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3. {54} 病常自汗出者는 此爲營氣和오 營氣和者는 外不諧니 以衛氣不共營氣和諧故爾라 以營行脈中하고 衛行脈外하니 復發其汗하야 營衛和則愈라 宜桂枝湯이라
『항상 저절로 땀이 나는 것은 영기는 和한 것이고, 영기만 和하다는 것은 밖에 있는 衛氣는 和하지 못하다는 것인데, 衛氣가 영기와 함께 조화를 이루지 못하기 때문이다. 영기는 脈中을 행하고 衛氣는 脈外를 행하는데, 다시 발한법을 써서 영기와 衛氣를 和하게 하면 낫는다. 계지탕이 마땅하다.』
✺風則傷衛오 寒則傷營이라 衛受風邪而營不病者는 爲營氣和也라 衛旣客邪하면 則不能與營氣和諧하고 亦不能衛護皮腠하니 是以로 常自汗出이라 與桂枝湯하야 解散風邪하고 調和營衛하면 則愈라(≪注解傷寒論≫)
✺問曰 營氣旣和어늘 何爲自汗出也아 雍曰 平人은 營衛之氣가 常自和也라 設衛中於風 而營不中於寒은 是衛有邪氣 而營無邪氣也라 有邪氣者强이오 無邪氣者弱이니 一强一弱이라 故로 營不得與衛氣諧和而獨和하면 則衛氣無所依以慓悍無所依之氣라 又以邪氣濟之하야 兩氣盈溢하면 溪谷不能容하니 營深而衛淺이라 故로 衛氣於皮膚間 不得內合於營 而外見隙穴하면 則出爲自汗也라 用桂枝解其肌면 則衛之邪氣去하고 衛無邪氣면 則其氣自衰하야 自然還內與營和而汗止矣라(≪傷寒補亡論·卷四·太陽經證治上九十五條≫)
✺脈經云 病常自汗出은 此爲營氣和오 營氣和而外不解니 此外衛不和也라 營行脈中하니 爲陰主內하고 衛行脈外하니 爲陽主外라 復發其汗하야 衛和則愈라하니라 雍曰 二者는 語小異 而理皆通이니 脈經尤明이오 恐本論爲後人筆削이라 蓋營氣獨和而衛氣未和也라 故로 其病外不解라 營衛二氣는 本相和하야 共循脈內外而行也어늘 今寒不傷營而營氣獨和하고 風反傷衛而衛氣不和하면 則營衛不相通하야 不得諧循脈內外而並行이니 是以其外不解也라 必復發하야 去衛中所中之邪風하면 然後에 營衛諧和而病解矣라 所以用桂枝者는 以桂枝能和衛而不能至營也라 所以不用麻黃者는 以麻黃이 俱入營衛하야 反復動已和無疾之營氣하야 使營衛俱虛하니 俱出而爲汗하야 遂令汗漏不止면 則人殆矣니라 此古人解表精微之意니 因世人疑營氣和而外不解之語라 故로 詳明之니라(≪傷寒補亡論·卷八·可發汗五十八條≫)
✺榮行脈中은 在血脈이니 其病深이오 衛行脈外는 在皮膚니 其病淺이라 榮血은 陰也라 陰主閉藏이라 故로 寒喜傷榮而無汗이오 衛氣는 陽也라 陽主開泄이라 故로 風喜傷衛而有汗이라(≪醫學入門·仲景張先生傷寒簒要·六經正病≫)
✺此는 與上條로 同이라 上以暫言이오 此以常者는 謂無時不然也라 上言臟하니 臟爲陰而主裏오 此言榮하니 榮亦陰而主裏라 衛亦外니 皆變文之互詞라 蓋上條以暫言이라 故로 其詞略이오 此以常言이라 故로 其詞詳이니 兩相互發이오 義不殊也라 然이나 皆發汗 而此不言先其時者는 以常故로 無先後之可言也니라(≪傷寒論條辨≫)
