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2. {18} 桂枝는 本爲解肌니 若其人이 脈浮緊하고 發熱호대 汗不出者는 不可與也라 常須識此하야 勿令誤也라
『계지탕은 본래 肌表의 사기를 푸는 것이므로, 病人의 맥이 浮緊하고 발열하면서 땀이 나지 않으면 줄 수 없다. 항상 이 사실을 기억하여 착오가 없게 해야 한다.』
✺脈浮 發熱 汗出 惡風者는 中風也니 可與桂枝湯하야 解肌어니와 脈浮緊 發熱 不汗出者는 傷寒也니 可與麻黃湯이라 常須識此하야 勿妄治也니라(≪注解傷寒論≫)
✺經에 曰 桂枝는 本爲解肌니 若其人이 脉浮緊하며 發熱하며 汗不出者는 不可與也라 常須識此하야 勿令誤也라하니 盖桂枝湯은 本專主太陽中風이라 其於腠理緻密하야 榮衛邪實하고 津液禁固하며 寒邪所勝者는 則桂枝湯이 不能發散이라 必也皮膚疎湊하고 又自汗하야 風邪가 干於衛氣者라야 乃可投之也라 仲景은 以解肌爲輕하고 以發汗爲重하니 是以로 發汗吐下後에 身疼不休者에 必與桂枝湯코 而不與麻黃湯者는 以麻黃湯이 專於發汗이라 其發汗吐下後에 津液內耗어든 雖有表邪라도 而止可解肌라 故로 須桂枝湯으로 小和之也라(≪傷寒明理論·桂枝湯方≫)
✺常器之云 可麻黃湯이라(≪傷寒補亡論·卷四·太陽經證治上九十五條≫)
✺此는 原所以用桂枝之奧義니 因著其反而示禁하야 以見藥有反對하야 勉人當精其義以求的當之意라 解者는 救護而釋散之之謂也라 肌는 膚肉也라 蓋風中衛而衛不固하면 發熱汗出而惡風이니 衛行脈外 膚肉之分也ᅟᅵᆯ새라 桂枝救護之오 熱粥釋散之니 病之所以解也라 故로 曰 本爲解肌라하니라 浮는 病在太陽也오 緊은 寒也오 汗不出도 亦寒也라 不可與는 言病不對니 禁勿妄投也라 然則桂枝湯之發汗云者가 奧義也라 識는 記也라 記其政事謂之識니 言當常常用心以記其事하야 勿忘勿怠 而不可使有一忽之失誤라 蓋有寒不得用桂枝라 故로 致戒警如此니 其言이 亦甚深切著明矣어늘 而人猶自誤면 亦獨何哉리오(≪傷寒論條辨≫)
✺然이나 何以又曰 太陽病外證未解 脈浮弱者 當以汗解 宜桂枝湯이라하고 陽明病 日晡所發熱 脈虛浮者 宜發汗 發汗宜桂枝湯이라하니 是豈桂枝爲止汗者耶아 但麻黃湯은 無芍藥 而用麻黃이오 桂枝湯은 無麻黃 而用芍藥이니 蓋桂枝는 性散하고 芍藥은 性斂하야 以芍藥從桂枝면 則桂枝不峻하고 以桂枝從芍藥이면 則芍藥不寒이라 然이나 以芍藥之懦는 終不勝桂枝之勇하고 且芍藥은 能滋調營氣하니 適足爲桂枝取汗之助라 故로 桂枝湯도 亦是散劑나 但麻黃湯峻 而桂枝湯緩耳라 故로 凡寒邪深固者는 恐服桂枝不能解表 則反以助熱하니 所以脈緊無汗者는 宜麻黃不宜桂枝오 若脈浮緩有汗 或浮弱者는 以其風邪尙淺이니 宜桂枝不宜麻黃也라 此麻黃湯爲發表之第一 而桂枝湯則解表之次者也라 今時醫는 不能察此하고 但聞汗不出者면 不可與桂枝하고 便謂桂枝能止汗이라하니 誤亦甚矣오 而不知止汗在芍藥이오 不在桂枝也라 但桂枝性溫하야 能强衛氣니 如內經에 曰 陰氣有餘하면 爲多汗身寒이라 仲景曰 極寒 反汗出者는 此亡陽而汗也니 助陽이라야 乃可以止汗이니 則正宜用桂枝矣라 又傷寒論에 以太陽病無汗脈緊者爲傷寒이오 汗出脈緩者爲中風이니 此風寒之辨也라 然이나 