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9][157] 傷寒 五六日에 嘔而發熱者는 柴胡證具어늘 而以他藥으로 下之한대 柴胡證 仍在者는 復與柴胡湯이라
(此는 雖已下之나 不爲逆이니) 必蒸蒸而振이라가 却發熱汗出而解라
若心下滿而硬痛者는 此爲結胸也니 大陷胸湯 主之오
但滿而不痛者는 (此爲痞니) 柴胡는 不中與之오 宜半夏瀉心湯이라
『상한 5~6일에 嘔逆하면서 발열하는 것은 시호탕증이 갖추어진 것인데, 다른 약물로 하법을 쓴 후에도 시호탕증이 여전히 있으면 다시 시호탕을 준다. 이것은 비록 하법을 썼더라도 逆이 되지 않은 경우이다. 틀림없이 蒸蒸하면서 떨다가 문득 발열하고 땀이 나면서 풀린다. 만약 心下가 滿悶하면서 단단하고 아프면 결흉이 된 것이니 대함흉탕으로 다스리고, 滿悶하기만 하고 아프지 않으면 痞가 된 것이니 시호탕은 줄 수 없고, 반하사심탕으로 다스린다.』
✺設下後에 津液入裏하야 胃虛上逆하야 寒結在心下라 故로 宜辛甘發散이라 半夏는 下氣하고 苦能去濕하며 兼通心氣라 又甘草力大라 故로 乾薑黃連不能相惡也라(≪傷寒總病論·卷第三·心下痞證≫)
✺此湯藥味은 蓋本理中 人參 黃今湯方也라 審知是痞어든 先用桔梗枳殼湯하면 尤妙라 緣桔梗枳殼이 行氣下膈하니 先用之면 無不驗也라 結胸與痞는 關脈須皆沈이라(≪活人書·76問≫)
✺仲景論中에 瀉心湯加減이 有五證이니 皆爲痞氣而設也라 但滿而不痛者는 宜半夏瀉心湯이오 色黃手足溫者는 黃連瀉心湯이오 惡寒汗出者는 附子瀉心湯이오 乾嘔食臭 脇下有水氣者는 生薑瀉心湯이오 雷鳴 心下硬 心煩不得安者는 甘草瀉心湯也라(≪傷寒百證歌·卷三·第四十八證·痞歌≫)
✺傷寒五六日은 邪在半表半裏之時오 嘔而發熱은 邪在半表半裏之證이니 是爲柴胡證具라 以他藥으로 下之한대 柴胡證不罷者는 不爲逆이니 却與柴胡湯하면 則愈라 若下後에 邪氣傳裏者가 邪在半表半裏하면 則陰陽俱有邪라 至於下後邪氣傳裏에 亦有陰陽之異하니 若下後에 陽邪傳裏者는 則結於胸中爲結胸이니 以胸中爲陽受氣之分일새니 與大陷胸湯하야 以下其結이오 陰邪傳裏者는 則留於心下爲痞니 以心下爲陰受氣之分일새니 與半夏瀉心湯하야 以通其痞라 經에 曰 病發於陽而反下之면 熱入因作結胸이오 病發於陰而反下之면 因作痞라하니 此之謂也라(≪注解傷寒論≫)
✺此條上節은 與上篇第六十三條로 互相發明이라 蓋風寒至少陽證은 治無差殊라 故로 更互爲文而互言之하야 以見彼此皆然也라 若心下滿以下二節은 乃復言其變以出其治라 結胸乃其變之重者니 以其重而結於胸이라 故로 從大陷胸湯이오 痞則其變之輕者니 以其輕而痞於心이라 故로 用半夏瀉心湯이라 半夏乾薑은 辛以散虛滿之痞오 黃芩黃連은 苦以泄心膈之熱이오 人參甘草는 甘以益下後之虛오 大棗甘溫은 潤以滋脾胃於健이라 曰瀉心者는 言滿在心膈而不在胃也라(≪傷寒論條辨≫)
