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①太乙眞人 七禁文曰 一者는 少言語하야 養內氣하고 二者는 戒色慾하야 養精氣하고 三者는 薄滋味하야 養血氣하고 四者는 嚥精液하야 養藏氣하고 五者는 莫嗔怒하야 養肝氣하고 六者는 美飮食하야 養胃氣하고 七者는 少思慮하야 養心氣라 人由氣生하고 氣由神旺하나니 養氣全神하면 可得眞道라 凡在萬形之中에 所保者는 莫先於元氣니라
태을진인 ≪칠금문≫에 “하나는 언어를 줄여 내기(內氣)를 기르고, 둘째는 색욕(色慾)을 끊어 정기(精氣)를 기르고, 셋째는 자미(滋味)를 적게 하여 혈기(血氣)를 기르고, 넷째는 정액(精液)을 삼켜 장기(藏氣)를 기르고, 다섯째는 진노(嗔怒)를 없애 간기(肝氣)를 기르고, 여섯째는 음식을 좋게 하여 위기(胃氣)를 기르고, 일곱째는 사려(思慮)를 줄여 심기(心氣)를 기르는 것이다. 사람은 기(氣)로 말미암아 생겨나고 기(氣)는 신(神)으로 왕성해지니 기(氣)를 기르고 신(神)을 온전하게 하면 진도(眞道)를 얻을 수 있다. 무릇 만 가지 형체 중에서 보전(保全)할 것은 원기(元氣)보다 우선하는 것이 없다.”라고 하였다.
*太乙眞人曰 一者少言語養內氣 二者戒色欲養精氣 三者薄滋味養血氣 四者咽精液養臟氣 五者莫嗔怒養肝氣 六者美飮食養胃氣 七者少思慮養心氣. 人由氣生 氣由神住 養氣全神 可得眞道. 凡在萬形之中所保者 莫先於元氣 攝養之道 莫若守中實內 以陶和將獲之方 須在閑日 安不忘危 聖人預戒 老人尤不可不愼也(≪壽親養老新書≫, ≪醫方類聚≫)
728x90
반응형
'<선호동의보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호동의보감/내경편/권1/身形/攝養要訣>③ (0) | 2024.08.20 |
---|---|
<선호동의보감/내경편/권1/身形/攝養要訣>② (0) | 2024.08.19 |
<선호동의보감/내경편/권1/身形/按摩導引>④ (1) | 2024.08.17 |
<선호동의보감/내경편/권1/身形/按摩導引>③ (0) | 2024.08.16 |
<선호동의보감/내경편/권1/身形/按摩導引>② (0) | 2024.08.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