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3. [74] 傷寒 汗出而渴者는 五苓散 主之오 不渴者는 茯苓甘草湯 主之라
『상한에 땀이 나고 나서 구갈을 보이는 것은 오령산으로 다스리고, 구갈이 없는 것은 복령감초탕으로 다스린다.』
✺傷寒에 汗出而渴者는 亡津液胃燥하야 邪氣가 漸傳裏也니 五苓散으로 以和表裏라 若汗出不渴者는 邪氣가 不傳裏코 但在表而表虛也니 與茯苓甘草湯하야 和表合衛라(≪注解傷寒論≫)
✺議曰 傷寒 汗出不惡風 渴而飮水者는 屬人參白虎湯이라 若汗出而渴한대 脈浮 小便不利者는 屬五苓散이라 今此汗出而不渴者는 爲邪不傳裏오 但在表而表虛也라 故로 與茯苓爲君 而益津和中하고 甘草爲臣輔之하고 以桂枝爲佐 生薑爲使하야 二者之辛 而固衛氣者也라(≪金鏡內臺方議·茯苓甘草湯·湯議≫)
✺傷寒 不汗出 汗出者는 以發之而出者言也라 然則此條二節은 上節은 乃承上條而以其不煩者再言이오 下節은 乃承上節而以其更不渴者又出也라 不煩 則熱較輕可知라 故로 治亦不殊오 不渴 則內燥更減可識이라 故로 但用四苓之一以潤之라 然이나 裏證旣輕 則表爲猶多可必이라 故로 須桂枝之三以解之라 然則此湯之四物은 其桂枝五苓二方之變制與ᅟᅵᆫ져(≪傷寒論條辨≫)
✺傷寒에 以無汗故煩이니 汗出則不煩을 可知矣라 但汗出而渴則上條五苓兩解表裏之法이 在所必用이라 若汗出而并不渴 則裏證本輕이라 故로 用桂枝湯中三하고 五苓湯中之一이니 少示三表一裏之意라 名曰茯苓甘草湯이니 以消息病情 而分解微邪면 如璋判圭合이니 允爲實符라(≪尙論篇≫)
✺夫渴은 爲太陽傳本이라 故로 利小便以滌熱이오 不渴은 爲表氣虛弱이라 故로 與此湯以和衛라(≪傷寒括要·卷下·太陽篇七十三方·茯苓甘草湯≫)
✺汗出而渴者 用五苓散은 以邪氣犯本하야 必小便不利也라 若汗出不渴이면 而小便 雖不利라도 知邪熱 欲犯膀胱 而猶未全犯本也라 故로 用桂枝湯中之三 五苓散中之一이니 少示三表一裏之意하야 爲合劑耳라(≪傷寒纘論≫)
✺傷寒汗出者는 服發汗藥 而太陽經之邪未盡이라 故로 汗出也라 渴者는 太陽之邪傳裏하야 膀胱府病하야 水氣上逆而作渴也라 故로 宜五苓散 以表裏兼主之라 若汗出不渴者는 此爲邪氣傳裏未甚하야 水氣不至上逆이라 故로 不作渴也라 所以五苓散中에 止用茯苓以主裏 而泄水氣하고 更留桂枝하고 加生薑甘草하야 以解表而固衛虛하고 更其名爲茯苓甘草湯方也라(≪傷寒論辨症廣注≫)
✺琥按컨대 成注云 茯苓甘草之甘은 益津液而和衛하고 桂枝生薑之辛은 助陽氣而解表라하니 彼以薑桂味辛走表 能助陽氣는 注甚明切이나 若茯苓味甘而淡은 乃泄水之物이어늘 何以能益津液이리오 蓋膀胱之邪水利면 則氣化得以流通하고 津液卽由此而回復이라 所以五苓散은 散邪消水하니 爲最燥之藥이라 成注反云潤燥者는 亦此義也라 至其云 和衛는 乃甘草之力이니 與茯苓으로 何與焉이리오 成氏는 以上病 止汗出而不渴이 爲邪氣不傳裏하고 但在表而表虛라 故로 以上湯爲解表和衛之劑오 從不云茯苓之主裏니 此爲論與方이 兩失其義라(≪傷寒論辨症廣注≫)
✺按컨대 五苓散 茯苓甘草湯 二方은 皆太陽標本齊病 表裏兼主之劑라 何謂標아 太陽之經이 是也오 何謂本고 膀胱府가 是也라 經在表 本在裏라 五苓散證은 邪已入府하야 表證實微라 故로 方中止用桂枝一味以主表하고 其餘四味는 皆主裏之藥也라 茯苓甘草湯證은 邪猶在經하고 裏證尚少라 故로 方中止用茯苓一味 以主裏하고 其餘三味는 皆主表之藥也라 學人이 能於仲景書反復玩索하면 其中意味自見이라(≪傷寒論辨症廣注≫)