✺活人云 知是痞어든 先用桔梗湯하면 尤妙라 此方은 行氣下膈하니 用無不效라하니라 正氣未衰하면 裏不受邪라 故로 蒸蒸而振 發熱汗出 然後則愈라 若下後邪傳裏甚하야 心下痞而硬痛者는 爲結胸이니 宜大陷胸湯以下裏邪라 痞는 微但滿而不痛이니 此爲柴胡不可用이오 半夏瀉心湯이라 無己云 下後에 陽邪傳裏者 則結於胸中은 以胸中爲陽受邪니 與陷胸湯이라하니 仲景이 於心下滿而硬痛者에 與結胸在心之下乎ᅟᅵᆫ져 無己가 巧言曲喻하야 以陽受氣於胸中으로 陽邪傳裏 則結於胸爲結胸者는 誤也라(≪證治準繩·卷五·合病並病汗下吐後等病·臟結與結胸痞氣大同小異≫)
✺[趙] 活人書第七十六問中에 云凡痞에 服瀉心湯不愈면 然後에 可用陷胸湯下之라하니라 愚詳컨대 仲景論陷胸湯은 無治痞之例하니 恐太猛難用이라 又況胸은 與心下로 處所不同하고 痛與不痛 陰陽邪도 亦異라 除結胸外에 今將痞證을 以傳經之邪 與內陷之邪로 分爲二種而下治焉이라 一者는 病發於陰하야 身無熱而反下之하야 緊反入裏則作痞니 其脈關上沈은 爲陰邪內陷也라 先宜桔梗枳殼湯하고 次半夏瀉心諸湯을 隨證用之라 服瀉心湯後에 渴而口燥煩 小便不利者는 五苓散이라 二者는 身有熱이라가 不因下後而傳邪入裏하야도 亦作痞니 其脈關上浮는 爲陽邪隨經入裏라 須先解表而不惡寒者는 宜三黃瀉心이라 又有心下痞而汗出惡寒者는 以陽邪與表之正氣入裏라 故로 表虛汗出而惡寒하니 因加附子以固表也라 旣結胸證에 有寒實熱實之殊하니 則痞證도 亦有陰陽邪하야 不爲異也라 外有痞而硬者는 或桂枝人參湯溫之오 或大柴胡湯 十棗湯으로 下之니 亦自早一律也라 活人書에 又云 關浮則結熱이니 三黃以瀉肝이라하니 蓋熱結則成結胸이오 非痞也라 況心下는 正屬中焦오 關脈亦主中部라 故로 湯名瀉心이니 豈可援雜病脈例하야 以左關爲肝部하야 因謂之瀉肝乎아(≪證治準繩·卷五·合病並病汗下吐後等病·痞≫)
✺[張] 或謂痞證은 多有雜以別證而心下痞硬者하니 必非半夏瀉心之所宜也라 予曰證候不同하면 宜從治療니 以上諸痞가 皆雜別證이오 非特下早而成也라 仲景所以各從其宜用藥以治之라 若下早而作痞者는 但滿而不痛하고 別無外證하니 與半夏瀉心湯以攻痞가 宜也라(≪證治準繩·卷五·合病並病汗下吐後等病·痞≫)
✺[吳] 夫痞者는 氣鬱不通泰也니 若不因下早而爲痞者는 或痰 或食 或氣爲之結也라 保命集에 曰治痞用瀉心主之나 各有冷熱之不同하니 要在辨而治之라 如熱實而爲痞者는 大黃黃連瀉心湯之類也라 或寒多而熱少는 半夏瀉心等湯之類也라 要之瀉心은 非瀉心火之熱이오 乃瀉心下之痞滿也라(≪證治準繩·卷五·合病並病汗下吐後等病·痞≫)
✺結胸證治之辨이라 凡心腹脹滿硬痛 而手不可近者라야 方是結胸이오 若但滿不痛者는 此爲痞滿이오 非結胸也라 凡痞滿之證은 乃表邪傳至胸中하고 未入於腑니 此는 其將入未入하야 猶兼乎表라 是卽半表半裏之證이니 只宜小柴胡之屬 加入枳殼之類로 治之어나 或以本方對小陷胸湯도 亦妙라 今余新方製有柴陳煎 及一柴胡飮之類를 皆可擇而用之也라 至於結胸之治는 則仲景俱用大陷胸湯主之라 然이나 余之見 則惟傷寒本病에 其有不因誤下 而實邪傳裏하야 心下硬滿 痛連小腹而不可近하고 或燥渴譫妄 大便硬 脈來沈實有力者는 此皆大陷胸湯所正宜也어니와 其於太陽少陽表邪未解한대 因下早而致結胸者는 此其表邪猶在니 若再用大陷胸湯은 是旣因誤下而復下之니 此則余所未敢이라 不若以痞滿門諸法으로 酌其輕重 而從乎雙解하야 以緩治之오 或外用罨法하야 以解散胸中實邪라 此余之屢用獲效 而最精最捷者也라 罨法은 見新方因類第三十이라(≪景岳全書·卷之八·須集·傷寒典下·結胸(38)≫)
