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2. {95} 病發熱頭痛호대 脈反沈하고 若不差하야 身體疼痛하면 當救其裏니 宜四逆湯이라
『발열하고 두통하는데 맥은 도리어 沈하고, 증상이 낫지 않고 몸이 쑤시고 아프면 먼저 속을 다스려야 하니 사역탕이 마땅하다.』
✺發熱頭痛은 表病也라 脈反沈者는 裏脈也라 經에 曰 表有病者는 脈當浮大어늘 今脈反沈遲라 故로 知愈也라하니라 見表病而得裏脈則當差어늘 若不差는 爲內虛寒甚也라 與四逆湯하야 救其裏라(≪注解傷寒論≫)
✺雍曰 此는 太陽病而得少陰脈이라 故로 急當救裏라(≪傷寒補亡論·卷五·太陽經證治下九十一條≫)
✺雍曰 凡溫藥은 皆用四逆湯이니 厥脈細者는 宜當歸四逆湯이오 凡脈微欲絶 及脈不出者는 通脈四逆湯이오 內有久寒者는 當歸四逆加吳茱萸生薑湯主之라(≪傷寒補亡論·卷十二·病可溫十三條≫)
✺此는 馮脈不馮證之大旨라 方見太陽下라(≪傷寒論條辨≫)
✺[病發熱頭痛 脈反沈 若不痒 身體疼痛 當救其裏 宜四逆湯/少陰病始得之反發熱脈沈者麻黃附子細辛湯主之] [趙] 竊詳컨대 太陽病 發熱頭痛은 法當脈浮어늘 今反沈이오 少陰脈沈은 法當無熱이어늘 今反熱이니 仲景於此兩證에 各言反者는 謂反常也라 蓋太陽病에 脈似少陰하고 少陰脈에 病似太陽하니 所以皆謂之反 而治之當異也라 今究其旨컨대 均是脈沈發熱이어늘 以其有頭痛 故로 爲太陽病이니 陽證은 當脈浮어늘 今反不能浮者는 以裏虛久寒하야 正氣衰微所致라 又身體疼痛이라 故로 宜救裏하야 使正氣內復하야 逼邪出外니 而乾薑 生附子도 亦能出汗而解라 假使裏不虛寒하면 則脈當見浮而正屬太陽麻黃證也라 均是脈沈發熱이나 以其無頭痛이라 故로 名少陰病이니 陰病은 當無熱이어늘 今反熱은 則寒邪在表하야 未傳於裏하고 但以皮腠鬱閉爲熱 而在裏無熱이라 故로 用麻黃 細辛하야 以發表間之熱하고 附子로 以溫少陰之經이라 假使寒邪入裏 則外必無熱하고 當見吐利厥逆等證而正屬少陰四逆湯也라 由此觀之컨대 表邪浮淺 發熱之反猶輕하고 正氣衰微 脈沈之反爲重하니 此四逆湯不爲不重於麻黃附子細辛湯也라 又可見熟附配麻黃는 發中有補오 生附配乾薑은 補中有發이니 仲景之旨微矣라(≪證治準繩·卷二·太陽病≫)
✺陽病見陰脈하니 裏虛甚矣라 若不瘥三字는 緊甚이라 言此時에 當急投四逆하야 救裏호대 不可緩也오 緩則無及矣라 ······ 王宇泰云 此爲陽病得陰脈이라 若以發熱體痛은 證在太陽이어늘 遲投四逆하면 則病生他變矣라(≪張卿子傷寒論≫)
✺病發熱頭痛者는 太陽傷寒이오 脈反沈者는 其人本虛어나 或病後陽氣弱也라 雖脈沈體虛라도 以其有頭痛表證而用解肌藥한대 病不瘥하고 反加身疼者는 此陽虛陰盛을 可知니 宜與四逆湯하야 回陽散寒하면 不解表而表解矣라 蓋太陽膀胱은 爲腎之腑니 腎中陽虛陰盛하면 勢必傳出於腑라 故로 宜四逆以消陰復陽이라 倘服四逆後에 脈變浮數하고 仍身疼頭痛 熱不止者는 此裏得藥助驅邪外散之候니 仍少用桂枝湯하야 佐其作汗을 更不待言이라 以上은 寒傷營壞證이라(≪傷寒纘論≫)
✺此條는 系中寒病이라 其發熱頭痛者는 以寒中少陰할새 必由太陽直入이라 故로 頭痛而反發熱이라 脈沈 身體疼痛은 乃陰寒之氣가 由內而徹於外也라 其爲中寒病이 無疑라(≪傷寒論辨症廣注≫)