✺此는 釋上文之義而申明助脾調胃之不同也라 大汗出而渴者는 乃津液之不能上輸니 用五苓散主之以助脾라 不渴者는 津液猶能上達이니 但調和中胃면 可也라 茯苓甘草湯主之니 方中四味는 主調和中胃而通利三焦라(≪傷寒論集注≫)
✺此條는 欲言汗出不渴之治라 故로 復敘上文汗出而渴之症이오 非另立一證也라 其不再言脈浮數而煩渴者는 因是承上文語라 故로 略之也라 其所以又出不渴一條者는 所以形容上文汗出而渴之一證이 難測難治하야 最易誤人이니 以最煩熱之脈症 而用最不易用之熱藥也라 唯其有此平常容易는 乃見上文之隱晦難明이니 觀其文理之密하면 別識之精이어늘 而注家茫然不知하니 良可爲之浩歎也라 言上文所云傷寒服麻黃湯後에 汗出多而渴者는 爲眞陽已虛니 非五苓散이면 不足以治之矣라 若汗出而不渴者는 則其汗이 未爲太過니 知陽氣未虛하야 津液無損하야 氣化如常矣라 然이나 初汗之後에 恐衛氣未和하야 津液未布라 故로 但以茯苓甘草湯主之니 亦收拾餘邪之意也니라(≪傷寒溯源集≫)
✺此章은 申明傷寒汗出 風傷衛之症은 須分別渴與不渴이라 若一見渴하면 則爲裏有結熱이니 可用五苓散이오 若汗出不渴者는 則非熱結在裏 故로 不可用五苓散이라 觀컨대 仲景用五苓散은 不重在小便不利治法之中이오 反詳於口渴引飮 發熱多汗 表熱不減條內니 可見意在雙解表裏 上下分消太陽耳오 非利小便也니라(≪傷寒大白·卷二·口渴≫)
✺汗出下에 當有心下悸三字니 看後條면 可知라 不然이면 汗出而渴은 是白虎湯證이오 汗後不渴而無他證이면 是病已差니 可勿藥矣라 二方은 皆因心下有水氣而設이라 渴者는 是津液已亡이라 故로 少用桂枝하고 多服暖水하야 微發其汗이라 不渴者는 津液未亡이라 故로 仍用桂加減하야 更發其汗이라 上條는 言證而不及治오 此條는 言方而證不詳이니 當互文以會意也라(≪柯氏傷寒論注≫)
✺然이나 腑病에 又有渴與不渴之異니 由腑陽에 有盛與不足之故也라 渴者는 熱盛思水니 水與熱得이라 故로 宜五苓散으로 導水泄熱이오 不渴者는 熱雖入裏나 不與水結이니 則與茯苓甘草湯하야 行陽化氣니 此膀胱熱盛熱微之辨也니라(≪傷寒貫珠集≫)
✺此는 申上條或渴而不煩 或煩而不渴者하야 以別其治也라 傷寒發汗後 脈浮數 汗出煩渴 小便不利者는 五苓散主之라(今惟曰汗出者는 省文也라) 渴而不煩은 是飮盛於熱이라 故로 亦以五苓散主之하야 利水以化津也오 若不煩且不渴者는 是裏無熱也라 惟脈浮數 汗出 小便不利는 是榮衛不和也라 故로 主以茯苓甘草湯하야 和表以利水也라(≪醫宗金鑑≫)
✺鄭重光曰 傷寒本無汗이어늘 汗因發而出也라 上條는 煩而渴하고 此條는 但渴不煩하니 裏證較輕이오 治亦不殊어니와 若更不渴 則內無燥니 裏病少而表證猶多也라 故로 用桂枝湯之三 五苓散之一이니 示三表一裏之意라 易名曰茯苓甘草湯者는 乃桂枝五苓之變制也라(≪醫宗金鑑≫)
✺傷寒汗後에 陽虛濕動하야 君相二火浮升라 故로 作燥渴이라 其渴者는 濕邪較甚 故로 用五苓이오 不渴者는 濕邪較輕이니 茯苓甘草湯이라 苓桂薑甘은 泄水而疏木하고 和中而培土하며 防其濕動而生水瘀也라(≪傷寒懸解≫)
✺此方之義를 從未有能詮釋者는 蓋汗出之後 而渴不止에 與五苓은 人所易知也어니와 乃汗出之後에 並無渴症하고 又未指明別有何症한대 忽無端而與茯苓甘草湯하니 此意는 何居아 要知此處汗出二字는 乃發汗後에 汗出不止也라 汗出不止면 則亡陽在卽이니 當與以眞武湯이오 其稍輕者는 當與以茯苓桂枝白朮甘草湯이오 更輕者는 則與以此湯이라 何以知之아 以三方同用茯苓으로 知之라 蓋汗大泄하면 必引腎水上泛이니 非茯苓이면 不能鉦之라 故로 眞武則佐以附子回陽이오 此二方은 則以桂枝甘草로 斂汗이오 而茯苓則皆以爲主藥이라 此方之義가 不了然乎아 觀下條心悸면 治法益明이라(≪傷寒論類方≫)
