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1. [94] 傷寒 醫下之하야 續得下利호대 淸穀不止하고 身疼痛者는 急當救裏오
後身疼痛 淸便自調者는 急當救表라 救裏는 宜四逆湯이오 救表는 宜桂枝湯이라
『상한에 醫者가 하법을 써서 계속 하리하는데 完穀이 그치지 않고 몸이 아픈 경우에는 먼저 속을 치료해야 하고, 후에 몸이 아프고 대변이 정상이면 급히 표를 다스려야 한다. 속을 다스릴 때에는 사역탕이 마땅하고, 표를 다스릴 때에는 계지탕이 마땅하다.』
✺大抵 大便利 而身體疼者는 當救裏오 大便如常 而身體痛者는 急當救表니 此不可不知也라(≪活人書·69問≫)
✺傷寒에 下之하야 續得下利호대 淸穀不止하고 身疼痛者에 急當救裏者는 以裏氣不足이어든 必先救之새니 急與四逆湯이라 得淸便自調면 知裏氣已和니 然後에 急與桂枝湯하야 以救表라 身疼者는 表邪也라 內經에 曰 病發而不足이어든 標而本之니 先治其標하고 後治其本이라하니라 此는 以寒爲本也라(≪注解傷寒論≫)
✺雍曰 此謂太陽證誤下之者라(≪傷寒補亡論·卷五·太陽經證治下九十一條≫)
✺雍曰 下利는 裏證이오 身疼痛은 表證也라(≪傷寒補亡論·卷八·可發汗五十八條≫)
✺龐氏는 以凡病發熱頭疼 脈反沈 若不瘥 身體疼痛者 脈浮遲 表熱裏寒 下利淸穀者 汗出熱不去 內拘急 支節疼 四逆者 下利 厥逆惡寒者 下利 腹痛脹滿 身疼痛 脈浮者 凡五證에 先用四逆湯으로 溫其裏하야 得利止면 乃可隨證用藥하야 攻表也라(≪傷寒補亡論·卷十二·病可溫十三條≫)
✺淸穀不止 身疼痛者는 下後胃傷하야 裏虛寒甚하야 飮食不腐化 而水穀不分하야 亡津液而骨屬不利也라 救는 護也라 利甚身疼痛 而急當救護其裏者는 下後裏虛爲重也라 淸便自調는 言小便淸而大便調也라 小便淸 大便調는 裏氣和矣라 裏氣和而身疼痛者는 衛不外固而不與榮和也라 急當救護其表者는 不令重虛之表 又易得重傷也라 救裏宜四逆湯者는 復陽而收陰也오 救表宜桂枝湯者는 固衛以和榮也라 此救表救裏之所以各有其急也라(≪傷寒論條辨≫)
✺此는 先溫而後汗之法也라 孫兆曰本是陽病熱證을 爲醫吐下過多하야 遂成陰病者는 却宜溫之오 有本是陰病을 與溫藥過多하야 致胃中熱實 或大便硬 有狂言者는 亦宜下也라(≪證治準繩·卷一·總例·類證雜論≫)
✺體痛은 乃六經俱有之證이니 有表有裏 有寒有熱 有風有濕이라 如太陽傷寒으로 榮血不利하야 身疼者는 宜發汗이오 若汗後에 脈沈遲하며 體痛者는 又宜溫之오 中暍身疼者는 白虎湯解之오 裏寒外熱하야 身疼者는 先當救裏而後攻表라 寒在三陰則脈沈身痛하고 風在三陽則支節煩疼이라 四逆柴胡之劑를 可不審哉아 太陽身痛은 但拘急耳오 中濕身痛은 不可轉側이오 陰毒身痛은 體勢沈重하며 宛如被杖이니 以此別之니라(≪證治準繩·卷二·太陽病·體痛≫)
