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4][141] 太陽病에 脈浮而動數하고 (浮則爲風 數則爲熱 動則爲痛 數則爲虛라)
頭痛發熱하며 微盜汗出 而反惡寒者는 表未解也라
醫反下之하야 動數變遲하고 膈內拒痛하니 胃中空虛하야 客氣動膈일새오
短氣躁煩 心中懊惱하며 陽氣內陷하야 心下因硬 則爲結胸이니 大陷胸湯 主之라
若不結胸하고 但頭汗出하야 餘處無汗코 劑頸而還하며 小便不利하면 身必發黃也라
『태양병에 맥이 浮하면서 動數하고(浮脈은 풍사이고 數脈은 열이며 動脈은 통증이고 數脈은 허하기 때문이다) 두통발열하며 약간 도한이 나면서 도리어 오한하는 것은 표증이 풀리지 않았기 때문이다. 의원이 잘못 하법을 써서 動數하던 맥이 遲脈으로 변하고 흉격이 통증으로 만질 수도 없으니 胃中이 공허해서 客氣가 흉격에 動하기 때문이고, 短氣하고 煩躁하며 흉중이 괴롭고, 양기가 안으로 들어가 心下가 그로 인해서 단단해지면 결흉이 된 것이니 대함흉탕으로 다스린다. 만약 결흉하지 않고 단지 머리에만 땀이 나서, 다른 곳은 땀이 없고 목 위로만 땀이 나며 소변이 잘 나오지 않으면 반드시 發黃한다.』
✺動數은 皆陽脈也니 當責邪在表라 睡而汗出者를 謂之盜汗이라 爲邪氣在半表半裏하면 則不惡寒이어늘 此頭痛發熱하며 微盜汗出하며 反惡寒者는 表未解也니 當發其汗이라 醫反下之하야 虛其胃氣하면 表邪가 乘虛則陷이라 邪在表則見陽脈이오 邪在裏則見陰脈이니 邪氣內陷한대 動數之脈이 所以變遲 而浮脈이 獨不變者는 以邪結胸中하야 上焦陽結하니 脈不得而沈也라(≪注解傷寒論≫)
✺客氣者는 外邪가 乘胃中空虛入裏하야 結於胸膈이니 膈中拒痛者는 客氣動膈也라 金匱要略에 曰 短氣不足以息者는 實也라하니라 短氣躁煩하며 心中懊憹는 皆邪熱爲實이라 陽氣內陷하야 氣不得通於膈하고 壅於心下하면 爲硬滿而痛하야 成結胸也라 與大陷胸湯하야 以下結熱이라 若胃中空虛하면 陽氣內陷하야 不結於胸膈코 下入於胃中者니 遍身汗出하면 則爲熱越하야 不能發黃이어니와 若但頭汗出하야 身無汗하고 劑頸而還하며 小便不利者는 熱不得越하니 必發黃也라(≪注解傷寒論≫)
✺常氏云 發黃者는 與茵陳蒿湯이오 煎茵陳濃汁에 調五苓散하야도 亦可라(≪傷寒補亡論·卷五·太陽經證治下九十一條≫)
✺常氏云 可茵陳蒿湯에 調五苓散이라(≪傷寒補亡論·卷十一·發汗吐下後七十三條≫)
✺太陽之脈本浮어늘 動數者는 欲傳也라 浮則爲風四句는 承上文以釋其義라 頭痛至表未解也는 言前證이라 然이나 太陽本自汗 而言微盜汗하고 本惡寒 而言反惡寒者는 稽久而然也라 醫反下之 至大陷胸湯主之는 言誤治之變與救變之治라 膈은 心胸之間也오 拒는 格拒也라 言邪氣入膈하야 膈氣與邪氣相格拒而爲痛也라 空虛는 言眞氣與食氣가 皆因下而致虧損也라 客氣는 邪氣也라 短氣는 眞氣不足以息也라 懊憹는 悔恨之意니 心爲邪亂而不寧也라 陽氣는 客氣之別名也니 以本外邪라 故로 曰客氣오 以邪本風이라 故曰陽氣라 以裏虛也에 因而蹈入이라 故로 曰內陷이라 陽性上浮라 故로 結於胸이니 以胸有凶道而勢大也라 故로 曰 大陷胸湯이라 芒硝之鹹은 軟其堅硬也오 甘遂之甘은 達之飮所也라 然이나 不有勇敢之才 定亂之武면 不能成二物之功用이라 故로 必大黃之將軍을 爲建此太平之主將이라(≪傷寒論條辨≫)
