>欬噦하며 煩心하니 病在膈中이오 頭痛하고 甚則入肝하야 驚駭筋攣하니[10] 太衝絶하면 死不治오[11]
太陽之復은 厥氣上行하야 水凝雨氷하며 羽蟲乃死하고 心胃生寒하야 胸膈<9>不利하며 心痛痞滿하며 頭痛善悲하며 時眩仆하며 食減하며 腰脽反痛하야 屈伸不便하고 地裂氷堅하야 陽光不治하고 少腹控睾하며 引腰脊하야 上衝心하고 唾出淸水하며 及爲噦噫하고 甚則入心하야 善忘善悲하니[12] 神門絶하면 死不治니이다[13]
帝曰 善타 治之奈何오[14]
岐伯이 曰 厥陰之復은 治以酸寒하고 佐以甘辛하며 以酸瀉之하고 以甘緩之하며[15]
少陰之復은 治以鹹寒하고 佐以苦辛하며 以甘瀉之하고 以酸收之하며 辛苦發之하고 以鹹耎之하며[16]
太陰之復은 治以苦熱하고 佐以酸辛하며 以苦瀉之하며 燥之泄之하며[17]
少陽之復은 治以鹹冷하고 佐以苦辛하며 以鹹耎之하고 以酸收之하며 辛苦發之호되 發不遠熱하며 無犯溫凉이니 少陰同法이오[18]
陽明之復은 治以辛溫하고 佐以苦甘하며 以苦泄之하며 以苦下之<10>하고 以酸補之하고[19]
太陽之復은 治以鹹熱하고 佐以甘辛하며 以苦堅之니[20]
治諸勝復에 寒者는 熱之하고 熱者는 寒之하고 溫者는 淸之하고 淸者는 溫之하고 散者는 收之하고 抑者는 散之하고 燥者는 潤之하고 急者는 緩之하고 堅者는 耎之하고 脆者는 堅之하고 衰者는 補之하고 强者는 瀉之하야 各安其氣하야 必淸必靜(11)하면 則病氣衰去하야 歸其所宗하니 此治之大體也니이다[21]
【解釋】
黃帝가 이르기를 六氣의 來復은 어떠합니까?
岐伯이 이르기를 상세한 질문이십니다. 厥陰風木의 氣가 來服하면 下腹部가 단단하면서 脹滿하고 당기면서 심한 痛症이 옵니다. 狂風이 불어 큰 나무들이 쓰러지고 모래와 돌이 날리며 裸蟲이 잘 자라지 못합니다. 氣가 치밀어 胸部에 痛症이 發生하고, 땀이 나며, 嘔吐가 發生하여 음식을 먹지 못하게 되는데, 만약 음식을 먹으면 바로 토하며, 筋骨이 떨리면서 아프고 眩暈이 發生하며 四肢가 차가워지고, 심하면 風邪가 脾에 침입하여 음식을 먹으면 바로 토하는 食痺證이 發生합니다. 만일 衝陽穴에 脈動이 느껴지지 않으면 死證으로 治療할 수 없습니다.
少陰君火의 氣가 來服하면 內部에 熱이 盛해져 煩躁하고, 코가 막히고 재채기가 나며, 下腹部가 뒤틀리는 듯이 아픕니다. 火氣가 盛하여 타오르는 듯하므로 咽喉가 건조하고 대변시에 때로 설사가 나고 때로 멎으며, 좌측의 動氣가 우측으로 上行하여 기침이 나고 피부에 통증이 오며, 갑자기 말을 하지 못하고, 胸部에 통증이 오며 정신이 昏迷하여 사람을 알아보지 못하고, 惡寒으로 인해 몸을 심하게 떨고 헛소리를 하며, 惡寒이 그치면 열이 나고 渴症으로 물을 마시려 하며, 기운이 없고 뼈가 연약해지며, 腸道가 막혀 대변이 나오지 않고, 피부에 浮腫이 發生하며 딸꾹질과 트림이 납니다. 少陰의 火氣가 뒤늦게 到來하므로 물이 얼지 않고 熱氣가 크게 유행하며 介蟲이 潛伏하지 않습니다. 疿胗·瘡瘍·癰疽·痔瘡 등이 發生하고, 심하면 熱邪가 폐로 들어가 기침이 나고 콧물이 나는 등의 證狀이 發生합니다. 만약 天府穴에 搏動이 느껴지지 않으면 死證으로 治療할 수 없습니다.
太陰濕土의 氣가 來服하여 濕으로 인한 病變이 發生하면 몸이 무겁고 腹部가 그득하여 음식물이 소화되지 않고, 陰氣가 上逆하여 가슴이 답답하며, 水飮이 內部에서 發生하므로 기침할 때 담이 끓는 소리가 납니다. 큰비가 수시로 내리므로 물고기가 육지에서 헤엄칩니다. 頭項部가 아프고 머리가 무거우며, 痙攣 證狀이 특히 심하고, 嘔吐로 인해 말하기를 싫어하며 멀건 물을 토합니다. 심할 경우는 濕邪가 腎으로 들어가 泄瀉가 한없이 나옵니다. 만일 太溪穴에 搏動이 느껴지지 않으면 死證으로 治療할 수 없습니다.
少陽相火의 氣가 來服하여 大熱이 到來하면 萬物이 大熱로 인해 시들고 介蟲이 감소합니다. 驚厥·瘈瘲·咳嗽·鼻衄·心熱煩躁·小便頻數·惡風 등의 證狀이 發生합니다. 火熱의 氣가 上逆하면 얼굴이 잿빛으로 변하고 눈꺼풀에 痙攣이 일어납니다. 火氣가 內部에서 發生하면 입안이 짓무르고 嘔吐가 發生하며 각종 上部 出血 혹은 下部 出血이 發生하며, 瘧疾이 發生하여 惡寒으로 몸을 떨고 寒이 極에 달하면 다시 熱이 나며, 咽喉의 血絡이 乾燥해지고 渴症으로 물을 마시며 얼굴빛이 黃赤色으로 변하고 기운이 없으며 脈이 痿弱해집니다. 熱이 鬱結되어 水의 흐름을 停滯시키므로 몸이 붓고, 심한 경우에는 火邪가 肺에 들어가므로 기침이 나고 便血이 發生합니다. 만일 尺澤穴에 搏動이 느껴지지 않으면 死證으로 治療할 수 없습니다.
陽明燥金의 氣가 來服하여 淸凉한 氣가 流行하면 樹木이 시들고 毛蟲이 병듭니다. 疾病은 胸肋部에서 發生하는데 邪氣가 左側이 몰리며, 한숨을 자주 쉬고 심한 경우에는 心痛·痞滿·腹脹·泄瀉·嘔吐·기침·트림·心煩 등의 證狀이 發生합니다. 병이 胸膈에 있으면 頭痛이 發生하며, 심하면 邪氣가 肝에 들어가므로 驚駭·筋脈痙攣 등의 證狀이 나타납니다. 만일 太衝穴에 搏動이 느껴지지 않으면 死證으로 治療할 수 없습니다.
太陽寒水의 氣가 來服하여 寒氣가 上行하면 물이 얼고 눈이 내려 毛蟲이 죽습니다. 心과 胃에 寒氣가 發生하여 胸膈部가 편안하지 않고 胸腹部가 脹滿해지며, 머리가 아프고 항상 슬퍼하며, 자주 현기증으로 쓰러지고 식욕이 줄며 腰部와 臀部에 痛症이 오고 屈伸이 불편해지는 證狀이 發生합니다. 땅이 갈라지고 물이 얼며 陽氣가 正常的인 작용을 발휘하지 못합니다. 下腹部에 통증이 오고 睾丸이 땅기며 腰脊部까지 痛症이 이어지는데, 氣가 心으로 치솟으면 멀건 물을 토하고 딸꾹질과 트림이 나며, 심하면 邪氣가 심으로 들어가므로 健忘症이 심하고 잘 슬퍼합니다. 만일 神門穴에 搏動이 느껴지지 않으면 死證으로 治療할 수 없습니다.
黃帝가 이르기를 훌륭하십니다. 이를 어떻게 治療해야 합니까?
岐伯이 이르기를 厥陰의 復氣로 인해 發生한 疾病은 酸寒한 藥物로 治療하되, 甘辛한 藥物로 보좌하며, 酸한 藥物로 太過한 木氣를 瀉하고, 甘한 藥物로 완화시킵니다.
少陰의 復氣로 인해 發生한 疾病은 鹹寒한 藥物로 治療하되, 苦辛한 藥物로 보좌하며, 甘한 藥物로 太過한 火氣를 瀉하고, 酸한 藥物로 收斂하고, 苦辛한 藥物로 鬱結된 火를 發散시키며, 鹹한 藥物로 燥堅한 것을 潤澤하고 부드럽게 합니다.
太陰의 復氣로 인해 發生한 疾病은 苦熱한 藥物로 治療하되, 酸辛한 藥物로 보좌하며, 苦한 藥物로 太過한 邪氣를 瀉하고, 濕을 乾燥시키며 濕을 滲泄합니다.
少陽의 復氣로 인해 發生한 疾病은 鹹寒한 藥物로 治療하되, 苦辛한 藥物로 보좌하며, 鹹한 藥物로 燥堅한 것을 부드럽고 潤澤하게 하며, 酸한 藥物로 收斂하고, 辛苦한 藥物로 邪氣를 發散시킵니다. 邪氣를 發散시키려면 熱藥을 써야 하며, 溫凉한 藥物을 使用해서는 안되는데, 少陰의 復氣로 인해 發生한 疾病을 治療할 경우도 마찬가지 방법을 사용합니다.
陽明의 復氣로 인해 發生한 疾病은 辛溫한 藥物로 治療하되, 苦甘한 藥物로 보좌하며, 苦한 藥物로 滲泄하고 甘한 藥物로 發泄시키며, 酸한 藥物로 보합니다.
太陽의 復氣로 인해 發生한 疾病은 鹹熱한 藥物로 治療하되, 甘辛한 藥物로 보좌하며, 苦한 藥物로 그 氣를 튼튼하게 합니다.
각종 勝氣·復氣로 인하여 發生한 疾病을 治療할 때는 寒病이면 熱藥을 사용하고, 熱病이면 寒藥을 사용하며, 溫病이면 凉藥을 사용하고, 凉病이면 溫藥을 사용해야 합니다. 氣가 소모되어 흩어지면 收斂하는 약을 사용하고, 鬱結된 경우에는 疏散시키는 약을 사용하며, 燥하면 滋潤하는 약을 사용하고, 急한 경우에는 緩和시키는 약을 사용합니다. 邪氣가 實하면 부드럽게 하는 약을 사용하고, 正氣가 虛하면 그 氣를 튼튼하게 하는 약을 사용하며, 衰弱하면 補法을 사용하고 强盛하면 瀉法을 사용합니다.
각종방법을 사용하여 正氣를 안정시키면 반드시 안정되어 흔들리지 않게 되므로 病氣가 물러가며, 나머지 氣도 역시 각기 소속된 部位로 歸屬될 것입니다. 이것을 治療의 대체적인 原則입니다.
【校勘】
<1> 筋骨; 筋骨 두 글자는 難解하다. 뒤에 厥陰在泉에 “主勝則筋骨繇幷”의 문장이 나오는데 이 뒤에 脫誤가 있는 듯하다.
<2> 內; 四庫本에는 ‘外’로 되어 있다.
<3> 浙; 吳本에는 ‘淅’으로 되어 있다.
<4> 痿; 趙本, 吳本에는 ‘萎’로 되어 있다.
<5> 復; 胡本, 讀本, 吳本, 吳抄本에는 ‘福’으로 되어 있다.
<6> 頂; ‘項’으로 고쳐야 할 듯하다.
<7> 引; 明綠格抄本에는 ‘飮’으로 되어 있다.
<8> 苦; 趙本에는 ‘吐’로 되어 있다.
<9> 膈; 胡本, 趙本, 吳本, 藏本, 熊本에는 ‘中’으로 되어 있다.
<10> 以苦下之; 四庫本에는 ‘以甘發之’로 되어 있다.
【字句解】
(1) 六氣之復; 復은 報復을 말한다. 主歲之氣가 不足하여 間氣가 勝하면 勝한 후에 主歲之氣의 子에 해당하는 氣가 報復하게 되는데 이것이 復氣이다.
(2) 偃木飛沙; 거센 바람이 나무를 쓰러뜨리고, 흙모래를 날리는 모양을 말한다.
(3) 燔焫(번설); 火勢가 성한 것을 말한다.
(4) 氣動於左 上行於右; 이는 陽左陰右의 說에 根據한 것이다. 少陰君火가 復氣가 되었을 때는 氣動於左하고, 火는 金을 克하고 肺金은 右에 應하므로 上行於右하는 것이다.
(5) 赤氣後化; 少陰之氣가 늦음을 말한다.
(6) 鱗見於陸; 雨水가 갑자기 발하여 魚類 등이 陸地에 나타남을 말한다.
(7) 掉瘈尤甚(도계우심); 抽搐痙攣의 現象이 매우 심한 것이다.
(8) 嗌絡; 咽喉의 絡脈.
(9) 化而爲水; 少陽은 相火이다. 復이 克하면 相火가 쇠하게 되고 三焦之氣化가 不行하면 水病이 생긴다.
(10) 氣歸於左; 肝氣는 左에서 生하는데 金氣가 復하면 반드시 木을 克하므로 이는 肺金이 肝木을 克하는 뜻이다.
(11) 必淸必靜; 人身之氣는 마땅히 淸靜해야 하며, 임의로 搖亂해서는 안된다.
【各家註】
帝曰 六氣之復은 何如오[1]
≪王注≫
復은 謂報復이니 報其勝也라 凡先有勝하면 後必有復이라 新校正에 云 按컨대 玄珠에 云 六氣는 分正化對化하니 厥陰은 正司於亥 對化於巳하고 少陰은 正司於午 對化於子하고 太陰은 正司於未 對化於丑하고 少陽은 正司於寅 對化於申하고 陽明은 正司於酉 對化於卯하고 太陽은 正司於戌 對化於辰이라 正은 司化令之實이오 對는 司化令之虛라 對化는 勝而有復이오 正化는 勝而不復이라 此注에 云 凡先有勝이면 後必有復은 似未然이라
≪馬注≫
此는 言六氣相復에 各有天時民病 而有治之之法也라 復者는 王氷이 以爲凡先有勝하면 後必有復이라 正合後第一節에 有勝則復하고 無勝則否之義라 新校正에 以爲六氣ㅣ 分正化對化하니 厥陰은 正司於亥 對化於已하고 少陰은 正司於午 對化於子하고 太陰은 正司於未 對化於丑하고 少陽은 正司於寅 對化於申하고 陽明은 正司於酉 對化於卯하고 太陽은 正司於戌 對化於辰이라 正은 司化令之實이오 對는 司化令之虛니 對化는 勝而有復이오 正化는 勝而不復이라 指王註爲未然하니 愚는 以第十七節에 復已而勝 不復則害로 觀之면 凡有所勝者[凡有所勝]면 必有復也[必有所復]라
≪吳注≫
復은 報勝氣也라 甲丙戊庚壬之年은 有勝無復이오 乙丁己辛癸之年은 有勝必有復이라
≪類經≫
復者는 報復之義라 六氣는 盛衰不常하니 有所勝 則有所復也라 愚按컨대 王氏曰 凡先有勝하면 後必復이라하고 新校正에 引玄珠의 正化對化之義하야 云 正은 司化令之實이오 對는 司化令之虛하니 對化는 勝而有復이오 正化는 勝而不復이라 反以王注로 爲未然이라하니라 或이 又曰 甲丙戊庚壬은 陽年이니 太過라 有勝無復하고 乙丁己辛癸는 陰年이니 不及이라 有勝必有復이라하니 皆未達之言也라 夫勝復之道는 隨氣盛衰而見이오 非有正對之分이라 考之本經諸篇컨대 原無此言 其於不及有復 太過無復之說이라 蓋以氣交變大論에 凡太過之運은 皆不言復하고 惟不及之年則有之하며 六元正紀大論 所藏六十年運氣之紀에 亦惟不及之歲는 言復 而太過之年則無하니 似乎陽年太過엔 有勝無復也라 然이나 五常政大論에 云 發生之紀는 不務其德則枚氣復하고 赫曦之紀는 暴烈其政 藏氣乃復하고 敦阜之紀는 大風迅至 邪傷脾也하고 堅成之紀는 政暴變 長氣斯救하고 流衍之紀는 政過 則化氣大擧하니 是는 皆以太過之歲爲言이라 由此觀之면 則陽年未嘗無復也라 惟是는 陰年으로 氣弱하야 彼來勝我 故로 子必起而報之하니 故謂之復이라 陽年은 氣强하야 無勝我者나 但以我勝彼 故로 承乃從而制之하니 然曰承曰復은 本一理也라 但相繼而制者를 謂之承이오 因勝而報者를 謂之復이니 勝復相仍하야 本無罅隙이라 故로 經에 曰有勝則復하고 無勝則否하며 勝至則復하야 無常數也라하고 又曰微者復微하고 甚者復甚이라하니 然則氣之微甚이 尙不可以假借라 又何有陰陽正對 復與不復之理哉리오 故本論에 無分太過不及之年하야 皆有淫勝反勝相勝之氣하니 可見陽年이 未必全盛 而反勝者ㅣ 有之오 陰年이 未必全衰而淫勝者ㅣ 亦有之라 天地變化는 消長無窮이나 但當隨厥氣幾 而察以方月之義라야 庶得其妙오 若必欲因辭害意 則失之遠矣라
≪張注≫
復者는 謂三陰三陽之氣ㅣ 受所勝之氣勝制하야 鬱極而復發也라
≪節解≫
復謂報復이니 報其勝也라 凡先有勝이면 後必有復이라
張景岳과 같음.
≪直解≫
有六氣之勝 卽爲六氣之復이라 故로 復問之라
≪講解≫
六氣는 風熱火濕燥寒의 六氣를 말한다. 復은 報復이나 恢復을 말한다. ‘六氣之復’은 六氣가 偏勝했을 때 發生하는 復氣이다. 예를 들어 風氣가 偏勝했을 때는 燥氣 凉氣가 來復한다. 火氣나 熱氣가 偏勝했을 때는 寒氣가 來復한다. 濕氣가 偏勝했을 때는 風氣가 來復한다. 六氣에는 勝과 復이 있으므로 六氣가 계속해서 正常的인 상태를 維持하는 것이며, 自然界의 生命現象이 正常的으로 生長하는 것이다. 따라서 六氣의 復은 實際的으로 自然界 氣候變化上에서의 一種의 自己調節現象이다.
