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半夏瀉心湯方
半夏半升 洗 黃芩 乾薑 人參 甘草炙 各三兩 黃連一兩 大棗十二枚 擘
上七味를 以水一斗로 煮取六升하야 去滓하고 再煎하야 取三升이어든 溫服一升호대 日三服이라
『위 7가지 약물을 물 1말로 달여 6되를 얻어서 찌꺼기를 버리고 다시 달여 3되가 되면 1되를 따뜻하게 복용하되 하루에 3번 복용한다.』
✺辛入肺而散氣하니 半夏之辛은 以散結氣오 苦入心而泄熱하니 黃芩 黃連之苦는 以瀉痞熱이오 脾欲緩하니 急食甘以緩之니 人參甘草 大棗之甘은 以緩之라(≪注解傷寒論≫)
✺凡陷胸湯은 攻結也오 瀉心湯은 攻痞也라 氣結而不散하야 壅而不通이 爲結胸이니 陷胸湯은 爲直達之劑오 塞而不通하야 否而不分이 爲痞니 瀉心湯은 爲分解之劑라 所以謂之瀉心者는 謂瀉心下之邪也라 痞與結胸은 有高下焉이라 結胸者는 邪結在胸中이라 故로 治結胸을 曰陷胸湯이라 痞者는 邪留在心下라 故로 治痞를 曰瀉心湯이라 黃連은 味苦寒하고 黃芩도 味苦寒이라 內經에 曰 苦先入心하고 以苦泄之라하니 瀉心者는 必以苦爲主라 是以黃連爲君 黃芩爲臣하야 以降陽而升陰也라 半夏는 味辛溫하고 乾薑은 味辛熱이라 內經에 曰 辛走氣하고 辛以散之라하니 散痞者는 必以辛爲助라 故로 以半夏乾薑爲佐하야 以分陰而行陽也라 甘草는 味甘平하고 大棗는 味甘溫하고 人參도 味甘溫이라 陰陽不交를 曰痞오 上下不通은 爲滿이니 欲通上下하야 交陰陽이어든 必和其中이라 所謂中者는 脾胃是也라 脾不足者는 以甘補之라 故로 用人參甘草大棗爲使하야 以補脾而和中이라 中氣得和하야 上下得通하며 陰陽得位하야 水升火降하면 則痞消熱已而大汗解矣라(≪傷寒明理論≫)
✺議曰 病在半表半裏는 本屬柴胡湯이어늘 反以他藥下之하야 虛其脾胃하야 邪氣所歸라 故로 結於心下하야 重者는 成結胸하야 心下滿而鞕痛也오 輕者는 爲痞하야 滿而不痛也라 若此痞結不散이라 故로 以黃連爲君은 苦入心以泄之오 黃芩爲臣은 降陽而升陰也라 半夏 乾薑之辛溫爲使는 辛能散其結也오 人參 甘草 大棗之甘은 以緩其中 而益其脾胃之不足하야 使氣得平이니 上下升降하고 陰陽得和하면 其邪之留結者는 散而已矣라 經曰 辛入肺而散氣하고 苦入心而泄熱하고 甘以緩之라하니 三者是已라(≪金鏡內臺方議·半夏瀉心湯(50)·湯議≫)
✺問曰 瀉心湯有五하니 曰大黃黃連瀉心湯 附子瀉心湯 半夏瀉心湯 生薑瀉心湯 甘草瀉心湯이라 此五者는 各何主用也아 答曰 大黃黃連瀉心湯者는 乃瀉其虛熱之邪니 心下痞 大便不通者에 用之오 附子瀉心湯은 乃瀉其虛熱之邪니 惡寒汗出者에 用之오 半夏瀉心湯은 乃瀉其半表半裏之邪니 誤下成痞하야 大便自通者用之오 生薑瀉心湯은 乃瀉其汗後餘邪니 心下痞鞕 乾噫食臭 脇下有水氣 腹中雷鳴下利者用之오 甘草瀉心湯은 乃瀉其誤下傷胃 上逆虛邪니 心下痞鞕 下利穀不化 腹中雷鳴 乾嘔 心煩不得安者用之라 先聖은 以此五方을 皆曰瀉心이나 而治痞者는 各有取用不同也라(≪金鏡內臺方議·半夏瀉心湯(50)·疑問≫)