✺王三陽云 此證은 當照顧協熱利니 須審其利之色何如 與勢之急緩이오 不可輕投四逆桂枝也라 沈亮宸云 此大關鍵이니 不可不知라 若兩感者는 亦可類推矣라(≪張卿子傷寒論≫)
✺下利淸穀者는 脾中之陽氣微 而飮食不能腐化也오 身體疼痛者는 在裏之陰邪盛 而筋脈爲其阻滯也라 陽微陰盛하면 凶危立至니 當救其在裏之微陽하야 俾利與痛而俱止오 救後에 小便淸 大便調 則在裏之陽已復 而身痛不止는 明是表邪未盡하야 營衛不和所致니 又當急救其表하야 俾外邪仍從外解니 而表裏之辨이라야 始爲明且盡耳라 救裏는 與攻裏로 天淵이니 若攻裏는 必須先表後裏오 必無倒行逆施之法이라 惟在裏之陰寒極盛은 恐陽氣暴脫이니 不得不急救其裏하야 俟裏證少定하고 仍救其表라 初不敢以一時之權宜로 更一定之正法也라 厥陰篇에 下利腹脹호대 身體疼痛者는 先溫其裏코 乃攻其表에 曰先溫 曰乃攻은 形容不得已之次第니 足互此意라(≪尙論篇≫)
✺下利淸穀은 陽氣內微也오 身體疼痛은 表邪外盛也라 法當急救其在裏之微陽하야 俟其淸便調和하면 則在裏之陽이 已復而身痛不止는 明是營衛不和所致니 又當急救其表하야 使外邪仍從外解라 夫救裏는 與攻裏로 天淵이니 若攻裏면 必須先表後裏니 惟在裏之陰寒極盛 恐陽氣暴脫 不得不急救其裏也라 厥陰篇下利腹脹 身體疼痛者 先溫其裏 乃攻其表는 是互此意라(≪傷寒纘論≫)
✺但表陽爲裏之衛오 裏陽爲表之主라 溫裏則陽回하야 兼可托表오 溫表則陽出하야 遂爲寒中이라 桂枝湯은 能救表陽이오 不能救裏陽이라 故로 先四逆而後桂枝라 玩本文컨대 旣曰後身疼痛矣라하고 仍曰急當救表라하니 見前之後此者는 不得已而後之也라 今雖淸便自調 而身疼痛一證은 仍在急救之列니 如救焚救溺之狀 後先奔走之不邊也라 陽之不可不扶하고 不使稍有偏失이 如此라 或曰 太陽篇中에 又有桂枝人參湯一證이 亦屬表裏不解어늘 玆何不循其例雙溫而救之아 曰 彼는 乃表陽受陷하야 豫防裏陽欲脫之治오 此條는 裏陽已脫하야 單鞭救主之時에 雖衛陽等當救나 勢不能不舍之幷力於此矣라 就此推之면 凡病有可攻之處而表陽現虛는 先當救表오 表裏之陽虛는 先當救裏라 表陽陷入 而裏陽在欲脫未脫之際에 救表中卽當助顧及裏陽所不足處 着着扶之라 得此義而三百九十七法이 處處入範圍矣니라(≪傷寒論後條辨≫)
✺此條는 系太陽傷寒을 醫家誤行下法하야 因下利淸穀不止면 雖身疼痛이라도 急當溫救其裏라 至其救表之藥 仍用桂枝湯者는 以其人胃氣本實하야 不爲誤下所害故也라(≪傷寒論辨症廣注≫)