【考察】
第四節에서는 六氣가 偏勝했을 때의 物候 및 病候와 그 治法에 대하여 論述하였다. 本 五節에서는 六氣가 復했을 때의 物候 및 病候와 그 治法에 대하여 說明한 것이다. 여기서 말한 復의 의미에 대하여는 대부분의 注家들이 偏勝한 후에 報復의 의미로 解釋하였다. 그러나 그 상세한 說明에서는 많은 의견차이를 보였는데, 이는 勝復의 전반적인 內容을 包括하고 있는 것이므로 상세한 고찰은 생략하고, 여기서는 復에 대한 각 注家들의 의견만을 살펴보기로 한다.
王氷은 勝이 먼저 있으면 반드시 復이 있는 것이라 하였다. 그러나 ≪新校正≫에서는 다음과 같은 說明으로 이에 反論을 提起하였다. 玄珠에 이르기를 六氣는 아래 표와 같이 正化와 對化가 있는데 正은 化令의 實을 주관하고 對는 化令의 虛를 주관하므로 正化에는 勝은 있으나 復이 없고, 對化에는 勝이 있으면 復이 있는 것이라 하였다. 따라서 王氷이 말한 勝이 있으면 항상 復이 있다고 하는 것은 잘못된 듯하다고 한 것이다.
六氣 | 正化 | 對化 |
厥陰風木 | 亥 | 巳 |
少陰君火 | 午 | 子 |
太陰濕土 | 未 | 丑 |
少陽相火 | 寅 | 申 |
陽明燥金 | 酉 | 卯 |
太陽寒水 | 戌 | 辰 |
馬蒔는 王氷의 의견을 따라 勝이 있으면 반드시 復이 있으며 勝이 없으면 復도 없는 것이라 하였다. 그 根據로서 그는 아래에서 말한 ‘復已而勝’, ‘不復則害’를 예로 들었다.
吳崑은 甲丙戊庚壬之年에는 勝만 있고 復은 없으며, 乙丁己辛癸之年에는 勝이 있으면 반드시 復이 있게 된다고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註釋은 여기서 적절치 못하다고 사료된다. 왜냐하면 이 문장에서는 六氣의 勝復에 대하여 說明하고 있으며 六氣는 十二地支로서 파악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十干으로 說明한 이 註釋은 마땅히 十二地支로 說明했어야 한다고 사료된다.
張介賓은 前篇의 論文에서 고찰하였듯이 六氣에 太過와 不及이 있다는 입장을 취하고 있다. 그는 ≪新校正≫의 說과 吳崑의 說에 모두 반대하였다. ≪氣交變大論≫이나 ≪六元正氣大論≫에 不及之歲에서는 復을 말하고 太過之年에서는 復을 말하지 않은 것은 太過之年, 즉 陽年에 復이 없어서 그런 것이 아니라고 하였다. ≪五常政大論≫에 보면 五運의 太過之年에 해당하는 發生, 赫曦, 敦阜, 堅成, 流衍에 각각의 復氣가 列擧되고 있으므로 陽年이라고 해서 復이 없는 것은 아니라고 하였다. 陰年은 不及之年이므로 氣가 弱해서 勝我者가 到來하므로 我의 子가 報復하는 것이므로 復이라고 하며, 陽年은 太過之年이므로 氣가 强해서 我를 勝할 者가 없지만 亢하면 承하는 것이 制하므로 承이 있게 되는 것인데 復과 承은 基本的으로 같은 理致가 되는 것이라 하였다.
張志聰은 復의 主體에 대하여 다른 의견을 提示하였는데, 三陰三陽之氣가 所勝之氣의 勝制를 받아 鬱이 極해지면 復發하는 것이라 하였다. 이는 勝復이론의 基本이론과 모순되는 것으로 적절치 못한 註釋이라 사료된다.
여러 注家들의 의견과 內經原文의 내용을 綜合해 볼 때 勝復은 같이 존재하는 것으로 勝이 있으면 반드시 復이 있게 되는 것이 옳다고 사료된다. 이에 관하여는 뒤에 또 상세하게 고찰할 것이다. 그러나 여기서 의문으로 提起하지 않을 수 없는 것은 六氣에서 勝氣와 復氣는 어떠한 關係인가하는 것이다. 五運에서는 五行의 相克關係에 따라 勝復이 이루어지므로, 예를 들어 木氣가 太過하게 되면 金氣가 到來한다. 그런데 六氣에서는 가령 太陰濕土가 偏勝했을 경우 復氣가 무엇이 될 것인가 하는 것이다. 風熱火濕燥寒을 중시한다면 濕이 偏勝했으므로 그와 반대의 性質을 가진 燥氣, 즉 燥金이 復氣가 되어야 한다. 그러나 五運에서와 마찬가지로 五行의 相克關係를 적용한다면 木克土의 원리에 따라 厥陰風木이 復氣가 되어야 한다. 太陽寒水가 偏勝했을 때를 예로 들면, 寒을 중시할 경우 熱에 해당하는 少陽相火나 少陰君火가 復氣가 되어야 하지만 五行의 相克關係를 따지자면 土克水이므로 太陰濕土가 復氣가 되어야 한다. 方葯中은 五行의 相克關係에 맞게 復氣를 說明하였다. 여러 注家들의 의견도 大體的으로 五行의 相克關係로 復氣를 說明하고 있다. 또한 六氣가 勝復했을 때 人體에 影響이 미쳐지는 藏府를 살펴보면 역시 五行의 相克關係로 病候가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六氣의 勝復은 五行의 相克關係에 따라 일어나는 것임을 알 수 있는 것이다. 이것이 ≪素問·六微旨大論≫에서 말한 “相火之下 水氣承之 水位之下 土氣承之 土位之下 風氣承之 風位之下 金氣承之 金位之下 火氣承之 君火之下 陰精承之”인 것이다. 이러한 규칙을 인정할 때 우리는 과연 이러한 사실이 맞는지를 더욱 硏究해야 할 것이다. 勝復이라 함은 五運과 六氣가 순환하면서 어느 한 氣運이 偏勝하게 되면 반드시 그것을 克하는 기운이 制壓하여 宇宙自然이 中道를 지향하고 있음을 나타내 주는 것이다. 燥金이 偏勝하여 날씨가 매우 건조한 후에 熱氣가 報復하여 날씨가 매우 더위지는 것이 과연 이러한 理致에 합당하고 실제로도 그러한가는 앞으로 硏究되어져야 할 과제인 것이다.
한편 六氣의 正化와 對化에 대한 玄珠의 內容은 張介賓의 ≪類經圖翼≫에서 좀더 상세히 說明되므로 여기에 소개하고자 한다.
■ 正化對化圖說(≪類經圖翼≫)
六氣는 分上下左右而行天令이라 十二支는 分節令時日而司地化라 然이나 以六氣而加於十二支 則有正化對化之不同이라 如厥陰之所以司於巳亥者는 以厥陰屬木하니 木生於亥라 故正化於亥 對化於巳也라 少陰所以司於子午者는 以少陰爲君火니 當正南離位라 故正化於午 對化於子也라 太陰所以司於丑未者는 以太陰屬土居中하니 王於西南未宮이라 故正化於未 對化於丑也라 少陽所以司於寅申者는 以少陽居相火하야 位卑於君하니 火生於寅이라 故正化於寅 對化於申也라 陽明所以司於卯酉者는 以陽明屬金이니 酉爲西方金位라 故正化於酉 對化於卯也라 太陽所以司於辰戌者는 太陽爲水오 辰戌屬土라 然이나 水行土中而戌居西北하니 爲水漸王鄕이라 是以로 洪範五行에 以戌屬水라 故正化於戌 對化於辰也라 一曰正은 司化令之實이오 對는 司化令之虛라하고 一曰正化는 從本生數하고 對化는 從標成數라하니 皆以言陰陽之衰盛이 合於十二辰하야 以爲動靜消息者也라 此說은 詳具玄珠어늘 今錄之以備參考라
岐伯이 曰 悉乎哉라 問也시여 厥陰之復은 少腹堅滿하며 裏急暴痛하고 偃木飛沙하며 倮蟲不榮하고 厥心痛하며 汗發嘔吐하야 飮食不入하며 入而復出하며 筋骨掉眩하며 淸厥하며 甚則入脾하야 食痺而吐하니[2] 衝陽이 絶하면 死不治하고[3]
≪王注≫
[2] 裏는 腹脇之內也라 木偃沙飛는 風之大也라 風爲木勝 故로 土不榮이라 氣厥은 謂氣衝胸脇 而淩及心也라 胃受逆氣而上攻心痛也니 痛甚則汗發泄이라 掉은 謂肉中動也라 淸厥은 手足冷也라 食痺는 謂食已心下痛호대 陰陰然不可名也오 不可忍也라 吐出乃止는 此爲胃氣逆而不下流也라 食飮不入이라가 入而復出은 肝乘脾胃 故令爾也라
[3] 衝陽은 胃脈氣也라
≪馬注≫
[2~3] 厥陰之復에 民病은 爲少腹堅滿 爲裏急暴痛 時則偃木飛沙 倮蟲不榮하니 以風氣盛而木侮土也라 民病은 又爲厥心痛 爲汗 爲發嘔吐 飮食不入 入而復出 爲筋骨掉眩 爲淸厥 甚則邪氣入脾 食痺而吐라 衝陽者는 足陽明胃經之穴이니 在足胕上五寸이라 若此脈氣絶 則死不治矣라
≪吳注≫
[2] 厥陰은 肝木也라 其脉過陰器하야 抵少腹하니 肝木有餘 故로 少腹堅滿이라 肝主筋膜 故로 裏急이라 肝氣急 故로 暴痛이라 其氣應于天地 則偃木飛沙라 倮蟲은 土屬이라 故不得榮長이라 厥陰之脉은 貫鬲 故로 厥逆心痛이라 肝勝則升發失常 故로 汗發嘔吐 飮食不得入 卽入亦復出也라 筋骨掉眩掉搖而目眩은 風淫之象也라 風甚則兼勝己之化 故로 淸冷而闕이라 木甚則乘土 故로 入脾라 食痺而吐者는 食則不能腐化消磨而吐出也라
[3] 衝陽은 胃脉也니 胃絶則脾絶을 可知矣라
≪類經≫
[2] 厥陰風木之復은 內應肝氣라 少腹堅滿은 肝邪實也라 裏急暴痛은 肝主筋膜하니 其氣急也라 偃木飛沙는 風之甚也라 倮蟲不榮은 本制土也라 厥心痛汗發은 肝邪乘胃하야 上淩於心而陽氣泄也라 飮食不入하며 入而復出은 脾受肝傷也라 掉은 爲顫掉이오 眩은 爲眩運이니 風淫所致也라 風之甚者는 必兼承制之化라 故로 手足淸冷而厥也라 食痺者는 食入不化니 入則悶痛嘔汁이라가 必吐出乃已也라
[3] 衝陽은 胃脈也니 胃絶則脾亦絶矣라 按컨대 前章天地淫勝에 止言司天六脈絶者不治호대 而在泉未言하고 此章은 於六氣之復者에 復言之하니 正以明在泉之化ㅣ 蓋四氣盡終氣는 地氣主之니 復之常也라
≪張注≫
[2~3] (厥陰之復)少腹堅滿 裏急暴痛은 厥陰之氣ㅣ 鬱而欲發也라 偃木飛沙는 鬱怒之氣大復也라 倮蟲不榮은 風氣發而土氣衰也라 厥心痛者ㅣ 色蒼蒼如死狀하야 終日不得太息하니 此는 厥陰之氣ㅣ 干於心也라 汗發者는 風熱之陽 加於陰也라 嘔吐欲[飮]食不入은 木淫而土敗也라 筋骨掉眩은 風氣盛也라 淸厥者는 風淫於上 陰氣下逆也라 痺者는 閉而痛也라 衝陽은 胃之動脈이니 此는 風氣盛而土氣絶也라 按컨대 六氣之勝復은 與五運으로 不同이라 五運不及之歲에 有勝氣而子氣爲母復讐하니 六氣之勝復에 無分太過不及하야 有勝則有復이오 無勝則無復이며 勝甚則復甚이오 勝微則復微오 而所復之氣는 卽是所鬱之本氣復發이오 非子復母讐也라 故로 曰厥陰之復 少陽[陰]之復은 與氣交變章之論復으로 不同也라 六微旨論에 曰寒暑燥濕風火 氣有勝復 勝復之作 有德有化 有用有變이라하니 蓋謂六氣主歲에 無論司天在泉하고 如上下和平하면 無有勝復하니 此ㅣ 氣之德化也라 用者는 勝之始오 變者는 復之機니 此는 勝復而爲民病也라 張介賓曰 按컨대 前章天地淫勝에 止言司天 六脈絶者不治호대 而在泉未言하고 此章은 於六氣之復者에 復言之하니 正以明在泉之化ㅣ 蓋四氣盡終氣는 地氣主之니 復之常也라
陰陽氣象論에 曰 雷氣通於心이라하고 下文에 曰有勝則復 無勝則否라하니라
≪懸解≫
厥陰復則木刑土敗 肝木賊脾 故로 少復堅滿 裏急暴痛이라 肝氣衝心 故로 厥心痛이라 脾陷胃逆 故로 飮食不入 入而復出이라 風木動搖 故로 筋骨掉眩이라 陰勝則四支淸厥이오 (土敗陽虛하야 不能行氣四支라) 陽復則皮毛汗發이라 (汗爲心液이오 肝木生心火하니 風氣疏泄則汗發이라) 甚則土敗脾傷하야 食道痺塞 而作嘔吐也라
≪直解≫
始焉受制는 旣乃復也라 其氣雖復이나 經脈未和 故로 厥陰之復에 小腹堅滿 裏急暴痛이라 風氣勝 故로 偃目飛沙라 木盛土衰 故로 倮蟲不榮이라 厥心痛者는 靈樞厥論篇에 云 厥心痛은 色蒼如死狀 終日不得太息이니 肝心痛也라 汗發은 風傷肌腠也라 嘔吐는 肝氣逆也라 肝氣逆 故로 飮食不入 入而復出也라 筋骨掉眩은 風氣盛也라 淸厥은 手足淸冷厥逆也라 甚則木克其土하야 病入于脾 故로 食痺而吐라 痺는 閉也라 上閉腑達 故로 吐也라 若木盛土衰하야 至胃脈之衝陽絶 則死不治라
≪節要≫
風木侮土라 故로 衝陽絶이라
≪講解≫
○ 厥陰之復
厥陰之復은 風氣가 來復한 것이다. 濕氣가 偏勝했을 때는 一般的으로 風氣가 來復하는 現象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雨水가 太過하여 潮濕이 심할 때에는 風이 있게 된다. 風이 作用할 때에는 비가 그치고 구름이 흩어지게 되며 濕은 乾으로 변한다. 이러한 現象은 氣候의 自己調節로서 말하자면 ‘風勝濕’이라고 한며, 五行槪念으로 말하자면 木克土가 되는 것이다.
○ 少腹堅滿 裏急暴痛
少腹堅滿은 少腹이 堅硬하고 땅긴다는 것이다. 裏急暴痛은 少腹이 拘急疼痛한 것이다. 이 句節의 뜻은 ‘厥陰之復’時에 氣候로 말하자면 風氣가 偏勝하고 人體에서 말하자면 肝氣가 偏勝한다는 것이다. ‘少腹堅滿 裏急暴痛’은 人體에서 肝氣가 偏勝한 具體的인 表現이다. 여기서 볼 수 있듯이 ‘六氣之復’이 비록 일종의 自然現象이지만 다른 방면에서 본다면 矯枉過正으로 말미암아 또다른 불량한 결과를 낳게 되고 또 별도의 復氣가 다시 교정해야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中醫學에서는 自然界의 氣候 物候 人體의 生理 病候는 끊임없이 勝復의 變化中에 있다고 認識한다. 中醫는 自然界의 氣候 物候 病候에 대하여 靜止해 있는 現象으로 보지 않고, 繼續해서 運動하고 發展하는 角度에서 總體的으로 分析하고 處理한다. 이는 中醫學의 整體恒動觀이 實際에서 具體的으로 運用되는 것이며, 또한 中醫學 辨證論治의 理論的 基礎이다.
○ 偃木飛沙 倮蟲不榮
偃木은 나무가 바람에 쓰러진 것이다. 飛沙는 바람이 흙먼지를 날리는 것이다. 倮蟲은 潮濕한 환경에서 자라는 動物이다. ‘倮蟲不榮’은 바람이 많을 때에는 비가 적어서 濕度가 充分하지 못하여, 倮蟲이 요구하는 生活條件에 부합하지 못하므로 生長이 좋지 않다는 것이다. 이것은 또한 ‘厥陰之復’으로서 矯枉過正으로 불량한 결과를 낳은 것이다.
○ 厥心痛
厥心痛은 옛날의 病名이다. ≪靈樞·厥病≫에 이르기를 “厥心痛 與背相控 善瘛 如從後觸其心”, “厥心痛 痛如以錐鍼刺其心”, “厥心痛 色蒼蒼如死狀 終日不得太息”, “厥心痛 腹脹胸滿 心尤痛甚”, “厥心痛 臥若徒居 心痛 間動作 痛益甚”이라고 하였다. 위 經文을 意譯하면 厥心痛은 臨床上의 重要한 表現으로 心痛이 등에까지 이르고 송곳으로 찌르는 듯하며, 휴식시에는 경감되었다가 활동시에 가중되어 발작시에는 心臟部位가 劇痛할 뿐 아니라 胸悶氣短, 面色發淸 등의 表現이 나타나는 것이다. 上述한 內容에 근거하면 厥心痛은 現代醫學의 ‘心絞痛’과 類似한 곳이 있다.
○ 汗發
汗發은 冷寒이 出하는 것이다. 이는 위 句節 厥心痛을 이어서 말한 것으로 의미는 厥心痛이 發作할 때에는 冷寒이 出한다는 것이다.
○ 嘔吐 飮食不入 入而復出
이 句節은 厥心痛을 이어서 말한 것이다. ‘飮食不入 入而復出’은 厥心痛이 발작했을 때에는 嘔吐를 수반한다는 것이다.
○ 筋骨掉眩
‘掉’는 肢體가 抽動하는 것이다. ‘眩’은 眩暈이다. 이 句節도 厥心痛을 이어서 말한 것이다. 이는 厥心痛의 臨床證狀을 보충한 것이다.
○ 淸厥
淸은 淸冷이다. 厥은 여기서 四肢가 차거운 것이다. 이 句節도 厥心痛을 이어서 말한 것이다. 위 句節과 聯關시키면 厥心痛이 발작했을 때에는 上述한 典型的인 心臟部位의 疼痛이 나타날 뿐 아니라 동시에 嘔吐나 肢體抽動 手足發凉 眩暈 冷汗自出 등의 證狀이 나타난다는 뜻이다.