✺若加甘草去參하면 卽甘草瀉心湯이니 治痞硬吐利라 若加生薑하면 卽生薑瀉心湯이니 治痞硬噫氣라 辛入肺而散氣하니 半夏乾薑之辛 以散結氣하고 苦入心而泄熱하니 黃芩黃連之苦 以瀉痞熱이라 脾欲緩이어든 急食甘以緩之니 人參甘草大棗之甘以緩脾라(≪傷寒括要·卷下·太陽篇七十三方·半夏瀉心湯≫)
✺按컨대 瀉心湯諸方은 皆治中風汗下後에 表解裏未和之證이라 其生薑甘草半夏三瀉心은 是治痰濕結聚之痞니 方中用半夏生薑以滌痰飮하고 黃芩黃連以除濕熱하고 人參甘草以助胃氣하고 乾薑炮黑以滲水濕이라 若但用苦寒治熱 則拒格不入하니 必得辛熱爲之向導하니 是以乾薑半夏在所必需라 若痞極硬滿하면 暫去人參이오 氣壅上升하면 生薑勿用이오 痞而不硬하면 仍用人參이니 此一方出入而有三治也라 其大黃附子二瀉心은 乃治陰陽偏勝之痞라 一以大黃黃連으로 滌胸中素有之濕熱이오 一加附子하야 兼溫經中驟脫之虛寒也라 用沸湯漬絞者는 取寒藥之性이 不經火而力峻也오 其附又必煎汁은 取寒熱各行其性耳라 仲景立法之妙가 無出乎此라 以大黃芩連으로 滌除胃中之邪熱하면 卽以附子로 溫散凝結之陰寒이니 一舉而寒熱交結之邪盡解라 詎知後人目睹其方而心眩也아(≪傷寒纘論·正方·半夏瀉心湯≫)
✺愚以結胸挾實 痞氣挾虛라 故로 用人參甘草大棗之甘緩以補之也라 內臺方議에 曰 病在半表半裏는 本屬柴胡湯이어늘 反以他藥下之면 虛其腸胃하야 邪無所歸라 故로 結於心下호대 重者는 成結胸하야 心下滿而硬痛也오 輕者는 爲痞하야 滿而不痛也라 若此痞結不散이라 故로 以黃連爲君하야 苦入心以泄之오 黃芩爲臣하야 降陽而升陰也라 半夏乾薑之辛溫爲使하야 辛能散其結也오 人參甘草大棗之甘은 以緩其中 而益其腸胃之不足하야 使氣得平하면 上下升降하고 陰陽得和하야 其邪之留結者 散而已矣라 經曰 辛入肺而散氣하고 苦入心而泄熱하고 甘以緩之라하니 三者가 是矣라(≪傷寒論辨症廣注≫)
✺半夏는 辛而散痞하고 滑能利膈이라 故로 以之爲君이라 半夏之滑은 見小陷胸湯方論中이라 乾薑은 溫中하야 除陰氣而蠲痞하고 人參炙甘草는 大補中氣하야 以益誤下之虛라 三者는 補則氣旺하고 熱則流通이라 故로 以之爲臣이라 黃芩黃連은 卽前甘草瀉心湯中之熱因寒用이니 苦以開之之義라 故로 黃連은 亦僅用三倍之一이니 以爲之反佐라 大棗는 和中濡潤하야 以爲傾否之助云이니라(≪傷寒溯源集≫)
✺瀉心湯에 皆用半夏어늘 而獨以此方命名者는 因痞滿嘔吐가 皆是痰涎作禍라 故로 卽以此湯에 重加半夏라 此는 以瀉心方中에 化出重治痰涎之法이라(≪傷寒大白·卷三·痞滿≫)