✺此條는 系太陽病에 內無鬱熱하고 邪入少陰하야 遂成虛寒之證이라 且以見身疼痛之當救裏하니 不止於上條矣라 發熱頭痛者는 病在太陽也니 病在太陽하면 則脈宜浮緊 或浮緩 或浮數이라야 斯爲熱病이어늘 今者 脈反沈은 沈爲陰與寒이니 病劇不愈라 更加身體疼痛은 此與上條利不止 而身疼痛者로 同爲陰寒之證이라 亦當救裏니 宜四逆湯은 以溫裏而散其寒邪也라(≪中寒論辨症廣注≫)
✺或問發熱頭痛 脈反沈은 此陽證見陰脈이니 乃死候也어늘 成注反云 表病得裏脈 則當瘥者는 何歟아 余答云 成注云 病當瘥는 誠誤오 子以見陰脈爲死候도 亦非라 夫病加身體疼痛이 卽是不瘥면 非發熱頭痛 見沈脈은 反爲向愈之徵也아 蓋此條病은 本自太陽經而入이라 故로 先見發熱頭痛이라 其脈反沈者는 爲寒中少陰之本脈이오 非陽證見陰脈之比니 至病劇身體疼痛之時에 其邪盡歸少陰 而發熱頭痛等候 已無有矣라 故로 當直救少陰이 無疑니라(≪中寒論辨症廣注≫)
✺或又問陽證頭痛이오 陰證不頭痛이니 今者는 邪傷太陽이어늘 何以又中少陰잇가 余答云 邪從背入할새 太陽居表하고 少陰居裏하니 邪傷太陽하면 不及少陰이오 邪中少陰하면 無有不自太陽經入者라 邪竟入裏 則不頭痛하고 少有停留하면 卽見頭痛等候矣라 世醫但知頭痛爲陽證이나 亦知眞陰證에 間有自頭痛始者니 不可不細察也라(≪中寒論辨症廣注≫)
✺病發熱 頭疼은 邪在太陽之高表니 其脈當浮로대 反沈者는 陽氣內入也라 平脈篇에 曰 病人 若發熱 身體疼 脈沈而遲者는 知其差也라하야늘 今不差코 身體疼痛而脈沈하니 則知正氣之虛陷矣라 故로 當救其裏니 宜四逆湯이라 ○曾氏曰上節은 論地氣下陷則天氣亦不能從地而升이오 此는 言天氣下陷則地氣亦不能上騰於天이라 故로 並宜四逆湯이니 四逆湯은 助中下二焦之生氣者也새라 ○又曰合上兩節은 論太陽之氣從天而降이오 下節은 論從地而升이오 末二節은 論從中而出이라(≪傷寒論集注≫)
✺此太陽症 脈似少陰之條라 太陽症이라 故로 發熱이오 正氣衰微라 故로 脈沈이라 今以四逆湯으로 溫裏逐邪하야 以代麻黃湯이니 非陰症溫經也라(≪傷寒大白·卷一·發熱≫)
✺此는 太陽麻黃湯證이라 病爲在表면 脈當浮而反沈하니 此爲逆也라 若汗之不差면 卽身體疼痛不罷하니 當憑其脈之沈而爲在裏矣라 陽證見陰脈은 是陽消陰長之兆也라 熱雖發於表나 爲虛陽이오 寒反據於裏는 是眞陰矣라 必有裏證伏而未見하리니 藉其表陽之尙存하고 乘其陰之未發하야 迎而奪之면 庶無吐利厥逆之患하야 裏和而表自解矣라 邪之所湊에 其氣必虛라 故로 脈有餘而證不足 則從證이오 證有餘而脈不足 則從脈이라 有餘는 可假나 而不足爲眞이니 此仲景心法이라(≪柯氏傷寒論注≫)
✺發熱身疼痛은 邪在表也어늘 而脈反沈은 則脈與病左矣라 不瘥者는 謂以汗藥發之而不瘥也라 以其裏氣虛寒하야 無以爲發汗散邪之地라 故로 與四逆湯하야 舍其表而救其裏니 如下利身疼痛之例也라(≪傷寒貫珠集≫)
✺身體疼痛之下에 當有下利淸穀四字라야 方合當溫其裏之文이라 觀太陰篇에 云 傷寒醫下之 續得下利淸穀不止 身痛者는 急當救裏니 宜四逆湯이라하야늘 此雖未下나 但脈反沈은 可知裏寒이니 必是脫簡이라(≪醫宗金鑑≫)
