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大陷胸湯方
大黃六兩 去皮 芒硝一升 甘遂一錢匕
上三味를 以水六升으로 先煮大黃하야 取二升하고 去滓하야 內芒硝하고 煮一兩沸어든 內甘遂末하야 溫服一升호대 得快利어든 止後服이라
『위 3가지 약물을 물 6되로 먼저 대황을 달여 2되를 취하고 찌꺼기를 버리고 망초를 넣고 달여 1~2번 끓으면 감수 가루를 넣어 1되를 따뜻하게 복용하되, 상쾌하게 하리했으면 그만 복용한다.』
✺大黃은 謂之將軍이니 以苦蕩滌이오 芒硝는 一名硝石이니 以其鹹能軟硬이오 夫間有甘遂하야 以通水也라 甘遂를 若夫間之하야 遂其氣하면 可以直達透結하니 陷胸에 三物이 爲允이라(≪注解傷寒論≫)
✺結胸은 由邪在胸中하야 處深之高分이라 邪結於是어든 宜若可汗이나 然이나 所謂結者는 若繫結之結하야 不能分解者也라 諸陽受氣於胸中하니 邪氣與陽氣로 相結하야 不能分解하야 氣不通하고 壅於心下하면 爲硬爲痛이라 是邪正困結於胸中이오 非虛煩膈實之所同이니 是須攻下之物可理라 低者는 擧之하고 高者는 陷之하야 以平爲正이어늘 結胸은 爲高邪니 陷下以平之라 故로 治結胸曰陷胸湯이라하니라 甘遂는 味苦寒이라 苦는 性泄하고 寒은 勝熱이라 雖曰泄熱이라하나 而甘遂는 又若夫闕之遂하야 直達之氣라 陷胸破結에 非直達者면 不能透니 是以로 甘遂爲君이라 芒硝는 味鹹寒이라 內經에 曰 鹹味는 下泄爲陰이라하고 又曰鹹以耎之라하니 氣堅者는 以鹹耎之오 熱勝者는 以寒消之라 是以로 芒硝爲臣이라 大黃은 味苦寒하니 將軍也라 蕩滌邪寇하고 除去不平이 將軍之功也라 陷胸滌熱하니 是以大黃爲使라 利藥之中에 此爲駛劑라 傷寒에 錯惡하야 結胸爲甚에 非此湯이면 則不能利通之라 劑大而數少하니 取其迅疾하야 分解結邪하니 此는 奇方之制也라 黃帝鍼經曰 結雖大나 猶可解也라하니 在傷寒之結은 又不能久니 非陷胸湯이면 熱可解之矣아(≪傷寒明理論≫)
✺活人書에 云 西晉崔行功이 云 傷寒에 結胸欲絶 心膈高起 手不得近할새 大小陷胸으로 皆不瘥者는 此是下後虛逆하야 氣已不理 而毒復上攻하야 氣毒相搏하야 結於胸中이니 當用枳實理中丸하야 先理其氣하고 次療諸疾이라 古今用之호니 如神應手而愈라하야늘 今常氏謂增損理中丸이 卽是也라(≪傷寒補亡論·卷十三·結胸二十二條≫)
✺王仲弓曰 治結胸에 當用小陷胸湯이 甚佳라 大陷胸湯은 太峻이라 如不得已 則用大陷胸湯丸이라 脈浮者는 不得用大陷胸丸이니 宜用小陷胸 枳實理中丸이라 結胸에 用黃連巴豆灸法하면 得解오 心下痞硬은 宜旋覆代赭湯이라 若外尚未解 胸滿脇痛者는 宜小柴胡湯이라(≪傷寒補亡論·卷十三·結胸二十二條≫)
✺議曰 病發於陽 而反下之면 熱入因作結胸이오 病發於陰 而反下之면 因作痞라 所以成結胸者는 以下之太早故也라 且脈沈者는 爲病在裏오 緊爲裏實이라 心下痛者는 邪氣上結也라 此爲大結胸之證이니 若非大下泄之면 其病不去也라 故로 用大黃爲君 而盪滌邪結하니 苦以散之라 芒硝爲臣은 以軟其鞕이니 鹹以軟之라 甘遂爲佐爲使는 以通其水 而下其邪之峻烈者也라(≪金鏡內臺方議·大陷胸湯(45)·湯議≫)