✺上篇은 論結胸에 有陽明之兼證矣오 此는 復論結胸及痞에 有少陽之兼證이라 見五六日 嘔而發熱은 爲少陽之本證이라 然이나 太陽未罷도 亦間有之니 所以陽明致戒云 嘔多어든 雖有陽明證이라도 不可攻이라하니 以嘔屬太陽故也라 且發熱而非往來之寒熱은 尤難辨識이라 果係少陽證이면 則太陽證將罷니 不似陽明之不可攻이라 若係太陽遷延未罷한대 誤下하면 卽成痞結이니 其爲逆이 更大矣라 方用半夏瀉心湯者는 卽生薑瀉心湯에 去生薑而君半夏也라 去生薑者는 惡其辛散 引津液上奔也라 君半夏者는 瀉心諸方이 原用以滌飮이나 此는 因證起於嘔라 故로 推之爲主君耳라(≪尙論篇≫)
✺五六日 嘔而發熱은 爲太陽之本證이라 蓋嘔多는 屬陽明이나 然이나 有太陽邪氣未罷하야 欲傳陽明之候오 有少陽邪氣在裏하야 逆攻陽明之候라 所以陽明致戒云 嘔多어든 雖有陽明證이라도 不可攻之라하니 恐傷太陽少陽也라 此는 本柴胡證에 誤用下藥하면 則邪熱乘虛入胃 而膽却受寒이라 故로 於生薑瀉心湯中에 去生薑之走表하고 君半夏以溫膽하며 兼芩連以除胃中邪熱也라 瀉心諸方은 原爲瀉心下痞塞之痰飮水氣而設이어늘 此證은 起於嘔라 故로 推半夏爲君耳라(≪傷寒纘論≫)
✺此條는 系少陽病에 誤下 而成痞結之證이라 成注에 云 傷寒五六日은 邪在半表半裏之時오 嘔而發熱은 邪在半表半裏之證이라하니라 柴胡證具云云 至汗出而解는 注已見前小柴胡湯附例之下라 心下滿云云은 乃復言下後之變以出其治라 然이나 心下滿은 須有陰陽之分이라 若下後에 邪氣傳裏하야 陷於胸中하면 成注에 云胸中爲陽受氣之分이라하야늘 邪結雖高 而硬痛必下니 此爲結胸證也라 與大陷胸湯以下其結이라 若下後에 邪氣傳裏하야 留於心下하면 成注에 云心下爲陰受氣之分이라하야늘 痞塞雖下而氣逆則高니 此爲痞證也라 宜半夏瀉心湯 以通其痞라 柴胡不中與之者는 此言結胸痞氣는 皆系柴胡證罷라 故로 宜另與陷胸等湯也라(≪傷寒論辨症廣注≫)
✺愚按컨대 此條는 可見少陽病에 誤下之하야도 亦有痞結之證이라 前第五卷太陽下編에 云 太陽病을 誤下之면 因作結胸이오 太陰病을 誤下之면 因作痞氣라하야늘 茲者는 少陽病을 誤下하야 邪在半表半裏이니 居陰陽之間이라 故로 亦有痞結證也라 夫人身腹陰 而背陽이오 少陽은 行身之側하야 居陰陽之間하니 爲半表裏라 然이나 人身膈以下屬陰이오 膈以上屬陽이어늘 少陽은 居淸道 而協乎膈之間하야 亦爲半表裏라 此는 可徵少陽病誤下하야 邪氣乘虛入裏 而結胸痞氣所由分矣라(≪傷寒論辨症廣注≫)
✺此는 承上文可與小柴胡湯之意하야 而申言痞證之不可與也라 此節은 分三段이라 上段은 言柴胡湯證具는 雖下라도 不爲逆이니 復可與柴胡湯이라 中段은 言下之而成結胸하면 大陷胸湯이라 下段은 言痞證은 但滿不痛이니 不可與柴胡 而宜半夏瀉心湯이라 黃芩黃連은 瀉心下之痞熱이오 半夏人參은 宜補中胃之氣오 甘草乾薑大棗는 助脾土之氣하야 以資少陰心主之神이니 土氣益而中膈舒하고 火熱淸而痞氣愈矣라(≪傷寒論集注≫)