✺若不結胸至末은 以變之亦有輕者言이라 蓋謂邪之內陷에 或不結於胸하면 則無有定聚라 但頭汗出者는 頭乃諸陽之本이오 陽健其用이라 故로 汗出也라 餘處無汗者는 陰脈上不過頸한대 陽不下通하면 陰不任事라 故로 汗不出也라 小便不利者는 陽不下通하고 陰不任事하야 化不行而濕停也라 濕停不行하면 必反滲土而入胃하니 胃土本濕한대 得滲則盛하고 旣盛且停하면 必鬱而蒸熱이라 濕熱內發하면 色必外奪이오 身之肌肉은 胃所主也오 胃土之色黃이니 所以黃發於身爲可必也라 發黃可必而不言其治者는 以有其條也라 學者는 從其類以求之면 則道在矣니라(≪傷寒論條辨≫)
✺[趙] 頭汗出에 有數種하니 如發黃頭汗出者는 熱不得越而上泄也오 背强惡寒 頭汗出者는 寒濕客摶經絡也오 下血譫語 頭汗出者는 熱入血室이오 虛煩懊憹 頭汗出者는 邪客胸中하야 熏發於上也오 水結胸 頭汗出者는 水氣停蓄 不得外行也라 陽微結 與往來寒熱 頭汗出者는 邪在半表半裏也라 發黃鼻衄 小便難 頭汗出者는 邪風火熱 熏灼上炎也라 此數者는 皆爲邪風所干而然이어늘 今活人書는 却稱病人表實裏虛 元府不開 五內乾枯 胞中空虛 津液寡所致라하니 於上數證에 皆非也라 外有二證도 又爲頭汗出之逆이라 經云關格不通 不得尿할새 頭無汗者는 生이오 有汗者는 死라하고 又濕家下之하야 額上汗出 微喘한대 小便利者는 死오 下利不止者도 亦死라하니 以陽氣上脫故也라 活人書此問에 不言何以爲可治不可治之別이라(≪證治準繩·卷三·陽明病·自汗·頭汗≫)
✺[丹] 謹按컨대 太陽病에 在表未曾解한대 在表而攻裏하야도 可謂虛矣어늘 而況所得之脈이 皆浮而動數乎아 今得誤下하야 動數變遲矣오 而又曰 胃中空虛라하고 又曰 短氣躁煩이라하니 虛之甚矣라 借曰 陽氣內陷하야 心下因硬 而可迅攻之乎아 豈大陷胸之力이 緩於承氣리오 況已下者를 不可再下니 寧不畏其虛乎아 上文曰 結胸脈浮大者 不可下 下者死라하고 又曰 結胸證悉具煩躁者死라하야늘 今曰 脈浮라하고 又曰煩躁라하니 大陷胸을 果可用乎아 彼陽病實을 下後에 若胃中空虛하야 客氣動膈하야 心中懊憹者는 以梔子豉湯으로 吐胸中之邪어늘 況太陽失下後에 明有虛證乎아(≪證治準繩·卷五·合病並病汗下吐後等病·結胸≫)
✺中風病에 見浮動數之三脈은 主風 主熱 主痛 更主虛라 虛 故로 邪持日久하야 頭痛發熱惡寒하야 表終不解라 醫不知其邪持太陽 未傳他經하고 反誤下之하야 於是에 動數之脈變遲 而在表之證變結胸矣라 動數變遲 三十六字는 形容結胸之狀殆盡이라 蓋動數爲欲傳之脈 而變遲則力綿勢緩而不能傳이오 且有結而難開之象이니 膈中之氣가 與外入之邪로 兩相格鬪라 故로 爲拒痛이라 胃中水穀所生之精悍이 因誤下而致空虛하면 則不能藉之以衝開外邪하고 反爲外邪衝動其膈하야 於是에 正氣往返邪逼之界하야 覺短氣不足以息하고 更躁煩有加라 於是에 神明不安하야 方寸之地에 覺剝膚近災 無端而生懊憹하니 凡此는 皆陽邪內陷所致라 陽本親上이라 故로 據高位 而心下硬痛 爲結胸也라 非化工之筆이면 安然點綴病情若此哉리오(≪尙論篇≫)
✺太陽中風之脈은 本浮어늘 其兼動數者는 動爲痛 數爲熱爲虛也라 風熱外盛 則頭痛發熱하고 衛氣虛하야 膚腠空疏라 故로 睡則盜汗微出也라 脈動數而汗出은 似乎表解나 邪欲傳裏라 故로 以惡寒爲反也라 醫人不知表未解하고 反誤下之하야 動數之脈變遲니 脈遲 則表邪乘虛入裏하야 已結於胸膈間矣라 膈內拒痛者는 膈中之氣가 與邪氣相拒而作痛也라 胃中空虛者는 胃家之眞氣가 因誤下而致虛也라 客氣者는 邪氣也라 短氣者는 眞氣短促也라 陽氣者는 卽客氣之別名也라 胃家眞氣가 旣虛而短하면 則客邪之氣方盛하야 內動於膈하야 因發躁煩而熱이라 心中懊憹不寧은 此爲陽邪內陷하야 熱蒸成濕하야 濕熱相結而堅實이니 以故로 心下硬하야 成結胸也라 治法은 宜大陷胸湯以下結熱이라(≪傷寒論辨症廣注≫)