✺衛氣者는 護衛皮膚하고 肥實腠理하며 禁固津液하야 不得妄泄이라 邪氣干之면 則不能衛固於外하니 由是津液妄泄하야 濈濈然潤 漐漐然出하야 不因發散而自汗出也라 傷風則發熱自汗이라 中暍則汗出惡風而渴하고 風濕甚者 則汗多而濡는 是風與暑濕爲邪가 皆令自汗이라 惟寒邪傷榮而不傷衛니 是以膚腠閉密하야 汗不出也라 始雖無汗이나 及傳入裏而爲熱하면 則榮衛通 腠理開하야 亦令汗自出矣라 自汗은 又有表裏之別 虛實之異라 若汗出惡風 及微惡寒者는 皆表未解니 宜發散이라 至於漏不止而惡風 及發汗後 惡寒者는 表虛也니 宜溫之라 此는 皆邪氣在表라 若汗出不惡風寒者는 此表解裏病이니 下之則愈라 如陽明發熱汗出 此爲熱越 及陽明發熱汗多 急下之者가 是也라 自汗雖常證이나 或汗出髮潤如油 如貫珠 著身不流는 皆爲不治라 必手足俱周 遍身悉潤 漐漐然 一時汗出 熱已身凉이라야 乃爲佳兆라(≪證治準繩·卷三·陽明病·自汗≫)
✺此는 明中風病에 所以衛受邪風 營反出汗之理라 見營氣本和나 但衛强하야 不與營和면 復發其汗하야 俾風邪로 從肌竅外出하면 斯衛不强而與營和라 正如中酒發狂에 酒去면 其人帖然矣라 營受寒邪하야 不與衛和면 宜麻黃湯도 亦然이라(≪尙論篇≫)
✺此는 明中風病에 所以衛受邪風 營反汗出之理라 見營氣本和한대 以衛受風邪하야 不能內與營氣和諧면 汗但外泄이니 雖是汗出이라도 宜復發汗하야 使風邪外出하면 則衛不强而與營和矣라(≪傷寒纘論≫)
✺此는 明中風病에 所以衛受風邪 營反汗出之理라 病常自汗出者는 謂時時汗自出也라 傷寒無汗은 爲營氣傷이어늘 今旣有汗하면 則營氣無傷而得和矣라 營氣는 雖和於內나 而外不與衛氣相諧라 以衛中有客邪之氣하니 所以不共營氣和諧故爾라 營行脈中은 爲衛之守오 衛行脈外는 爲營之護니 未有衛病而營不病者라 故로 汗亦營中之液이니 非但衛疏而後出也라 病雖常汗이나 治當復發其汗하야 使衛中客邪之氣去하면 斯營與衛自相和諧則愈라 故로 云宜桂枝湯이라(≪傷寒論辨症廣注≫)
✺此는 言桂枝湯이 能宣發榮衛之氣血而爲汗이오 又能調和榮衛之氣血而止汗也라 病常自汗出者 此爲榮氣和는 言榮氣自和於內也라 故로 申言榮氣和者 外不諧니 所謂外不諧者는 以衛氣不共榮氣和諧故爾오 所謂不共和諧者는 以榮自行於脈中 致衛自行於脈外라 此雖自汗이나 當以桂枝湯으로 復發之하면 榮衛和而病自愈라 桂枝湯이 所以能發汗而復能止汗者가 如此라(≪傷寒論集注≫)
✺此는 又言營氣和하야 以明營弱衛强 爲陰弱汗自出之故 而詳言其治法也라 言太陽中風之所以汗常自出者는 此爲營氣本未受邪而自和나 然이나 營氣雖和 而營外之衛氣 則爲風邪所中하야 邪氣附著於衛而鬱熱受困하야 不得與內之營氣로 兩相和諧浹洽之所致爾라 蓋營爲穀氣之淸者니 其精專之氣가 出自中焦하야 化而爲赤하야 行於脈中이라 故로 曰脈者는 血之府也라 然이나 非謂營卽血也오 乃血中之氣也니 以血非氣則無以流行이오 氣非血則無所依附라 血本屬陰이라 故로 血中之氣는 亦爲陰氣也라 衛爲穀氣之濁者니 降於下焦하야 