✺此條病은 乃陰陽兩證並舉오 非一證分表裏而用二湯也라 寒邪傷表한대 醫誤下之하야 續得下利淸穀不止는 此陽從內脫하야 中下二焦無火하야 不能腐熟水穀이라 故로 色不變而完出하고 且不能止也라 身疼痛者는 爲裏有眞寒하야 寒氣凝泣하면 則骨屬不利라 故로 身疼痛이오 並非表邪骨節疼痛之比라 急當救裏 宜四逆湯은 以扶陽抑陰 則利止而身疼痛自除니 此爲中寒이오 乃裏虛證也라 若下後에 身疼痛 淸便自調者는 邪未入裏라 故로 二便淸調니 必其人胃氣本實 不爲誤下所害라 但見身疼痛은 爲在表有邪니 此非裏寒身如被杖之比라 急當救表 宜桂枝湯은 以和營散邪니 乃太陽中風正治之法也라 諸家皆誤注後身疼痛 淸便自調는 爲用四逆湯以後之見證하니 大謬之極이라 夫四逆湯은 系中寒陰證之藥이오 桂枝湯은 系傷寒熱病之方이어늘 況乎旣先溫裏 隨卽發表하고 又施之於誤下之後하니 其殺人이 何異於操刃邪아 仲景立方本旨는 蓋謂身疼痛 不可盡以爲表邪오 又有裏寒誤下 利不止而身疼痛者라 故로 與桂枝湯證으로 相對而並舉也라(≪中寒論辨症廣注≫)
✺或問桂枝湯은 治太陽有汗之中風이오 中風之證은 必發熱이어늘 醫旣誤下하야 其便雖調나 未必能淸이라 余答云 惟其身疼痛은 爲邪在表라 以故로 淸便自調하고 且仲景原論中不云乎아 傷寒不大便 六七日에 頭痛有熱者는 與承氣湯이오 小便淸者는 知不在裏오 仍在表니 當發其汗이오 宜桂枝湯이라하니 此言淸便自調오 彼言小便淸이며 此言身疼痛이오 彼言頭痛有熱이라 證雖不同이나 學人은 可以意會之而已니라(≪中寒論辨症廣注≫)
✺天氣는 下降하고 地氣는 上升이라 此는 言地氣下陷而正氣虛脫者는 當急救其表裏焉이라 傷寒에 醫下之則正氣隨之內陷矣라 續得下利호대 淸穀不止者는 土氣虛也라 身疼痛者는 邪未解也라 土虛則下焦之生陽不升而外邪未解라 故로 先宜四逆湯으로 急救其裏하야 啓下焦之生陽하야 助中焦之土氣라 後淸便自調而身仍疼痛者는 裏和而表未和니 復宜桂枝湯으로 急救其表라 蓋桂枝湯은 主宣發中焦之精氣하야 充膚 熱肉 濡養筋骨이니 血氣充溢而疼痛始解라 從下焦而達於中焦는 四逆湯也오 從中焦而達於肌表는 桂枝湯也라 由是則地氣升而天氣降矣라(≪傷寒論集注≫)
✺此論誤下之後에 證有表裏緩急之分하고 治有先後虛實之當急也라 下之는 誤下之也라 續은 連續也니 言因誤下之虛하야 遂續得下利不止也라 淸穀은 淸水完穀也니 誤下而胃虛裏寒하야 致完穀不化也라 前後兩身疼痛은 義各不同하니 一以陰寒在裏而痛이오 一以寒邪在表而痛也라 上截所謂身疼痛者는 因誤下陽虛하야 陰寒在裏하야 無陽氣以噓培柔養이라 故로 身疼痛이니 與上篇人參新加湯으로 同義라 雖有誤汗誤下之不同이나 而陽虛則無不同也라 後身疼痛者는 指傷寒之表症而言也라 後는 謂下後오 非救裏之後也라 寒氣傷營하야 營血滯澁하야 不快於流行而痛也라 淸便自調는 謂小便淸而自調니 邪未入裏之徵也라 急救者는 唯恐不及之詞也라 言寒傷營之證에 設醫以藥誤下之하야 致胃陽敗損하야 裏氣虛寒하야 胃不殺穀하고 津液不守하니 所以隨得下利淸穀不止也라 猶身疼痛者는 無陽氣以溫養筋骸 流通氣血之故也라 旣無表證하고 但見裏寒이라 故로 當急救其裏也라 若誤下之後에 但身疼痛하고 小便淸而自調者는 