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 「11」 風家가 表解而不了了者는 十二日愈라
『태양중풍인 사람이 표증이 풀렸음에도 개운하지 않은 경우에는 12일이 지나야 낫는다.』
✺方言에 曰 南楚疾愈에 或謂之瘥오 或謂之了라하니라(≪傷寒總病論≫)
✺中風家가 發汗解後에 未全快暢者는 十二日에 大邪皆去하야 六經悉和하면 則愈하니라(≪注解傷寒論≫)
✺風家는 謂中風之病也라 表는 外證也라 解는 罷也라 了了는 猶惺惺也라 言中風之病에 外證俱罷하고 大勢已除한대 餘邪未盡하야 猶未復初也라 十二日은 經盡之時也라 言至此時 則餘邪當悉去而初當復也라 蓋曉人當靜養以待오 勿多事反擾之意라 素問曰 食養盡之오 毋使過之하야 傷其正也라하니 此之謂也라(≪傷寒論條辨≫)
✺風家表解는 已用桂枝湯之互詞也라 用桂枝湯하야 表解니 已勝其任矣어늘 而不了了者는 風爲陽邪오 衛爲陽氣니 風邪雖去나 而陽氣之擾攘이 未得遽寧이라 卽欲治之나 無可治也라 七日不愈어든 俟十二日 則餘邪盡出하고 正氣復理하야 必自愈矣라 見當靜養以需오 不可喜功生事也니라(≪尙論篇≫)
✺風은 乃陽邪오 六은 爲陰數라 表解而不了了者는 裏邪未盡也라 故로 遇重陰則愈라 辨脈篇에 曰 以陽得陰則解也라하니라(≪傷寒論集注≫)
✺風家表解는 是服桂枝湯而表邪已解也라 了了는 決也오 不了了는 言了而未了也라 謂中風家가 表邪已解나 猶有餘邪라 故로 未得遽安이니 汗之則不須更汗이오 攻之則裏內無邪라 雖欲治之나 無可治也라 方注及喻氏는 皆以爲當靜養以需 不可喜功生事也라 十二日愈者는 言經盡兩周하야 邪去而正自復也라 此는 內經立法之常經이니 若至過經不解면 則又爲法外之變이니 又當別論矣라(≪傷寒溯源集≫)
✺不了了者는 餘邪未除也라 七日表解後에 復過一候면 而五藏元氣始充이라 故로 十二日에 精神慧爽而愈라 此는 雖擧風家나 傷寒槪之矣라 如太陽七日病衰 頭痛少愈의 曰衰曰少는 皆表解而不了了之謂也라 六經部位有高下라 故로 發病에 有遲早之不同이라 如陽明은 二日發 八日衰하고 厥陰은 至六日發 十二日衰하니 則六經은 皆自七日解而十二日愈라 夫若誤治면 又不在此例라(≪柯氏傷寒論注≫)
✺風家表解는 邪退而正安矣오 而猶不能霍然無患者는 邪去未盡故也라 十二日에 經氣已周하야 餘邪畢達이라 故로 必自愈라(≪傷寒貫珠集≫)
✺風家는 謂太陽中風也라 表解는 謂用桂枝湯病已解也라 不了了者는 不淸楚也라 言用桂枝湯하야 其表已解나 而猶不淸楚者는 在經餘邪未盡耳라 十二日經盡之時에 餘邪盡하면 自然愈也니라(≪醫宗金鑑≫)
✺素問熱論에 七日에 巨陽病衰하야 頭痛少愈하고 八日에 陽明病衰하면 身熱少愈하고 九日에 少陽病衰하면 耳聾微聞하고 十日에 太陰病衰하야 腹減如故하면 則思飮食하고 十一日에 少陰病衰하면 渴止不滿하며 舌乾已而嚏하고 十二日에 厥陰病衰하면 囊縱하며 少腹微下하니 大氣가 皆去하면 病已愈矣라하니라 中風表解면 自當卽愈어늘 設不了了는 則餘熱未盡이니 俟至十二日經邪盡解하면 無不愈矣라 風寒은 與溫熱之病으로 裏氣不同이나 而其經脈之絡屬 傷受之日期는 無有不同也라(≪傷寒懸解≫)
✺魏荔彤曰 此는 病愈後에 風邪留滯之症이라 十二日愈者는 陰氣復而自神淸氣爽이니 不須妄治也라(≪傷寒論綱目·卷首·總論·脈證總論≫)
✺魏荔彤曰 此는 明太陽中風 病愈後에 風邪留滯之證이니 當聽其自愈오 不必妄治也라 十二日愈者는 六七日推之也라 七日愈者는 太陽中風也라 連病愈之日計之하야 更得六日하면 其實五日이니 除此病愈之後하고 陰氣復於六 而神淸氣爽矣라(≪傷寒論綱目·卷首·總論·愈解≫)
✺邪解後에 未全暢快를 曰病衰 曰少愈니 皆可以不了了三字賅之라 風은 陽邪也니 如太陽中風家가 七日陽得奇數면 邪氣從表而解라 然이나 雖解而餘邪不了了淨盡者는 俟過五日이니 五日爲一侯라 五臟元氣始充하니 合共十二日이오 精神慧爽而愈라 推之컨대 寒爲陰邪니 如發於陰之病은 六日陰得偶數而解라 旣解而不了了者는 亦須復過一侯니 大抵十一日而愈矣라 若誤治는 又不在此例라 此一節은 承上文하야 言旣愈之後而定以全愈之期也라(≪傷寒論淺注≫)
✺風爲陽邪라 故로 風家之向愈할새 以六日爲候는 就陰數也라 風家表解는 謂解肌發汗之後오 不了了者는 或頭尚微痛 或咳吐風痰이라 仲師不出方治하고 但云十二日愈는 不欲以藥味傷正氣也라 如必欲服藥이어든 可於陸九芝不謝方中에 求之라(≪傷寒發微≫)
'<선호상한론>확장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호상한론>확장판 12조문 (1) | 2024.07.09 |
---|---|
<선호상한론>확장판 11조문 (0) | 2024.07.08 |
<선호상한론>확장판 9조문 (0) | 2024.07.06 |
<선호상한론>확장판 8조문 (1) | 2024.07.05 |
<선호상한론>확장판 7조문 (1) | 2024.07.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