✺問曰 結胸證有五하니 曰大 小 寒 熱 水는 何以分之아 答曰 大結胸者는 乃汗下後 而重亡津液하야 邪氣內結하야 從心下至少腹鞕滿而痛 手不可近者라 此는 不按而痛이니 乃邪氣內甚也라 此屬大陷胸湯으로 以利邪氣也라 小結胸者는 在心下하야 按之則痛이 是也니 屬小陷胸湯이라 寒實結胸者는 胸中痞結하야 水漿不下니 此는 寒邪結於胸膈也라 屬枳實理中丸與三物白散等이라 熱實結胸者는 此不因下後而成이오 乃傷寒六七日에 邪氣傳裏之熱實也라 脈沈緊 心下痛 按之石鞕者는 只屬大陷胸湯으로 下邪熱也라 水結胸者는 結胸에 無大熱하고 但頭微汗出하니 此爲水飮也라 亦屬大陷胸湯으로 利下也라(≪金鏡內臺方議·大陷胸湯(45)·疑問≫)
✺以大黃苦以蕩滌하고 芒硝鹹以軟堅하고 甘遂는 通水하야 可以直達其氣 而透胸膈之結也라 但此藥太峻하야 不可輕用이니 如不得已卽用大陷胸丸이라(≪醫學入門·仲景張先生傷寒簒要·傷寒用藥賦·大陷胸湯≫)
✺邪在上者는 宜若可吐라 然이나 謂之結者는 固結於胸中이니 非虛煩膈實者比也라 上焦爲高邪니 必陷下以平之라 故로 曰陷胸이라 蕩平邪寇는 將軍之職也니 所以大黃爲君이오 鹹能軟堅이니 所以芒硝爲臣이라 徹上徹下하야 破結逐水는 惟甘遂有焉이니 所以爲佐라 此惟大實者라야 乃爲合劑오 如挾虛 或短氣 或脈浮는 不敢輕投也라(≪傷寒括要·卷下·太陽篇七十三方·大陷胸湯≫)
✺琥按컨대 上成氏에 云 甘遂는 若夫間之遂라하니 考周禮에 凡治野에 夫間有遂라 注에 云 自一夫至千夫之田히 爲遂溝洫澮하니 所以通水於川이라 遂者는 通水之道也라 廣深各三尺曰遂니 則是甘遂는 乃通水之要藥이라 陷胸湯中以之爲君은 乃知結胸證이 非但實熱이오 此系水邪結於心下故也라(≪傷寒論辨症廣注≫)
✺或問水邪從何而來오 余答云 足太陽은 本寒水之經이니 其邪正盛於表한대 醫人反誤下之하야 邪因內陷하면 斯時水氣가 卽隨經而入이오 況邪熱鬱於胸中하면 其上蒸之氣가 亦可成水니 所以陷胸湯丸에 用甘遂葶藶이라 非究心醫道者는 不能識其奧義也니라(≪傷寒論辨症廣注≫)
✺漢之六兩은 卽宋之一兩六錢二分이라 李時珍云 古之一升은 今之二合半이라 約卽今之一甌也니 每服一甌는 約大黃五錢外라 結胸惡症도 理亦宜然이오 未爲太過어늘 況快利止後服乎아(≪傷寒溯源集≫)
✺陷胸者는 謂能治熱邪陷入胸中而名之也라 邪陷胸膈은 猶大敵入寇하야 絶我津梁하고 據我要害하야 餉道不通하고 樵蘇不爨이니 堅壁固壘는 非勇敢之將 鋒銳之兵이면 不能破也라 故로 用苦寒湧泄之將爲君하고 鹹寒軟堅之副爲佐라 然이나 邪結胸中하야 胃氣不行하고 津液不流하야 水飮並結이라 故로 又以逐水利痰之奇兵爲使라 鼎足之形已定하고 犄角之勢已成 然後에 建大將旗鼓 水陸並進 而成衝鋒陷陣之功이니 豈不偉哉리오 然이나 苟非熱入胃實之證이오 如陰痞之屬이면 則當以德化綏徠 威鎭攝服而已오 未可窮兵黷武 塗炭生民也라 其有表證而脈浮者는 尤所禁忌니 用者審之라(≪傷寒溯源集≫)
✺熱邪傳裏하야 內結小腹하면 用大承氣湯이오 若失汗誤下하야 熱邪內陷하야 作痛胸腹하면 用大陷胸湯丸이라(≪傷寒大白·卷三·結胸≫)
✺其幷病陽明者는 因水結于胸하야 上焦不通이니 則津液不下하야 無以潤腸胃라 故로 五六日不大便하고 因而舌乾口渴하고 日晡潮熱하니 是는 陽明亦受病矣라 心下至小腹이 硬滿而痛不可近하며 脈沈緊者는 此水邪結于心胸 而熱邪實于腸胃라 用甘遂以濬太陽之水하고 硝黃以攻陽明之實하야 湯以蕩之니 是는 爲兩陽表裏之下法也라 二方은 比大承氣로 更峻하니 治水腫痢疾之初起者에 甚捷이라 然이나 必視其人之壯實者하야 施之라 如平素虛弱커나 或病後不任攻伐者는 當念虛虛之禍라(≪傷寒附翼≫)