○ 甚則入脾 食痺而吐
‘甚則入脾’는 厥陰이 復했을 때에는 人體의 肝氣가 偏勝하고 肝勝은 반드시 乘脾한다는 것이다. ‘食痺’는 張介賓注에 이르기를 “食痺者는 食入不化니 入則悶痛嘔汁이라가 必吐出乃已也라”고 하였다. ‘痺’는 막혔다는 뜻이다. ‘食痺而吐’는 肝勝乘脾했을 때에 胃納이 失職하여 음식을 먹으면 토한다는 것이다. 이는 前述한 厥心痛 發作時에 동시에 出現하는 嘔吐, 飮食不入, 入則復出의 病機에 대하여 진일보한 分析이다. 그 뜻은 厥陰이 復했을 때에는 人體의 肝氣가 偏勝하므로 臨床上에서 厥心痛의 各種證狀이 나타난 다는 것이다. 肝勝은 반드시 乘脾하게 되므로 또한 동시에 脾胃證狀도 나타나는 것이다.
○ 衝陽絶 死不治
衝陽은 足陽明胃經의 穴位이다. ‘衝陽絶’은 衝陽穴의 部位에서 脈搏이 느껴지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는 胃氣가 敗絶한 表現이므로 死證에 속한다. 이 句節은 위 句節 ‘甚則入脾’를 이어서 말한 것으로 厥陰이 復했을 때에 肝氣가 偏勝한데 만약 肝勝脾胃가 지나치게 되면 胃氣가 敗絶하게 되어 死亡에 이를 수 있다는 것이다.
【考察】
본 절은 厥陰風木이 報復했을 때 일어나는 物候와 病候를 나열한 것이다. 앞서 말한 勝復의 규칙에 비추어 볼 때 厥陰風木이 復했음은 이에 앞서 太陰濕土가 偏勝하였음을 암시하는 것이다. 物候에 있어서는 바람이 많이 부는 現象이 일어나고 人體에 있어서는 木에 해당하는 肝氣가 偏勝하게 된다. 따라서 그 證狀은 肝氣가 偏勝한 것과 木克土로 인하여 나타나는 脾胃病證으로 特徵지워진다. 대부분의 注家들도 역시 肝과 脾胃로 證狀을 說明하고 있다.
한편 여기서 의문으로 提起하지 않을 수 없는 것은 厥陰風木이 偏勝했을 때 나타나는 證狀과 報復했을 때 나타나는 證狀의 차이가 어떠한가 하는 것이다. 대부분 注家들의 의견을 綜合해 보면 모두가 風氣의 偏勝으로 일어나는 것으로 證狀에 있어서도, 肝과 脾胃와 關聯한 證狀이 主를 이루고 있다. 이는 비단 勝과 復의 證狀차이 뿐 아니라 司天과 在泉에 있어서도 같은 의문을 提起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정도의 차이를 말하자면 司天이나 在泉은 勝復했을 때와 비교해서 氣가 상대적으로 弱할 것이므로 證狀에 있어서도 다소 輕症을 보일 것이다. 그러나 司天과 在泉은 그 정도상의 輕重을 말할 수 없고, 勝과 復에 있어서도 정도상의 輕重을 단언할 수 없는 것이다. 그런데 岐伯은 많은 紙面, 혹은 時間을 割愛하면서까지 司天과 在泉, 勝과 復에 따른 각각의 證狀을 일일이 나열하고 있다. 이는 분명 風火熱濕燥寒의 六氣가 司天으로 作用했을 경우가 在泉으로 作用했을 경우와 다르며, 勝했을 때 人體에 미치는 影響과 復했을 때 人體에 미치는 影響이 다름을 암시하고 있는 것이다. 司天과 在泉은 時間的으로나 空間的으로 지배하는 영역이 다르기 때문에 人體에 미치는 影響도 다를 것임은 쉽게 예측할 수 있는 것이지만, 勝과 復은 基本的으로 모두가 六氣의 偏勝을 말하는 것임을 감안할 때 그 차이는 더욱 의문이 아닐 수 없는 것이다. 여러 注家들이 아직은 이에 대하여 說明하고 있지 않으므로 앞으로 더욱 깊은 硏究를 기대한다.
少陰之復은 燠熱內作하야 煩躁鼽嚔하며 少腹絞痛하고 火見燔焫하야 嗌燥하며 分注時止하고 氣動於左하야 上行於右하면 欬하며 皮膚痛하며 暴瘖하며 心痛하며 鬱冒不知人하며 乃灑淅惡寒하야 振慄譫妄하며 寒已而熱하야 渴而欲飮하며 少氣骨痿하며 隔腸不便하며 外爲浮腫噦噫하고 赤氣後化하야 流水不氷하고 熱氣大行하야 介蟲不復하고 病疿胗瘡瘍과 癰疽痤痔하고 甚則入肺하야 欬而鼻淵하니[4] 天府絶하면 死不治하고[5]
≪王注≫
[4] 火熱之氣ㅣ 自小腸으로 從齊下之左入大腸하야 上行至左脇하고 甚則上行於右而入肺 故로 動於左하야 上行於右하야 皮膚痛也라 分注는 謂大小俱下也라 骨痿는 言骨弱而無力也라 隔腸은 謂腸如隔絶而不便瀉也니 寒熱甚則然이라 陽明先勝 故로 赤氣後化라 流水不氷은 少陰之本司於地也라 在人之應 則冬脈不凝하니 若高山窮谷은 已是至高之處니 水亦當氷이로대 平下川流 則如經矣라 火氣內蒸하면 金氣外拒하야 陽熱內鬱 故로 爲疿胗瘡瘍이라 胗甚은 亦爲瘡也라 熱少則外生疿胗하고 熱多則內結癰痤라 小腸有熱 則中外爲痔하니 其復熱之變은 皆病於身後及外側也라 瘡瘍疿胗은 生於上이오 癰疽痤痔는 生於下니 反其處者는 皆爲逆也라
[5] 天府는 肺脈氣也라 新校正에 云 按컨대 上文에 少陰司天 熱淫所勝에 尺澤絶하면 死不治오 少陽司天 火淫所勝에 天府絶하면 死不治라 此云少陰之復은 天府絶하면 死不治오 下文少陽之復은 尺澤絶하면 死不治라 文如相反者는 蓋尺澤天府ㅣ 俱手太陰脈之所發動 故로 此互文也라
≪馬注≫
[4~5] 少陰之復은 火盛而燠熱內作 爲煩躁 爲鼽爲嚔 爲少腹絞痛 乃火盛極而成燔焫 爲嗌燥 爲大小分注而時止하고 爲火熱之氣ㅣ 自小腹으로 從臍下之左하야 入大腹上行이라가 至左脇하야 上行於右而入肺하야 以成咳及皮膚痛也라 爲暴瘖 爲心痛 爲鬱冒不知人 遂乃[乃]灑淅惡寒振慄 爲譫妄 爲寒已而熱 爲渴而欲飮 爲少氣 爲骨痿 爲隔腸不便 爲外成浮腫 爲噦爲噫 及赤氣後化 流水不氷 而熱氣大行 則介蟲不復하니 火乘金也라 民病은 爲疿疹 爲瘡瘍 爲癰疽 爲痤 爲痔 甚則入肺爲咳 爲鼻淵也라 天府者는 手太陰肺經之穴이니 見前이라 若此脈氣絶 則死不治矣라
≪吳注≫
[4] 焫은 爇로 同이라 ○少陰은 君火也라 故其復也ㅣ 燠熱內作하야 令人煩燥 淸涕而鼽 涕噴而嚔라 少陰之脉絡小腸 故로 少腹紋痛이라 火見燔焫者는 火見於色하야 身如燔焫也라 少陰之脉은 上挾咽 故로 嗌燥라 分注는 謂小便不利하고 大便常泄如分注也라 火有作輟之象 故로 時止라 心氣左行 故로 氣動於左라 火氣傳其所勝 則肺金也라 肺氣右行 故로 上行于右라 肺主聲 故로 令欬라 肺主皮毛 故로 皮膚痛이라 肺金遇火則虧 故로 暴瘖이라 心氣自實 故로 心痛이라 心病則神明昏昧 故로 鬱冒不知人이라 陽入於裏하고 陰出於表 故로 灑淅惡寒이라 火性動 故로 振慄이라 火有聲 故로 譫妄이라 陰復入裏 故로 寒已오 陽復之表 故로 熱이라 熱甚則液亡 故로 渴而欲飮이오 熱甚則氣消陰耗 故로 少氣骨萎라 熱結于腸則隔絶化物 故로 不便이라 內不得便 則水穀之氣ㅣ 無所泄 故로 外爲浮腫 上逆而噦噫也라 陽明先勝 故로 云赤氣後化하야 流水不氷하고 至於熱氣大行이라 介蟲은 金屬이니 不復이 宜矣라 皮毛爲金之合이니 火爍皮膚 故로 病疿疹瘡瘍癰疽痤痔라 甚則入肺하야 善欬라 濁涕不息을 謂之鼻淵이라
[5] 天府는 肺永也라
≪類經≫
[4] 少陰君火之復은 燠熱內作이라 煩躁鼽嚔는 火盛於中而炎於上也라 少腹絞痛은 火在陰也라 火見燔焫嗌燥는 身表焦熱而火在喉也라 分注時止는 謂大腸或泄 膀胱或癃이니 火居二便也라 氣動於左는 陽升在東也오 上行於右는 火必乘金也라 欬而皮膚痛 暴瘖은 肺主聲音하고 外合皮毛而受火之傷也라 心痛 鬱冒不知人은 心邪自實而神明亂也라 洒淅惡寒 振慄譫妄 寒已而熱은 水火相爭하야 熱極生寒也라 渴而欲飮은 亡津液也라 少氣骨萎은 壯火食氣하야 熱極傷精也라 隔腸不便은 熱結不通也라 外爲浮腫 爲噦噫은 熱勝則腫이니 火逆衝上也라 赤氣後化는 陽明先勝에 少陰後復也라 流水不冰 熱氣大行 介蟲不福은 火盛制金也라 疿胗瘡瘍 癰疽痤痔는 火克肺金而皮毛受病也라 火甚하면 必傷肺故로 欬而鼻淵所由作矣라 鼽는 音求오 嚔는 音帝라 焫은 如瑞切이오 噦은 於決切이라 疿는 音肺오 痤는 才何切이라
[5] 天府는 肺經穴也라
≪張注≫
[4~5] 燠熱은 鬱熱也[內作]이라 煩躁는 火煩而陰躁也라 鼽嚔燠熱은 上乘於肺也라 少腹絞痛은 少陰之氣發於下也라 火見燔焫은 君火之氣發於上也라 嗌燥는 火熱爍金也라 夫陰寒在腹 則注泄이오 得火熱之氣 則注止라 少陰은 標本竝發이니 是以로 注泄分而時注時止也라 氣動於左者는 君火之氣ㅣ 發於左腎之水中이라 上行於右者는 肺腎上下相交니 腎爲本而肺爲末也라 火淫肺金則咳而皮痛이라 金主聲 故로 暴瘖也라 心痛者는 火氣自傷也라 鬱冒不知人者는 寒熱之氣亂於上也라 灑淅振慄者는 陰陽相搏也라 寒已而熱者는 少陰之陰寒이 從火化而爲熱也라 是以로 渴而欲飮이라 少氣骨痿는 蓋火盛則少氣오 熱盛則骨痿也라 隔腸은 小腸也라 噦者는 小腸之氣不通하야 逆氣上走心而爲噫也라 赤氣後化者는 復在五氣終氣니 是以流水不氷이라 疿疹瘡瘍은 乃熱傷氣血하야 火熱鑠[爍]金이라 故天府絶也라
煩躁鼽嚔諸證은 鬱熱發於內也오 疿疹瘡瘍은 復氣出於外也라 故經語分爲兩叚라 隔腸不便則小便不通이라 傷寒論에 曰 噦而腹痛커든 當視其前後如何하야 卽不利하야 利之而愈라 濕氣는 陽氣也라 胸中은 又君主之宮城이라
≪懸解≫
少陰復則火刑金敗하니 膈腸不便 少腹絞痛者는 肺與大腸俱傷也라 二便分注 時而俱止 氣動於左 上行於右者는 君火生於風木하야 自東而升하야 自西而降이로대 相火不陷下而刑大腸 故로 分注時止라 君火必逆上而刑肺金 故로 咳嗽鼽嚔 忽而瘖啞 鬱冒昏憒無知 徐而洒洒惡寒 振慄譫妄이라 寒退熱作하면 渴而欲飮이라 肺腎消爍하면 少氣骨痿하고 外則皮膚腫痛 疿疹瘡瘍 癰疽痤痔俱發이라 甚則熱蒸肺敗하야 咳而鼻淵이라 鼻淵者는 肺氣熏蒸하야 濁涕淫泆不止也라
≪直解≫
[4~5] 便은 如字라 受制而復하면 經脈未和라 故로 少陰之復에 懊熱內作하야 煩燥鼽嚔라 少陰從下而上 故로 小腹絞痛이라 上合君火 故로 火見煩爇 嗌燥라 熱氣下逆 則分注니 分小便之水津 從大便而如注也라 時止者는 時注時止 止而復注也라 氣動于左는 少陰之腎氣也라 上行于右은 上乘于肺也라 上乘于肺 故로 咳 皮膚痛이라 肺主聲이니 肺病 故로 暴瘖이라 心屬少陰이니 熱氣有餘 故로 心痛이라 痛极 則郁冒不知人이라 熱氣內鬱 則生外寒 故로 外乃灑淅惡寒 內則振慄譫妄이라 若寒已而熱 則渴而欲飮이오 若譫妄已 則少氣오 振慄已 則骨痿라 陰陽水化不交會于中土 則膈腸不便 外則發爲浮腫이라 土氣幷虛 故로 或噦或噫라 少陰之氣ㅣ 先郁後復이니 先郁則赤氣後化오 後復則流水不冰 而熱氣大行하야 金類之介蟲不復이라 熱行于外 則病疿疹瘡瘍癰疽痤痔라 熱甚入肺 則咳而鼻淵이라 若火盛金衰하야 至肺脈之天府絶 則死不治라
≪節要≫
火熱灼金이라 故로 天府絶이라
≪講解≫
○ 少陰之復
少陰之復은 熱氣가 來復한 것이다. 燥氣 凉氣가 偏勝하는 해는 熱氣가 來復하는 것이 어느정도 나타나게 된다. 예를 들어 氣候가 지나치게 寒凉하면 오래되지 않아 自然히 溫暖하게 된다. 여기서의 溫暖도 또한 凉에 대한 復인 것이다. 그러나 復의 過程中에서도 復氣가 偏勝함이 나타나 새로운 勝復의 現象이 나타나기도 한다. 예를 들어 前述한 溫暖과 寒凉에서도 溫暖에 지나치게 되면 또 寒凉한 기운이 來復하는 氣候變化가 發生한다. 一般的으로 말해서 氣候變化는 모두 冷冷熱熱한 가운데 모르게 진행되므로 定하기가 매우 어렵다. 이는 自然界 氣候變化중의 一種의 自己調節現象인 것이다.
○ 燠熱內作 煩躁鼽嚔 少腹絞痛
‘燠’는 溫暖하다는 뜻이다. ‘燠熱內作’은 少陰이 復함으로 인하여 人體에서 內熱證狀이 나타난다는 것이다. ‘煩躁鼽嚔 少腹絞痛’은 모두 ‘燠熱內作’의 臨床證狀이다. 張介賓注에 이르기를 “少陰君火之復 燠熱內作 煩躁鼽嚔 火盛於中而炎於上也 少腹絞痛 火在陰也”고 하였으니 이러한 뜻에 속한다.
○ 火見燔焫
‘燔’은 태운다는 뜻이다. ‘焫’도 역시 태운다는 뜻이다. ‘火見燔焫’은 熱이 盛한 것이 타는듯한 것을 形容하여 熱이 甚함을 說明한 것으로 여기서는 內熱이 매우 盛한 것이다.
○ 嗌燥 分注時止
‘嗌燥’는 咽喉가 乾燥하고 목이 말라 물을 마시고자 하는 것이다. ‘分注’는 稀水를 泄瀉하는 것이다. ‘時止’는 小便短少를 말한다. 全體的인 뜻은 內熱이 심할 때에는 熱이 陰을 傷함으로 말미암아 ‘嗌燥’가 出現한다는 것이다. 張隱庵注에서는 “嗌燥는 火熱爍金也라”고 하였다. 熱邪가 出路를 찾아 搖動하므로 ‘分注’가 나타나는 것이다. 高士宗注에서는 “熱氣下逆則分注”라고 하였다. 이는 後世에서 말하는 ‘熱結旁流’인 것이다. 熱盛이나 腹瀉 등이 모두 人體의 津液을 損傷시킬 수 있으므로 小便短少가 나타나는 것이다. 張介賓注에서는 “分注時止는 謂大腸或泄 膀胱或癃이니 火居二便也라”고 하였다.
○ 氣動於左 上行於右
氣는 여기서 熱邪를 말한다. 動은 여기서 影響을 미친하고 解釋한다. 좌는 여기서 人體의 肝腎이다. 우는 여기서 人體의 心肺이다. ‘氣動於左 上行於右’의 뜻은 人體에 裏熱이 盛할 때에는 熱이 血을 傷하게 할 수 있고 精을 消耗시킬 수 있으며, 肝藏血하고 腎藏精하므로 臨床的으로 肝腎의 證狀이 發生한다는 것이다. 氣는 血에서 生하고 神은 精에서 生하며, 心藏神하고 肺藏氣하므로 臨床的으로 동시에 心肺의 證狀이 出現할 수 있다.
○ 欬 皮膚痛 暴瘖 心痛 鬱冒不知人 乃灑淅惡寒 振慄譫妄 寒已而熱 渴而欲飮 少氣骨痿 隔腸不便
이 句節은 위 句節 ‘氣動於左 上行於右’를 이어서 말한 것이다. ‘欬’, ‘皮膚痛’은 肺病에 속한다. ‘暴瘖’은 갑자기 목이 쉬어 소리가 나오지 않는 것이다. ‘心痛’은 심장부위의 疼痛이다. ‘鬱冒不知人’은 精神이 맑지 못한 것이다. ‘譫妄’은 말에 두서가 없는 것이다. ‘惡寒振慄’, ‘寒已而熱 渴而欲飮’은 瘧疾과 같은 종류의 疾病이다. ‘瘧’은 一般的으로 肝膽病에 속한다. ‘骨痿’는 腎病에 속한다. ‘少氣’, ‘隔腸不便’은 肺, 大腸病에 속한다. 全體的인 뜻은 少陰이 復했을 때에 熱氣가 偏勝하는데, 熱이 精을 傷하고, 氣를 傷하여 臨床上 上述한 肝腎 및 心肺疾病의 各種表現이 나타난다는 것이다. 張介賓注에서 이르기를 “氣動於左는 陽升在東也오 上行於右는 火必乘金也라 欬而皮膚痛 暴瘖은 肺主聲音外合皮毛而受火之傷也라 心痛 鬱冒不知人은 心邪自實而神明亂也라 洒淅惡寒 振慄譫妄 寒已而熱은 水火相爭하야 熱極生寒也라 渴而欲飮은 亡津液也라 少氣骨萎은 壯火食氣하야 熱極傷精也라 隔腸不便은 熱結不通也라”고 하였으니 이러한 뜻이다.