知其寒邪但在於表하고 猶未入裏니 乃傷寒首條之惡寒體痛 及次條身疼腰痛 骨節疼痛 惡風無汗之身疼痛也라 當急救其表니 若不急救其表면 則外邪必乘誤下之虛하야 陷入於裏而爲變逆之證이라 故로 云急也라 然則救裏維何오 宜以四逆湯으로 溫裏復陽이 可也라 若救表어든 則當以桂枝汗解之라 然이나 桂枝湯之不可用於傷寒也는 前上篇第十二條에 已有明禁矣어늘 而此條反用之니 豈仲景二三其說耶아 不知仲景所禁은 但禁脈浮數而發熱汗不出者니 乃未治之傷寒也오 此條는 已屬傷寒誤下하야 胃陽已虛하고 陰邪已盛하며 衛氣已虛니 不宜復用麻黃湯發汗하야 更亡其陽矣라 故로 以桂枝之辛溫으로 宣通其陽氣 而微解其表 則溫散兩全而無害矣라 此又定法中之活法이니 未可執一論也라(≪傷寒溯源集≫)
✺[辨誤] 此節是兩股文이니 當作兩截解라 傷寒醫下之句는 是一條之總冒라 言假若下之後에 續得下利淸穀不止而身疼痛者는 其裏寒已甚하야 陽氣將危오 且全無表證이라 故로 急當救裏니 是以無陽之裏證爲急也라 此三句는 是上半截義라 又言如下後但有身疼痛之表證 而淸便自調者는 是並無裏證可知라 故로 急當救裏니 裏旣無邪하야 當以表邪爲重이라 此三句는 是下半截義라 故로 下文에 又以兩方分隸兩義之下而總結之니 辭義井井 爽然可見이라 不意成氏以來로 各注家俱作一義解하니 皆云救裏之後에 得淸便自調 然後에 與桂枝湯救表라하니라 若果如此論이면 則下截之者字與急字는 皆不須用矣라 豈溫經救裏之後에 身尚疼痛이며 直待淸便自調 裏氣已和 然後救表면 尚可云急乎아 如厥陰條中에 下利腹脹 身體疼痛 先溫其裏 乃攻其表는 方爲次第分明하야 允爲一義나 此條는 乃裏證急則救裏하고 無裏證則救表니 因證施治之活法이라 故로 有兩者字及兩急字以分之니 豈可混講이리오 只因後身疼痛之後字上에 脫一下字하야 稍覺模糊하야 遂成千古之惑이라 奈注者不辨語氣하며 不淸脈理하고 泛然下筆하야 致失作者之意라 竊爲前輩惜之也라 況傷寒用桂枝之禁이 前中風條內어늘 凡諸注家가 皆能申仲景之意而亹亹言之라가 纔至傷寒例中之桂枝湯하야 豈遂忘之 而竟置之弗論耶아 此正所謂隨文順釋而已니 又何裨於後學哉리오(≪傷寒溯源集≫)
✺身痛之症은 六經皆有라 三陽身痛은 皆是表邪오 三陰身痛은 皆是裏寒이라 太陽身痛 發熱無汗 手足冷 脈浮緊은 宜發汗이니 西北冬月은 麻黃湯이오 南方三時는 羌活湯이라 有汗 脈浮緩하면 西北冬月은 桂枝湯이오 南方은 加減防風湯이라 如發汗後에 身痛不減한대 若脈仍浮緊은 可再發汗이오 若汗後에 身痛不減 而脈變遲者는 切不可再發汗이오 宜桂枝人參芍藥湯이라 若初起에 本不身痛이라가 因發汗後에 反見身痛은 此誤汗亡陽身痛也니 黃芪建中湯이라 又有發熱面目黃 遍身疼痛 喜忘 漱水在口 不得咽下는 此上焦蓄血身痛이니 犀角地黃湯에 加紅花 赤芍藥이라 若小腹硬滿 大便或閉 或黑은 此下焦蓄血痛也니 