✺按컨대 大陷胸與大承氣는 其用有心下與胃中之分이라 以愚觀之컨대 仲景所云心下者는 正胃之謂오 所云胃中者는 正大小腸之謂也라 胃爲都會오 水穀並居하야 淸濁未分이니 邪氣入之하면 夾痰雜食하야 相結不解하니 則成結胸이라 大小腸者는 精華已去하고 糟粕獨居니 邪氣入之하면 但與穢物로 結成燥糞而已라 大承氣는 專主腸中燥糞하고 大陷胸은 並主心下水食이라 燥糞在腸하면 必藉推逐之力이라 故로 須枳朴이오 水食在胃는 必兼破飮之長이라 故로 用甘遂라 且大承氣는 先煮枳朴 而後納大黃하고 大陷胸은 先煮大黃 而後納諸藥이라 夫治上者는 制宜緩이오 治下者는 制宜急이오 而大黃은 生則行速이오 熟則行遲라 蓋卽一物 而其用又有不同如此니라(≪傷寒貫珠集≫)
✺大陷胸湯은 陷胸膈間與腸胃有形之垢하고 並解邪從心下至少腹硬滿而痛不可近하니 邪不在一經矣라 胸膈爲陽明之維오 太陽之門戶니 太陽寒水之氣가 結于陽明은 當以猛烈之劑로 竟從陽明攻陷이라 大黃陷熱結하며 甘遂攻水結하고 佐以芒硝之監制二者之苦하야 不令直行而下하야 使其引入硬滿之處하야 軟堅破結하고 導去熱邪라(≪絳雪園古方選註·上卷·下劑·大陷胸湯≫)
✺蔚按컨대 大黃 芒硝 苦鹹之品이 借甘遂之毒하야 直達胸間之飮邪오 不專蕩胃中之邪穢也라 湯與丸分者는 丸은 恐下之太急이라 故로 連滓和蜜服之하야 使留中之邪로 從緩而下오 湯은 恐下之不急하야 取三味之過而不留者하야 蕩滌必盡也라(≪長沙方歌括·卷三·太陽方·大陷胸湯≫)
✺陳亮師曰 結胸者는 結于胸中而連于心下也라 身之有膈은 所以遮上下也라 膈能拒邪면 則邪但留於胸中이오 膈不能拒邪면 則邪留胸而及於胃라 胸胃俱病하면 乃成結胸이라 如胸有邪而胃未受邪면 則爲胸脇滿之半表半裏證이오 如胃受邪而胸不留면 則爲胃家實之陽明病이니 皆非結胸也라 故로 必詳辨分明이면 庶無差誤니라(≪長沙方歌括·卷三·太陽方·大陷胸湯≫)
✺案컨대 周禮에 遂人은 上地에 夫一廛이오 夫間에 有遂오 遂上에 有徑이오 十夫에 有溝라하야늘 鄭玄注에 云 遂溝는 皆所以通水於川也라 遂深二尺이오 溝는 倍之라(≪傷寒論輯義≫)
✺玉函에 又大陷胸湯方은 桂枝四兩 甘遂四兩 大棗十二枚 栝蔞實一枚 去皮 人參四兩이라 上五味를 以水七升으로 煮取三升하야 去滓하고 溫服一升이라 胸中無堅하면 勿服之라 古方選注에 曰 栝蔞는 陷胸中之痰하고 甘遂는 陷經隧之水하고 以桂枝로 回護經氣하고 以人參으로 奠安裏氣하고 仍以大棗로 泄營하야 徐徐縱熱下行하니 得成陷下淸化之功이라 ○案컨대 此方은 大陷胸湯證 而兼裏虛者에 宜用也라 故로 附載於此라 又案컨대 亦見活人書하니 分兩少異라(≪傷寒論輯義≫)
✺千金翼 陷胸湯은 主胸中心下結堅 食飮不消方이라 甘遂 大黃 各一兩 栝蔞 甘草 各一兩 黃連六兩이라 上을 以水五升으로 煮取二升五合하야 分三服이라 千金은 無甘遂라(≪傷寒論輯義≫)
'<선호상한론>확장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호상한론>확장판 136조문 (0) | 2025.01.04 |
---|---|
<선호상한론>확장판 135조문 (1) | 2025.01.03 |
<선호상한론>확장판 134조문 (0) | 2025.01.01 |
<선호상한론>확장판 133조문 (0) | 2024.12.31 |
<선호상한론>확장판 132조문 (0) | 2024.12.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