○ 外爲浮腫 噦噫
浮腫은 全身浮腫이다. ‘噦’은 乾嘔이다. ‘噫’는 트림으로 脾胃病에 속한다. 여기서의 뜻은 少陰이 복했을 때 肝腎心肺의 疾病만이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脾胃의 疾病도 나타난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火氣가 偏勝하여 人體에 內熱이 盛할 때에 全身의 각 藏器가 모두 影響을 받는다는 것이다.
○ 赤氣 後化 流水不氷 熱氣大行 介蟲不復
‘赤氣’는 熱氣이다. ‘後化’는 熱氣는 凉氣가 偏勝했을 때에 출현한다는 것이다. 張介賓注에 이르기를 “赤氣後化는 陽明先勝에 少陰後復也라”고 하였으니 뜻은 凉氣가 偏勝하면 熱氣가 來復한다는 것이다. ‘流水不氷 熱氣大行’은 熱氣가 來復할 때 出現하는 熱氣偏勝現象이다. ‘介蟲’은 氣候가 서늘한 환경에서 자라는 動物이다. ‘不復’은 張介賓이 ‘不福’으로 고쳤으니 ‘熱氣後化’로 인하여 마땅히 서늘해야 할 가을이 서늘하지 않게 되어 서늘한 환경에서 자라는 動物의 生長이 불량하다는 것이다. 張介賓注에서 이르기를 “流水不冰 熱氣大行 介蟲不福은 火盛制金也라”고 하였고, 張隱庵注에서는 “赤氣後化者는 復在五氣終氣니 是以流水不氷이라”고 하였으니 모두 이러한 뜻이다.
○ 病疿 胗 瘡 瘍 癰 疽 痤 痔
‘疿’은 皮膚에 부스럼이 생기는 것이다. ‘胗’은 ‘疹’과 같은 것으로 皮疹이다. ‘瘡’은 皮膚生瘡이다. ‘瘍’은 皮膚의 潰瘍이다. ‘癰’도 皮膚의 瘡瘍이다. 그 特徵은 皮膚肌肉이 比較的 얕게 손상된 것이다. 예를 들면 ≪諸病源候論≫에 이르기를 “癰 浮淺皮薄而澤 ······ 血肉腐壞化而爲膿”이라고 하였다. ‘疽’는 그 特徵이 皮膚가 比較的 깊이 손상된 것이다. 예를 들면 ≪諸病源候論≫에 이르기를 “疽 腫浮厚 其上皮强如牛領之皮 血肉腐壞 化而爲膿 乃至傷骨爛筋”이라고 하였다. ‘痤’는 痤瘡이다. ‘痔’는 痔瘡이다. 이러한 疾病은 一般的으로 말해서 모두 裏熱證에 속한다. 全體的인 뜻은 少陰이 復할 때에 熱氣가 偏勝하므로 人體도 또한 쉽게 裏熱이 熾盛하여 臨床上 瘡瘍과 같은 疾病이 發生한다는 것이다.
○ 甚則入肺 欬而鼻淵
‘甚’은 少陰之復으로 熱氣가 偏勝한 것이다. ‘甚則入肺’는 火熱이 偏勝하면 반드시 우선 肺를 侵犯한다는 것이다. 五行의 槪念으로 說明하자면 火勝은 반드시 刑金하게 되는 것이다. 咳는 咳嗽니 肺病에 속한다. 鼻淵은 病名으로 그 臨床特徵은 주로 코에서 濁滯가 나오는 것이다. ≪素問·氣厥論≫에 이르기를 “鼻淵者 濁涕下不止也”라고 하였다. 鼻淵은 肺病에 속한다. ‘咳而鼻淵’은 위 句節 ‘甚則入肺’의 臨床例이다. 이는 少陰이 復할 때에 비록 五臟이 모두 影響을 받으나 肺病이 多發함을 說明한 것이다.
○ 天府絶 死不治
天府는 手太陰肺經의 穴位이다. 天府絶은 그 穴位에서 脈搏이 느껴지지 않는 것으로 肺氣가 이미 絶함을 提示한 것이다. 따라서 ‘死不治’라고 한 것이다.
【考察】
본 절은 少陰君火가 報復했을 때 일어나는 物候와 病候를 나열한 것이다. 앞서 말한 勝復의 규칙에 비추어 볼 때 少陰君火가 復했음은 이에 앞서 陽明燥金이 偏勝하였음을 암시하는 것이다. 物候에 있어서는 날씨가 더워서 물이 얼지 않는 現象이 일어나고 人體에 있어서는 火熱이 熾盛하게 된다. 따라서 그 證狀은 火氣가 偏勝한 것과 火克金으로 인하여 나타나는 肺大腸病證으로 特徵지워진다. 기타의 證狀에 대하여는 方葯中의 ≪講解≫에 고찰되어 있으므로 여기서는 생략한다.
太陰之復은 濕變乃擧하야 體重中滿하야 食飮不化하고 陰氣上厥하야 胸中不便하고 飮發於中하야 欬喘有聲하고 大雨時行하야 鱗見於陸하고 頭頂痛重 而掉瘈尤甚하며 嘔而密黙하며 唾吐淸液하고 甚則入腎하야 竅瀉無度하니[6]
太谿絶하면 死不治하고[7]
≪王注≫
[6] 濕氣內逆하면 寒氣不行하야 太陽上流 故로 爲是病이라 頭頂痛重은 則腦中掉瘛尤甚이라 腸胃寒濕하야 熱無所行하야 重灼胸府 故로 胸中不便하고 食飮不化라 嘔而密黙은 欲靜定也라 喉中惡冷 故로 唾吐冷水也라 寒氣易位하야 上入肺喉 則息道不利 故로 咳喘而喉中有聲也라 水居平澤 則魚遊於市라 頭頂顖痛은 女人之亦兼痛於眉間也라 新校正에 云 按컨대 上文에 太陰在泉에 頭痛 項似拔이라하고 又太陰司天에 云 頭項痛이라하니 此云頭頂痛에 頂은 疑當作項이라
[7] 太谿는 腎脈氣也라
≪馬注≫
[6~7] 太陰之復은 濕變乃[乃]擧하고 民病은 爲體重 爲中滿 爲食飮不化 爲陰氣上厥 爲胸中不便 爲飮發於中 爲咳喘有聲 及大雨時行 則鱗現[見]於陸 爲頭頂痛重 而掉瘛尤甚 爲嘔而密黙 靜不敢言 爲唾吐淸液 甚則邪氣入於腎竅 其瀉無度也라 太谿者는 足少陰腎經之穴이니 見前이라 若此脈氣絶 則死不治矣라
≪吳注≫
[6] 太陰은 濕土也라 土有餘則具敦阜之象 故로 體重中滿이라 脾處中宮하야 不能除濕을 可知矣라 中宮濕勝 故로 飮食不化라 濕甚于中을 謂之陰氣니 陰氣上逆 則胸中瞋脹不便하야 乃爲濕飮擧發于中하야 氣道不利 故로 欬喘有聲이라 在天則大雨時行이오 在物則鱗見於陸이라 濕甚於上 則頭頂痛重이라 頭搖를 謂之掉이오 肢動을 謂之瘛니 此는 風木之證也라 土位之下에 風氣承之 故로 掉瘛尤甚이라 濕甚于中 故로 令嘔라 土主靜 故로 密黙이라 濕飮內動 故로 唾吐淸液이라 甚則脾病傳腎하야 腎竅濁流無度하니 世謂之下消ㅣ 是也라
[7] 太谿는 腎脉也라
≪類經≫
[6] 太陰濕土之復이라 體重中滿 飮食不化는 自傷同氣也라 陰氣上厥 胸中不便은 濕從寒化也라 飮發於中 喘欬有聲은 濕侵脾肺也라 大雨時行 鱗見於陸은 濕令行也라 頭頂痛重而掉瘛尤甚은 濕在三陽筋脈濡耎也라 嘔而密黙 唾吐淸液은 寒濕內動也라 甚則土邪傳腎 竅寫無度는 以腎開竅於二便 而門戶不要也라
[7] 太谿는 腎經穴也라
≪張注≫
[6~7] 氣極則變擧發也라 陰濕之氣盛하니 是以體重中滿하야 飮食不化(也)라 胸中은 膻中也니 宗氣之所居라 陰氣上逆하야 是以胸中不便이라 咳喘有聲者는 飮乘於肺也라 太陰所至爲濕生하야 終爲注雨요 鮮[鱗]見於陸者는 土崩潰也라 頭項痛重 而掉瘈[瘛]尤甚者는 所謂因於濕 首如裏[裹]라 濕熱不攘하면 大筋緛短이오 小筋弛長이니 緛短爲拘오 弛長爲痿也라 嘔者는 濕乘陽明也라 密黙者는 欲閉戶牖而獨居也라 脈解篇에 曰 所謂欲獨閉戶牖而處者는 陰陽相薄也라 陽盡而陰盛 故로 欲獨閉戶牖而居라 蓋陽明者는 表陽也오 太陰者는 三陰也라 陰變而乘於陽 則陽欲盡而陰盛하야 是以唾吐淸液也라 甚則入腎하야 下乘冬令之寒水也라 腎開竅於二陰 故로 曰竅瀉라 夫太陰居中土而旺於四季하니 是以로 勝氣ㅣ 勝於四時오 復氣ㅣ 在於歲半以後라 故止乘肺胃之秋金 冬令之腎水也라
≪懸解≫
太陰復則土刑水敗하야 濕盛飮發하야 中氣脹滿이라 肺胃上逆 故로 咳喘嘔吐라 濁氣衝突하야 上凌淸道 故로 頭項痛重이라 陽氣阻格하야 不得下降하고 升浮旋轉 故로 掉眩瘈瘲이라 甚則水傷腎敗하야 封藏失職하야 後竅泄利하고 前竅遺精不止也라 (土爲水火中氣니 升降陰陽이 全賴乎此라 濕旺氣阻하면 中脘不運 故로 腎氣陷泄也라)
≪直解≫
[6~7] 太陰受制 則濕氣不變不擧어늘 今太陰之復하야 濕變乃擧라 受制而復하면 經脈未和 故로 體重中滿 食飮不化라 濕爲陰氣니 陰氣上厥 則胸中不便이라 便은 猶利也라 胸中不便 則飮發于中하야 而咳喘有聲矣라 大雨時行은 土之濕也라 鱗見于陸은 土濕水訊也라 濕傷太陽之經脈 則頭頂痛重 而掉瘛尤甚이오 濕傷陽明之經脈 則嘔而密黙 唾吐淸液이라 甚則濕邪入腎 而竅寫無度라 前後二陰者는 腎之竅니 前陰水竅 俱從大便而出 故로 曰竅寫라 若土盛水衰하야 至腎脈之太谿絶 則死不治라
≪節要≫
濕土克水라 故로 太溪絶이라
≪講解≫
○ 太陰之復
太陰之復은 濕氣가 來復한 것이다. 寒氣가 偏勝하는 해에 속하면 濕氣가 來復하는 現象이 어느정도 發生한다. 예를 들어 氣候가 지나치게 寒冷할 때에는 自然的으로 溫暖해질 때가 있는데, 본래는 嚴冬雪寒으로 눈발이 날리지만 氣候가 溫暖하게 되어 눈이 내리지 않고 비가 내린다. 비는 습에 속하고 눈은 한에 속하므로 눈이 내리지 않고 비가 내린다는 것은 濕氣가 寒氣에 대하여 來復한 것이다. 이것이 또한 原文에 이른바 ‘太陰之復’인 것이다.
○ 濕變乃擧
‘濕’은 濕氣가 偏勝한 것이다. ‘變’은 災變이다. ‘濕變乃擧’의 뜻은 太陰이 復했을 때에는 濕氣의 偏勝으로 인하여 새로운 災變이 發生한다는 것이다.
○ 體重中滿 食飮不化 陰氣上厥 胸中不便 飮發於中 欬喘有聲
‘體重’은 전신이 침중한 것이다. ‘中滿’은 胃脘이 脹滿한 것이다. ‘食飮不化’는 음식을 消化시키지 못하는 것이다. ‘陰氣’는 陰寒之氣이다. ‘上厥’은 陰寒之氣가 上逆하여 人體에서 上部에 있는 器官의 氣血이 逆亂하여 기능이 失調한 것이다. ‘胸中不便’은 胸中이 불편한 것으로 예를 들면 胸悶, 氣短, 胸痛 등이다. ‘飮發於中’은 위 句節 ‘陰氣上逆’을 이어서 말한 것이다. ‘欬喘有聲’은 咳嗽 氣喘하는 동시에 哮鳴이나 痰鳴을 隨伴하는 것이다. 이는 ‘陰氣上逆 胸中不便 飮發于中’하여 水邪犯肺했을 때의 臨床例이다.
○ 大雨時行 鱗見於陸
‘大雨時行’은 그 때에 비가 특히 많다는 것이다. ‘鱗’은 어류이다. ‘鱗見於陸’은 큰 비가 내려 강물이 범람하여 어류가 범람한 물을 따라 육지상에 흘러 넘친다는 것이다. 이는 太陰이 復했을 때의 自然現象에 대한 描寫이다.
○ 頭頂痛重而掉瘈尤甚 嘔而密黙 唾吐淸液
‘頭頂痛重’은 頭頂部가 沈重하고 疼痛한 것이다. ‘掉’는 搖動이나 抽動의 뜻이다. ‘瘈’는 筋肉이 攣急한 것이다. 頭頂은 肝의 部位에 속한다. 肢體가 抽動하고 攣急하는 것도 또한 位置上으로 肝이므로 肝病에 속한다. ‘嘔’는 嘔吐이다. ‘密黙’는 張隱庵注에서 이르기를 “密黙者는 欲閉戶牖而獨居也라”고 하였다. ‘嘔而密黙’은 嘔吐하면서 煩한 것이다. ‘唾吐淸液’은 淸水를 토하는 것이다. ‘嘔而密黙 唾吐淸液’는 모두 位置上으로는 脾胃이므로 脾胃病에 속한다. 全體的인 뜻은 太陰이 復했을 때 濕氣가 偏勝하여 人體에 脾胃病이 많이 發生하고 동시에 肝病이 出現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 甚則入腎 竅瀉無度
甚은 脾濕이 지나친 것이다. ‘甚則入腎’의 뜻은 脾濕이 太過할 때에는 나아가 腎病을 誘發할 수 있다는 것이다. ‘竅’는 前後陰을 가리킨다. ‘竅瀉’는 高士宗은 小便短少, 大便水瀉로 解釋하였는데, 그의 注에 이르기를 “前後二陰者 腎之竅 前陰水竅 俱從大便而出 故曰竅瀉”라고 하였다.
○ 太谿絶 死不治
太溪는 足少陰腎經의 穴位이다. 太溪絶은 太溪穴의 位置에서 脈搏이 느껴지지 않는다는 것이다. 腎氣가 絶한 것을 뜻하므로 死不治라고 한 것이다. 여기서의 뜻은 太陰이 복했을 때 濕氣가 偏勝하여 土勝이 乘水할 수 있고, 勝克이 지나치게 되면 人體의 腎氣가 敗絶하여 사망에 이를 수 있다는 것이다.
【考察】
본 절은 太陰濕土가 報復했을 때 일어나는 物候와 病候를 나열한 것이다. 앞서 말한 勝復의 규칙에 비추어 볼 때 太陰濕土가 復했음은 이에 앞서 太陽寒水가 偏勝하였음을 암시하는 것이다. 物候에 있어서는 비가 많이 오는 現象이 일어나고 人體에 있어서는 土에 해당하는 濕氣가 偏勝하게 된다. 따라서 그 證狀은 濕氣가 偏勝한 것과 土克水로 인하여 나타나는 腎病證으로 特徵지워진다.