桃仁承氣湯主之라 夏秋中暑하야 多汗身疼 脈反虛而口渴은 人參白虎湯이라 風在三陽하야 惡風發熱 支節煩疼 脈浮 無汗은 宜羌活防風湯이라 風濕相搏하야 身體煩疼 不能轉側 口不消水 脈浮而濡면 北方冬令에 桂枝附子湯이오 南方三時에 防風神朮湯이라 濕溫身痛 汗多口渴 不能轉側은 石膏神朮湯이라 同一身痛不能轉側한대 上條言風濕 口不消渴 則裏無濕熱이라 故로 用防風神朮로 溫散이오 下條言濕溫汗多口渴 則裏有熱矣라 故로 用石膏神朮로 淸滲法이라 大凡濕痛多身重이오 風痛多身輕이며 熱痛多身汗이오 寒痛身多靑이며 飮痛多嘔惡오 暑痛多口渴이며 虛痛多喜按이오 氣痛多攻注며 風火則行走不定 時作時止오 風寒則凝住一處 長痛不休 四肢常冷이라 另有不發熱 脈沈遲 身痛者는 此三陰經陰寒身痛也니 重則四逆湯이오 輕則理中湯이라 頭痛身痛症은 悉系表邪라 頭痛條에 雖有痰飮 火衝二症이나 亦是內有痰火 外冒表邪而痛이오 至身痛은 皆是太陽表症이니 家秘專以羌獨湯加蘇梗木通主治라 更有時行暴寒雨濕이 常發疫邪身痛하니 亦以羌獨敗毒散主治라 如有胸滿嘔吐면 兼用平胃二陳湯하야 宜散胃濕邪痰飮하고 同發表之藥하야 作汗外解라 又有身痛惡寒 發熱嘔惡 下痢血水도 亦用前方하야 宣散溫毒之表邪 則痢自愈라 誤用寒凉抑遏하면 則表汗不出하야 表邪內陷而不治니라(≪傷寒大白·卷一·身痛≫)
✺傷寒表症에 醫誤下之면 則下利不止라 故로 急當救裏오 服後에 身疼痛은 表邪不解라 故로 急救表니라(≪傷寒大白·卷一·身痛≫)
✺寒邪在表而妄下之하야 移寒於脾면 下利不止니 繼見完穀은 胃陽已亡矣라 身疼未除는 是表裏皆困이나 然이나 猶幸此表邪之未除나 裏邪有可救之機라 凡病從外來는 當先解外라 此는 裏證旣急하야 當舍表而救裏니 四逆湯自不容緩이라 裏證旣差오 表證仍在면 救表도 亦不容緩矣라 身疼은 本麻黃證이나 而下利淸穀하니 其腠理之疏를 可知라 必桂枝湯으로 和營衛하면 而痛自解라 故로 不曰攻而仍曰救니 救表는 仍合和中也라 溫中之後에 仍可用桂枝湯이니 其神乎神矣로다(≪柯氏傷寒論注≫)
✺傷寒下後에 邪氣變熱하야 乘虛入裏者는 則爲挾熱下利오 其邪未入裏而臟虛生寒者는 則爲下利淸穀이니 各因其人邪氣之寒熱 與臟氣之陰陽而爲病也라 身疼痛者는 邪在表也라 然이나 臟氣不充하면 則無以爲發汗散邪之地라 故로 必以溫藥으로 舍其表而救其裏라 服後에 淸便自調하고 裏氣已固 而身痛不除하면 則又以甘辛發散爲急이니 不然이면 表之邪가 又將入裏而增患矣라 而救裏用四逆 救表用桂枝는 與厥陰篇下利腹脹滿身疼痛條로 略同이라 彼爲寒邪中陰이오 此爲寒藥傷裏나 而其溫中散邪 先表後裏之法은 則一也라(≪傷寒貫珠集≫)
✺傷寒에 醫不分表裏 寒熱 虛實 而誤下之하야 續得下利 淸穀不止者는 寒其裏也라 雖有通身疼痛之表未除라도 但下利淸穀不止면 裏寒已盛이니 法當急救其裏하야 俟便利自調하고 仍身疼痛不止면 再救其表가 可也라 救裏는 宜四逆湯으로 溫中勝寒이오 救表는 宜桂枝湯으로 調榮和衛也라(≪醫宗金鑑≫)
