歷代醫方
[天元玉冊] 伏羲氏時作이라
≪천원옥책≫: 복희씨 때 지어짐.
[本草] 神農氏所作이라
≪본초≫: 신농씨의 저술이다.
[靈樞經]
[素問] 以上은 軒轅黃帝가 與臣岐伯等으로 問答而作이라
≪영추경≫·≪소문≫: 이상은 헌원 황제가 신하 기백 등과 함께 문답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採藥對]
[採藥別錄] 以上은 桐君所著니 黃帝臣也라
≪채약대≫·≪채약별록≫: 이상은 동군의 저술인데 황제의 신하이다.
[至敎論]
[藥性炮灸] 以上은 雷斅所著니 黃帝臣也라
≪지교론≫·≪약성포구≫: 이상은 뇌효의 저술인데 황제의 신하이다.
[湯液本草] 殷時伊尹所作也라
≪탕액본초≫: 은나라 이윤의 저술이다.
[難經] 戰國時扁鵲所著라 性은 秦이오 名은 越人이라 號扁鵲이라
≪난경≫: 전국 때 편작의 저술이다. 성은 진이고 이름은 월인이다. 호는 편작이다.
[傷寒論]
[金匱玉函經] 以上은 後漢張機所著라 字는 仲景이라 官至長沙太守라
≪상한론≫․≪금궤옥함경≫: 이상은 후한 장기의 저술이다. 자는 중경이다. 관직은 장사태수까지 올라갔다.
[內照圖] 後漢華佗所著라 字는 元化라
≪내조도≫: 후한 화타의 저술이다. 자는 원화이다.
[甲乙經]
[針經] 以上은 西晉 皇甫謐所著라 字는 士安이오 號는 玄晏先生이라
≪갑을경≫·≪침경≫: 이상은 서진 황보밀의 저술이다. 자는 사안이고 호는 현안선생이다.
[范汪方] 東晉范汪所著라
≪범왕방≫: 동진 범왕의 저술이다.
[脉經]
[脉訣] 以上은 西晉 王叔和所著라
≪맥경≫·≪맥결≫: 이상은 서진 왕숙화의 저술이다.
[金匱藥方]
[肘後方] 以上은 晉葛洪所著라 字는 稚川이오 號는 抱朴子라
≪금궤약방≫·≪주후방≫: 이상은 진대 갈홍의 저술이다. 자는 치천이고, 호는 포박자이다.
[藥對] 後周徐之才所著라
≪약대≫: 후주 서지재의 저술이다.
[集驗方] 後周姚僧垣所著라
≪집험방≫: 후주 요승원의 저술이다.
[外臺秘要] 隋王燾所著라
≪외대비요≫: 수대 왕도의 저술이다.
[病源] 隋巢元方所著라
≪제병원후론≫: 수대 소원방의 저술이다.
[千金方] 唐孫思邈所著라 號는 地仙이라
≪천금방≫: 당대 손사막의 저술이다. 호는 지선이다.
[食療本草] 唐孟詵所著라
≪식료본초≫: 당대 맹선의 저술이다.
[本草拾遺] 唐陳藏器所著라
≪본초습유≫: 당대 진장기의 저술이다.
[素問註]
[玄珠密語] 以上은 唐王冰所著라
≪소문주≫·≪현주밀어≫: 당대 왕빙의 저술이다.
[明堂圖] 唐甄權所著라
≪명당도≫: 당대 견권의 저술이다.
[本草音義]
[古今錄驗方] 以上은 唐甄立言所著라
≪본초음의≫·≪고금록험방≫: 당대 견립언의 저술이다.
[本事方] 宋許叔微所著라
≪보제본사방≫: 송대 허숙미의 저술이다.
[備用本草經史證類] 宋唐愼微所著라
≪비용본초경사증류≫: 송대 당신미의 저술이다.
[本草補遺] 宋龐安常所著라
≪본초보유≫: 송대 방안상의 저술이다.
[活人書] 宋朱肱所著라 號는 無求子라
≪활인서≫: 송대 주굉의 저술이다. 호는 무구자이다.
[神應鍼經] 宋許希所著라
≪신응침경≫: 송대 허희의 저술이다.
[活幼新書] 宋陳文中所著라
≪활유신서≫: 송대 진문중의 저술이다.
[脉訣] 宋劉元賓所著라 號는 通眞子라
≪맥결≫: 송대 유원빈의 저술이다. 호는 통진자이다.
[醫說] 宋張擴所著라 字는 子充이라
≪의설≫: 송대 장확의 저술이다. 자는 자충이다.
[傷寒指迷論]
[小兒方] 以上은 宋錢乙所著라 字는 仲陽이라
≪상한지미론≫·≪소아방≫: 송대 전을의 저술이다. 자는 중양이다.
[直指方] 宋楊士瀛所著라 字는 登父라
≪인재직지방≫: 송대 양사영의 저술이다. 자는 등보이다.
[日華子本草] 宋人所著라 不書姓名이라
≪일화자본초≫: 송나라 사람의 저술이다. 성명은 기록하지 않았다.
[三因方] 宋陳無擇所著라
≪삼인방≫: 송대 진무택의 저술이다.
[聖惠方]
[聖濟緫錄] 以上은 宋太宗令諸太醫撰集이라
≪성혜방≫·≪성제총록≫: 이상은 송태종이 여러 태의에게 명해 찬집한 것이다.