少陽之復은 大熱將至하야 枯燥燔焫하야 介蟲乃耗하고 驚瘛欬衄하며 心熱煩躁하며 便數憎風하며 厥氣上行하야 面如浮埃하며 目乃瞤瘛하고 火氣內發하야 上爲口糜하며 嘔逆하며 血溢血泄하며 發而爲瘧하야 惡寒鼓慄하고 寒極反熱하야 嗌絡焦槁하며 渴飮水漿하며 色變黃赤하며 少氣脈萎하고 化而爲水하야 傳爲胕腫하고 甚則入肺하야 欬而血泄하니[8]
尺澤絶하면 死不治하고[9]
≪王注≫
[8] 火氣專暴하야 枯燥草木하고 燔焰自生 故로 燔爇也라 爇는 音焫이라 火內熾 故로 驚瘛咳衄하고 心熱煩躁하며 便數憎風也라 火炎於上 則庶物失色 故로 如塵埃浮於面 而目瞤動也라 火爍於內 則口舌糜爛嘔逆 及爲血溢血泄이라 風火相薄 則爲溫瘧이라 氣蒸熱化 則爲水病하야 傳爲胕腫이라 胕는 謂皮肉俱腫호대 按之陷下하야 泥而不起也라 如是之證은 皆火氣所生也라
[9] 尺澤은 肺脈氣也라
≪馬注≫
[8~9] 少陽之復은 大熱將至 枯燥燔焫 介蟲乃[乃]耗는 火乘金也라 民病은 爲驚瘛 爲咳爲衄 爲心熱 爲煩躁 爲便數 爲憎風 爲厥氣上行 爲面如浮埃 爲目瞤瘛 爲火氣內發 則上爲口糜 爲嘔逆 爲血嗌[溢] 爲血泄 爲發而爲瘧 惡寒鼓慄 寒極反熱 爲嗌絡焦槁 渴飮[引]水漿 爲色變黃赤 爲少氣 爲脈痿 爲氣蒸 熱化則爲水病 傳爲胕腫 甚則邪氣入肺 爲咳而血泄也라 尺澤者는 手太陰肺經之穴이라 若此脈氣絶 則死不治矣라
≪吳注≫
[8] 焫은 如悅切이라 ○少陽은 相火也라 故熱至而枯槁燔焫이라 介蟲은 金屬이니 乃耗也라 少陽主火하니 內熱故로 驚이오 火性動搖하니 有火故로 瘛라 火乘於肺하야 令人欬오 火泄於竅하야 令人衄이라 相火薰心 故로 心熱煩燥라 火甚則下竅不淸 故로 便數이라 火遇風則熖益熾 故로 憎風이라 其厥逆之氣ㅣ 上行 則面色焦槁如浮埃也라 少陽之脉은 至目銳眥 故로 目瞤瘛라 若火氣內發 則爲口中糜爛이라 火上炎 故로 嘔逆이라 血中有火則妄行 故로 上爲血溢이오 下爲血泄이라 凡邪在表則惡寒이오 邪在裏則惡熱이라 少陽居半表半裏 故로 寒熱往來 發而爲瘧이라 其証惡寒鼓慄은 寒極反熱也라 所以先寒後熱者는 邪氣先倂於裏라가 後倂於表也라 熱甚則嗌絡焦槁 渴飮水漿이라 熱在脾則色黃이오 熱在心則色赤이라 熱傷氣則少氣오 熱傷血則脉萎라 火甚則陰氣不降하야 水道不得通調하야 化爲停水하고 傳於肌膚하야 令人胕腫하니 肉如泥하야 按之不起也라 甚則入肺하야 欬而血泄者는 欬傷其肺하야 血從欬中泄出也라
[9] 尺澤은 肺脉也라
≪類經≫
[8] 少陽相火之復 故로 大熱至而枯燥燔爇이라 介蟲은 屬金이니 所以耗也라 其病則驚瘛欬衄 心熱煩燥하니 火乘心肺也라 便數憎風은 表裏皆熱也라 厥氣上行 面如浮埃 目乃瞤瘛 火氣內發 上爲口糜嘔逆 血溢血泄은 皆火炎於上이라 故形色變而 逼血妄行也라 發而爲瘧 惡寒鼓慄 寒極反熱은 以風火相薄而陰陽相幷也라 嗌絡焦槁 渴引水漿은 津液涸也라 色變黃赤은 熱在脾則黃이오 在心則赤也라 少氣脈萎는 氣血傷也라 化而爲水 傳爲胕腫은 以氣蒸熱化하야 水道不通 而浮腫如泥也라 火盛必傷金 故로 甚則入肺 欬而血泄이라 ○爇은 儒決切이오 瘛은 音翅라
[9] 尺澤은 肺經穴也라 ○按컨대 前章少陰司天熱淫所勝에 言尺澤하고 少陽司天火淫所勝에 言天府하니 此章所言이 與前章으로 相反이라 熱皆係肺經之穴이니 以火克金 故로 能互見其害라
≪張注≫
[8~9] 少陽之火ㅣ 復發於秋冬之時하니 是以로 枯燥燔熱이라 介蟲乃耗는 謂木枯草燥[焦]而甲蟲耗散也라 驚瘛咳衄은 熱乘心肺也라 便數憎風은 表裏皆熱也라 面如浮埃는 面微有塵也라 手足少陽之脈은 皆上系於目이라 故目乃瞤瘛라 火氣內發者는 陰火發於內也라 上爲口糜는 發於上焦也오 發於中焦則嘔逆이오 發於下焦則血溢血泄也라 發而爲瘧者는 少陽主樞니 是以寒熱陰陽이 外內出入하야 寒極反熱하야 從火化也라 嗌絡焦枯[槁]는 肺金傷也라 渴飮水漿은 陽明胃金燥也라 太陰濕土는 主四之氣라 色變黃赤者는 火土相合也라 少氣木[脈]萎[痿]者는 氣血皆傷也라 化而爲水 傳爲胕腫者는 從四氣五氣 而直至於終之氣也라
≪懸解≫
少陽復則火刑金敗하야 足少陽化氣相火ㅣ 逆而上行하야 膽木拔根 則生驚恐이라 相火刑肺 金不降斂 則生咳衄이라 甲木刑胃하야 容納失職 則生嘔逆이라 木主五色하니 甲木上逆하야 濁氣搏結 則面如浮埃라 甲木飄揚 則目乃瞤瘛이라 (瞤은 動也라 瘛는 急也라) 相火上逆하면 癸水失溫 而生下寒하고 寒邪上凌하야 束閉少陽하야 相火鬱勃振盪하야 不得透越 則發爲痎瘧 寒戰鼓慄이라 及其陽氣蓄積하야 透出重圍하면 寒退熱來하고 壯火熏蒸 則嗌絡焦槁 渴引水漿이라 盛熱消爍하야 氣耗血敗 則少氣脈萎 色變黃赤이라 (經絡論에 陰絡之色은 應其經이오 陽絡之色은 應其常이니 熱多則淖澤이오 淖澤則黃赤이라) 血少脈空 則水漿泛濫하야 流溢經絡하야 傳爲胕腫이라 水泛土濕하야 木鬱不能疏泄 則小便頻數不利라 水溢經絡하야 不得化汗外泄者는 風客皮毛 閉其孔竅也니 是以로 憎風이라 甚則熱蒸肺敗하야 咳而泄血하니 泄血者는 大腸不斂也라
≪直解≫
[8~9] 便은 如字라
少陽受制 則熱氣不行이어늘 今少陽之復하니 大熱將至라 熱將至 則枯燥燔爇이라 金受火刑 則介蟲乃耗라 民病惊瘈咳衄은 火刑肺金之病也라 心熱煩燥는 火氣乘心之病也라 少陽三焦之氣不和 則小便數而外憎風이라 便數憎風 則厥氣上行이오 厥氣上行 則面如浮埃 目乃瞤瘛니 此는 少陽厥氣上行하야 而生陽之氣ㅣ 不榮于面目也라 若火氣內發 則上爲口糜오 中爲嘔逆이오 下爲血溢血泄이니 此는 少陽火氣內發 而三焦之氣ㅣ 不和于上中下也라 少陽之氣ㅣ 發爲瘧病 則惡寒鼓慄이라 寒极反熱이오 熱則嗌絡焦槁 渴飮水漿 溺色便爲黃赤이니 此는 少陽瘧發之病也라 少氣脈萎하고 化而爲水하야 傳爲胕腫은 此ㅣ 少陽元眞之氣內虛也라 甚則邪火入肺하야 咳而血泄이니 致火盛金衰 而肺脈之尺澤絶 則死不治라
≪節要≫
相火傷肺라 故로 死不治라
≪講解≫
○ 少陽之復
‘少陽之復’은 火氣가 來復한 것이다. 凉氣가 偏勝한 해에는 어느정도 火氣가 來復하여 氣溫이 凉에서 熱로 변하게 된다.
○ 大熱將至 枯燥燔焫 介蟲乃耗
‘大熱將至’는 氣候가 凉에서 熱로 轉變되어 火氣가 偏勝한 것이다. ‘枯’는 마른다는 것이다. ‘燥’는 乾燥이다. ‘燔焫’은 매우 덥다는 것이다. ‘介蟲’은 서늘한 것을 좋아하는 動物이다. 全體的인 뜻은 少陽이 복했을 때는 火氣가 偏勝하게 되어 식물이 말라죽게 되며, 서늘함을 좋아하는 動物도 더위로 인하여 損耗하게 된다. 여기서 指摘할 만한 것은 運氣學說에서 指摘하는 燥는 대부분 凉燥를 말하는 것으로 燥가 凉에서 生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앞에서 少陰이 復했을 때 嗌乾을 提示하였고, 여기서는 또 枯燥를 提示하였으니 이는 燥가 凉에서도 생기지만 熱에서도 생긴다는 것을 說明하는 것이다.
○ 驚瘛欬衄 心熱煩躁 便數 憎風
‘驚瘛’는 振顫抽搐이다. ‘心熱煩躁’는 煩亂不安한 것이다. ‘便數’은 尿急尿頻이다. ‘憎風’은 惡風이다. 張隱庵注에서 이르기를 “驚瘛咳衄은 熱乘心肺也라 便數憎風은 表裏皆熱也라”고 하였으니 上述한 證狀이 모두 火熱證이 속한다는 것이다.
○ 厥氣上行 面如浮埃 目乃瞤瘛
‘厥氣’는 여기서 熱邪를 말한다. ‘厥氣上行’은 熱邪가 上犯한 것이다. ‘面如浮埃’는 얼굴색이 흙빛인 것이다. ‘目乃瞤瘛’는 눈꺼풀이 振顫하는 것이다. 이는 모두 熱邪가 上犯한 臨床證狀들이다.
○ 火氣內發 上爲口糜 嘔逆 血溢 血泄
‘口糜’는 口腔이 糜爛한 것이다. ‘嘔逆’은 嘔吐이다. ‘血溢’은 上部의 出血을 말하는데, 예를 들면 嘔血, 鼻血, 咳血 등이다. ‘血泄’은 下部의 出血을 말하는데, 예를 들면 便血, 尿血, 陰道出血 등이다. 이러한 것은 모두 裏熱이 심함을 나타내는 것이다.
○ 發而爲瘧 惡寒鼓慄 寒極反熱 嗌絡焦槁 渴飮水漿 色變黃赤
‘瘧’은 瘧疾이다. ‘惡寒鼓慄’은 寒戰이다. ‘寒極反熱’은 먼저 惡寒戰慄하다가 寒戰이 끝나면 高熱이 나타나는 것이다. ‘嗌絡焦槁’는 咽喉가 乾燥한 것이다. ‘渴飮水漿’은 大渴引飮한 것이다. ‘色變黃赤’은 小便이 黃赤色으로 변한 것이다. ≪素問·熱論≫에 이르기를 “瘧之始發也 先起於毫毛 伸欠乃作 寒慄鼓頷 腰脊俱痛 寒去則內外皆熱 頭痛如破 渴欲冷飮”이라고 하였으니 여기서 말한 內容과 基本적으로 같다. 이는 瘧疾의 典型的인 證狀을 기술한 것이다.
○ 少氣 脈萎 化而爲水 傳爲胕腫
‘少氣’는 氣虛이다. ‘脈萎’는 血虛이다. ‘化而爲水 傳爲胕腫’은 熱이 氣를 傷하게 할 수 있고 血을 消耗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氣血이 虛한 狀況에서는 水飮이 瀦留하여 浮腫을 發生할 수 있다. 이는 앞에서 말한 ‘熱勝則腫’에 대한 病機 解釋이다.
○ 甚則入肺 欬而血泄
‘甚’은 火氣가 偏勝한 것이다. ‘甚則入肺’는 火熱이 심할 때에는 火盛이 刑金하기 때문에 반드시 肺에 들어가 肺病을 發生시킨다는 것이다.
○ 尺澤絶 死不治
‘尺澤’은 手太陰肺經의 穴位이다. ‘尺澤絶’은 尺澤穴의 부위에서 脈搏을 느낄 수 없다는 것이다. ‘尺澤絶’은 肺氣가 絶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死不治’라고 한 것이다. 여기서의 뜻은 少陽이 復했을 때는 火氣가 偏勝하여 火勝이 乘金할 수 있는데, 乘克이 지나치면 人體의 肺氣도 絶하여 死亡에 이를 수 있음을 말한 것이다.
【考察】
본 절은 少陽相火가 報復했을 때 일어나는 物候와 病候를 나열한 것이다. 앞서 말한 勝復의 규칙에 비추어 보면 少陽相火가 復했음은 이에 앞서 陽明燥金이 偏勝하였음을 암시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陽明燥金이 偏勝했을 때는 少陽相火가 來復하게 되는 것인가? 少陰君火에서도 언급한 바 있듯이 少陽相火의 來復은 陽明燥金이 偏勝하고난 후에 일어나는 것이라 하였다. 앞서 고찰한 바와 같이 勝復은 五行의 相克關係로 일어난다. 이를 바탕으로 說明했을 때 金이 勝하게 되면 金을 克하는 火가 來復하게 된다. 그런데 六氣에서는 火에 속하는 것이 少陰君火와 少陽相火가 있으므로 陽明燥金이 偏勝하고 난 후에 어떠한 氣가 來復할 지는 단언하기 어렵다. 證狀만으로 살펴본다면 陽明燥金이 偏勝한 후에는 火熱이 熾盛한 證狀이 나타나게 되는데, 少陽相火가 來復했을 때의 證狀이나 少陰君火가 來復했을 때의 證狀이 모두 火熱이 熾盛한 것이므로 問題가 되지는 않는다. 그러나 앞서 말한 것처럼 少陰君火와 少陽相火가 분명히 다르고, 또 그로 인한 病理도 분명한 차이가 있을 것이므로, 火熱이 熾盛함에도 少陽相火의 來復과 少陰君火의 來復이 차이가 있을 것임은 분명하다. 그러므로 勝復의 규칙을 五行으로서만 파악한다는 것은 完全하지 못함이 있는 것이다. 앞으로 더욱 깊은 硏究를 기대한다.
陽明之復은 淸氣大擧하야 森木蒼乾하며 毛蟲乃厲하고 病生胠脇하야 氣歸於左하며 善太息하고 甚則心痛否滿하며 腹脹而泄하며 嘔苦欬噦하며 煩心하니 病在膈中이오 頭痛하고 甚則入肝하야 驚駭筋攣하니[10]
太衝絶하면 死不治하고[11]
≪王注≫
[10] 殺氣大擧하야 木不勝之 故로 蒼淸之葉이 不及黃而乾燥也라 厲는 謂疵厲疾疫死也니 淸甚於內하고 熱鬱於外故也라
[11] 太衝은 肝脈氣也라
≪馬注≫
[10~11] 陽明之復은 淸氣大擧 森木蒼乾 毛蟲乃厲하니 金勝木也라 其民病은 爲病生胠脇 氣歸於左 爲善太息 甚則爲心痛 爲否滿 腹脹而泄 爲嘔苦 爲咳爲噦 爲煩心 爲病在鬲中 爲頭痛 甚則入肝 爲驚駭 爲筋攣也라 太衝者는 足厥陰肝經之穴이라 若此脈氣絶 則死不治矣라
≪吳注≫
[10] 陽明은 燥金也라 故淸氣大擧하야 森木蒼乾이라 毛蟲은 木屬이니 乃厲也라 金乘肝木하면 肝位胠脇而氣左行 故로 病生胠脇而氣歸于左라 木遇金則聲悽而永 故로 善太息이라 金復於火하면 火爲退氣 而金侮之 故로 心痛이라 金主降이오 木主升하니 金勝木敗하면 有降而無升하야 淸濁不分 故로 否滿腹脹而泄이라 陽明乘於甲膽하면 其氣上逆 故로 嘔苦欬噦煩心이라 淸溫相搏 故로 病在膈中이라 陽明之脉 上行頭角 故로 頭痛이라 燥金氣ㅣ 甚則入于肝하야 驚駭筋攣하니 風木驚號屈曲之象也라
[11] 太衝은 肝脉也라
≪類經≫
[10] 陽明燥金之復 故로 淸氣大擧라 森木蒼乾 毛蟲乃厲는 金克木也라 病生胠脇 氣歸於左는 肝木傷也라 金氣盛 則木鬱火衰而陽氣不達 故로 善太息이라 甚則心痛否滿 腹脹而泄 嘔吐欬噦煩心은 淸邪在中也라 頭痛者는 陰寒外束 熱聚於經也라 金强侮肝 故로 爲驚駭筋攣之病이라
[11] 太衝은 肝經穴也라
≪張注≫
[10~11] 陽明之復이 發於本位主令之時하니 是以로 淸氣大擧라 森木蒼乾 毛蟲乃厲 病生胠脇 氣歸於左者는 金乘木也라 心痛否滿 腹脹而泄은 乘火土也라 膽病者ㅣ 善太息嘔苦는 木受金刑하야 府亦病也라 咳噦는 肺氣逆也라 咳噦煩心也[者] 病在鬲中은 陽明之氣上逆也라 頭痛은 厥陰病也라 夫病生胠脇頭痛은 病在肝之經氣니 如入肝則干藏矣라 干藏者는 半死半生이라 蓋邪雖薄藏 而藏眞不傷者는 生이라 如太衝脈絶은 眞元傷矣라 夫厥陰少陰少陽太陰之復은 發於五氣六氣之時어니와 陽明太陽之發은 報復歲半以前之氣하니 是以로 木火土之皆病也라
≪懸解≫
陽明復則金刑木敗라 肺位於右하고 肝位於左하니 金承木負 故로 病生右脇 而氣歸左脇이라 肝膽同氣니 肝氣下陷 則膽氣上逆하야 膽木刑胃하고 濁氣上塡 則胸膈壅塞이라 膽胃交迫하야 搏結心下 則心痛否滿이라 肺胃衝逆 則嘔吐咳噦 頭痛心煩이라 金盛木衰 則善太息이라 肝木鬱陷하야 衝突排決하야 下開後竅 則腹脹而泄이라 甚則木枯肝敗하야 驚駭筋攣이라 驚者는 肝氣之怯이오 攣者는 筋膜之燥也라
≪直解≫
[10~11] 陽明受制 則淸氣不擧어늘 今陽明之復 則淸氣大擧라 木受金刑 則森木蒼干하며 毛蟲乃厲라 厲는 猶病也라 病生胠脅 氣歸于左는 肝木病也라 善太息은 膽木病也라 甚則淸氣太過 而心痛 以及否滿腹脹而泄이라 陽明氣逆 則嘔苦오 肺胃不和 則咳라 胸有固寒 則噦이라 胃絡不通于心 則煩心 而病在鬲中이라 厥陰肝脈은 上出額하야 與督脈으로 會于巓하나니 肝脈病 故로 頭痛이라 甚則金氣入肺 而惊駭筋攣이라 若金盛木衰하야 至肝脈之太衝絶 則死不治라
≪節要≫
燥金克木이라 故로 太衝絶이라
≪講解≫
○ 陽明之復
‘陽明之復’은 燥氣 凉氣가 來復한 것이다. 風氣 溫氣가 偏勝한 해에는 조기 凉氣가 어느정도 來復하게 되어 氣溫이 溫에서 凉으로 傳變하게 되는 것이다.
○ 淸氣大擧 森木蒼乾 毛蟲乃厲
‘淸氣’는 凉氣이다. ‘淸氣大擧’는 氣候가 서늘한 것이다. ‘森木’은 숲이다. ‘森木蒼乾’은 나무가 말라 죽고 나뭇잎이 떨어진다는 것이다. ‘毛蟲’은 따뜻함을 좋아하는 動物이다. ‘厲’는 손해를 입는다는 것이다. 全體的인 뜻은 陽明이 복했을 때 凉氣가 偏勝하여 나무도 氣候의 서늘함으로 말미암아 말라죽고 따뜻함을 좋아하는 動物도 氣候가 서늘하여 적응하지 못하고 生長이 불량하다는 것이다.
○ 病生胠脇 氣歸於左
‘胠脇’은 脇肋部이다. 氣는 凉氣이다. 左는 여기서 人體의 肝을 말한다. ‘病生胠脇 氣歸於左’는 陽明이 復했을 때 金勝하면 반드시 乘木하는 것으로 말미암아 人體에도 쉽게 肝病을 發生시킨다는 것이다. 張隱庵注에서는 “氣歸於左者는 金乘木也라”고 하였으니 이러한 뜻에 속한다.