✺莫氏曰 此心下滿而硬痛은 小結胸證也니 大陷胸湯이 亦可治小結胸證을 於此見之라(≪傷寒論集注≫)
✺沈氏曰 言痞證은 但滿不痛이니 所以別小結胸之按之而痛이오 又寓濡軟氣痞之意라(≪傷寒論集注≫)
✺此는 以邪在少陽而成痞結이라 故로 不曰太陽 而但以傷寒二字로 冠之也라 五六日은 邪入漸深之候也오 嘔而發熱은 少陽之本證也라 以邪在少陽하야 柴胡湯證已具어늘 而不用柴胡하고 反以他藥誤下之라 他藥者는 卽承氣之類오 非有別藥也라 因此證唯柴胡爲對證之藥이니 彼不當用者는 卽指爲他藥也라 若誤下之後에 無他變證 而柴胡證仍在者는 當復與從前對證之柴胡湯이니 必身體蒸蒸而振이라 蒸蒸은 身熱汗欲出之狀也오 振者는 振振然搖動之貌니 卽寒戰也라 言膚體蒸蒸然이라가 却發熱汗出而邪氣解矣라 其所以戰而後汗者는 以下後正氣已虛하야 難於勝邪라 故로 必戰而後汗也라 如此 則雖有從前他藥誤下之失이나 已幸而不爲變逆矣라 若誤下之後에 柴胡症不仍在者는 則邪氣必乘虛陷入矣라 邪陷而心下滿 按之硬痛者는 此爲熱入之結胸也니 以大陷胸湯主之라 若但滿而按之不痛은 其非硬結을 可知니 已屬氣痞라 然이나 雖按之不痛이라도 若如前其脈關上浮者는 仍是陽邪니 當以前條大黃黃連瀉心湯으로 泄其虛邪矣오 此는 不言關上浮니 則知爲下後胃中陽氣空虛하야 身中之陰氣痞塞於心下 而爲虛痞也라 雖屬少陽本症이라도 今已變逆爲陰痞니 則柴胡湯不中與之오 宜半夏瀉心湯이라(≪傷寒溯源集≫)
✺[辨誤] 前注家以中風誤下爲結胸이오 傷寒誤下爲痞어늘 此條는 以傷寒而可結可痞矣라 又以陽邪入裏爲結胸이오 陰邪入裏爲痞나 此則邪在少陽而誤下니 是陽經之邪어늘 亦能結能痞矣라 以此論之면 卽仲景之發於陽發於陰은 尚未足以盡賅其義어늘 後人은 又豈能作一定之例以範之邪아 總當因時制變 因勢定形하야 就形以定名 因變以施治耳라 故로 岐伯曰 審察病機호대 無失氣宜라하고 又曰 知其要者는 一言而終이어니와 不知其要면 流散無窮이라하니 此之謂也니라(≪傷寒溯源集≫)
✺此는 申明誤下 變三症三條治法이라 言結胸痞滿은 不獨太陽下早而成이오 卽少陽表症이라도 誤下亦成者라 故로 曰傷寒五六日에 嘔而發熱은 柴胡湯症이어늘 反用他藥下之한대 若發熱表症仍在하고 不成結胸者는 當復與柴胡湯이니 必蒸蒸發熱汗出而解오 若下後에 身不熱而見心下硬痛은 則成結胸矣니 宜用大陷胸湯이오 若滿而不痛 則爲痞氣니 宜用半夏瀉心湯이라하니라(≪傷寒大白·卷三·結胸≫)
✺嘔而發熱者는 小柴胡證也라 嘔多면 雖有陽明證이나 不可攻之니 若有下證이어든 亦宜大柴胡요 而以他藥下之는 誤矣라 誤下後有二證者는 少陽爲半表半裏之經이라 不全發陽 不全發陰 故로 誤下之變이 亦因偏於半表者는 成結胸하고 偏於半裏者는 心下痞耳라 此條는 本爲半夏瀉心而發이라 故只以痛不痛으로 分結胸與痞오 未及他證이라(≪柯氏傷寒論注≫)
✺結胸及痞는 不特太陽誤下에 有之오 卽少陽誤下에도 亦有之라 柴胡湯證具者는 少陽嘔而發熱 及脈弦口苦等證이 具在也라 是宜和解 而反下之는 於法爲逆이라 若柴胡證仍在者는 復與柴胡湯和之卽愈니 此는 雖已下之나 不爲逆也ᅟᅵᆯ새라 蒸蒸而振者는 氣內作而與邪爭勝 則發熱汗出而邪解也라 若無柴胡證 而心下滿而硬痛者는 則爲結胸이오 其滿而不痛者는 則爲痞니 均非柴胡所得而治之者矣라 結胸은 宜大陷胸湯이오 痞는 宜半夏瀉心湯이니 各因其證而施治也라(≪傷寒貫珠集≫)