✺夫曰膈內 曰心中 曰心下는 皆胸之分也라 名曰結胸은 其邪實陷於胃한대 胃中眞氣虛하야 斯陽邪從而陷入於胸하야 作結硬之形也라 其有邪雖入胃 而胸不至結者는 胃中邪熱이 不能外泄하니 此爲熱不得越하고 但上升於頭而汗出하니 餘處無汗하고 劑頸而還이라 劑者는 分也니 言至頸 則汗分而還 於身則無汗也라 小便不利者는 胃中邪熱이 氣蒸濕積而成水하야 思欲下泄而不得也라 胃屬土하고 其色黃하니 濕熱不得下泄하야 鬱於內하면 必見於外라 故로 至發黃也라 補亡論常器之云 發黃者는 與茵陳蒿湯이오 煎茵陳濃汁에 調五苓散하야도 亦可라하니라(≪傷寒論辨症廣注≫)
✺合下四節은 皆爲大陷胸湯之證 而有風結寒結水結燥結之不同이라 此節은 言風中太陽之表氣한대 醫反下之而成結胸也라 浮則爲風은 風邪在表也오 數則爲熱은 風乃陽邪니 與太陽之氣合而爲熱也라 經云氣傷痛이라하니 風傷太陽之氣라 故로 脈動而動則爲痛이라 夫邪之所湊 其正必虛니 風傷太陽而爲熱 則正氣虛微라 故로 數則爲虛라 頭痛發熱은 病在表也라 表氣虛라 故로 微盜汗出이라 夫汗出則毛腠疏通而反惡寒하니 此表未解也라 醫反下之 則邪正之氣并陷於內라 故로 動數之脈이 變爲遲矣라 下之則邪逆於內라 故로 膈內拒痛而胃中空虛하야 客邪乘虛動膈이라 故로 短氣躁煩이라 盖膈之上은 心肺也오 膈之下는 肝腎也니 呼出心與肺오 吸入肝與腎이라 邪結於中하면 則呼吸不利라 故로 短氣오 上下水火不交라 故로 躁煩也라 邪留於中이라 故로 心中懊憹라 陽氣內陷이라 故로 心下因硬 則爲結胸이라 大陷胸湯主之니 此邪結於內라 故로 用芒硝大黃甘遂以破邪하야 使結邪一鼓而下오 不必破氣達表之葶藶杏仁이라 夫風乃陽動之邪니 卽陷於胸而有不結者는 若不結胸則下陷於中土라 但頭汗出者는 太陽之氣가 不能從樞脇以出表하고 惟從中土而上逆也라 故로 餘處無汗 劑頸而還이라 中土滯而水道不行하니 是以小便不利라 小便不利則濕熱相罯하야 身必發黃하니 治當利其小便也라(≪傷寒論集注≫)
✺辨脈篇云 陰陽相搏을 名曰動이라 陽動則汗出하고 陰動則發熱이라하고 又云 數脈이 見於關上하야 上下無頭尾하고 如豆大하며 厥厥動搖者는 名曰動也라하니 此所謂動數者는 數而躁動也라 痛은 卽下文頭痛也라 虛는 謂營陰弱也라 盜汗은 睡臥中之汗也라 陽以外衛乎皮毛하고 陰以滋榮其血絡이라 目閉則衛陽內入하야 無以外衛하고 營虛不守라 故로 陰液盜出이라 此는 因風邪傷衛 則衛强營弱하야 毛孔不閉라 故로 微盜汗出也라 發熱盜汗은 卽數則爲虛之義니 言衛强則陽盛하야 發熱而脈數하고 營弱則陰虛하야 惡寒而汗出也라 浮則爲風以下四句는 卽所以釋脈浮而動數也라 頭痛發熱 微盜汗出而惡寒은 卽風熱痛虛之見證也라 言浮則風邪在衛오 數則邪鬱發熱이오 躁動則風邪不得發越이라 故로 頭痛이라 脈數則陽邪勝而營陰虛弱이라 故로 微盜汗出而惡寒이니 卽前太陽中風 陽浮而陰弱 陽浮 熱自發 陰弱 汗自出 嗇嗇惡寒之變文也라 此爲表邪未解니 乃桂枝湯證也라(≪傷寒溯源集≫)
✺粗工이 不察而反下之면 則胃脘之陽氣大傷하야 遂至動數之脈이 變而爲遲矣라 遲者는 虛寒之脈也라 中氣旣餒 則表間陽邪가 乘胃氣之虛寒하야 陷入胸膈하니 邪盛正虛하고 正邪相拒라 故로 作痛也라 曰胃中空虛는 非水穀盡出而空虛也오 乃胃中眞陽이 因誤下之損而空虛也라 眞氣空虛 則陷入之客氣가 擾動胸膈 而膻中呼吸之氣가 有所隔礙라 故로 短促不伸也라 膈間氣不得舒하야 邪結於裏하니 所以躁擾煩悶 而心中若有所懊憹者然이라 此는 皆陽邪內陷이라 故로 心下因之而硬하야 遂爲熱入之結胸矣라 以動數之脈이 變而爲遲니 雖爲中氣已虛나 然이나 邪熱結硬於胸中 則爲實邪在裏니 當以大陷胸湯主之라(≪傷寒溯源集≫)