○ 善太息 甚則心痛否滿 腹脹而泄 嘔苦 欬噦 煩心 病在膈中 頭痛
‘善太息’은 短氣이다. ‘心痛否滿’은 胸悶滿한 것이다. ‘腹脹而泄’은 腹脹하며 泄瀉하는 것이다. ‘嘔苦’는 쓴물을 토하는 것이다. ‘欬噦’는 咳嗽乾嘔하는 것이다. ‘煩心’은 心中이 煩亂한 것이다. ‘膈中’은 橫膈以下部位를 말한다. 이 부위는 肝脾胃가 居하는 곳이다. ‘病在膈中’은 肝脾가 傷한 것이다. 全體的인 뜻은 陽明이 복했을 때 肺氣가 失調하여 臨床的으로 胸悶短氣, 咳嗽, 胸痛 등의 肺病證狀이 나타날 뿐 아니라 金勝克木의 原因으로 臨床上 肝氣失調 및 肝失調達하여 脾胃證狀도 나타나는 것이다.
○ 甚則入肝 驚駭 筋攣
甚은 凉氣, 燥氣가 偏勝한 것을 말한다. ‘甚則入肝’은 凉氣가 太甚했을 때 金勝하면 乘木할 수 있으므로 肝에 들어가 肝病을 일으킬 수 있다는 것이다. ‘驚駭 筋攣’은 肝病의 臨床證狀中의 하나이다.
○ 太衝絶 死不治
太衝은 足厥陰肝經의 穴位이다. 太衝絶은 太衝穴의 部位에서 脈搏을 느낄 수 없다는 것이다. 太衝絶은 肝氣가 絶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死不治’라고 한 것이다. 여기서의 뜻은 陽明이 復했을 때 金氣가 偏勝하는데, 金勝하면 반드시 乘木하게 되며, 勝克이 지나치게 되면 人體에서도 肝氣가 敗絶하여 死亡에 이를 수 있다는 것이다.
【考察】
본 절은 陽明燥金이 報復했을 때 일어나는 物候와 病候를 나열한 것이다. 앞서 말한 勝復의 규칙에 비추어 볼 때 陽明燥金이 復했음은 이에 앞서 厥陰風木이 偏勝하였음을 암시하는 것이다. 物候에 있어서는 나무가 말라 죽는 現象이 일어나고 人體에 있어서는 金에 해당하는 肺氣가 偏勝하게 된다. 따라서 그 證狀은 肺氣가 偏勝한 것과 金克木으로 인하여 나타나는 肝病證으로 特徵지워진다.
太陽之復은 厥氣上行하야 水凝雨氷하며 羽蟲乃死하고 心胃生寒하야 胸膈不利하며 心痛痞滿하며 頭痛善悲하며 時眩仆하며 食減하며 腰脽反痛하야 屈伸不便하고 地裂氷堅하야 陽光不治하고 少腹控睾하며 引腰脊하야 上衝心하고 唾出淸水하며 及爲噦噫하고 甚則入心하야 善忘善悲하니[12]
神門絶하면 死不治니이다[13]
≪王注≫
[12] 雨氷은 謂雹也라 寒而遇雹하니 死亦其宜라 寒化於地하면 其上復土 故로 地體分裂이라 水積氷堅하야 久而不釋은 是陽光之氣不治寒凝之物也라 太陽之復에 與不相持하야 上濕下寒하면 火無所往하야 心氣內鬱하야 熱由是生하야 火熱內燔 故로 生斯病이라 新校正에 云 詳注에 云 與不相持에 不字는 疑作土라
[13] 神門은 眞心脈氣라
≪馬注≫
[12~13] 太陽之復은 則寒氣上行 氷[水]凝雨水[氷] 羽蟲乃死하니 水勝火也라 民病은 爲心胃生寒 爲胸中不利 爲心痛 爲否滿 爲頭痛 爲善悲 爲不時眩仆 爲食減 爲腰脽反痛 屈伸不便 及地裂水[氷]堅 則陽光不治 民病爲少腹控其睪丸 引腰脊 以上衝心 爲唾出淸水 及爲噦噫 甚則入心爲善忘 爲善悲라 神門者는 手少陰心經之穴이니 見上이라 若此脈氣絶 則死不治矣라
≪吳注≫
[12] 太陽은 寒水也라 太陽之脉은 從頭走足하니 若其厥逆 則反上行하야 其政水凝雨氷이라 羽蟲은 火屬이니 乃死也라 寒氣入中 則心胃生寒하야 胸膈不利라 火畏水 故로 心痛이라 寒在中 則中氣嚴凝하야 淸濁不分 故로 否滿이라 太陽之脉은 經於頭 故로 頭痛이라 寒氣倂於上 則淸陽失位 故로 眩仆라 寒勝則火衰하야 胃不能消 故로 食减이라 太陽之脉은 挾脊抵腰中하야 入循膂하니 寒則經脈引急 故로 腰脽反痛 屈伸不利라 其令則地裂氷堅하야 陽光不治라 少腹은 地象 故로 控腎丸하야 引腰脊而冷痛이라 心君은 陽象이니 陽光不治 故로 衝心而吐淸水也라 寒氣入心하야 心不受 則爲噦噫라 甚則入心하야 心失其神明之體 則善忘이라 肺金無所畏하야 從而侮心 則善悲也라
[13] 神門은 心脉也라
≪類經≫
[12] 太陽寒水之復이라 其氣上行 則水凝雨冰이라 羽蟲屬火하니 水盛乃死也라 其病心胃生寒 故로 胸中不利也라 心痛否滿은 寒在膈間也라 頭痛善悲는 寒倂於上 而陽神虛也라 時眩仆食减은 淸陽失位而胃中寒也라 腰脽反痛 屈伸不便은 寒歸水藏 而連及太陽經也라 地裂冰堅 陽光不治는 水令行也라 少腹控睾 引腰脊 上衝於心은 寒客三陰하야 上侵君火也라 唾出淸水 及爲噦噫는 寒水侮土하야 胃脘無陽也라 寒甚者는 必乘心하고 心藏神하니 神不足則善忘善悲라 ○脽는 音誰라 睾는 音高라
[13] 神門은 心經穴也라
≪張注≫
[12~13] 厥氣上行者는 鬱逆之氣ㅣ 上行 而欲復歲半以前之氣也라 水凝은 水寒在下也라 雨氷은 寒氣在上也라 上下皆寒하니 是以로 羽蟲乃死는 蓋寒淫而火滅也라 心胃生寒 胸隔[鬲]不利 心痛否滿 頭痛善悲 時眩仆者는 厥氣上行하야 從下而中 中而上也라 食減은 水乘土也라 腰脽反痛 屈伸不利는 水淫而反自傷也라 陽光不治는 木火之氣衰也라 少腹控睾 引腰脊上衝心者는 厥陰病也라 唾出淸水 及爲噦噫는 從胃而上及於心也라 蓋亦報復歲半以前之木火土也라 王子律이 曰 木火土三氣ㅣ 子母相合 而勝歲半以後之氣하니 是以로 復發而俱報之라 許遜公이 問曰 少陰太陽에 有水火寒熱之竝發이어니와 奚少陰之復은 有寒氣 而太陽之復은 無陽熱耶아 曰少陰之本火오 太陽之本寒이오 報復之氣ㅣ 發於歲半以後 乃凉寒之時니 是以로 少陰有寒 而太陽無熱이니 從時化也라
≪懸解≫
太陽復則水刑火敗라 足太陽之脈은 挾脊抵腰하고 足少陰之脈은 貫脊上膈이오 腎位於腰라 睾丸者는 腎氣所結이니 水邪上泛 則自少腹而起하야 前控睾丸하야 後引腰脊하고 上衝心中이라 厥氣上行하야 凌犯君火 則心痛否滿 胸膈不利라 火澌土敗하야 胃氣上逆 則唾出淸水 急爲噦噫라 濁氣上塡 故로 食減頭痛이라 陽氣浮越 故로 時忌眩仆라 甚則火寒心敗하야 善忘善悲라 善忘者는 心神之失藏이오 善悲者는 肺氣之無制也라 (肺主悲라)
≪直解≫
[12~13] 厥氣는 寒氣也라 太陽受制 則寒氣不行이어늘 今太陽之復하니 寒氣上行이라 寒氣上行 則水凝雨冰이라 水盛火滅 故로 火類之濕蟲乃死라 寒氣盛 故로 心胃生寒이오 心胃生寒 故로 胸隔不利오 胸隔不利 故로 心痛否滿이라 太陽經脈은 上行于頭 故로 頭痛이라 陰氣盛 故로 善悲 頭痛 則時眩僕이라 中土虛寒 則食減이라 太陽經脈不和 則腰椎反痛 而屈伸不便이라 寒氣已极 則地裂冰堅 而陽光不治라 寒氣在下 則小腹控睾오 由下而中 則引腰脊이오 由中而上 則上冲心이라 寒氣上冲 則唾出淸水 及爲噦爲噫라 噦噫者는 火土不相生也라 甚則寒氣入心 故로 善忘善悲라 若水盛火衰하야 至心脈之神門絶 則死不治라
≪節要≫
寒水滅火라 故로 神門絶이라 復者는 謂三陰三陽之氣ㅣ 受所勝之氣勝制하야 勝極而復發也라 盖六氣之勝復은 無分太過 不及하니 有勝則有復 無勝則無復 勝甚則復甚 勝微則復微오 而所復之氣ㅣ 非子復母仇也라
≪講解≫
○ 太陽之復
‘太陽之復’은 寒氣가 來復한 것이다. 熱氣나 火氣가 偏勝한 해에는 寒氣가 어느정도 來復하게 되어 氣候가 熱에서 冷으로 傳變하게 된다.
○ 厥氣上行 水凝雨氷 羽蟲乃死
‘厥氣’는 여기서 寒氣를 말한다. ‘厥氣上行’은 寒氣가 來復한 것이다. ‘水凝’은 물이 얼어서 얼음이 된 것이다. ‘雨氷’는 눈이 내리는 것이다. ‘羽蟲’은 熱을 좋아하는 動物이다. 全體的인 뜻은 太陽이 復했을 때 寒氣가 偏勝하여 氣候가 매우 추우며 눈이 내리고 熱을 좋아하는 動物이 차거운 氣候에 適應하지 못하여 사망한다는 것이다.
○ 心胃生寒 胸膈不利 心痛痞滿 頭痛善悲 時眩仆 食減 腰脽反痛 屈伸不便
‘心胃生寒’은 心과 胃에 寒象이 나타나고, 心脾에 陽氣虛衰가 나타나는 것이다. ‘胸膈不利’는 胸腹部가 不便한 것이다. ‘心痛’은 胸腹痛이다. ‘痞滿’은 胸腹이 阻塞脹滿한 것이다. 이는 모두 ‘胸膈不利’의 臨床證狀인 것이다. 胸膈不利는 一般的으로 心脾氣虛에 속한다. ‘善悲’는 자주 슬프고 운다는 것으로 一般的으로 肺에 속한다. ‘眩仆’은 眩暈으로 갑자기 넘어지는 것으로 一般的으로 肝氣虛에 속한다. ‘食減’은 食慾減退로서 一般的으로 胃氣虛에 속한다. ‘腰脽反痛’은 腰痛으로 一般的으로 腎氣虛에 속한다. 全體的인 뜻은 人體의 心肝脾肺腎 五臟이 모두 寒氣의 偏勝과 陽氣虛衰로 인하여 臨床上 各種 氣虛證狀이 나타난다는 것이다.
○ 地裂氷堅 陽光不治
‘地裂’은 土地가 갈라지는 것이다. ‘氷堅’은 물이 얼어서 얼음이 되는 것이다. ‘陽光不治’는 氣候가 寒冷하다는 것이다. 이 句節은 太陽이 復할 때의 自然現象을 記述한 것이다.
○ 少腹控睾 引腰脊 上衝心 唾出淸水 及爲噦噫
‘少腹控睾’는 少腹이 疼痛하여 陰囊睾丸까지 땅기는 것이다. ‘引腰脊’은 少腹이 疼痛하여 腰脊部까지 疼痛이 發生하는 것이다. ‘上衝心’은 寒邪가 心胃로 上衝하는 것이다. ‘唾出淸水’는 맑은 물을 토하는 것이다. ‘噦噫’는 乾嘔하고 트림하는 것이다. 全體的인 뜻은 太陽이 復할 때 寒氣가 偏勝하므로 人體도 寒으로 인하여 少腹痛, 吐淸水, 乾嘔噫氣 등의 裏寒證狀이 나타난다는 것이다.
○ 甚則入心 善忘 善悲
‘甚’은 여기서 寒氣가 偏勝한 것이다. ‘甚則入心’은 寒氣가 지나칠 때 水勝乘火로 반드시 心을 傷한다는 것이다. ‘善忘’은 건망으로 一般的으로 脾病에 속한다. ‘善悲’는 잘 슬프다는 것으로 一般的으로 肺病에 속한다. 그러나 心은 五臟의 神이므로 ‘善忘’, ‘善悲’는 또한 心에도 속한다. 따라서 寒邪가 傷心했을 때에는 ‘善忘’, ‘善悲’의 臨床證狀도 나타나는 것이다.
○ 神門絶 死不治
神門은 手少陰心經의 穴位이다. 神門絶은 神門穴에서 脈搏이 느껴지지 않는다는 것이다. 神門絶은 心氣가 絶한 것을 의미하므로 ‘死不治’라고 한 것이다. 여기서의 뜻은 太陽이 復했을 때 寒氣가 偏勝하여 水勝하면 반드시 乘火하는데, 勝克이 지나치면 人體의 心氣가 敗絶하여 사망에도 이를 수 있다는 것이다.
【考察】
본 절은 太陽寒水가 報復했을 때 일어나는 物候와 病候를 나열한 것이다. 앞서 말한 勝復의 규칙에 비추어 볼 때 太陽寒水가 復했음은 이에 앞서 火氣나 熱氣가 偏勝하였음을 암시하는 것이다. 物候에 있어서는 물이 얼어붙는 現象이 일어나고 人體에 있어서는 水에 해당하는 腎氣가 偏勝하게 된다. 따라서 그 證狀은 腎氣가 偏勝한 것과 水克火로 인하여 나타나는 心病證으로 特徵지워진다.
帝曰 善타 治之奈何오[14]
岐伯이 曰 厥陰之復은 治以酸寒하고 佐以甘辛하며 以酸瀉之하고 以甘緩之하며[15]
≪王注≫
[14] 復氣倍勝 故로 先問以治之라
[15] 不太緩之 夏猶不已 復重於勝 故로 治以辛寒也라 新校正에 云 按컨대 別本에 治以酸寒을 作治以辛寒也라
≪馬注≫
[14~15] 然所以治之者는 厥陰之復은 治以酸寒 佐以甘辛하니 內用酸者는 所以瀉之也오 用甘者는 所以緩之也라
≪吳注≫
[14~15] 風木은 以升發爲性이니 治之以酸은 收之也오 治之以寒은 淸之也라 佐以甘辛 順其升達之體也 以酸寫之 寫其有餘也 以甘緩之 緩其太急也
≪類經≫
[14] 治六氣之復이라
[15] 厥陰風木之復이라 治以酸寒은 木之正味니 其寫以酸이오 木火相生이니 宜淸以寒也라 佐以甘辛은 木盛土衰니 以甘補土오 辛從金化니 以辛制木也라 寫者는 寫肝之實이오 緩者는 緩肝之急也라
≪直解≫
[14~15] 六氣之復에 治之는 奈何오
治復之法은 但當助其本氣로대 惟熱燥之氣有餘는 或當折之 或當助之也라 酸者는 木之味오 寒者는 水之氣라 治以酸寒은 助木氣也라 恐寒氣之過甚 則佐以甘이오 恐酸味之過甚 則佐以辛이라 夫治以酸寒者는 乃以酸寫之라 寫는 舒也라 下寫도 倣此라 佐以甘辛者는 乃以甘緩之라 酸寒而但曰酸하고 甘辛而但曰甘은 省文也라 此는 治厥陰之復에 助之而不折之也라
≪節要≫
五味六氣之中에 辛甘은 發散爲陽이오 酸苦는 湧泄爲陰이며 鹹味는 潤靜爲陰이오 淡味는 滲泄爲陽이라 六者는 或收或散 或緩或急 或燥或潤 或軟或堅 有補有瀉 有逆有從하야 各隨五行六氣之盛虛하야 安其勝復之氣하야 使之必淸必靜 則病氣ㅣ 自然各歸其所主之本位하나니 此ㅣ 治之大體也라
≪講解≫
‘厥陰之復’은 風氣가 偏勝한 것이다. ‘治以酸寒 佐以甘辛’은 前述한 “風淫於內는 治以辛凉하고 佐以苦하며 以甘緩之하고 以辛散之” 및 “風淫所勝은 平以辛凉하고 佐以苦甘하며 以甘緩之하고 以酸瀉之”라고 한 것과 基本적으로 같은 것이다. 다른 점이 있다면 앞에서는 風病의 治療에서 ‘治以寒凉’을 提示한 것이고, 여기서는 ‘治以酸寒’을 提示한 것이다. 어째서 이와 같이 다른가? 우리는 이것이 復氣의 治療에 대하여 말한 것으로 생각한다. 復氣는 일종의 氣候變化의 自己調節이므로 반드시 빨리 除去하여 새로운 偏勝이 나타나지 않도록 해야 한다. 風氣가 偏勝하였다는 것은 氣候가 溫暖하다는 것을 뜻한다. 一般的인 狀況에서 淸은 溫을 勝하므로 凉을 使用하는 것이 가하다. 厥陰이 복했을 때는 偏勝한 風氣가 復氣에 속하므로 寒을 使用하여 지나친 溫熱을 제거해야 하므로 ‘治以酸寒’을 提示한 것이다.
【考察】
본 절부터는 六氣가 報復하여 일어나는 證狀에 대한 治法을 論하고 있다. 대부분의 內容이 앞에서 말한 各種 治法과 基本的으로 一致하고 있어서 상세한 고찰은 생략하고 지금까지 언급되었던 治法을 정리하고자 한다.