✺結胸兼陽明裏實者는 大陷胸湯證也오 兼陽明不成實者는 小陷胸湯證也라 痞硬兼少陽裏實證者는 大柴胡湯證也오 兼少陽裏不成實者는 半夏瀉心湯證也라 今傷寒五六日에 嘔而發熱者는 是邪傳少陽之病也라 旣柴胡證具어늘 乃不以柴胡和之 而以他藥下之는 誤矣라 若柴胡證仍在者는 此雖已下라도 尚未成逆이니 則當復與柴胡湯이오 必蒸蒸而振戰 然後에 發熱汗出而解矣라 蓋以下後虛中 作解之狀이 皆如是也라 若下後心下滿而硬痛者는 此爲結胸이니 大陷胸湯固所宜也오 若但滿而不痛은 此爲虛熱氣逆之痞니 卽有嘔而發熱之少陽證이라도 柴胡湯亦不中與之오 法當治痞也니 宜半夏瀉心湯主之라(≪醫宗金鑑≫)
✺程應旄曰 瀉心은 雖同이나 而證中具嘔 則功專滌飮이라 故로 以半夏名湯也라 曰瀉心者는 言滿在心下淸陽之位니 熱邪挾飮하야 尚未成實이라 故로 淸熱滌飮하야 使心下之氣得通하면 上下自無阻留하야 陰陽自然交互矣라 然이나 樞機는 全在於胃라 故로 復補胃家之虛하야 以爲之斡旋이니 與實熱入胃而瀉其蓄滿者로 大相逕庭矣라 痞雖虛邪나 乃表氣入裏하야 寒成熱矣오 寒雖成熱이나 而熱非實이라 故로 用苦寒以瀉其熱하고 兼佐辛甘以補其虛하면 不必攻痞而痞自散이라 所以一方之中에 寒熱互用이니 若陰痞不關陽鬱하면 卽鬱而亦未成熱이니 瀉心之法을 槪可用也라(≪醫宗金鑑≫)
✺[傷寒五六日 嘔而發熱者 柴胡湯證具 而以他藥下之 柴胡證仍在者 復與柴胡湯 此雖已下之 不爲逆 必蒸蒸而振 卻發熱汗出而解] 本證仍在면 則卽用本方治之라 [若心下滿 而不痛者 此爲痞] 又指不痛二字가 痞證尤的이라 [柴胡不中與之 宜半夏瀉心湯] 以上三瀉心之藥은 大半皆本於柴胡湯이라 故로 其所治之證이 多與柴胡證으로 相同 而加治虛治痞之藥耳라(≪傷寒論類方≫)
✺程郊倩曰 誤下後有二證者는 少陽이 爲半表半裏之經으로 不全發陽하고 不全發陰이라 故로 誤下之變도 亦因偏於半表者하야 成結胸하고 偏於半裏者하야 心下痞耳라 此條는 本爲半夏瀉心湯而發이라 故로 只以痛不痛으로 分結胸痞하고 不及他證이라(≪傷寒論綱目·卷三·結胸≫)
✺小柴胡證 大陷胸證은 旣各不同이오 而痞證도 更須分別이라 太陽傷寒至五日은 爲少陰主氣之期오 六日은 爲厥陰主氣之期라 大抵五六日之間은 是少厥太三經之交也라 太陽主開니 嘔而發熱者는 欲從樞外出之象이오 其餘는 皆爲柴胡證悉具어늘 醫者不用柴胡 而以他藥下之한대 下之猶幸其不下陷하야 所具之柴胡證仍在者는 可復與柴胡湯이라 此는 雖已下之나 各不爲逆이라 服藥之後에 正氣與邪氣相爭하야 正氣一勝하면 則邪氣還表하야 必蒸蒸而振하나니 蒸蒸者는 三焦出氣之象이오 振者는 雷擊地奮之象이오 却發熱汗出而解는 少陽樞轉氣通於天也라 若下之心下滿而硬痛者는 此爲結胸也니 宜大陷胸湯主之오 但滿而不痛者는 乃病發于陰에 誤下之後而成이니 此爲痞證이라 痞證은 感少陰之熱化하고 無少陽之樞象이니 柴胡不中與之오 宜半夏瀉心湯이라 此一節은 復以小柴胡證 大陷胸證 夾起痞證이니 言大陷胸不可與오 卽柴胡亦不可與也라 特出半夏瀉心湯一方하야 以引起下文諸瀉心湯之義라(≪傷寒論淺注≫)
