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호상한론>확장판 96조문
[99] 傷寒五六日 中風에 往來寒熱 胸脇苦滿 黙黙不欲飮食 心煩喜嘔하며
或胸中煩而不嘔 或渴 或腹中痛 或脇下痞硬 或心下悸 小便不利 或不渴 身有微熱 或咳者는 小柴胡湯 主之라
『상한 5~6일이나 혹은 중풍에 한열이 왕래하고, 흉협이 답답하며, 말을 하지 않고 음식을 먹으려 하지 않으며, 心煩하고 자주 嘔逆하며, 혹 흉중이 煩擾하면서 嘔逆하지 않기도 하고, 혹 갈증이 있기도 하며, 혹 배가 아프기도 하고, 혹 옆구리 아래가 단단하기도 하며, 혹 心下가 悸動하면서 소변이 잘 나오지 않기도 하고, 혹 갈증이 없으면서 약간의 열이 있기도 하고, 혹 기침하기도 하면 소시호탕으로 다스린다.』
✺往來寒熱者는 陰陽相勝也라 陽不足 則先寒後熱하고 陰不足 則先熱後寒이라 往來寒熱에 有三證하니 小柴胡湯 大柴胡湯 柴胡桂枝乾薑湯이라 ○有表證 而往來寒熱者는 用小柴胡也라 ○有裏證 而往來寒熱者는 大柴胡也라 ○已表 或已下 而往來寒熱者는 皆可用柴胡桂枝乾薑湯也라(≪活人書·55問≫)
✺病有在表者하며 有在裏者하며 有在表裏之間者라 此는 邪氣在表裏之間이니 謂之半表半裏證이라 五六日은 邪氣自表傳裏之時라 中風者가 或傷寒하야 至五六日也라 玉函에 曰 中風五六日에 傷寒하야 往來寒熱이라하니 卽是라 或中風 或傷寒이오 非是傷寒再中風 中風復傷寒也라 經에 曰 傷寒中風에 有柴胡證일새 但見一證이면 便是오 不必悉具者가 正是라 謂或中風 或傷寒也라 邪在表則寒이오 邪在裏則熱이어늘 今邪在半表半裏之間하야 未有定處하니 是以로 寒熱往來也라 邪在表하면 則心腹不滿이오 邪在裏하면 則心腹脹滿이어늘 今止言胸脇苦滿은 知邪氣在表裏之間하야 未至於心腹滿이니 言胸脇苦滿은 知邪氣在表裏也라 黙黙은 靜也라 邪在表하면 則呻吟不安이오 邪在裏하면 則煩悶亂이라 內經에 曰 陽入之陰하면 則靜이라하니 黙黙者는 邪方自表之裏하야 在表裏之間也라 邪在表하면 則能食이오 邪在裏하면 則不能食이니 不欲食者는 邪在表裏之間하야 未至於必不能食也라 邪在表하면 則不煩不嘔하고 邪在裏하면 則煩滿而嘔하니 煩喜嘔者는 邪在表方傳裏也라 邪初入裏하야 未有定處하니 則所傳不一이라 故로 有或爲之證이라 有柴胡證이어든 但見一證이면 便是니 卽是此或爲之證이라(≪注解傷寒論≫)
✺議曰 病在表者는 宜汗이오 病在裏者는 宜下오 病在半表半裏之間者는 宜和解라 此小柴胡湯은 乃和解半表半裏之劑也라 柴胡는 味苦性寒하야 能入膽經하야 能退表裏之熱하고 祛三陽不退之邪熱하니 用之爲君이라 黃芩은 味苦性寒하야 能泄火氣하고 退三陽之熱하며 淸心降火하니 用之爲臣이라 人參 甘草 大棗 三者는 性平하야 能和緩其中하고 輔正除邪하니 甘以緩之也라 半夏 生薑之辛은 能利能汗하야 通行表裏之中하니 辛以散之也라 故로 用之爲佐爲使하니 各有所能이라 且此七味之功能은 至爲感應하야 能解表裏之邪하고 能退陽經之熱하니 上通天庭하고 下徹地戶라 非此智謀之士면 其孰能變化而通機乎아(≪金鏡內臺方議·小柴胡湯·湯議≫)
✺問曰 諸方中에 獨小柴胡湯을 去滓再煎은 何也오 答曰 取其汁淸은 能入膽之義라(≪金鏡內臺方議·小柴胡湯·疑問≫)
✺此는 少陽之初證이라 叔和가 以無少陽明文 故로 猶類此라 凡如此者는 今皆從之라 傷寒五六日 中風 往來寒熱은 互文也니 言傷寒與中風 當五六日之時에 皆有此往來寒熱以下之證也라 五六日은 大約言也라 往來寒熱者는 邪入軀殼之裏 臟腑之外 兩夾界之隙地니 所謂半表半裏 少陽所主之部位라 故로 入而並於陰則寒이오 出而並於陽則熱하야 出入無常하니 所以寒熱間作也라 胸脇苦滿者는 少陽之脈이 循胸絡脇하니 邪湊其經하야 伏飮摶聚也라 默은 靜也라 胸脇旣滿하고 穀不化消하니 所以靜默不言 不需飮食也라 心煩喜嘔者는 邪熱伏飮摶胸脇者가 湧而上溢也라 或爲諸證者는 邪之出入不常하니 所以變動不一也라 柴胡는 少陽之君藥也오 半夏辛溫은 主柴胡而消胸脇滿하고 黃芩苦寒은 佐柴胡而主寒熱往來하고 人參甘棗之甘溫者는 調中益胃하야 止煩嘔之不時也라 此小柴胡之一湯이 所以爲少陽之和劑與ᅟᅵᆫ져 傷寒五六日 中風 往來寒熱은 脈經에 作中風 往來寒熱 傷寒五六日之後오 心煩은 作煩心이오 心下는 作心中이오 身有는 作外有라(≪傷寒論條辨≫)