在泉 | 治以辛凉 佐以苦(甘) 以甘緩之 以辛散之 |
司天 | 平以辛凉 佐以苦甘 以甘緩之 以酸瀉之 |
勝 | 治以甘淸 佐以苦辛 以酸瀉之 |
復 | 治以酸寒 佐以甘辛 以酸瀉之 以甘緩之 |
少陰之復은 治以鹹寒하고 佐以苦辛하며 以甘瀉之하고 以酸收之하며 辛苦發之하고 以鹹耎之하며[16]
≪王注≫
不大發汗 以寒攻之 持至仲秋하야 熱內伏結而爲心熱하고 少氣少力而不能起矣라 熱伏不散하야 歸於骨矣라
≪馬注≫
少陰之復은 治以鹹寒 佐以苦辛 以甘瀉之 以酸收之하니 內用辛苦者는 所以發之也라 用鹹者는 所以耎之也라
≪吳注≫
君火는 以熱爲政이니 治以鹹寒은 用其所不勝也라 佐以苦辛은 苦降而辛散也라 火는 遇甘而緩이니 是爲寫之오 遇酸而斂이니 是爲收之라 結熱은 得苦而散이니 是爲發之오 堅實은 得鹹而解니 是爲耎之라
≪類經≫
少陰君火之復이라 治以鹹寒은 制以所不勝也라 佐以苦辛은 發散其熱也라 以甘寫之는 甘寫火也라 以酸收之는 歛浮熱也라 以苦發之는 散火之鬱也라 以鹹耎之는 解熱之結也라
≪直解≫
鹹者는 木之味오 寒者는 木之氣라 治以鹹寒은 折火氣也라 火氣過虛 則佐以苦는 苦爲火味니 以助火也라 火氣過盛 則佐以辛은 辛爲金味니 以生水也라 或以甘寫之而平其水 或以酸收之而生其火라 夫佐以苦辛者는 辛苦乃所以發之오 治以鹹寒者는 乃以鹹輭之라 此는 治少陰熱氣之復이니 或助之而或折之也라
≪講解≫
‘少陰之復’은 熱氣가 偏勝한 것이다. “治以鹹寒 佐以苦辛 以甘瀉之 以酸收之 辛苦發之”는 前述한 “熱淫於內는 治以鹹寒하며 佐以甘苦하고 以酸收之하며 以苦發之” 및 “熱淫所勝은 平以鹹寒하고 佐以苦甘하면 以酸收之”라고 한 것과 基本적으로 같은 것이다. 같지 않은 것이 있다면 앞에서는 ‘以苦發之’라 하였고, 여기서는 ‘辛苦發之’라고 한 것이다. 어째서 ‘苦’와 ‘辛苦’가 다른 것인가? 우리는 이것도 復氣의 治療와 有關한 것으로 생각한다. 여기서의 熱氣가 偏勝한 것은 少陰의 復에 속하므로 治療上에서도 來復한 熱氣를 迅速하게 削除해야 한다. 人體에 裏熱이 熾盛한 상황에서는 苦寒을 써야 淸熱할 수 있으므로 原文에서 ‘以苦發之’라고 한 것이고, 辛을 써야 散熱할 수 있으므로 辛苦를 合用하여야 熱邪를 신속하게 淸解하는 것이다. 이것이 原文에서 말한 ‘辛苦發之’인 것이다. 이외에 여기서는 또한 ‘以鹹耎之’의 문제를 提示하였다. ‘鹹’은 鹹寒이다. ‘堅’은 여기서 裏熱이 熾盛하여 大便이 乾結한 것이다. ‘軟’은 ‘堅’字에 相對하여 말한 것이다. ‘以鹹耎之’는 火熱이 太盛할 때에는 苦寒한 藥物만을 使用할 것이 아니라 동시에 鹹寒 攻下 邪熱하는 藥物을 合用하여 裏熱이 迅速하게 淸解하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考察】
在泉 | 治以鹹寒 佐以甘苦 以酸收之 |
司天 | 平以鹹寒 佐以苦甘 以酸收之 |
勝 | 治以辛寒 佐以苦鹹 以甘瀉之 |
復 | 治以鹹寒 佐以苦辛 以甘瀉之 以酸收之 辛苦發之 以鹹耎之 |
太陰之復은 治以苦熱하고 佐以酸辛하며 以苦瀉之하며 燥之泄之하며[17]
≪王注≫
不燥泄之에 久而爲身腫 腹滿 關節不利하고 腨及伏兎ㅣ 怫滿內作하고 膝腰脛內側이 胕腫病이라
≪馬注≫
太陰之復은 治以苦熱 佐以酸辛하니 內用苦者는 所以瀉之오 燥之泄之也라
≪吳注≫
太陰은 以濕爲政이니 治之以苦는 燥濕也라 治之以熱은 熯濕也라 佐以酸辛者는 酸從木化니 能聲濕土之甘이오 辛從金化니 能散濕土之滯라 以苦寫之는 奪之也라 濕勝은 不宜潤이니 是故燥之오 濕勝은 不宜塞이니 是故泄之라
≪類經≫
太陰濕土之復이라 治以苦熱은 苦能寫土오 熱能燥濕也라 佐以酸辛은 酸能制土오 辛能溫寒也라 以苦寫之 燥之泄之는 寫以奪其壅이니 燥以勝其濕이오 泄以利其水也라
≪直解≫
苦爲火味오 熱爲火氣니 治以苦熱은 助土氣也라 火氣不足 則佐以酸은 木生火也라 火氣過甚 則佐以辛은 金生水也라 夫治以苦熱者는 乃以苦寫之 以熱燥之니 土濕則燥之 土燥則泄之라 此는 治太陰之復이니 助之而不折之也라
≪講解≫
‘太陰之復’은 濕氣가 偏勝한 것이다. “治以苦熱 佐以酸辛 以苦瀉之 燥之泄之”는 前述한 “濕淫於內는 治以苦熱하며 佐以酸淡하고 以苦燥之하며 以淡泄之” 및 “濕淫所勝은 平以苦熱하고 佐以酸辛하며 以苦燥之하고 以淡泄之”라고 한 것과 基本적으로 같은 것이다. 여기서의 ‘燥之 泄之’는 ‘以苦燥之 以淡泄之’를 省略하여 記錄한 것이다.
【考察】
在泉 | 治以苦熱 佐以酸淡 以苦燥之 以淡泄之 |
司天 | 平以苦熱 佐以酸辛 以苦燥之 以淡泄之 濕上甚而熱 治以苦溫 佐以甘辛 以汗爲故而止 |
勝 | 治以鹹熱 佐以辛甘 以苦瀉之 |
復 | 治以苦熱 佐以酸辛 以苦瀉之 燥之泄之 |
少陽之復은 治以鹹冷하고 佐以苦辛하며 以鹹耎之하고 以酸收之하며 辛苦發之호되 發不遠熱하며 無犯溫凉이니 少陰同法이오[18]
≪王注≫
不發汗以奪盛陽 則熱內淫於四支 而爲解㑊하야 不可名也니 謂熱不甚하고 謂寒不甚하며 謂强不甚하고 謂弱不甚하야 不可以名言이라 故謂之解㑊이니 粗醫ㅣ 呼爲鬼氣 惡病也라 久久不已 則骨熱髓涸 齒乾 乃爲骨熱病也라 發汗奪陽 故로 無留熱이라 故發汗者는 雖熱生病夏月이나 及差 亦用熱藥以發之오 當春秋時에 縱火熱勝하니 亦不得以熱藥發汗하면 汗不發而藥熱內甚하야 助病爲瘧이오 逆伐神靈이라 故로 曰無犯溫凉이라 少陰은 氣熱이니 爲療則同이라 故로 云與少陰同法也라 數奪其汗 則津竭涸 故로 以酸收 以鹹潤也라 新校正에 云 按컨대 六元正紀大論에 云 發表不遠熱이라하니라
≪馬注≫
少陽之復은 治以鹹冷 佐以苦辛 以鹹耎之 以酸收之하니 其用辛苦者는 所以發其汗也라 然이나 其發表者는 必其體熱하니 若已溫凉 則無所犯이니 蓋溫凉不必汗也라 且數奪其汗 則津液竭涸 故로 以酸收鹹耎也라 彼少陰은 爲君火 而此少陽은 爲相火니 其治法이 大略同耳라
≪吳注≫
少陽은 相火也니 治以鹹冷은 用其所不勝也라 佐以苦辛은 苦能降火오 辛能散火也라 因火而作堅實者는 以鹹耎之오 因火而傷陰氣者는 以酸收之오 因火而怫鬱者는 辛苦發之라 凡發表不遠熱이오 但無犯溫凉耳라 熱甚於溫이니 所以不用溫者는 徒能溫中이오 不能達表散邪하야 反滋內熱故也라 所以不用凉者는 本以陽明凉勝이라 故로 少陽復之에 又犯其凉은 是違天也ㅣ 不可明矣라 少陰도 同이라
≪類經≫
少陽相火之復이라 與上文少陰之復으로 治同이라 發不遠熱 無犯溫凉은 重明用發者ㅣ 勿犯寒凉也라 少陰之治도 亦然이라
≪直解≫
治以鹹冷은 折火氣也라 火氣過虛 則佐以苦와 火氣過盛 則佐以辛은 或以鹹輭之而泄其火어나 或以酸收之而生其火라 夫佐以苦辛者는 辛苦乃所以發之니 辛은 金味也오 苦는 火味也라 申明辛苦發之는 乃發不遠熱也오 發不遠熱 則用其熱而燥火하고 無犯溫以冷治之法이라 少陽少陰은 皆屬于火라 故로 此治佐之法이 與少陰으로 同이라
≪講解≫
‘少陽之復’은 火氣가 偏勝한 것이다. “治以鹹冷 佐以苦辛 以鹹耎之 以酸收之 辛苦發之”는 前述한 ‘少陰之復’의 治療法과 같다. 그러므로 原文에서 이르기를 ‘少陰同法’이라고 한 것이다. ‘發不遠熱’은 앞에서 기술한 ‘發表不遠熱’이다. 이는 火氣가 偏勝했을 때 一般的인 狀況에서는 溫熱한 藥物을 다시 使用할 수 없지만 外感寒邪로 寒邪가 肌表를 束하여 火氣가 偏勝했을 때에는 辛散한 藥物을 使用하여 治療할 수 있다. ‘無犯溫凉’의 뜻은 少陰이 復했을 때 一方面으로는 一般的인 상황에서 溫熱한 藥物을 쓸 수 없는데, 이것이 앞의 몇편에서 말한 ‘用溫遠溫 用熱遠熱’이다. 그러나 다른 方面으로는 寒凉의 程度에 注意해야 하는 것이다. 역시 少陽이 復했을 때에도 鹹冷한 藥物을 使用해야 하는데 寒凉의 程度가 比較的 重한 藥物을 使用해야 하고 一般的인 淸凉藥物을 使用하면 病은 重한데 藥은 輕하게 되는 것이다.
【考察】
‘發不遠熱 無犯溫凉’에서 發은 發汗法을 말한다. 熱은 熱藥을 말한다. 發汗法을 씀에 熱藥을 멀리하지 말라는 것으로, 반드시 熱藥을 써야 하는 이유에 대하여 吳崑은 溫藥을 쓰게 되면 溫中만 할 뿐 邪氣를 達表하지 못해서 오히려 內熱을 더하게 되는 結果가 오게 되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無犯溫凉’은 溫藥이나 凉藥을 쓰지 말라는 것이다. 凉藥을 쓰지 못하는 이유에 대하여 吳崑은 여기서 少陽이 復했다는 것은 먼저 陽明燥金이 勝했다는 것이니 또 凉藥을 쓰는 것은 잘못이라고 하였다.
在泉 | 治以鹹冷 佐以苦辛 以酸收之 以苦發之 |
司天 | 平以酸冷 佐以苦甘 以酸收之 以苦發之 以酸復之 熱淫同 |
勝 | 治以辛寒 佐(以)甘鹹 以甘瀉之 |
復 | 治以鹹冷 佐以苦辛 以鹹耎之 以酸收之 辛苦發之 發不遠熱 無犯溫凉 少陰同法 |
陽明之復은 治以辛溫하고 佐以苦甘하며 以苦泄之하며 以苦下之하고 以酸補之하고[19]
≪王注≫
泄은 謂滲泄이니 汗及小便 湯浴이 皆是也라 秋分前後 則亦發之오 春有勝 則依勝法하니 或不已어든 亦湯漬하야 和其中外也라 怒復之後에 其氣皆虛라 故로 補之以安全其氣하니 餘復도 治同이라
≪馬注≫
陽明之復은 治以辛溫 佐以苦甘 以苦泄之하니 內用苦者는 所以下之也오 又用酸者는 所以補之也라
≪吳注≫
陽明은 以淸爲政이니 治以辛溫은 用其所不勝也라 佐以苦甘은 苦勝燥 甘勝急也라 以苦泄之는 湧之也오 以苦下之는 奪之也라 燥傷液에 酸生之니 是謂補之라
≪類經≫
陽明燥金之復이라 治以辛溫은 金之正味니 寫之以辛이오 金之淸燥니 勝之以溫也라 佐以苦甘은 苦從火化니 以苦制金이오 木被金傷이니 以甘緩急也라 以苦泄之下之는 開燥結以通實邪라 以酸補之는 飮津液以滋乾涸也라
≪直解≫
甘補之甘은 舊本訛酸이어늘 今改라
辛爲金味以助金이오 溫爲火氣以折金이니 治以辛溫하면 金氣平矣라 苦爲火味以折金이오 甘爲土味以生金이니 佐以苦甘하면 金氣平矣라 或金氣有餘 則但以苦泄之 以苦下之오 金氣不足 則但以甘補之라 此는 治陽明燥氣之復이니 或折之而或助之也라
≪講解≫
‘陽明之復’은 燥氣 凉氣가 偏勝한 것이다. “治以辛溫 佐以苦甘 以苦泄之 以苦下之 以酸補之”는 前述한 “燥淫於內는 治以苦溫하며 佐以甘辛하며 以苦下之” 및 “燥淫所勝은 平以苦濕하고 佐以酸(鹹)辛이니 以苦下之”의 뜻과 基本的으로 같다. 그러나 여기서는 陽明之復에 대하여 ‘以酸補之’를 明確하게 提示하였다. 이것이 ≪素問·藏氣法時論≫중에서 기술한 “肺欲收 急食酸以收之 用酸補之”의 뜻이다.
【考察】
在泉 | 治以苦溫 佐以甘辛 以苦下之 |
司天 | 平以苦濕 佐以酸辛 以苦下之 |
勝 | 治以酸溫 佐以辛甘 以苦泄(瀉)之 |
復 | 治以辛溫 佐以苦甘 以苦泄之 以苦下之 以酸補之 |
太陽之復은 治以鹹熱하고 佐以甘辛하며 以苦堅之니[20]
≪王注≫
不堅則寒氣內變하야 止而復發하고 發而復止하니 綿歷年歲에 生大寒疾이라
≪馬注≫
太陽之復은 治以鹹熱 佐以甘辛하니 又用苦者는 所以堅之也라
≪吳注≫
太陽은 寒水也니 治之以鹹은 從治也오 治之以熱은 正治也라 佐以甘辛은 用其散也오 以苦堅之는 用其守也라
≪類經≫
太陽寒水之復이라 治以鹹熱은 水之正味니 其寫以鹹이오 而治寒以熱也라 佐以甘辛은 甘從土化니 用以制水오 而辛能散寒也라 寒水通於腎하니 腎不堅則寒易起라 故로 藏氣法時論에 曰 腎欲堅 急食苦以堅之也라
≪張注≫
上章에 曰 發表不遠熱 攻裏不遠寒하니 如少陽少陰之火ㅣ 鬱而不解는 是宜不遠熱而發散之라 然이나 無犯其溫凉이니 蓋四之氣宜凉이오 三[五]之氣宜溫(至)라 終三之氣 而後에 可用熱이니 時氣之不可不從也라 陽明之復 以苦泄之 以苦下之者는 謂滲泄其小便 下其大便也라
≪懸解≫
六氣之復에 治法이 如此라
≪直解≫
鹹爲水味 以助水오 熱爲火氣 以溫寒이니 治以鹹熱은 助水氣也라 水氣盛 則佐以甘이오 水氣虛 則佐以辛이라 水得其平하야 無容補寫 則但以苦堅之니 水寒而濟以火味하야 水火旣濟 則堅固也라 此는 治太陽之復이니 助之而不折之也라
≪講解≫
‘太陽之復’은 寒氣가 偏勝한 것이다. “治以鹹熱 佐以甘辛 以苦堅之”는 前述한 “寒淫於內는 治以甘熱하며 佐以苦辛하고 以鹹瀉之하며 以辛潤之하며 以苦堅之” 및 “寒淫所勝은 平以辛熱하고 佐以甘苦하니 以鹹瀉之”라고 한 것과 基本적으로 같은 것이다.
【考察】
在泉 | 治以甘熱 佐以苦辛 以鹹瀉之 |
司天 | 平以辛熱 佐以甘苦 以鹹瀉之 |
勝 | 治以甘熱 佐以辛酸 以鹹瀉之 |
復 | 治以鹹熱 佐以甘辛 以苦堅之 |
治諸勝復에 寒者는 熱之하고 熱者는 寒之하고 溫者는 淸之하고 淸者는 溫之하고 散者는 收之하고 抑者는 散之하고 燥者는 潤之하고 急者는 緩之하고 堅者는 耎之하고 脆者는 堅之하고 衰者는 補之하고 强者는 瀉之하야 各安其氣하야 必淸必靜하면 則病氣衰去하야 歸其所宗하니 此治之大體也니이다[21]
≪王注≫
太陽은 氣寒하고 少陰少陽은 氣熱하며 厥陰은 氣溫하고 陽明은 氣淸하며 太陰은 氣濕하니 有勝復則各倍其氣以調之라 故로 可使平也라 宗은 屬也라 調不失理 則餘之氣ㅣ 自歸其所屬하야 少之氣ㅣ 自安其所居라 勝復이 衰已 則各補養而平定之하야 必淸必靜하야 無妄撓之하면 則六氣ㅣ 循環하고 五神이 安泰라 若運氣之寒熱은 治之平之하면 亦各歸司天地氣也라
≪馬注≫
此는 總結言治勝復之大體也라 凡治諸勝復은 太陽氣寒 則寒者熱之하고 少陰少陽氣熱 則熱者寒之하고 厥陰氣溫 則溫者淸之하고 陽明氣淸 則淸者溫之하고 太陰氣濕 則濕者燥之하며 其正氣散者는 收之하고 其邪氣抑者는 散之하고 燥者는 潤之하고 急者는 緩之하고 堅者는 耎之하고 脆者는 堅之하고 衰者는 補之하고 强者는 瀉之하니 凡此는 皆所以各安其氣也라 又必淸靜善養 則病氣衰去 而各歸其宗矣라 此는 乃治勝復之大體也라
≪吳注≫
脆는 須醉로 切이라 ○宗은 主也니 言病氣衰去하야 歸依六氣所主오 更無偏勝爲患也라
≪類經≫
此는 總結前章淫勝反勝相勝相復之治니 皆不外乎此法 則正氣得安하고 病氣衰去하야 陰陽宗主ㅣ 各有所歸하고 自無偏勝之患 而治法盡於此矣라 ○脆는 音翠라
≪張注≫
五味六氣之中에 辛甘은 發散爲陽이오 酸苦는 涌泄爲陰이오 鹹味는 涌泄爲陰이오 淡味는 滲泄爲陽이라 六者ㅣ 或收或散 或緩或急 或燥或竭[潤] 或耎或堅 有補有瀉 有逆有從하야 各隨五行六氣之所宜라 安其勝復之氣하야 使之必淸必靜하면 則病氣ㅣ 得[衰]而各歸其所主之本位하니 此ㅣ 治之大體也라
≪懸解≫
各安其氣하야 必淸必靜者는 安其勝復之氣ㅣ 平而無偏하야 必使之復其淸和寧靜之常也라 歸其所宗者는 還其本原也라
≪直解≫
强은 如字라 總結上文諸勝復之治 而言治之大體ㅣ 如是也라
≪講解≫
○ 治諸勝復
‘諸’는 風熱火濕燥寒의 諸氣이다. 勝復은 勝氣나 復氣를 말한다. ‘治諸勝復’은 風熱火濕燥寒 六氣의 勝復에 대한 一般的인 治療方法을 말한 것이다.