✺若陽邪雖陷而不結於胸中하고 但頭汗出者는 以諸陽脈皆上至頭하야 頭爲諸陽之會어늘 陽邪獨盛於上이라 故로 但頭汗出也라 諸陰脈은 皆至頸하야 從胸中而還이라 然이나 陰液爲陽氣所蒸이라야 乃得爲汗이라 陰陽之脈絡은 雖交互於周身이나 因陽邪在上하야 無以蒸騰이라 故로 餘皆無汗하고 但劑頸而還也라 熱邪內陷한대 旣不得汗泄 而小便不利면 則又不得隨水液而下走하야 濕熱鬱蒸이라 故로 身必發黃也라 發黃不立治法者는 以有例在後也라 此條는 雖動數變遲나 終屬陽邪內陷이라 故로 以大陷胸湯攻之라 熱邪內陷하야 尚且動數變遲어늘 豈陰痞反有熱入同推之理乎아 故로 曰綱領中에 難於並言이오 至條目中이라야 始能悉言之也라 喻氏謂動數變遲三十六字는 形容結胸之狀殆盡이라하고 歎其爲化工之筆하니 宜哉로다(≪傷寒溯源集≫)
✺[辨誤] 仲景爲傷寒立法之祖니 雖後賢繼起라도 鮮有不讀其書而師其訓者矣라 故로 凡讀之者가 各有議論하야 雖或未能盡其典要라도 而亦各鳴其所得이오 或是或否나 皆不敢逾越其軌度라 然이나 未有如丹溪朱氏之不善讀書者也라 如此條之痛斥仲景曰 按컨대 太陽病에 在表未曾解한대 在表而攻裏하야도 可謂虛矣어늘 而況所得之脈이 皆浮而動數乎아 今得誤下하야 動數變遲矣오 而又曰胃中空虛라하고 又曰短氣躁煩이라하니 虛之甚矣라 借曰陽氣內陷하야 心下因硬 而可迅攻之乎아 豈大陷胸之力이 緩於承氣리오 況已下者를 不可再下니 寧不畏其虛乎아 上文曰 結胸 脈浮大者 不可下 下者死라하고 又曰結胸證悉具 煩躁者死라하야늘 今曰脈浮라하고 又曰煩躁라하니 大陷胸을 果可用乎아 彼陽病實을 下後에 若胃中空虛하야 客氣動膈하야 心中懊憹者는 梔子豉湯으로 吐胸中之邪어늘 況太陽失下後에 明有虛證乎라하니 如此議論은 豈非痛貶仲景敘證之差 用藥之誤乎아 豈知仲景原因脈浮而動數 頭痛發熱 盜汗惡寒之表症未解 爲不可攻下라 故로 曰反下리오 至誤下之後에 胃中眞陽已虛하니 所以動數之脈이 已變而爲遲矣라 變遲之後에 陽邪已陷이어늘 豈尚有浮脈耶아 仲景所謂浮而動數者는 蓋未下之前에 邪氣在表之脈也라 丹溪가 不曉此義니 此不善讀之一也라(≪傷寒溯源集≫)
✺又以動數變遲爲虛는 不知正氣旣虛한대 熱邪已陷하야 正虛邪實而膈內拒痛矣라 丹溪가 又不知此義니 其不善讀者二也라 又以胃中空虛爲虛는 不知仲景之曰空虛가 蓋以胃中眞陽虛損爲言이오 非水穀邪氣盡空也니 所以下文卽有客氣動膈四字는 因胃氣虛라 故로 客氣得以入膈而變動이니 此亦正虛邪實也어늘 豈可竟作虛論耶아 丹溪가 又不知此하니 其不善讀者三也라 又以短氣躁煩爲虛甚은 不知邪結胸膈하야 氣道阻塞하고 且熱邪內鬱이라 故로 短氣躁煩而心中懊憹也라 丹溪又昧其旨하니 此不善讀之四也라 又云借曰陽氣內陷하야 心下因硬 而可迅攻之乎아 豈大陷胸之力이 緩於承氣리오 況已下者를 不可再下니 寧不畏其虛乎라하니 王肯堂論大陷胸湯에 云 傷寒錯惡는 結胸爲甚이라하니 此는 非不能通利오 須其迅速이라야 方能分解結邪라 丹溪識見이 又不至此하니 其不善讀者五也라 又云上文曰結胸脈浮大者不可下 下者死라하니 仲景이 於未結胸之脈浮動數者에 已云不可下는 恐誤下成結胸也라 至若旣成結胸而尚往來寒熱者는 已不用大陷胸 而用大柴胡湯表裏兩解之法矣라 況已結胸而脈尚浮大면 則在表之邪를 不可限量이라 故로 曰不可下라 且此條는 動數變遲之後니 並無浮脈再見이어늘 豈可引此以責仲景乎아 此不善讀之六也라(≪傷寒溯源集≫)