✺瀉心湯은 卽小柴胡去柴胡加黃連乾薑湯也라 三方은 分治三陽이라 在太陽用生薑瀉心湯은 以未經誤下而心下痞硬이니 雖汗出表解나 水猶未散이라 故君生薑以散之니 仍不離太陽爲開之義라 在陽明用甘草瀉心湯者는 以兩番誤下하야 胃中空虛하야 其痞益甚이라 故倍甘草以建中 而緩客氣之上逆이니 仍是從乎中治之法也라 在少陽用半夏瀉心者는 以誤下而成痞니 邪旣不在表 則柴胡湯不中與之오 又未全入裏 則黃芩湯亦不中與之矣라 胸脇苦滿與心下痞滿은 皆半表裏證也라 於傷寒五六日에 未經下而胸脇苦滿者는 則柴胡湯解之오 傷寒五六日 誤下後에 心下滿而胸脇不滿者는 則去柴胡生薑加黃連乾薑以和之니 此又治少陽半表裏之一法也라 然이나 倍半夏而去生薑은 稍變柴胡半表之治하야 推重少陽半裏之意耳라 君火以明 相火以位 故로 仍名曰瀉心이니 亦以佐柴胡之所不及이라(≪柯氏傷寒論注≫)
✺本論에 云嘔而發熱者 小柴胡主之는 卽所云傷寒中風에 有柴胡證할새 但見一症卽是오 不必悉具者 是也라 又云嘔多면 雖有陽明證이라도 不可攻之라하니 可見少陽陽明合病이 闔從樞轉이라 故로 不用陽明之三承氣하고 當從少陽之大柴胡라 上焦得通 卽津液得下라 故로 大柴胡는 爲少陽陽明之下藥也라 若傷寒五六日에 嘔而發熱은 是柴胡湯證이어늘 而以他藥으로 下之면 樞機廢弛하야 變症이 見矣라 少陽은 居半表半裏之位하니 其症이 不全發陽하고 不全發陰이라 故로 下後變症이 偏于半表者는 熱入而成結胸하고 偏于半裏者는 熱結心下而成痞也라 結胸與痞는 同爲硬滿之症이나 當以痛爲辨이라 滿而硬痛은 爲結胸熱實이니 大陷胸下之 卽痛隨利減이오 如滿而不痛者는 爲虛熱痞悶이니 宜淸火散寒而補虛라(≪傷寒附翼≫)
✺盖瀉心湯方은 卽小柴胡去柴胡加黃連乾薑湯也라 不往來寒熱은 是無半表症이라 故로 不用柴胡라 痞는 因寒熱之氣 互結而成이니 用黃連乾薑之大寒大熱者는 爲之兩解하고 且取其苦先入心 辛以散邪耳라 此痞는 本于嘔라 故로 君以半夏라 生薑은 能散水氣오 乾薑은 善散寒氣라 凡嘔後痞硬은 是上焦津液已乾하야 寒氣留滯를 可知라 故로 去生薑而倍乾薑이라 痛은 本于心火內鬱이라 故로 仍用黃芩佐黃連以瀉心也라 乾薑은 助半夏之辛하고 黃芩은 協黃連之苦하니 痞硬自散이라 用蔘甘大棗者는 調旣傷之脾胃하고 且以壯少陽之樞也라 痛은 本于心火內鬱이라 故로 仍用黃芩佐黃連以瀉心也라 乾薑은 助半夏之辛하고 黃芩은 協黃連之苦하니 痞硬自散이라 用蔘甘大棗者는 調旣傷之脾胃하고 且以壯少陽之樞也라(≪傷寒附翼≫)
✺內經에 曰 腰以上爲陽이라 故로 三陽은 俱有心胸之病이라 仲景이 立瀉心湯하야 以分治三陽이라 在太陽에 以生薑爲君者는 以未經誤下而心下成痞니 雖汗出表解나 水氣猶未散이라 故로 微寓解肌之義也라 在陽明에 用甘草爲君者는 以兩番妄下로 胃中空虛하야 其痞益甚이라 故로 倍甘草以建中하고 而緩客邪之上逆이니 是亦從乎中治之法也라 在少陽에 用半夏爲君者는 以誤下而成痞하야 邪已去半表니 則柴胡湯不中與之오 又未全入裏니 則黃芩湯도 亦不中與之矣라 未經下而胸脇苦滿은 是裏之表症이니 用柴胡湯하야 解表라 心下滿而胸脇不滿은 是裏之半裏症이라 故로 制此湯하야 和裏니 稍變柴胡半表之治하고 推重少陽半裏之意耳라 名曰瀉心이나 實以瀉膽也라(≪傷寒附翼≫)
