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 [73] 發汗已에 脈浮數하고 煩渴者는 五苓散 主之라
『발한이 끝나고 나서 맥이 浮數하고 煩渴하면 오령산으로 다스린다.』
✺治傷寒溫熱病에 表裏未解하야 頭痛發熱하고 口燥咽乾하며 煩渴飮水하고 或水入卽吐하며 或小便不利하고 及汗出表解 煩渴不止者宜服이라 又治霍亂吐瀉하야 燥渴引飮이라(≪普濟本事方·卷第八·傷寒時疫(上)·五苓散≫)
✺發汗已에 脈浮數者는 表邪未盡也라 煩渴은 亡津液하야 胃燥也니 與五苓散하야 和表潤燥라(≪注解傷寒論≫)
✺已는 言發汗畢이오 非謂病罷也라 浮數煩은 與上同이나 而此多渴이니 渴者는 亡津液而內燥오 裏證也라 以證有裏而人燥渴이라 故로 用四苓以滋之오 以表在而脈浮數이라 故로 憑一桂以和之라 謂五苓散能兩解表裏者는 此也라(≪傷寒論條辨≫)
✺脈浮數而煩은 與上同也라 加之以渴은 則津液爲熱所耗 而內躁니 裏證具矣라 津液內耗하면 卽非細故로 宜用四苓以滋其內하고 而加桂以解其外니 比上更用桂枝之法하야 又大不同者는 以無復感故也라 然이나 旣云兩解表裏之邪熱 則五苓散中에 朮用蒼 桂用枝를 從可推矣니라(≪尙論篇≫)
✺脈浮數而煩渴은 則津液爲熱所耗而內躁니 裏證具矣라 津液內耗는 宜用四苓以滋其內오 而加桂以解其外니 則朮用蒼 桂用枝를 從可推矣라 凡方中用一桂字 不分桂枝肉桂者가 皆然이오 非獨此也라(≪傷寒纘論≫)
✺發汗已者는 謂太陽病에 已發過汗也라 脈浮數者는 成注에 云 表邪未盡이라하니 不因汗而解也라 煩渴者는 此系膀胱熱結하야 小便不利하야 熱氣不得下泄하니 因反上逆하야 熏於胸膈하야 肺胃受傷而作煩渴也라 脈浮數은 爲太陽經病이오 煩渴은 乃太陽府病이라 故로 亦宜五苓散으로 以解表邪 泄裏熱이라(≪傷寒論辨症廣注≫)
✺或問컨대 五苓散은 治膀胱熱結之藥이어늘 何以反用肉桂아 余曰不然이라 膀胱熱結은 誠當去桂라 但此條病用桂는 乃是桂枝니 爲脈浮數而設이오 非肉桂也라 若其人飮水多하고 小便不利한대 無表證者는 方中竟可用肉桂也라(≪傷寒論辨症廣注≫)
✺或又問컨대 五苓散中用朮은 昔賢如朱奉議 孫眞人 許學士等이 皆用白朮이어늘 近醫方中行 喻嘉言이 改作蒼朮은 何也오 余答云改用蒼朮은 雖未合義나 然이나 使其人이 裏實熱結 小便不利면 雖用蒼朮이라도 不爲害也라 若其人이 發汗過多하야 亡津液하야 胃虛燥渴하야 欲飮水而小便不利者는 則蒼朮이 過於燥烈하니 斷不可用이오 不若白朮之甘平滋膩가 能補津液而潤燥하니 爲可用也라 方喻二氏所可怪者는 凡仲景用朮之方에 皆云 此是蒼朮이라하니 倘後學起而宗之하야 不論其人虛實燥濕之證하고 凡方中類用蒼朮하면 不其大害者邪아 縱使仲景時에 無白朮이라도 於今業已有之니 在醫人亦可權宜取用이어늘 如死執古方以療今病은 斷斷不可行也니라(≪傷寒論辨症廣注≫)
✺承上文而言不但脾氣虛微하야 小便不利者도 五苓散主之오 卽脈浮數而證煩渴者도 亦五苓散主之라 蓋發汗而渴은 津液竭於胃니 必藉脾氣之轉輸而後에 能四布也라(≪傷寒論集注≫)
✺此條無傷寒二字者는 以下節承上文語中有之니 是以知其爲傷寒也라 此條는 義理深微하니 最不易解라 若以常法으로 論之면 則脈之浮數은 當云浮則爲風이오 數則爲熱이니 似與上文脈浮而數可發汗 用麻黃湯之同類矣라 以證之煩渴로 論之면 則煩爲熱邪在裏오 渴則胃中熱燥니 又當與白虎加人參湯症으로 相類矣어늘 而長沙는 以五苓散主之니 似乎以熱治熱하야 其義令人不解라 所以曆代注家가 俱不得其旨라 故로 成氏有脈浮數爲表邪未盡 煩渴爲亡津液而胃燥之解하고 與五苓散하야 和表潤燥호대 遂以桂改桂枝 