✺又曰結胸證悉具 煩躁者死라하야늘 今脈浮하고 又曰煩躁라하니 大陷胸을 果可用乎라하니 不知仲景之所謂悉具者는 言結胸所犯之脈證이 無所不備也라 此一節은 非眞有此證이오 乃仲景設言以訓後世之文이라 故로 鋪敘自表入裏 所以致成結胸之故오 及描寫邪氣陷入而成結胸之狀을 曆曆如繪하야 直至結胸已成 然後에 云以大陷胸湯主之라 若如此以漸而入者를 卽謂結胸症悉具면 則下文結胸熱實 脈沈而緊 心下痛 按之石硬者는 當如何耶아 況尚有舌上燥而渴 日晡潮熱 從心下至少腹 硬滿而痛不可近者는 又如何耶아 且所謂短氣躁煩 心中懊憹는 胸猶未結也오 至陽氣內陷 心下因硬 則爲結胸矣라 所謂躁煩者는 熱邪初入하야 不得發越而躁煩이오 非已成硬結하야 胃氣將絶之煩躁可比라 煩躁躁煩은 義自不同이어늘 丹溪가 又不能辨하니 此不善讀之七也라(≪傷寒溯源集≫)
✺又言彼陽病實을 下後에 若胃中空虛하야 客氣動膈하야 心中懊憹하면 以梔子豉湯으로 吐胸中之邪어늘 況太陽失下後에 明有虛證乎라하니 此段은 乃仲景論中陽明條下에 脈浮而緊 咽燥口苦 腹滿而喘 不惡寒反惡熱之證也오 非脈浮而動數 發熱汗出 反惡寒 太陽表證未解之可比也라 且陽明條下에 原云若下之 則胃中空虛 客氣動膈 心中懊憹 舌上有苔而猶未結胸也라 故로 以梔子豉湯으로 湧其未結之邪耳오 此條는 乃太陽脈浮動數之表邪가 因誤下而動數變遲하야 遂致膈內拒痛 胃中空虛 客氣動膈 短氣躁煩 心中懊憹나 然이나 必陽氣內陷하야 心下固硬而爲結胸이라야 方用大陷胸湯攻之라 若熱邪未陷하야 心下不硬하면 則猶未成結胸이오 不過胃中空虛하야 客氣動膈하야 心中懊憹니 初入胸中之邪而已어늘 豈有不用梔子豉湯以吐其未結之邪乎아 若猶未信이어든 但觀陽明篇中에 有云 陽明病에 下之하야 其外有熱 手足溫하며 不結胸하고 心中懊憹 饑不能食 但頭汗出者는 梔子豉湯主之라하니 非若心中懊憹而猶未結胸者之明證耶아 今陽氣已陷하야 心下已硬하야 結胸已成이어늘 豈可亦以梔子豉湯吐之아 丹溪讀其書而不達其意하고 昧其義而妄毀之니 是誠何心哉아 嗚呼라 斯道之晦는 斯民之厄也니 能無辨乎아 所以張介賓類經求正錄에 云 劉朱之言不息이면 則軒岐之澤不彰이라하니 信乎斯言之不謬也夫ᅟᅵᆫ져(≪傷寒溯源集≫)
✺此條는 言表邪未解한대 誤下變結胸에 當用結胸法이라(≪傷寒大白·卷二·煩躁≫)
✺此條는 因結胸症兼懊憹라 故로 治結胸이라(≪傷寒大白·卷三·懊憹≫)
✺浮而動數은 表脈也오 頭痛發熱 盜汗惡寒은 表症也라 醫反下之하야 動數變遲는 結胸脈也라 膈內拒痛 懊憹 心下因硬은 結胸症也라 故로 用大陷湯이라 設若不結胸하고 頭有汗遍身無汗하고 小便不利하면 則淤熱無從發泄하니 身發黃矣라(≪傷寒大白·卷三·結胸≫)
✺脈浮動數은 皆陽也라 故로 爲風爲熱爲痛 而數則有正爲邪迫하야 失其常度之象이라 故로 亦爲虛라 頭痛發熱 微盜汗出 而復惡寒은 爲邪氣在表니 法當發散 而反下之면 正氣則虛하고 邪氣乃陷이라 動數變遲者는 邪自表而入裏 則脈亦去陽而之陰也라 膈內拒痛者는 邪欲入而正拒之하야 正邪相擊則爲痛也라 胃中空虛 客氣動膈者는 胃氣因下而裏虛하야 客氣乘虛而動膈也라 短氣躁煩 心中懊惱者는 膈中之飮이 爲邪所動하야 氣乃不舒 而神明不寧也라 由是陽邪內陷하야 與飮相結하야 痞硬不消 而結胸之病成矣라 大陷胸湯則正治陽邪內結胸中之藥也라 若其不結胸者가 熱氣散漫하야 旣不能從汗而外泄하고 亦不得從溺而下出하야 蒸鬱不解하야 浸淫肌體면 勢必發黃也니라(≪傷寒貫珠集≫)