✺傷寒表病에 下之하야 敗其裏陽하야 續得下利淸穀不止는 已成太陰自利오 而身體疼痛은 表證未解니 是表裏皆病이라 然이나 急當救裏오 不暇及表也라 救裏之後에 利止便調 然後表之라 身疼痛者를 急當救裏는 蓋表邪不解하야 恐裏陰復鬱而生寒이라 故로 救之宜急이라 救裏宜四逆以溫中이오 救表宜桂枝以解外라 傷寒而不用麻黃者는 裏陽旣虛하야 不敢過汗也라(≪傷寒懸解≫)
✺此는 誤下之症이니 邪在外而引之入陰이라 故로 便淸穀이오 陽氣下脫可危니 雖表症未除라도 而救裏爲急이라 傷寒論 不可下編에 云 誤下寒多者는 便淸穀이오 熱多者는 便膿血이라하니라 淸穀已止한대 疼痛未除하니 仍從表治라 蓋凡病은 皆當先表後裏나 惟下利淸穀은 則以扶陽爲急 而表症爲緩也니 表裏分治而序不亂이라 後人이 欲以一方治數症은 必至兩誤니라(≪傷寒論類方≫)
✺徐彬曰 病 醫下之 續得下利 淸穀不止 身體疼痛者는 急當救裏오 後身體疼痛 淸便自調者는 急當救表라 按컨대 此言醫宜知緩急先後之序也라 謂表裏分治는 常理也라 乃有表而復有裏한대 倘因誤下而來는 不得如餘邪未淸 雙解表裏니 雖身疼痛이라도 不可治表라 謂稍緩而表邪將盡入內라 故로 曰 急當救裏라 迨淸便調而身仍痛은 又不得以餘邪而忽之라 謂內旣曾利니 稍緩而裏將復受表邪하야 下利不止也라 故로 又曰 急當救表라(≪傷寒論綱目·卷十四·少陰經證·下利淸穀≫)
✺太陽傷寒을 醫者誤下之하야 因誤下而正氣內陷하야 續得下利淸穀不止는 雖明知一身疼痛 爲屬表者라도 而此時不暇兼顧오 急當救裏라 救裏之後에 審其身疼痛은 知表證之未解오 兼審其淸便自調者는 知裏證之全瘳니 於是復籌所急이라 曰急當救表라 救裏는 宜四逆湯하야 以復其陽이오 救表는 宜桂枝湯하야 以解其肌라 生陽復하고 肌腠解하면 表裏和矣라(≪傷寒論淺注≫)
✺此一節은 反應上文先下而後汗之意하야 以見下之而表裏俱虛하면 又當救裏救表오 不必拘於先下而復汗之說也라(≪傷寒論淺注≫)
✺此下利不止는 陽氣下脫이니 雖有身痛表症이라도 當以救裏爲急이라 救裏之後에 身疼痛하고 淸便自調者는 急當救表니 宜桂枝湯이라 此는 淸穀已止 而身痛不除니 仍從表治也라(≪傷寒指掌·卷二·救逆述古·誤下例≫)
✺上身字下에 玉函은 有體字라(≪傷寒論輯義≫)
✺案컨대 淸便을 方氏喻氏錢氏가 爲小便은 非也라 詳義는 見於桂枝麻黃各半湯條라(≪傷寒論輯義≫)
✺案컨대 錢氏汪氏는 以此條病을 爲陰陽兩證並舉오 非一證分表裏 而用二湯이라하야 辨前注之誤나 卻非也라 案컨대 金匱臟腑經絡先後論篇에 問曰 病有急當救裏救表者는 何謂也오 師曰 病醫下之하야 續得下利하며 淸穀不止면 身體疼痛者라도 急當救裏오 後身體疼痛 淸便自調者는 急當救表也라하니 明是示當知緩急先後之序也라(≪傷寒論輯義≫)