而曰兩解表裏라하니라 然이나 桂枝는 雖能和表언정 豈能潤燥며 況原方本來用桂而非桂枝乎아 條辨은 又以汗出過多하면 腠理反開한대 風邪又入하야 煩熱而脈轉浮數이라하고 渴者는 亡津液而內燥라 故로 用四苓以滋之오 一桂以和之니 亦以五苓爲兩解라 愚竊謂津液旣亡한대 四苓之淡滲下走가 如何可滋며 津液旣燥한대 一桂之辛散溫熱이 如何治燥아 尚論도 一如其說而不改하나니 致仲景之旨晦而不彰者久矣라 余欲析其義하야 深思而未得其解하야 閣筆者半月餘에 因思天地陰陽升降之道라가 乃悟陰陽應象論所謂地氣上爲雲 天氣下爲雨 雨出地氣 雲出天氣之義하고 而得煩渴用五苓散之旨라 其故는 在發汗已三字니 蓋因汗多亡陽하야 下焦眞陽已虛하야 無蒸騰之用하야 乃地氣不升之所致也라 然이나 渴之一症은 各有不同하니 如太陽之渴은 以膀胱之氣化言이니 因氣液不得上騰 故로 專用五苓散主之오 陽明之渴은 以胃中津液枯燥言이라 故로 以白虎湯主之오 少陽은 以邪在半表半裏하야 往來寒熱 或作或輟이라 故로 或渴或不渴 而以小柴胡湯加減主之也라 至於三陰則無渴證矣라 雖有少陰引水自救 及厥陰消渴等證이나 非眞渴也라 曆代以來로 唯李東垣이 知淸陽有上升之義라 故로 云渴爲太陽之本證也라 然이나 五苓散凡六見於論中은 皆以之專治太陽渴證이오 而兼利小便者는 以氣化言也라 蓋因深明經義하야 知陰陽升降 天地氣交之妙하니 默會膀胱爲州都之官 津液藏焉 氣化則能出矣 及三焦爲決瀆之官 水道出焉之奧義라 故로 知氣上騰而爲津液涕唾則不渴하고 氣下降而成水液則便瀉니 所謂氣化之功也라 若下焦無蒸騰之用은 是腎臟之地氣不升이니 則上焦無氣液之潤而渴矣라 地氣旣不升騰하면 則肺臟之天氣不降하야 無雨露之施 而小便不利矣라 是以太陽之表 爲膀胱之經이오 膀胱爲腎之腑니 過發其汗하야 衛陽敗泄하면 眞陽虛衰하야 下焦無火하고 腎氣不蒸이라 故로 上無津液而渴也라 其立方之義는 用桂以助腎臟蒸騰之氣하고 更用諸輕淡以沛肺家下降之功하야 使天地陰陽之氣交通이니 氣化流行 而上下之氣液皆通矣라(≪傷寒溯源集≫)
✺[辨誤] 五苓散一方은 後人이 不能窺仲景立法之微妙하야 俱憚桂之辛熱而不敢用하고 遂改桂爲桂枝 而以四苓滋其內 桂枝以解其外 爲表裏兩解之劑라 喻氏이 更以爲朮用蒼 桂用枝하니 則於立方本意에 愈遠愈失矣라 豈以仲景立法之祖로 不知畏避하고 反於脈浮數而煩渴之證에 偏用之耶아 又於痞證中之瀉心所不能解 其人渴而口燥煩 小便不利者 及陽明證中不更衣十日 渴欲飮水者에 亦槪用之耶아 讀古人書而不知古人之工夫學力하고 漫以訛傳俗習之膚見窺之하야 遂至不達其意하야 致廢而不用하나니 惜哉로다(≪傷寒溯源集≫)
✺濕熱則口不渴하고 燥熱則口渴이니 此는 以渴不渴로 分濕火燥火也라 熱在血分則不渴하고 熱在氣分則作渴이니 此는 以渴不渴로 分熱在血 熱在氣也라 胃家痰食所滯 則口渴而不消水오 胃家邪熱所傷 則渴而消水니 此는 以消水不消水로 分痰食積熱也라 實火口渴은 脈實數하며 能消水오 虛火口渴은 脈虛數하며 不能消水니 此는 以脈之虛實 消水不消水로 分虛火實火也라 邪熱在表則不渴하고 邪熱在裏則作渴하니 此以渴不渴로 分熱在裏熱在表也라 太陽表熱不渴한대 若熱入膀胱之裏면 則煩渴脈數 小便不利하니 五苓散으로 兩解表裏오 切不可同陽明汗出口渴하야 誤用白虎니 有礙太陽表邪라(≪傷寒大白·卷二·口渴≫)
✺發汗已에 脈浮數한대 不煩渴者는 可再發汗이어니와 今煩渴은 此太陽熱結在裏라 故로 以五苓散으로 雙解表裏라 可見五苓散은 惟太陽 小便不利 脈浮 煩渴이라야 方可用이오 若陽明煩渴 小便不利는 當猪苓湯이라(≪傷寒大白·卷二·口渴≫)