✺數則爲虛句는 疑是衍文이라(≪醫宗金鑑≫)
✺太陽病에 脈浮而動數하니 浮則爲風邪脈也오 數則爲熱邪脈也오 動則爲諸痛脈也라 頭痛發熱은 太陽證也라 熱蒸於陽한대 陽虛則自汗出이오 熱蒸於陰한대 陰虛則盜汗出이라 陰虛는 當惡熱이어늘 今反惡寒이라 故로 知此非陰虛之盜汗이오 乃表未解之盜汗으로 微微而出也라 表未解는 當解表이어늘 醫反下之하야 遂使動數之熱脈이 變爲寒遲니 蓋動數은 乃表邪欲傳이어늘 因下而逆於膈中이라 故로 不傳而脈亦變也라 表客陽邪가 乘胃空虛하야 陷入胸膈而拒痛하고 短氣不能布息하며 煩躁 心中懊憹하고 心下因硬이니 逕從實化而爲結胸矣라 法當以大陷胸湯主之라 若不從實化하야 不成結胸하고 但頭汗出至頸하며 餘處無汗하면 則熱不得越也라 小便不利 則濕不得瀉也니 熱濕合化라 故로 身必發黃也라(≪醫宗金鑑≫)
✺震亨所論治에 以梔子豉湯吐之는 亦是未成結胸하고 從胸虛有熱而化者宜也라 若從胸虛有寒而化者는 不論已成未成結胸 則又當從活人書溫補法矣니 不可混施也라(≪醫宗金鑑≫)
✺太陽病에 脈浮而兼動數은 浮則爲表中於風이오 數則爲營鬱發熱이오 動則爲經氣莫泄이니 鬱迫而生疼痛하고 數從浮見은 尚非內實이니 是以曰虛라 其證頭痛發熱 微盜汗出 而反惡寒者는 表邪未解故也라 醫不解表 而反下之하야 動數之脈이 變而爲遲면 則胃氣敗矣라 陽敗胃逆하야 礙膽木降路하야 逆衝胸膈하야 膽胃相拒면 則膈內疼痛이라 甲木下行하야 化相火而歸癸水하야 相火在水가 是爲下焦主氣어늘 今陽敗胃虛하야 甲木逆行은 以下焦主氣가 客居膈上하야 衝動不已니 此拒痛所由來也라 心肺之氣는 以下降爲順이어늘 胃膽逆阻하야 心肺莫降하야 相火上炎하야 助君火而刑辛金하면 則煩躁懊憹 氣短胸盈이라 膈熱鬱發한대 皮毛不開하면 經中陽氣도 亦遂內陷이라 經腑之熱이 彼此壅塞하야 心中堅凝하니 是爲結胸이라 肺金鬱遏하야 霧氣淫蒸하면 津液淤濁하야 化生痰涎이라 大陷胸湯은 硝黃으로 淸其鬱熱하고 甘遂로 決其痰飮하니 胸中邪熱이 推蕩無餘矣라(≪傷寒懸解≫)
✺若其不成結胸하고 但頭上汗出 餘處無汗 劑頸而還 下見小便不利者는 是苦寒泄其脾陽하야 濕氣內鬱 而無降路하니 身必發黃也라 表熱傳胃하면 則爲陽明證이니 陽明有陽而無陰이라 故로 病燥熱이오 表熱入膈하면 則爲結胸證이오 結胸上陽而下陰이라 故로 病濕熱이라 臟氣發舒면 則津液流溢하고 臟氣堙塞이면 則痰涎凝結이니 無二理也라 按컨대 大陷胸證은 表陽卽陷 而經邪未解니 是宜內淸胸膈之熱하고 外解皮毛之邪하야 使上鬱之裏熱로 固自裏散하고 內陷之表陽으로 還從表出이라 仲景이 用大陷胸湯하야 但泄上焦濕熱 而不用表藥은 是救急之法이라 此處에 尚可變通이니 愚意用石膏 甘遂 枳實 麻黃하야 雙解表裏면 得仲景法外之意矣라 程氏曰 結胸證은 用枳實理中丸하면 甚效라 欲破其結 而軟其堅이어든 則黃芩 栝蔞 牡蠣爲佳라(≪傷寒懸解≫)
✺[太陽病 脈浮而動數 浮則爲風 數則爲熱 動則爲痛 數則爲虛 頭痛發熱 微盜汗出 而反惡寒者 表未解也 醫反下之] 經云 病發於陽而反下之 熱入因作結胸이 是也라 [動數變遲] 正氣益虛라 [膈內拒痛 胃中空虛 客氣動膈 短氣躁煩 心中懊憹 陽氣內陷 心下因硬 則爲結胸 大陷胸湯主之] 此段은 明所以致結胸之由 及結胸之狀最詳이니 乃因邪在上焦한대 誤下以虛其上焦之氣 而邪隨陷入也라 此證은 與承氣法으로 迥殊라 [若不結胸 但頭汗出 餘處無汗 劑頸而還 小便不利 身必發黃也] 此는 乃誤下 而邪氣不陷入上焦하고 反鬱於皮膚肌肉之間이라 故로 現此等證이라(≪傷寒論類方≫)