✺活人書曰 兩感者는 表裏俱病也라 仲景無治法하고 但云兩感病俱作하면 治有先後하니 發表攻裏가 本自不同이라 尋至第三卷中에 言傷寒下之云云이라하니 遂以意로 尋比仿效라 治兩感에 有先後하니 宜先救裏라 若陽氣內正하면 卽可醫也라 內才正하면 急當救表라 蓋內尤爲急이니 才溫內則急救表를 亦不可緩也라(≪傷寒論輯義≫)
✺仲景論中本身昭晰하니 不得以身痛屬表證으로 槪與發表하야 致召亡陽之變也라 身痛同爲表證이나 然이나 濕家之爲病도 一身盡疼이니 此는 邪著於裏하고 外舍於肌肉之間이라 要當溫經하야 使自作汗而解오 無徑行發表之理라(≪傷寒尋源·中集·身痛≫)
✺傷寒下後에 續得下利淸穀은 此本太陽表證을 誤下하야 本氣之寒이 陷入腸胃之證也라 太陽傷寒에 身必疼痛은 以寒傷皮毛肌腠하야 津液凝沍 血絡不通之故라 蓋卽上節本發汗而醫反下之之證也라 但旣經誤下한대 表證仍在하고 裏證復起하니 法當先救其裏而後救其表라 所以然者는 一因裏寒下陷하야 有生命之虞오 一因水氣在下하야 雖經發汗이나 汗必牽制而不出하니 又恐一汗而陰陽離決하야 將有虛脫之變也라 若但身疼痛而絶無裏證는 自當以解表祛寒爲急 而絶無可疑니 此는 皆初學之人도 不待煩言而自解者라 惟體痛爲傷寒的證이오 他病所無라 故로 身疼痛 腰痛 骨節疼痛 麻黃湯主之라하고 脈浮緊者 法當身疼痛 宜以汗解之라하니 師雖未出方治나 其爲麻黃湯證이 決然無疑라 金匱痙濕暍篇에 云 風濕相搏하야 一身盡疼痛이면 法當汗出而解라하고 又云 濕家가 身煩疼이어든 可與麻黃加朮湯하야 發其汗이라하고 又云 病者가 一身盡痛호대 日晡所劇者는 可與麻黃杏仁薏苡甘草湯이라하니 則身疼痛之當用麻黃을 已可類推라 況本論에 又云 桂枝本爲解肌니 若其人이 脈浮緊하고 汗不出者는 不可與之라하니 則身疼痛而急當救表之證은 身必無汗 脈必浮緊이오 桂枝湯正在禁例어늘 何得反云宜桂枝湯잇가 故로 知仲景原文은 必云救表宜麻黃湯이라(厥陰篇은 與此로 同이라) 學者가 讀仲景書할새 不觀其通하면 一切望文生訓을 一旦用之失當하고 反令活人方治로 不能取信於病家니 此眞與於不仁之甚也라(≪傷寒發微≫)
'<선호상한론>확장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호상한론>확장판 93조문 (0) | 2024.11.04 |
---|---|
<선호상한론>확장판 92조문 (0) | 2024.11.03 |
<선호상한론>확장판 90조문 (0) | 2024.11.01 |
<선호상한론>확장판 89조문 (1) | 2024.10.31 |
<선호상한론>확장판 88조문 (0) | 2024.10.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