大靑龍湯證治에 曰 太陽中風 脈浮緊 發熱惡寒 身疼痛 不汗出而煩躁者 大靑龍湯主之라하니 是豈非太陽中風亦有脈緊無汗者耶아 可見風之與寒은 本不相遠이니 但風邪淺而寒邪深耳오 淺屬陽而深屬陰耳라 且近見外感寒邪者는 率皆傷寒發熱脈緊無汗等證이오 至於中風一證에 謂其脈緩有汗 而復發熱者는 其病本不多見이니 卽有之라도 亦必外因者少 而內因者多也라 倘學者가 以風寒二字 及麻黃桂枝二湯으로 必欲分其陰陽同異 而執以爲辭면 則失之遠矣라(≪景岳全書·卷之七·須集·傷寒典上·麻黃桂枝辨(24)≫)
✺已見寒傷營之脈證이면 卽不可誤用風傷衛之治法이니 用之則寒邪漫無出路하야 留連肉腠하야 貽患無窮이라 故로 爲首禁이라(≪尙論篇≫)
✺寒傷營之脈證에 不可誤用桂枝湯이니 以中有芍藥이 收斂寒邪하야 漫無出路하야 留連肉腠하야 胎患無窮이라 故로 爲首禁이라(≪傷寒纘論≫)
✺肌者는 膚肉之間也라 風邪傷衛오 衛行脈外니 正當膚肉之間이라 方用桂枝湯以救解之라 若其人脈浮而緊하고 發熱汗不出者는 此系太陽傷寒이오 寒傷營이니 乃麻黃湯證이라 桂枝湯中有芍藥이 收斂寒邪하야 是藥與病相反이니 不可與也라 醫者는 常須識認此證하야 勿令病家錯誤服之니라(≪傷寒論辨症廣注≫)
✺其人脈浮緊 發熱汗不出은 乃寒傷太陽하야 邪正相持拒於膚表라 非桂枝解肌者가 所宜與也라 常須識此하야 勿令誤也라(≪傷寒論集注≫)
✺此一條는 眞乃桂枝湯之禁例也라 浮緊은 傷寒之脈也오 發熱汗不出은 傷寒之證也라 具此脈證이면 其爲寒傷營而爲麻黃證也가 明矣라 桂枝湯之本義는 蓋以桂枝辛溫發散 爲解肌和衛之藥이오 芍藥은 酸收斂液하니 所以救營弱而汗自出者也라 唯其衛强이라 故로 以桂枝로 汗解其衛分之風邪오 唯其營弱이라 故로 以芍藥으로 收斂其營中之陰液이라 今寒旣傷營하면 則寒邪閉於營分하야 鬱而爲熱하고 汗不出而頭痛項强 身腰骨節皆疼 惡風而喘矣니 寧可仍用桂枝하야 舍營分之陰邪不發하고 反空發衛分之陽邪乎아 更不知肅殺之寒邪在營 而反以酸寒收斂之芍藥固之니 豈非誤治反治乎아 故로 曰不可與也 當須識此 勿令誤也니 非謂桂枝反能收汗固衛也니라 曆代名家 如成無己는 但隨文順釋而不能辨하고 王好古는 謂麻黃治衛實 桂枝治衛虛라하고 以致方氏之辨은 有風中衛而衛不固 發熱汗出而惡風 桂枝救護之 熱粥釋散之라하니 曾不思風中於衛에 若非桂枝發汗解肌면 豈一粥之所能釋散乎아 遂至世俗不曉其中意義하고 更忘桂枝湯原文中에 有復發其汗 當以汗解句 及服桂枝湯法中에 云 汗出病瘥 不汗更服等語하고 而謂麻黃發汗 桂枝閉汗이라 故로 一遇汗出이면 便用桂枝하나니 不知麻黃汗解營分之寒邪오 桂枝僅解衛分之風邪라 所以桂枝與芍藥同行은 一以汗解其衛邪而衛氣和오 一以救其營弱而汗液收矣라 若必以爲桂枝止汗이면 豈不見麻黃湯中亦有桂枝乎아 豈有用麻黃而欲發其汗한대 又以桂枝收之乎아 唯此義未明하니 所以方氏於麻黃湯論中에 有用麻黃而監之以桂枝 爲節制之妙라하니 此皆相沿相習之惑也라 蓋麻黃爲肺經之專藥이오 杏仁所以助麻黃而利肺氣하야 開皮毛而定喘者也라 皆爲發泄魄汗之要藥이어늘 其所以亦用桂枝者는 旣欲泄脈中營內之寒邪할새 有不先開脈外一層之衛氣乎아 此皆仲景制方之妙니 深得內經客者除之 結者散之 開之發之之意也라 尚論은 不知桂枝湯義하고 亦但云使寒邪漫無出路 貽患無窮이라하니 豈亦仍方氏之舊說歟ᅟᅵᆫ져(≪傷寒溯源集≫)