爲命門眞火之所蒸騰하야 其眞陽慓悍之氣가 不循經脈하고 直達皮膚而行於脈外라 營則浸灌滋潤하고 衛則溫暖固密이니 一營一衛가 兩相和協이라 故로 無病也라 生氣通天論에 云 凡陰陽之要는 陽密乃固니 陰平陽秘하면 精神乃治하고 陽强不能密하면 陰氣乃絶이라하니 以此推之면 卽可以該衛强營弱而汗自出之義矣라 然이나 衛氣之不與營氣和諧는 因風中之而强也라 治之之法은 無他라 勿以汗常自出之故而疑之오 仍當以桂枝湯復發其汗하야 使衛分之邪解면 則營衛和諧而愈矣니라(≪傷寒溯源集≫)
✺此는 重明自汗出之病이라 營分本無病한대 因衛外之衛氣가 不諧和於營氣라 服桂枝湯하야 以和諧營氣則病愈라(≪傷寒大白·卷三·自汗≫)
✺發熱時에 汗便出者는 其營氣不足이라 因陽邪下陷하야 陰不勝陽이라 故로 汗自出也라 此無熱而常自汗者는 其營氣本足한대 因陽氣不固하야 不能衛外 故로 汗自出이라 當乘其汗正出時에 用桂枝湯하고 啜稀熱粥이라 是陽不足者는 溫之以氣오 食入於陰하야 氣長於陽也라 陽氣普徧하야 便能衛外而爲固면 汗不復出矣라 和者는 平也오 諧者는 合也라 不和는 見衛强이오 不諧는 見營弱이니 弱則不能合이오 强則不能密하야 皆令自汗이라 但以有熱無熱로 別之하고 以時出常出로 辨之호대 總以桂枝湯啜熱粥으로 汗之라(≪柯氏傷寒論注≫)
✺此는 卽前條陰弱者汗自出之意而發明之라 謂營未病而和 則汗液自通이오 衛中風而不諧면 則陰氣失護니 宜其汗常自出也라 夫營與衛는 常相和諧者也라 營行脈中은 爲衛之守오 衛行脈外는 爲營之護니 何有發熱惡寒之證哉리오 惟衛得風而自强하고 營無邪而反弱하야 邪正不同하고 强弱異等하면 雖欲和諧라도 不可得矣라 故로 曰營氣和者外不諧라하니 不諧則豈特衛病而已哉리오 故로 欲營之安이어든 必和其衛오 欲衛之和어든 必逐其風이니 是宜桂枝湯하야 助陽取汗이라 汗出則邪去而衛和하고 衛和則營不受擾而愈니라(≪傷寒貫珠集≫)
✺此는 又釋上條榮衛所以不和之義也라 言病有時常自出汗者는 此爲榮氣已和也라 榮氣和而熱仍不解者는 則是衛外之氣猶不諧 而不與榮氣共和諧也라 所以榮氣雖和 而時時自汗出은 病猶不解也라 蓋以榮行脈中하고 衛行脈外한대 衛不和 則榮雖和而病不解라 故로 復發其汗以抑衛而和榮하면 榮衛和而病自愈矣니 亦宜桂枝湯이라(≪醫宗金鑑≫)
✺吳人駒曰 上條는 發作有時오 此時無時而不自汗出이라 但熱不解者는 亦屬榮衛不和라 蓋榮衛相得之爲和 而榮不得獨爲之和也라(≪醫宗金鑑≫)
✺張錫駒曰 衛氣者는 所以肥腠理 司開闔하야 衛外而爲固也어늘 今受邪風하야 不能衛外라 故로 常自汗出而熱不解니 此는 爲榮氣和而衛不和也라(≪醫宗金鑑≫)
✺魏荔彤曰 前以桂枝解肌者는 和其衛而時發熱之熱止오 此以桂枝發汗者는 和其衛而常自汗之汗止니 蓋發其表而熱解矣라 故로 總結之曰 榮衛和則愈라하니라(≪醫宗金鑑≫)