✺上條는 有表裏之證이오 此條는 有表裏之脈이니 互相發明五苓雙解之義라 雖經發汗而表未盡除하야 水氣內結이라 故로 用五苓이라 若無表證이면 當用白虎加人蔘湯矣라 傷寒發汗解하야 復煩而脈浮數者는 熱在表未傳裏也라 故用桂枝라 此는 更加渴이니 則熱已在裏 而表邪未罷라 故로 用五苓이라 脈浮而數者는 可發汗이라 病在表之表는 宜麻黃湯이오 病在表之裏는 宜桂枝湯이오 病在裏之表는 宜五苓散이라 若病裏之裏는 當用猪苓湯하야 但利其水오 不可用五苓散하야 兼發其汗矣라 要知컨대 五苓은 是太陽半表半裏之劑오 歸重은 又在半表라(≪柯氏傷寒論注≫)
✺發汗已 脈浮數 煩渴者는 太陽經病이 傳腑하야 寒邪變熱之候라 故로 與五苓散하야 導水泄熱이라(≪傷寒貫珠集≫)
✺脈浮數之下에 當有小便不利四字니 若無此四字면 則爲陽明內熱口燥之煩渴이니 白虎湯證也라 以其有小便不利하니 煩渴 則爲太陽水熱瘀結之煩渴이오 五苓散證也라 況無小便不利證而用五苓散이면 則犯重竭津液之禁矣라 太陽上篇에 類此證者數條어늘 唯一條水入卽吐 水不下行이라 故로 無小便不利之文이니 此條는 應有小便不利四字니라(≪醫宗金鑑≫)
✺發汗已는 爲太陽病已發過汗也라 脈浮數은 知邪仍在表也라 若小便利而煩渴者는 是初入陽明胃熱이니 白虎湯證也라 今小便不利而煩渴은 是太陽府病으로 膀胱水畜이니 五苓證也라 故로 用五苓散 如法服之하야 外疏內利하면 表裏均得解矣니라(≪醫宗金鑑≫)
✺發汗已에 熱隨汗散하고 乃脈見浮數而證見煩渴은 是汗出陽虛하야 土濕而火升也라 蓋火秘陽蟄은 全恃乎土니 陽亡濕動하야 肺胃不降하면 君火升炎이라 故로 脈證如此니 宜以五苓으로 燥土泄濕이라 若未汗而見浮數煩渴之脈證은 則宜大靑龍而不宜五苓矣라(≪傷寒懸解≫)
✺汗不盡하면 則有留飮이라(≪傷寒論類方≫)
✺胃乾之煩渴은 當以五苓散爲禁劑矣라 而審系脾不轉輸之爲渴은 雖無微熱與小便不利症이라도 而治以五苓散則一也라 發汗之後에 表邪亦已하야 邪已則脈當緩이어늘 今脈不緩而浮數은 以汗爲中焦水穀之氣所化니 汗傷中氣하면 則變其衝和之象也라 煩渴者는 汗傷中氣하야 脾不轉輸而水津不能布散也니 以五苓散主之라 蓋以五苓散은 降而能升하야 山澤通氣之謂也라 通卽轉輸而布散之오 不專在下行而滲泄也라(≪傷寒論淺注≫)
✺如汗後表熱未解 脈浮數 煩渴飮水 而小便不利者는 此熱結膀胱 水停下焦也니 五苓散으로 微汗以利之니라(≪傷寒指掌·卷一·太陽本病述古≫)
✺玉函은 已가 作後오 浮下에 有而字라 脈經 千金翼은 煩上에 有復字라(≪傷寒論輯義≫)
✺案컨대 方注는 系金鑑改訂이라 故로 與原書로 有異同焉이라(≪傷寒論輯義≫)
✺案컨대 表邪未解면 則陽氣盛於外 而津液亦走於外오 下焦蓄水면 則升騰之氣液이 失其常이니 是以胃中燥而煩渴이라 故로 主以五苓으로 外發表邪 內利蓄水也라 成注에 爲亡津液 而胃燥之解는 恐非是也라(≪傷寒論輯義≫)
✺山澤通氣 通卽轉樞는 皆是籠統語니 只因不知水化爲氣 氣化爲津之理라 故로 不能解五苓散之方義라(≪傷寒論淺注補正≫)
'<선호상한론>확장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호상한론>확장판 73조문(茯苓甘草湯方) (0) | 2024.10.08 |
---|---|
<선호상한론>확장판 73조문 (0) | 2024.10.07 |
<선호상한론>확장판 71조문(五苓散方) (0) | 2024.10.05 |
<선호상한론>확장판 71조문 (0) | 2024.10.04 |
<선호상한론>확장판 70조문 (0) | 2024.10.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