○ 寒者 熱之 熱者 寒之
寒은 氣候가 寒冷한 것으로 人體에 治病因素로 作用하면 寒證을 나타내며, 食物이나 藥物의 淸凉作用을 가리킨다. 熱은 氣候가 炎熱한 것으로 人體에 治病因素로 作用하면 熱證을 나타내며, 食物이나 藥物의 溫熱作用을 가리킨다. 寒者熱之에서의 寒은 氣候의 寒冷이나 寒證表現을 말하는 것이다. 熱은 溫熱作用하는 食物이나 藥物을 말한다. 이 句節의 뜻은 氣候가 寒冷하거나 臨床上 寒證이 나타날 때에는 溫熱作用이 있는 食物이나 藥物을 服用해야 함을 말하는 것이다. 熱者寒之에서 熱은 氣候의 炎熱이나 熱證表現을 말하는 것이다. 寒은 淸凉作用하는 食物이나 藥物을 말한다. 이 句節의 뜻은 氣候가 炎熱하거나 臨床上 熱證이 나타날 때에는 淸凉作用하는 食物이나 藥物을 服用해야 함을 말하는 것이다.
○ 溫者 淸之 淸者 溫之
溫은 溫熱을 말하는 것으로 溫病을 가리키며, 또 溫熱作用을 하는 藥物이나 食物을 말한다. 淸은 淸凉을 말하는 것으로 寒證을 가리키며, 또 淸凉作用하는 食物이나 藥物을 가리킨다. 溫者淸之에서의 溫은 溫熱이나 溫病을 말한다. 淸은 淸凉作用하는 藥物이나 食物을 말한다. 이 句節의 뜻은 溫熱한 氣候環境中에서나 溫病이 發生했을 때는 治療上에서도 마땅히 淸凉作用하는 藥物이나 食物을 使用해야 함을 말하는 것이다. 淸者溫之에서의 淸은 寒凉이나 寒證을 말한다. 溫은 溫熱作用하는 藥物이나 食物을 말한다. 이 句節의 뜻은 寒凉한 氣候環境이나 寒凉性 疾病이 發生했을 때는 治療上에서도 溫熱作用하는 藥物이나 食物을 使用해야 함을 말하는 것이다. 여기서 指摘해야 할 것은 溫과 熱이 한 종류에 속하고 淸과 寒이 한 種類에 속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溫者淸之 淸者溫之는 寒者熱之 熱者寒之의 뜻과 基本적으로 같은 것이다. 그러나 溫은 그 程度上에서 熱보다는 가볍고, 淸은 그 정도상에서 寒보다 가벼운 것으로 程度上의 차이가 있다. 이는 中醫가 疾病의 治療上에서 寒熱의 區別만이 있을 뿐 아니라 輕重에도 區別이 있음을 說明하는 것이다.
○ 散者 收之 抑者 散之
散은 陽氣의 升散이 偏勝한 疾病을 가리키며, 升散이나 發散作用하는 藥物이나 食物을 말한다. 抑은 陽氣가 抑鬱한 疾病을 가리키며 또 抑制作用하는 藥物이나 食物을 말한다. 散者抑之에서의 散은 陽氣의 升散을 가리키는데 예를 들어 陽氣의 升散이 지나쳐서 頭痛 頭暈 汗出 등등이 나타나는 것이다. 抑은 抑制作用하는 藥物이나 食物을 말한다. 抑者散之에서의 抑은 陽氣가 抑鬱한 것으로 예를 들면 外感寒邪로 인하여 發熱 無汗 頭痛 身痛 등을 말한다. 散은 發散作用하는 藥物이나 食物을 말한다. 句節의 뜻은 臨床上 患者가 陽氣가 升散이 지나친 證狀을 나타냈을 때는 治療상에서 마땅히 抑制作用하고 淸降作用하는 藥物이나 食物을 使用해야 한다는 것이다. 患者가 陽氣가 抑鬱不宣함을 나타낼 때에는 治療上에서 마땅히 發散作用하는 藥物이나 食物을 服用해야 한다는 것이다.
○ 燥者 潤之 急者 緩之
燥는 乾燥를 말한다. 潤은 滋潤을 말한다. 急은 痙攣拘急을 말한다. 緩은 弛緩을 말한다. 이 句節의 뜻은 患者가 臨床上 乾燥한 現象, 예를 들어 口乾, 口渴, 大便乾結 등을 나타낼 때에는 治療上에서 마땅히 滋潤作用하는 藥物이나 食物을 服用해야 한다는 것이다. 臨床上 痙攣拘急, 예를 들어 腹痛, 轉筋, 抽搐 등을 나타낼 때에는 治療上에서 弛緩作用하는 藥物이나 食物을 服用해야 함을 말하는 것이다.
○ 堅者 耎之 脆者 堅之
堅은 여기서 大便이 秘結堅硬한 것을 말하며 泄瀉를 治療하는 藥物을 가리킨다. 軟은 여기서 軟堅 通便作用하는 藥物, 예를 들면 芒硝같은 藥物을 말한다. 脆는 大便이 묽은 것이다. 堅者軟之에서의 堅은 大便硬結이다. 軟은 泄瀉藥이다. 脆者堅之에서의 脆는 泄瀉이다. 堅은 泄瀉를 治療하는 藥物이다. 句節의 뜻은 大便이 堅硬한 者에게는 泄瀉시키는 약으로 通便시키고, 大便이 묽은 자는 泄瀉를 治療하는 藥物로 大便을 굳게 한다는 것이다.
○ 衰者 補之 强者 瀉之
衰는 不足을 말하는데 여기서는 人體의 正氣를 가리켜 말한 것으로, 邪氣는 不足이라 하지 않는다. 補는 補益이나 補充을 말한다. 衰者補之는 正氣가 不足할 때에는 補益作用하는 藥物이나 食物을 服用해야 한다는 것이다. 强은 有餘를 말하는데 여기서는 邪氣를 가리켜 말한 것으로 正氣에는 有餘라 하지 않는다. 瀉는 瀉下나 淸除를 말한다. 强者瀉之의 뜻은 邪氣가 有餘할 때에는 淸除나 攻瀉하는 藥物이나 食物을 服用해야 한다는 것이다.
○ 各安其氣 必淸必靜 則病氣衰去 歸其所宗
‘各’은 各種 勝復之氣를 말한다. ‘安’은 여기서 處理를 통하여 정상을 회복한 것이다. ‘其氣’는 여기서 人體 五臟의 氣를 말한다. ‘必淸必靜’은 正常狀態이다. ‘病氣’는 人體 五臟의 偏勝之氣를 말한다. ‘衰去’는 偏勝之氣가 衰減하여 正常을 회복하는 것이다. ‘歸其所宗’은 人體의 각 器官이 正常狀態로 회복한 것이다. 句節의 뜻은 氣候가 勝復한 原因으로 人體의 藏府가 偏勝한 狀態에서 위와 같은 處置를 한 후에 正常狀態로 回復할 수 있음을 말하는 것이다.
【述評】
本節은 주로 六氣가 勝復했을 때의 氣候 物候 病候特徵 및 그 治療方法을 말한 것으로 整理하면 다음과 같다.
(1) 勝氣는 偏勝之氣이다. 一般的인 상황에서는 각 연도의 司天 在泉之氣가 모두 勝氣이다. 이는 또한 原文에서 이른바 ‘歲厥陰在泉 風淫所勝’, ‘厥陰司天 風淫所勝’ 등등이다. 그러나 특수한 상황에서는 상술한 규칙을 벗어나 歲氣와 相應하지 않는 偏勝之氣가 나타난다. 예를 들어 厥陰이 在泉하면 風氣가 偏勝해야 하는데 실제상으로는 이와 같지 않고 凉氣와 燥氣가 偏勝한다. 이것이 또한 原文에서 이른바 ‘司氣反勝’, ‘風司于地 淸反勝之’, ‘火司于地 寒反勝之’ 등등이다. 총괄하면 이른바 ‘勝氣’는 偏勝之氣이다. 勝氣의 發生은 司天 在泉의 규칙에 근거하여 추측할 수 있으나 司氣가 反勝한 상황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勝氣與否는 모두 실제로 나타나는 것을 위주로 하여 그것이 나타나면 그것인 것이다.
(2) 復氣는 報復之氣를 말한다. 復氣는 偏勝한 氣를 矯正하기 위하여 發生한 또하나의 性質이 다른 勝氣이다. 따라서 復氣는 實質上으로 역시 一種의 勝氣이다. 따라서 復氣는 氣候 物候 病候의 表現상에서 勝氣와 基本적으로 같다. 예를 들어 原文에서 이른바 “厥陰在泉에 風淫所勝 則地氣不明하야 平野昧하며 草乃早秀하고 民病洒洒振寒하며 善伸數欠하며 心痛肢滿하며 兩脇裏急하며 飮食不下”라고 한 것은 뒤에서 기술한 “厥陰之復은 少腹堅滿하며 裏急暴痛하고 偃木飛沙하며 倮蟲不榮하고 厥心痛하며 汗發嘔吐하야 飮食不入하며 入而復出”이라고 한 것과 비교하면 氣候 物候 病候상에서 그 묘사한 것이 基本的으로 비슷하다.
(3) 勝復의 治療에 대하여 基本적으로 自然氣候變化中의 自己調節現象에 根據하여 나온 것으로 또한 앞에서의 ≪五常政大論≫에서 기술한 “燥以乾之 暑以蒸之 風以動之 濕以潤之 寒以堅之 火以溫之”라고 한 것과 本篇에서 말한 “上淫於下 所勝平之 外淫於內 所勝治之” 등 六氣之間의 相互制約 相互協助의 關係에 根據하여 人體 疾病의 治療原則이 “寒者는 熱之하고 熱者는 寒之하고 溫者는 淸之하고 淸者는 溫之하고 散者는 收之하고 抑者는 散之하고 燥者는 潤之하고 急者는 緩之하고 堅者는 耎之하고 脆者는 堅之하고 衰者는 補之하고 强者는 瀉之”라고 總結한 것이다. 이는 또한 어떠한 時候를 莫論하고 勝氣 및 그와 相應하는 疾病이 나타나면 一般的으로 모두 勝復을 治療하는 原則에 根據하여 患者에 적절한 治療를 시행함을 說明한 것이다.
(4) 勝氣의 發生은 複雜하므로 勝氣의 治療에 대하여는 具體的方法이 單純하지 않다. 原文에 根據하여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①風氣가 偏勝하였을 때의 治療方法은 세가지가 있다. 辛散의 방법으로 風邪를 外解하는 것, 淸凉이나 苦寒, 甘寒의 方法으로 風邪를 內淸하는 것, 甘緩이나 酸收의 方法으로 風邪를 自解하는 것이다. 이는 原文에서 이른바 “風淫於內는 治以辛凉하고 佐以苦하며 以甘緩之하고 以辛散之”, “風淫所勝은 平以辛凉하고 佐以苦甘하며 以甘緩之하고 以酸瀉之”, “厥陰之復은 治以酸寒하고 佐以甘辛하며 以酸瀉之하고 以甘緩之”인 것이다.
②火熱의 氣가 偏勝했을 때의 治療方法으로 네가지가 있다. 苦寒瀉熱하는 方法으로 火邪를 內淸하는 것, 鹹寒軟堅의 方法으로 大便을 通暢시키는 것, 酸甘養陰하는 方法으로 養陰保津하는 것, 外寒內熱에 속하는 자에게 辛散의 方法으로 火를 外解하는 것이다. 이것이 原文에서 이른바 “熱淫於內는 治以鹹寒하며 佐以甘苦하고 以酸收之하며 以苦發之”, “火淫於內는 治以鹹冷하며 佐以苦辛하고 以酸收之하며 以苦發之”, “熱淫所勝은 平以鹹寒하고 佐以苦甘하면 以酸收之”, “火淫所勝은 平以酸冷하고 佐以苦甘하며 以酸收之하며 以苦發之하며 以酸復之”, “少陰之復은 治以鹹寒하고 佐以苦辛하며 以甘瀉之하고 以酸收之하며 辛苦發之하고 以鹹耎之”인 것이다.
③濕氣가 偏勝했을 때의 治療方法은 네가지가 있다. 苦寒燥濕하는 方法으로 濕을 內淸하는 것, 溫熱化濕하는 方法으로 濕을 內化하는 것, 辛溫發汗하는 方法으로 濕을 外解하는 것, 滲淡利濕하는 方法으로 濕을 小便을 따라 排出시키는 것이다. 이것이 原文에서 이른바 “濕淫於內는 治以苦熱하며 佐以酸淡하고 以苦燥之하며 以淡泄之”, “濕淫所勝은 平以苦熱하고 佐以酸辛하며 以苦燥之하고 以淡泄之”, “濕上甚而熱이어든 治以苦溫하고 佐以甘辛하야 以汗爲故而止”, “太陰之復은 治以苦熱하고 佐以酸辛하며 以苦瀉之하며 燥之泄之”라고 한 것이다.
④燥氣가 偏勝했을 때의 治療方法은 두가지가 있다. 熱生燥로 인한 것은 苦寒淸熱이나 酸甘養陰하는 方法으로 燥를 內解하는 것, 寒生燥하여 陽不化陰으로 인한 것은 辛溫散寒하는 方法으로 陽生陰長하게 하여 燥象이 스스로 없어지게 하는 것이다. 이것이 原文에서 이른바 “燥淫於內는 治以苦溫하며 佐以甘辛하며 以苦下之”, “燥淫所勝은 平以苦濕(溫)하고 佐以酸辛이니 以苦下之”, “陽明之復은 治以辛溫하고 佐以苦甘하며 以苦泄之하며 以苦下之하고 以酸補之”인 것이다.
⑤寒氣가 偏勝했을 때의 治療方法은 세가지가 있다. 裏寒者는 甘熱溫中하는 方法으로 寒을 內解시키는 것, 表寒者는 辛溫發散하는 方法으로 寒을 外解시키는 것, 寒이 表에 束하여 熱이 裏에서 盛한 것은 辛苦를 同用하는 方法으로 解表淸裏를 같이 하는 것이다. 이것이 原文에서 이른바 “寒淫於內는 治以甘熱하며 佐以苦辛하고 以鹹瀉之하며 以辛潤之하며 以苦堅之”, “寒淫所勝은 平以辛熱하고 佐以甘苦하니 以鹹瀉之”, “太陽之復은 治以鹹熱하고 佐以甘辛하며 以苦堅之”인 것이다.
이상의 記述한 바에서 볼 수 있듯이 中醫는 疾病의 各種 治療原則에 대하여 基本的으로 運氣學說을 演繹한 것이다. 이와 같은 뿐 아니라 中醫學은 病因 病機와 發病學의 認識에 대해서, 疾病의 診斷, 豫候, 豫測에 대하여, 藥物과 方劑, 飮食調養方面의 理論에 관하여 運氣學說과 밀접하게 연관되지 않은 것이 없다. 따라서 運氣學說은 中醫基礎理論의 重要한 組成部分일 뿐 아니라 그 理論의 基礎와 淵源이 되는 것이다.
六氣之勝의 治療原則에 대하여는 아래와 같이 표로 정리하였다.
勝 氣 | 治 療 法 則 |
風 | 治以辛散 使風邪外解 治以淸凉或苦寒 甘寒 使風邪內淸 治以甘緩或酸收 使風邪自解 |
火(熱) | 治以苦寒瀉熱 使火邪內淸 治以鹹寒軟堅 通便瀉熱 治以酸甘化陰 以養陰保津 治以辛散(外寒裏熱者) 使火熱外解 |
濕 | 治以溫熱化濕 使濕從內化 治以苦寒燥濕 使濕從內淸 治以辛溫發汗 使濕從外解 治以淡滲裏濕 使濕從小便排出 |
燥 | 凉燥者 治以辛溫散寒 使燥自除 燥熱者 治以苦寒淸熱或酸甘養陰 使燥內海 |
寒 | 裏寒者 治以甘熱溫中 使寒自內海 表寒者 治以辛溫發散 使寒自外解 表寒裏熱者 辛苦同用 表裏雙解 |
【考察】
本節은 六氣가 勝復했을 때의 治療方法을 총괄적으로 말한 것이다.
‘寒者 熱之’는 太陽寒水之氣를 가리켜 말한 것이다.
‘熱者 寒之’는 少陽相火之氣, 少陰君火之氣를 가리켜 말한 것이다.
‘溫者 淸之’는 厥陰風木之氣를 가리켜 말한 것이다.
‘淸者 溫之’는 陽明燥金之氣를 가리켜 말한 것이다.
‘散者 收之’에 대하여 馬蒔는 正氣散者를 가리키는 것이라 하였다.
‘抑者 散之’에 대하여 馬蒔는 邪氣抑者를 가리키는 것이라 하였다.
‘急者 緩之’에 대하여 方葯中은 痙攣拘急에 弛緩시키는 것을 가리키는 것이라 하였다. ‘堅者 耎之’에 대하여 方葯中은 大便堅硬에 대하여 通便시키는 것을 가리키는 것이라 하였다. ‘脆者 堅之’에 대하여 方葯中은 泄瀉에 大便을 굳게하는 것을 가리킨다고 하였다.
‘衰者 補之’는 正氣不足에 補法을 쓰는 것이다.
‘强者 瀉之’는 邪氣有餘에 攻瀉法을 쓰는 것이다.
'≪素問·至眞要大論≫에 대한 연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素問·至眞要大論≫에 대한 硏究(013) (0) | 2025.01.15 |
---|---|
≪素問·至眞要大論≫에 대한 硏究(012) (0) | 2025.01.14 |
≪素問·至眞要大論≫에 대한 硏究(011) (0) | 2025.01.13 |
≪素問·至眞要大論≫에 대한 硏究(010) (0) | 2025.01.12 |
≪素問·至眞要大論≫에 대한 硏究(009) (0) | 2025.0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