[宣明論]
[原病式]
[素問玄機] 以上은 金劉完素所著라 字는 守眞이오 號는 通元處士오 又稱高尙先生이라
≪선명론방≫·≪원병식≫·≪소문현기≫: 이상은 금대 유완소의 저술이다. 자는 수진이고, 호는 통원처사이며, 또 고상선생이라고도 한다.
[明理論] 金成無己所著라
≪명리론≫: 금대 성무기의 저술이다.
[儒門事親書] 金張從政所著라 字는 子和라
≪유문사친서≫: 금대 장종정의 저술이다. 자는 자화이다.
[東垣十書] 元李杲所著라 字는 明之라 自號는 東垣老人이라
≪동원십서≫: 원대 이고의 저술이다. 자는 명지이다. 자호는 동원노인이다.
[醫壘元戎]
[醫家大法]
[湯液本草] 以上은 元王好古所著라 號는 海藏이라
≪의루원융≫·≪의가대법≫·≪탕액본초≫: 이상은 원대 왕호고의 저술이다. 호는 해장이다.
[丹溪心法] 元朱震亨所著라 字는 彦修오 號는 丹溪先生이라
≪단계심법≫: 원대 주진형의 저술이다. 자는 언수이고, 호는 단계선생이다.
[玉機微義] 元劉純所著라 字는 宗厚라
≪옥기미의≫: 원대 유순의 저술이다. 자는 종후이다.
[衛生寶鑑] 元羅謙甫所著라 字는 益之라
≪위생보감≫: 원대 나겸보의 저술이다. 자는 익지이다.
[得效方] 元危亦林所著라 號는 達齋라
≪세의득효방≫: 원대 위역림의 저술이다. 호는 달재이다.
[百病鉤玄] 本朝王履所著라 字는 安道라
≪백병구현≫: 명대 왕리의 저술이다. 자는 안도이다.
[續醫說] 本朝倪維德所著라 字는 仲賢이라
≪속의설≫: 명대 예유덕의 저술이다. 자는 중현이다.
[傷寒𤨏言] 本朝陶華所著라 字는 尙文이오 號는 節庵이라
≪상한쇄언≫: 명대 도화의 저술이다. 자는 상문이고, 호는 절암이다.
[經驗良方] 本朝鄒福所著라
≪경험양방≫: 명대 추복의 저술이다.
[婦人良方] 本朝熊宗文所著라 號는 道軒이라
≪부인양방≫: 명대 웅종문의 저술이다. 호는 도헌.
[醫學正傳]
[醫學權輿]
[醫學集成] 以上은 本朝虞摶所著라 字는 天民이라
≪의학정전≫·≪의학권여≫·≪의학집성≫: 명대 우단의 저술이다. 자는 천민이다.
[丹溪心法附餘] 本朝方廣所著라 字는 約之오 號는 古庵이라
≪단계심법부여≫: 명대 방광의 저술이다. 자는 약지이고, 호는 고암이다.
[養生主論] 元王珪所著라 字는 均章이라
≪양생주론≫: 원대 왕규의 저술이다. 자는 균장이다.
[永類鈐方] 元李仲南所著라 字는 棲季라
≪영류검방≫: 원대 이중남의 저술이다. 호는 서계이다.
[證治要訣] 元戴元禮所著라 號는 復庵이라
≪증치요결≫: 원대 대원례의 저술이다. 호는 복암이다.
[醫通] 本朝韓무所著라 號는 飛霞道人이라
≪의통≫: 명대 한무의 저술이다. 호는 비하도인이다.
[醫林集要] 本朝王璽所撰이라
≪의림집요≫: 명대 왕새의 찬술이다.
[醫學綱目] 本朝人所撰이라
≪의학강목≫: 명나라 사람의 찬술이다.
[醫學入門] 本朝李梴所撰이라
≪의학입문≫: 명대 이천의 찬술이다.
[明醫雜著]
[丹溪附餘]
[本草集要] 以上은 本朝王綸所著라 字는 汝言이라
≪명의잡저≫·≪단계부여≫·≪본초집요≫: 이상은 명대 왕륜의 저술이다. 자는 여언이다.
[古今醫鑑]
[萬病回春] 以上은 本朝龔信所著라
≪고금의방≫·≪만병회춘≫: 이상은 명대 공신의 저술이다.
[外科發揮] 本朝薛己所著라
≪외과발휘≫: 명대 설기의 저술이다.
[醫方集略] 本朝人所著라
≪의방집략≫: 명대 사람의 저술이다.
[醫方類聚]
[鄕藥集成方]: 以上은 本國 祖宗朝命文官醫官撰集이라
≪의방유취≫·≪향약집성방≫: 이상은 우리나라 세종이 문관과 의관에게 명해 찬집한 것이다.
[醫林撮要] 本國內醫鄭敬先所撰 楊禮壽校正이라
≪의림촬요≫: 우리나라 내의 정경선이 찬술하였고, 양예수가 교정하였다.
'<선호동의보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호동의보감/내경편/권1/身形藏府圖>② (0) | 2024.07.03 |
---|---|
<선호동의보감/내경편/권1/身形藏府圖>① (2) | 2024.07.02 |
<선호동의보감/내경편/권1/집례> (0) | 2024.06.30 |
동의보감 서문 (0) | 2024.06.29 |
<선호동의보감/외형편/耳/이롱/풍롱> 원서와 비교하지 않고 번역해서 생긴 오류 (0) | 2024.06.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