✺此는 申桂枝湯이 治不得寒傷營 脈浮緊 汗不出症이라(≪傷寒大白·卷一·發熱≫)
✺解肌者는 解肌肉之汗也라 內膚之汗自出 故로 不用麻黃이라 若脈浮緊은 是麻黃湯脈이오 汗不出은 是麻黃湯證이라 桂枝湯은 無麻黃開腠理而泄皮膚오 有芍藥斂陰津而制辛熱이라 恐邪氣凝結하야 不能外解하고 勢必內攻하야 爲害滋大耳라 故로 叮嚀告戒如此라 桂枝之去其皮는 去其粗皮也니 正合解肌之義라 昧者가 有去肌取骨之可笑라(≪柯氏傷寒論注≫)
✺仲景이 旣詳桂枝之用하고 後申桂枝之禁이라 曰 桂枝本爲解肌 而不可用以發汗이라 解肌者는 解散肌表之邪니 與麻黃之發汗으로 不同이라 故로 惟中風發熱 脈浮緩 自汗出者라야 爲宜오 若其人 脈浮緊 發熱汗不出하면 則是太陽麻黃湯證이라 設誤與桂枝면 必致汗不出而煩躁하고 甚則斑黃狂亂하야 無所不至矣라 此는 桂枝湯之大禁也라 故로 曰 不可與也 當須識此 勿令誤也라하니 仲景叮嚀之意가 至矣니라(≪傷寒貫珠集≫)
✺用桂枝者는 以陽助陽하야 解其在衛分之風邪니 淺而逐之也오 用麻黃者는 以陽入陰하야 發其在營分之寒邪니 深而奪之也라 判然兩途하야 毫厘千里라 故로 風傷衛는 如賊入其疆이니 順而逐之가 可耳오 寒傷營은 如賊近於郊니 必須强而奪之어늘 乃反在疆外把持면 則賊無出路하야 惟有攻城掠郭而已니 此喻最明이라 仲師所以示人호대 從浮緊之脈 汗不出之症으로 認明寒邪之傷營이 與太陽中風同在一經 而兩分不侔라(≪傷寒論本義≫)
✺夫桂枝湯은 本爲解肌니 中風表虛之藥也라 若其人脈浮緊 發熱汗不出者는 乃傷寒表實之病이니 不可與也라 當須識此爲麻黃湯證하야 勿令誤與桂枝湯也라(≪醫宗金鑑≫)
✺程應旄曰 可與 不可與는 在毫厘疑似之間이오 誤多失之於倉卒이니 須常時將榮衛之分別處를 兩兩互勘하면 陰陽不悖하고 虛實了然이라 不以桂枝로 誤治脈浮緊 汗不出之傷寒하면 自不致以麻黃으로 誤治脈浮緩汗自出之中風矣라(≪醫宗金鑑≫)
✺桂枝는 本解肌表하야 以散風邪라 若其人脈浮而緊 發熱 汗不出者는 是寒傷營血이라 營傷則束其衛氣니 是當去芍藥之瀉營血 而用麻黃以瀉衛氣오 桂枝不可與也라 與之면 表寒不解하고 反益經熱이니 是謂之誤라 風家用桂枝니 所以不助經熱者는 以其皮毛無寒하야 孔竅不閉하니 無須麻黃發表오 但以芍藥之酸寒으로 瀉其營血하고 桂枝之辛溫으로 通其經絡하면 血熱自能外達이라 若傷寒服之면 衛鬱莫瀉하야 經熱愈增이니 是助邪也니라(≪傷寒懸解≫)
✺李中梓曰 無表證은 不可汗이오 脈沈도 不可汗이오 尺脈遲도 不可汗이오 脈微弱은 雖惡寒이라도 不可汗이오 汗家는 不可重汗이오 太陽少陽並病하야 頭項强痛이어나 或眩冒心下痞도 不可汗이오 脈弦細하고 頭痛而熱은 屬少陽이니 不可汗이라(≪傷寒論綱目·卷六·不可汗≫)
✺桂枝湯은 本爲解肌니 與麻黃湯爲膚表之劑로 逈別이라 盖邪之傷人은 先傷膚表하고 次及肌腠라 惟風性迅速하야 從膚表而直入肌腠하면 則肌腠實而膚表虛하니 所以脈浮緩 汗自出이오 不曰傷而曰中也라 若其人脈浮緊 發熱汗不出者는 明明邪在膚表오 不在肌腠니 不可與也라 甚矣哉라 桂枝湯爲不汗出之大禁이여 當須識此하야 勿令誤也니라 此一節은 承上節하야 分別桂枝本爲解肌오 大殊發表之劑니 重爲叮嚀이라(≪傷寒論淺注≫)