✺鼇按컨대 第二條渴不渴에 雙頂心下悸는 是汗出後旣心下悸矣한대 而又有或渴或不渴者니 二方은 皆因心下水氣而設也라(≪傷寒論綱目·卷四·渴≫)
✺上節은 言汗後邪未解而煩渴이오 此節은 言邪解而煩渴也라 何以言之오 蓋汗有血液之汗하고 有水津之汗하니 如傷寒에 汗出而渴者는 水津之汗也라 汗出而脾虛하야 津液不能上輸而致渴은 以五苓散主之라 若汗出而不渴者는 血液之汗也오 心主血脈이니 以茯苓甘草湯主之니라 方中茯苓 桂枝以保心氣하고 甘草生薑은 調和經脈이라 此一節上二句는 申明上文兩節之義니 言水津之汗也오 下二句는 補出血液之汗이니 另出方治라(≪傷寒論淺注≫)
✺案컨대 柯氏는 汗出下에 補心下悸三字하니 其說은 難憑이라 蓋因厥陰篇에 傷寒厥而心下悸者는 宜先治水니 當服茯苓甘草湯하야 卻治其厥이라 不爾면 水漬入胃하야 必作利也一條하야 而生此說耳라(≪傷寒論輯義≫)
✺强分血液之汗 水津之汗은 是未知汗之源委也라 吾於麻黃桂枝證及上欲作奔豚節에 言汗甚詳이니 當細考之라 蓋汗出而渴者는 是傷寒에 皮毛開而汗自出하야 膀胱之衛陽外越하야 因之水不化氣而津不布라 故로 用五苓散化氣布津하야 津升則渴止하고 氣布則寒去矣라 汗出不渴者는 亦是傷寒에 皮毛開而汗自出한대 不渴則內水尚能化氣布津이라 只汗自出은 是膀胱陽氣隨汗發泄 而邪反不得去라 故로 用茯苓以滲爲斂 使不外泄이라 用桂 薑은 專散其寒이니 寒去汗止는 與桂枝證之自汗出로 相似라 但桂枝證之自汗嗇嗇惡風은 汗雖出이나 不透快也라 故로 仍發之使出이니 用白芍以行營血之滯하야 使汗得透快而出無滯留也오 此證之汗自出은 是太透快하야 恐其遂漏不止라 故로 不用白芍之行血 而用茯苓之利水하야 使水氣內返則不外泄矣라 淺註 苓桂保心氣는 不合旨意오 而言薑草調經脈은 其說尤泛이라(≪傷寒論淺注補正≫)
✺傷寒汗出而渴者는 五苓散主之라 汗出은 屬表邪未盡이오 渴則太陽之邪가 已由標傳本이니 以五苓散으로 表裏兩解之라 其小便不利를 可知라 此는 與脈浮 小便不利 微熱消渴 與五苓散者로 正復無異라 下云 不渴者 茯苓甘草湯主之는 是明指尚有表邪而言이라 不渴則胃不熱而水停於上이니 又與眞武湯及茯苓桂枝白朮甘草湯之汗出液虛 腎水上救로 相似오 不過有微甚之分耳라 彼甚此微라 故로 但以茯苓一味로 消心下之水하고 桂甘生薑으로 解其表邪면 卽無他慮라 桂甘少用者는 並輔其扶心陽治悸也라 無芍藥者는 邪已傳本이니 若再斂之면 則表不解也라 無大棗者는 茯苓少則腎不傷이니 不必滋液也라(≪本草思辨錄·卷三·桂枝≫)
✺發汗汗出하야 淋巴管中水液이 隨陽氣盡發於外라 故로 有脈浮數而煩渴者하고 亦有不待發汗 汗出而渴者라 自非引水下行하면 則在表之水液이 必不能還入胃中이라 故로 皆宜五苓散이라 若汗出而不渴하면 則胸中陽氣가 尚不爲水邪所遏 而津液이 猶能還入胃中이라 故로 但用茯苓甘草湯하야 使肌理中營氣與皮毛之衛氣로 相接 而其汗自止이라 蓋此證汗出도 亦由營弱衛强이니 與病常自汗出用桂枝湯으로 略同이라 故로 處方도 亦略同桂枝湯也라(≪傷寒發微≫)
'<선호상한론>확장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호상한론>확장판 74조문 (0) | 2024.10.09 |
---|---|
<선호상한론>확장판 73조문(茯苓甘草湯方) (0) | 2024.10.08 |
<선호상한론>확장판 72조문 (4) | 2024.10.06 |
<선호상한론>확장판 71조문(五苓散方) (0) | 2024.10.05 |
<선호상한론>확장판 71조문 (0) | 2024.10.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