✺病常自汗出者는 營氣疏泄이니 此爲營氣之和라 然이나 營氣自和者는 必外與衛氣不相調諧니 以衛被風斂하야 內遏營血하야 不與營氣和諧故耳라 以營行脈中 衛行脈外한대 衛鬱而欲內斂하고 營鬱而欲外泄이라 究之컨대 衛未全斂而營未透泄하야 是以有汗而風邪不解니 復發其汗하야 使衛氣不閉하고 營氣外達하야 二氣調和하면 則病自愈니 宜桂枝湯也라 衛閉而營鬱하면 則營不和어늘 衛未全閉而營得汗泄하니 此爲營氣猶和라 然이나 此之和者는 衛被風斂而未全閉也니 閉則營氣不和矣라 以衛常欲斂이나 不與營氣和諧니 終有全閉之時에 汗之하야 令營鬱透發하면 則二氣調和也라(≪傷寒懸解≫)
✺榮氣和者는 言榮氣不病이오 非調和之和라 故로 又申言之라 自汗은 與發汗으로 迥別이라 自汗은 乃營衛相離오 發汗은 使營衛相合이라 自汗은 傷正하고 發汗은 驅邪라 復發者는 因其自汗而更發之니 則榮衛和而自汗反止矣라(≪傷寒論類方≫)
✺上言營은 言裏而診於尺中者니 以營爲陰也라 營陰而衛陽和合而循行於肌表라 今請再言衛氣컨대 病人常自汗出者는 此營氣本和라 然이나 營氣和者 而竟有常自汗之證은 奈何오 蓋因衛外之衛氣不諧하야 以衛氣之虛가 不能共營氣和諧故爾라 蓋衛爲陽이오 營爲陰이니 陰陽貴乎和合이라 今營自和而衛不能與之和諧하야 以致營自行於脈中 衛自行於脈外하야 兩不相合하니 如夫婦之不調治者라 當乘其汗正出時하야 與桂枝湯啜粥이니 是陽不足者溫之以氣 食入于陰 氣長於陽이라 旣汗한대 復發其汗하면 則陽氣振作이오 營衛因之以和하면 則汗不復出而愈니 宜桂枝湯이라 此一節은 因上文營氣不足而復及于衛氣也라(≪傷寒論淺注≫)
✺玉函은 作病常自汗出者 此爲營氣和 衛氣不和故也 營行脈中 爲陰主內 衛行脈外 爲陽主外 復發其汗 衛和則愈 宜桂枝湯이라 千金翼도 同이라 脈經 千金에 營氣和者云云十八字는 作營氣和而外不解 此衛不和也十二字하고 無營衛和之營이라 吳本은 作病常自汗出者 營氣和 衛氣不共營氣和諧故爾 復發其汗 營衛和則愈 宜桂枝湯이라 注에 云 此段은 舊本에 多衍文이어늘 今刪正이라하니라(≪傷寒論輯義≫)
✺案컨대 靈樞營衛生會篇에 云 營在脈中 衛在脈外라하고 又衛氣篇에 云 其浮氣之不循經者는 爲衛오 其精氣之行於經者는 爲營氣라하니 正此段之所根柢也라(≪傷寒論輯義≫)
✺成無已風傷衛寒傷營之說은 本此니 不知仲景幷未分風寒이오 只論營衛니 盖此는 是營衛自病이오 不因外邪也라 若傷寒中風之自汗 則是邪在營分 而衛不與偕니 與此方治法으로 雖同而其理各別이라(≪傷寒論淺注補正≫)
'<선호상한론>확장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호상한론>확장판 55조문 (0) | 2024.09.09 |
---|---|
<선호상한론>확장판 54조문 (0) | 2024.09.08 |
<선호상한론>확장판 52조문 (0) | 2024.09.06 |
<선호상한론>확장판 51조문 (0) | 2024.09.05 |
<선호상한론>확장판 50조문 (1) | 2024.09.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