✺太陽中風之病에 診其脈浮而動數이라 風性浮越이라 故로 浮則爲風이오 風爲陽邪라 故로 數則爲熱이오 陰陽相搏이라 故로 動則爲痛이오 邪盛則正虛라 故로 數則爲虛라 病太陽之肌表 則頭痛이오 得標陽之熱化 則發熱이오 凡傷風은 必自汗이니 汗少則惡風이오 汗出多면 亦必惡寒이라 原無盜汗之證이오 盜汗도 亦無惡寒之證이어늘 今微盜汗出 而反惡寒者는 乃中風稽久之證이라 雖不若初中之重 而要其表邪未嘗解也라 醫反下之하야 表邪乘虛內入이라 故로 動數之脈變遲하고 邪氣與膈氣在內相拒而痛하고 胃中被下而空虛하야 客氣無所顧忌而動膈이라 膈上爲心肺하야 主呼氣之出하고 膈下爲肝腎하야 主吸氣之入이어늘 今爲客氣動膈하면 則呼吸之氣不相接續이라 故로 短氣오 上下水火之氣不交라 故로 煩躁오 煩躁之極 則心中懊憹라 此는 皆太陽之氣隨邪氣而內陷하야 心下因硬 則爲結胸이니 以大陷胸湯主之라 若不結胸 而陷於太陰濕土之分 則濕熱相并하야 上蒸於頭하야 但頭汗出하고 津液不能旁達하야 餘處無汗하고 劑頸而還하니 若小便不利면 濕熱因無去路하야 鬱於內而熏於外하야 身必發黃也니라 此一節은 言中風誤下而成結胸也라(≪傷寒論淺注≫)
✺膈內拒痛은 玉函 脈經 千金翼에 作頭痛卽眩이라 客氣는 外臺에 作客熱이라 餘處는 玉函 脈經에 作其餘라 全書는 脫處字라 劑는 脈經 千金翼에 作齊라 黃下에 成本은 有也字라 袁表沈際飛本脈經에 有屬柴胡梔子湯六字라 金鑑에 云 數則爲虛句는 疑是衍文이라하니 是也라 心下因硬은 程本에 作心中因硬이니 非也라(≪傷寒論輯義≫)
✺錢氏云 表未解는 乃桂枝湯證也라하니 竊疑컨대 當是柴胡桂枝湯證이라 又云 動數之脈이 變遲之後에 陽邪已陷이어늘 豈尚有浮脈乎아 必無浮脈再見之理矣라하니라(≪傷寒論輯義≫)
✺明理論曰 傷寒盜汗은 非若雜病者之責其陽虛而已니 是由邪在半表半裏使然也라 何者오 若邪氣一切在表於衛하면 則自汗出이어늘 此則邪氣侵行於裏하야 外連於表邪니 及睡則衛氣行於裏할새 乘表中陽氣不致하야 津液得泄 而爲盜汗이라 亦非若自汗에 有爲之虛者하고 有爲之實者라 其於盜汗은 悉當和表而已라(≪傷寒論輯義≫)
✺案컨대 客氣는 外臺에 作客熱이니 知是陽氣는 乃陽熱之邪氣也라(≪傷寒論輯義≫)
✺案컨대 證治准繩에 載朱震亨說한대 云 胃中空虛 短氣煩躁는 虛之甚矣니 豈可迅攻之乎아 以梔子豉湯으로 吐胸中之邪而可也라하야늘 錢氏則稱朱氏不善讀書者하고 因歷舉七條하야 以辨其誤니 可謂至當矣라 文繁하니 今省之라(≪傷寒論輯義≫)
✺結胸兼涉陽明은 仍用本湯이라 大陷胸湯은 由胸膈直達腸胃하야 亟從下奪이오 不用一藥監制니 此最猛劣之劑라 故로 曰大라 ······ 按컨대 動數變遲三十六字는 形容結胸之狀如繪라 蓋動數爲欲傳之脈이오 遲則不能復傳이라 陽邪因誤下而內陷 而裏飮復與之相格하야 心下因硬하고 膈間拒痛이라 本方은 雖用硝黃 而關鍵은 全在甘遂末一味니 使下陷之陽邪 上格之水邪로 俱從膈間分解라야 而硝黃이 始得成其下奪之功이라 若不用甘遂면 便屬承氣法이오 不成陷胸湯矣라(≪傷寒尋源·下集·大陷胸湯≫)