✺病發熱頭疼은 太陽表證也라 脈當浮어늘 今反沈은 是太陽表證而得少陰裏脈也라 凡太陽少陰表裏가 皆寒無汗之病은 均宜以麻黃附子細辛湯發之라 若不差한대 不下利者는 更以麻黃附子甘草湯和之라 若下利淸穀하면 卽有身體疼痛之表未解라도 不可更汗이오 當溫其裏니 宜四逆湯으로 防其陽從陰化하야 變厥惕亡陽之逆이오 斷不可謂病在太陽이니 無可溫之理也라(≪醫宗金鑑≫)
✺發熱頭痛은 是太陽表證이니 脈應見浮어늘 乃脈反沈은 是已入太陰之臟이라 若脈沈 不差면 雖身體疼痛하야 表證未解라도 然이나 當先溫其裏니 宜四逆湯이라 甘草는 培其土하고 乾薑은 溫其中하고 附子은 溫其下也라(≪傷寒懸解≫)
✺[病發熱頭疼] 此乃表邪라 [脈反沈] 見裏脈이라 [若不瘥 身體疼痛 當救其裏 宜四逆湯] 身體疼痛은 陰陽二證에 皆有之라 今脈沈而疼痛은 雖發熱이라도 亦是裏寒外熱之證이라 故로 用四逆이라(≪傷寒論類方≫)
✺鼇按컨대 發熱頭痛은 病在表니 本太陽麻黃症也라 脈當浮而反沈이라 故로 爲逆이라(≪傷寒論綱目·卷十四·少陰經證·頭痛眩冒≫)
✺太陽病發熱 頭痛은 病在表니 則脈宜浮而反沈은 此正氣內虛也라 若旣汗之不差하고 其身體疼痛이 仍然不罷어든 須知其表熱爲外發之假陽이오 脈沈爲內伏之裏陰이라 當憑脈以救其裏니 宜四逆湯이라 內經에 云 太陽은 本寒而標熱이라하니 此證은 見標證之發熱하고 不見本證之惡寒이니 以本寒之氣沈於內하야 外無惡寒而內有眞寒也라 此一節은 言病在表而得裏脈은 又當救其裏오 不必如上文之身疼痛 而止救其表也라(≪傷寒論淺注≫)
✺太陽之氣는 外行于三陽而從表하고 內行于三陰而從裏어늘 今表證而得裏脈은 恐沈必兼微니 易所謂履霜堅冰至之義也라(≪傷寒論淺注≫)
✺玉函은 疼上에 有更字라(≪傷寒論輯義≫)
✺案컨대 金鑑曰 身體疼痛之下에 當有下利淸穀四字라야 方合當溫其裏之文이라하니 果如其說이면 則與前條로 無別이니 似剩義矣라 程本金鑑에 改救作溫字는 非也라(≪傷寒論輯義≫)
✺少陰一經은 與太陽으로 相表裏라 太陽之脈浮하고 少陰之脈沈이라 經云病發熱頭痛 脈反沈 若不瘥 身體疼痛 宜四逆湯이라하니 蓋沈은 非太陽之脈이니 卽不得同太陽發表之例 而與以大發其汗矣라(≪傷寒尋源·中集·頭痛≫)
✺病發熱頭痛은 其病在表니 則其脈當浮어늘 而脈反見沈은 則表證當減이니 爲血分之熱度漸低하야 而表熱當除하고 頭痛當愈也라 此는 理之可通也라 惟後文에 所云 若不差 身體疼痛 當救其裏 宜四逆湯은 則大誤矣라 夫身體疼痛爲麻黃湯證은 卽上節所謂急當救表者어늘 豈有病表而反救其裏之理리오 愚按컨대 身體疼痛四字는 實爲腹中疼痛之誤라 寒邪入腹이라 故로 脈沈이니 如此라야 乃與宜四逆湯四字로 密合無間이라 自來注家가 遇此等大疑竇하면 猶復望文生訓하야 坐令仲師醫學失傳하니 可歎也라(≪傷寒發微≫)
'<선호상한론>확장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호상한론>확장판 94조문 (0) | 2024.11.05 |
---|---|
<선호상한론>확장판 93조문 (0) | 2024.11.04 |
<선호상한론>확장판 91조문 (0) | 2024.11.02 |
<선호상한론>확장판 90조문 (0) | 2024.11.01 |
<선호상한론>확장판 89조문 (1) | 2024.10.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