✺外臺는 此條가 作太陽病下之 其脈促不結胸者 此爲欲解也 若心下滿硬痛者 此爲結胸也 大陷胸湯主之 但滿而不痛者 此爲痞 柴胡不中與之也 宜半夏瀉心湯主之라 玉函은 發熱下에 無者字하고 已는 作以하고 但은 作若하고 不中與之는 作不中復與之也라(≪傷寒論輯義≫)
✺按컨대 此卽生薑瀉心湯에 去生薑而君半夏니 又屬小柴胡之變方이라 以其證起於嘔라 故로 推半夏爲主藥耳니라(≪傷寒尋源·下集·半夏瀉心湯≫)
✺淺注以小柴胡證 陷胸證 夾起痞證이라하니 不知此三證原是一串이라 故로 仲景連及之오 幷非借賓定主也라 盖小柴胡證은 是表之腠理間病이니 腠理는 是赤肉外之膜油라 若從外膜而入內膜하야 聚於胸膈하면 則爲陷胸이라 蓋胸膈은 乃內膜之大者니 爲上下之界라 故로 邪入於內할새 多於正氣 結於此間이니 正氣不升하면 飮水도 亦停於膈하니 是爲有形之水飮이오 邪氣內陷하야 幷心包之火로 阻於胸膈하면 則爲有形之痰血이라 血生於心火하니 火行則血行하고 火阻則血阻하니 血與水交結하면 則化爲痰이라 是爲結胸實證이오 當奪其實이니 用大陷胸湯이라 但滿而不痛하면 則無血與水하야 無凝聚成痰之實證이오 只水火無形之氣塞於胸膈이니 和其水火之氣而痞自解오 不必攻下有形之物也라 柴胡는 是透膈膜而外達腠理오 陷胸은 是攻膈膜而下通大腸이오 瀉心等湯則只和膈膜以運行之라 皆主膈膜間病 而有內外虛實之分이라 故로 仲景連言及之니 其示人也切矣라 修園注痞是病發于陰證은 尙欠分曉라(≪傷寒論淺注補正≫)
✺此는 承上凡柴胡湯病證節하야 引起誤下成結胸 誤下成痞之變證이라 水氣入裏한대 胃不能受라 故로 嘔라 太陽表證仍在라 故로 發熱이라 有表復有裏라 故로 曰柴胡湯證具라하니 非必兼往來寒熱 胸脇苦滿 脇下痞硬 小便不利 諸證也라 誤下에 不見變證은 語詳柴胡湯爲汗劑條니 茲不贅述이라 若下後變證에 見心下滿而硬痛은 則痰涎停蓄中脘이니 爲宿食阻格而不下라 故로 用甘遂 硝 黃以通之라(說見上傷寒六七日 結胸條下라) 設病滿而不痛이 不因誤下而始見은 則胸脇苦滿及頭汗出而心下滿이니 何嘗非小柴胡證이리오 今出於誤下之後는 是當與結胸으로 同例니 而爲水氣之成痞라 故로 宜以半夏瀉心湯이라 生半夏以去水하고(納半夏以去其水는 見金匱라) 黃芩以淸肺하고 黃連以降逆하고 乾薑以溫胃하고 甘草 人參 大棗以和中氣라 脾陽一振하면 心下之痞가 自消矣라 以其有裏無表라 故로 曰柴胡不中與之라하니라(≪傷寒發微≫)
'<선호상한론>확장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호상한론>확장판 149조문(半夏瀉心湯方) (0) | 2025.04.08 |
---|---|
<선호상한론>확장판 148조문 (0) | 2025.04.06 |
<선호상한론>확장판 147조문(柴胡桂枝乾薑湯方) (0) | 2025.04.05 |
<선호상한론>확장판 147조문 (0) | 2025.04.04 |
<선호상한론>확장판 146조문(柴胡桂枝湯方) (0) | 2025.03.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