✺玉函 千金翼은 桂枝下에 有湯字오 汗不出은 作無汗이오 無之字라 成本도 亦無라(≪傷寒論輯義≫)
✺案컨대 肌는 說文에 肉也라 折骨分經하면 白爲肌오 赤爲肉이니 而肌有兩義라 有肌膚之肌하고 有肌肉之肌하니 注證發微에 詳辨之라 方氏因注에 云 肌는 膚肉也라하니 蓋分肌肉之肌也라(≪傷寒論輯義≫)
✺案컨대 解肌는 解散肌表之邪氣也라 言桂枝는 雖爲解肌之劑나 若其人脈浮緊 發熱汗不出者는 不可與桂枝湯이오 當以麻黃湯으로 解散其肌表之邪也라 解肌二字는 不專屬於桂枝라 外臺秘要에 有麻黃解肌湯 葛根解肌湯이오 名醫別錄 麻黃主療에 云 解肌라하니 可以見耳라(≪傷寒論輯義≫)
✺桂枝는 汗劑中第一品也라 麻黃之性은 直達皮毛오 生薑之性은 橫散肌肉이라 故로 桂枝佐麻黃하면 則開玄府而逐衛分之邪하야 令無汗者有汗而解라 故로 曰發汗이오 桂枝率生薑하면 則開腠理而驅營分之邪하야 令有汗者復汗而解라 故로 曰解肌라 解肌는 解肌肉之邪也니 正在營分이라 何立三綱者가 反云麻黃主營 桂枝主衛耶아 麻黃湯은 不言解肌나 而肌未嘗不解오 桂枝湯之解肌는 正所以發汗이라 要知桂枝麻黃은 是發汗分淺深之法이오 不得以發汗獨歸麻黃이오 不得以解肌與發汗對講이라(≪傷寒法祖·卷下·制方大法第七≫)
✺桂枝解肌는 所以別於麻黃之解表 而於發熱有汗惡風者에 宜之라 若脈浮緊 汗不出者는 邪正方相持於皮毛하고 所賴營氣未虛하야 血熱이 足與外寒으로 相抵니 奈何在表之寒邪가 不驅之外泄 而反引之入裏乎아 不特此也라 皮毛不開而張發肌理之陽氣가 外不得泄而鬱於皮毛之內하니 不病喘逆이면 卽增煩燥라 近人不明此理하고 反謂桂枝湯爲斂汗之劑라하니(陳修園도 亦不免이라) 與後文當以汗解 復發其汗諸條로 顯相抵牾라 按之컨대 解肌二字를 已不可通이니 推原其故컨대 皆由李時珍本草誤人이라 蓋因本方에 有芍藥한대 李時珍綱目이 不知何所依據하고 目爲酸寒하니 市醫가 以耳爲目하야 於是에 謬謂芍藥 監桂枝之燥 及斂肝陰之邪說이니 不知芍藥은 在本經에 但言苦平이오 苦者는 主泄이라 故로 能通營分之凝結이라 肌理爲孫絡滿布어늘 風襲肌理하면 營氣凝閉而不解라 故로 用芍藥以泄之라 婦人腹痛及瘡癰 腫痛에 皆用之는 亦正以解血絡之凝閉也라(今人內證에 用白芍하고 外科에 用赤芍하니 其實則一이라) 然則桂枝湯之解肌는 芍藥實爲主要어늘 反謂監桂枝之燥烈이라하니 有是理乎아 予嘗親試之한대 白芍은 甘而微苦하고 赤芍則甚苦 而皆無酸味라(黃坤載 長沙藥解도 亦以爲酸寒이라하니 眞是糊塗萬分이라) 明乎此면 仲景立方本旨가 乃可大白矣라(≪傷寒發微≫)
'<선호상한론>확장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호상한론>확장판 18조문 (0) | 2024.07.18 |
---|---|
<선호상한론>확장판 17조문 (1) | 2024.07.17 |
<선호상한론>확장판 16-1조문 (0) | 2024.07.15 |
<선호상한론>확장판 15조문 (2) | 2024.07.14 |
<선호상한론>확장판 14조문(桂枝加葛根湯方) (1) | 2024.07.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