✺按컨대 痞者는 滿而不實之謂라 夫客邪內陷은 卽不可從汗泄이오 而滿而不實은 又不可從下奪이라 故로 惟半夏 乾薑之辛이아 能散其結이오 黃連 黃芩之苦아 能泄其滿이니 而其所以泄與散者는 雖藥之能이나 而實胃氣之使也라 用參 草 棗者는 以下後中虛 故로 以之益氣 而助其藥之能也라(≪傷寒貫珠集≫)
✺方名半夏는 非因嘔也라 病發於陰 而反下之면 因作痞니 是少陰表證에 誤下之하야 寒反入裏하야 阻君火之熱化하야 結成無形氣痞니 按之自濡라 用乾薑開痞하고 芩連泄熱이라 未能治少陰之結이니 必以半夏로 啓一陰之機하고 人參 甘草 大棗로 壯二陽生氣하야 助半夏開辟陰寒하야 使其熱化痞解라(≪絳雪園古方選註·上卷·和劑·半夏瀉心湯≫)
✺王又原曰 傷寒五六日에 柴胡證具한대 而以他藥下之成痞하면 卽用小柴胡湯호대 以乾薑易生薑하고 以黃連易柴胡라 彼以和表裏오 此는 以徹上下라 而必推半夏爲君者는 痞從嘔得來니 半夏之辛以破結而止嘔也라(≪刪補名醫方論≫)
✺再煎은 成本 玉函에 作再煮라 須以下十二字는 成本에 無라(≪傷寒論輯義≫)
✺醫方考에 曰 傷寒下之早하야 以旣傷之中氣한대 而邪乘之면 則不能升淸降濁하고 痞塞於中하니 如天地不交而成否라 故로 曰痞라 瀉心者는 瀉心下之邪也라 薑夏之辛은 所以散痞氣오 芩連之苦는 所以瀉痞熱이라 已下之後에 脾氣必虛하니 人參甘草大棗는 所以補脾之虛라(≪傷寒論輯義≫)
✺傷寒選錄曰 凡言瀉心者는 少陽邪가 將入太陰할새 邪在胸中之下오 非心經受邪也라하고 傷寒蘊要에 曰 瀉心은 非瀉心火之熱이오 乃瀉心下痞之滿也라하니라(≪傷寒論輯義≫)
✺千金心虛實門 瀉心湯은 治老少下利 水穀不消 腸中雷鳴 心下痞滿 乾嘔不安이니(卽本方이라) 煮法後에 云 並治霍亂이라 若寒하면 加附子一枚하고 渴하면 加栝蔞根二兩하고 嘔하면 加橘皮一兩하고 痛하면 加當歸一兩하고 客熱하면 以生薑代乾薑이라(≪傷寒論輯義≫)
✺又冷痢門 瀉心湯은 治卒大下利熱 唇乾口燥 嘔逆引飮이니 於本方에 去大棗하고 加栝蔞根 橘皮라(注 引胡洽한대 文與心虛實門으로 同이오 唯云 仲景用大棗十二枚라(≪傷寒論輯義≫)
✺三因心實熱門 瀉心湯은 治心實熱 心下痞滿 身重發熱 乾嘔不安 腹中雷鳴 涇溲不利 水穀不消 欲吐不吐 煩悶喘急이니 於本方에 去大棗라(≪傷寒論輯義≫)
'<선호상한론>확장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호상한론>확장판 149조문 (0) | 2025.04.07 |
---|---|
<선호상한론>확장판 148조문 (0) | 2025.04.06 |
<선호상한론>확장판 147조문(柴胡桂枝乾薑湯方) (0) | 2025.04.05 |
<선호상한론>확장판 147조문 (0) | 2025.04.04 |
<선호상한론>확장판 146조문(柴胡桂枝湯方) (0) | 2025.03.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