✺脈動應頭痛이오 脈浮應發熱이오 數爲虛則應盜汗이라 若果內虛則不惡寒이어늘 今反惡寒者는 乃表邪未解오 非內虛也라 在表宜散이어늘 醫者가 不知表散 而反下之면 則動數快利之脈이 反變出艱遲之象이니 此非虛寒脈遲오 乃因下後阻抑其脈하야 使不快利하야 脈被其阻則不易出이라 況胸膈間은 爲正氣往來之路니 爲邪所入한대 正氣拒之면 則爲拒痛이라 蓋正氣生於氣海하야 上於胸膈이어늘 尤賴胃中氣實有以托之면 則正氣外出하야 邪不得入이라 今下後胃中空虛하야 不能扶托正氣하야 遂令客熱之邪 得入膈中하야 行動不止니 正氣因與相拒也라 膈中者는 呼吸之路道也니 邪正相拒하면 則呼吸之路不通利라 故로 短氣오 邪內犯則煩하고 正難出則躁오 煩躁之極하면 心中懊憹라 所以然者는 人之元氣가 生於膀胱水中하야 透入氣海而上於胸膈하야 氣生一水어늘 爲邪所阻하야 陷於胸中하면 則仍化爲水하야 與邪熱結하니 是爲水火交結하야 心下因硬하면 則爲結胸이라(≪傷寒論淺注補正≫)
✺此는 仲景自行注解之文이어늘 淺注不知膈間膜油下達氣海 內通心包 上達口鼻 外通皮毛하니 是以註多不晰이라 又下文若不結胸은 是胸前之膈通利면 則氣得上出이라 故로 但頭汗出이오 餘處無汗은 是邪熱從周身皮毛로 陷於肥肉膏油之內하면 則周身膜油氣不得出이라 故로 無汗이라 若小便利하면 則水得下瀉하야 不與熱蒸이어니와 小便不利者는 水壅於內하야 必與熱蒸하야 從肥肉肌腠中하야 必發出黃色이라 是黃證은 乃邪熱阻於通身之油中이오 陷胸은 是邪熱阻於胸前之膜中이라 陷胸은 是水火相結이오 發黃은 是水火相蒸이니 必知邪正水火之理하고 又必知膜油之別 然後에 知仲景連及黃證이 是與陷胸으로 互相發明也니라(≪傷寒論淺注補正≫)
✺太陽病은 無問傷寒中風코 其脈必浮라 浮而見數 則爲中風發熱이라 動者는 不靜之謂라 風中肌腠 則上冒太陽之穴而頭痛이라 數爲營氣之熱이라 肌腠閉而營虛不能作汗하야 風熱上鬱이라 故로 頭痛而脈數이라 醫者가 苟遇此證할새 一見頭痛發熱 汗出惡寒者면 不特腠理未解오 旣皮毛亦未解니 桂枝二越婢一湯이 其正治也어늘 醫反下之면 則表陽隨之下陷而營氣益虛하야 動數之脈이 因變爲遲라 此證은 太陽魄汗이 未經外泄 則以誤下而成上濕이오 太陽陽熱이 不從汗解 則以誤下而成下燥라 上濕不盡하면 則痰涎凝結而膈內拒痛이오 下後에 胃中空虛하야 中無所阻하야 下陷之陽熱이 上衝하야 客氣動膈 而又上阻於痰濕하면 則短氣而躁煩이라 於是에 心中懊憹니 懊憹者는 濕盛陽鬱而氣機不利也라 陽氣迫於下하고 濕邪停於上하야 壅阻膈下하면 心下因硬이니 此爲結胸所由成이라 內陷之陽氣가 欲出而不得이라 故로 躁煩하야도 可以不死니 非似孤陽外浮 陰寒內阻之煩躁가 爲陰陽離決而必死也라 是故로 大陷胸湯이니 用大黃 芒硝 以除內陷之陽熱하고 用甘遂以祛膈下之濁痰하면 而結胸自愈矣라 設因誤下之後에 不病結胸은 則寒濕內陷 而上無津液이니 證情이 與火劫發汗 但頭汗出劑頸而還으로 相似라 惟火劫發汗者는 津液已涸이라 故로 陰虛不能作汗이오 此證은 爲陰液內陷이라 故로 亦見但頭汗出劑頸而還之證이라 陰液이 與濕熱으로 並居라 故로 小便不利而身發黃이니 但令小便一利면 則身黃自退라 太陽府氣通하야 陰液得隨陽上升하면 而汗液自暢이니 此는 又爲五苓散證 而無取大陷湯者也라(不由誤下之結胸을 予屢見之라)(≪傷寒發微≫)

'<선호상한론>확장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호상한론>확장판 135조문 (1) | 2025.01.03 |
---|---|
<선호상한론>확장판 134조문(大陷胸湯方) (0) | 2025.01.02 |
<선호상한론>확장판 133조문 (0) | 2024.12.31 |
<선호상한론>확장판 132조문 (0) | 2024.12.30 |
<선호상한론>확장판 131-2조문(大陷胸丸方) (0) | 2024.12.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