✺[吳] 或問 小柴胡湯을 近世에 治傷寒發熱할새 不分陰陽而用之는 何也오 然이라 柴胡之苦平은 乃足少陽經傷寒發熱之藥이라 半表半裏之熱은 除往來寒熱하고 小有日晡潮熱也라 佐以黃芩之苦寒以退熱하고 半夏生薑之辛以退寒하고 人參大棗之甘溫以助正氣하고 解渴生津液하면 則陰陽和而邪氣解矣라 但太陽經之表熱 陽明經之標熱은 皆不能解也라 如用之면 豈曰無害아 若夫令陽寒面赤發熱 脈沈足冷者가 服之면 立至危殆니 可不愼哉리오 及內虛有寒 大便不實 脈息小弱 與婦人新産發熱도 皆不可用也라(≪證治準繩·卷三·少陽病·往來寒熱≫)
✺邪氣傳裏할새 必先自胸而脇하고 以次經心腹而入胃也니 是以胸滿은 多帶表證하고 脇滿은 多帶半表半裏證이라 如下後 脈促胸滿者는 桂枝去芍藥湯이라 又太陽與陽明合病 喘而胸滿者는 不可下니 宜麻黃湯이라 二者는 屬表하니 須汗之라 蓋胸中은 至表猶近也오 及脇則更不言發汗이오 但和解而已라 經曰設胸滿脇痛者 及胸脇滿不去者 與夫本太陽病不解하야 傳入少陽하야 脇下硬滿 乾嘔 往來寒熱 脈沈緊者는 俱宜小柴胡和解之也라 大抵邪初入裏하야 尚未停留爲實하고 但鬱積生滿者는 和解면 斯可矣어니와 若留於胸中하야 聚而爲實者는 又非吐下之면 不可已라 如發汗若下之하야 煩熱 胸中窒者는 梔子豉湯이오 若胸中痞硬 氣上沖咽喉 不得息者는 此胸中有寒이니 瓜蒂散이라 二者는 均是吐劑라 又當知梔子는 吐虛煩客熱이오 瓜蒂는 吐痰實宿寒也라(≪證治準繩·卷三·少陽病·脇滿痛≫)
✺王三陽云 此證은 在半表半裏니 或中風 或傷寒 三四日得之也라 或有傳經而得하고 或直中此經하야 始終不傳者라 醫人이 但見一證 而以脈合之면 便當照此方治藥이니 不可汗下오 亦不可求諸證悉具也라(≪張卿子傷寒論≫)
✺軀殼之表는 陽也오 軀殼之裏는 陰也라 少陽은 主半表半裏之間이니 其邪入而併於陰則寒하고 出而併於陽則熱하니 往來寒熱하야 無常期也라 風寒之外邪가 挾身中有形之痰飮하고 結聚於少陽之本位하니 所以胸脇苦滿也라 胸脇旣滿하야 胃中之水穀도 亦不消하니 所以默默不欲食이라 卽昏昏之意오 非靜默也라 心煩者는 邪在胸脇하야 逼處心間也라 或嘔不嘔 或渴不渴 諸多見證은 各隨人之氣體하야 不盡同也라 然이나 總以小柴胡之和法爲主治호대 而各隨見證以加減之耳니라(≪尙論篇≫)
✺邪在表者는 必漬形以爲汗이오 邪在裏者는 必蕩滌以取利오 邪在半表半裏者는 不可汗 不可下오 但當以小柴胡湯으로 和解而已라 夫邪旣內傳하면 則變不可測이니 須迎而奪之라 故로 以柴胡之解肌理表爲君하고 黃芩之徹熱治裏爲臣이라 邪初傳裏 則裏氣不治라 故로 以人參扶正氣오 邪入于裏 則氣必上逆이라 故로 以半夏散逆氣라 生薑은 輔柴胡以和表하고 甘棗는 輔黃芩以和裏라 邪氣自表하야 未斂爲實이오 乘虛而湊하야 變證良多라 故로 立加減之法이라(≪傷寒括要·卷下·少陽篇凡一方·小柴胡湯≫)
✺本方은 以柴胡爲少陽一經之向導하야 專主往來寒熱하니 謂其能升提風木之氣也라 黃芩은 苦而不沈하고 黃中帶靑하야 有去風熱之專功이니 謂其能解風木之邪也라 半夏는 力能滌飮하고 膽爲淸淨之府니 病則不能行淸淨之令하야 致寒飮沃於內하고 熱邪淫於外하니 非此迅掃涎沫 則膽終不溫하야 表終不解也라 其用人參甘草補中者는 以少陽氣血皆薄하야 全賴土膏資養하면 則水氣始得發榮이니 卽是胃和則愈之意라 用薑棗和胃者는 不過使半表之邪로 仍從肌表而散也라 獨怪後世用小柴胡할새 一槪除去人參하고 加入耗氣之藥이니 此豈仲景立方本意哉리오(≪傷寒纘論≫)
✺此條는 系太陽風寒이 傳入少陽之證이라 旣曰傷寒이라하고 復曰中風者는 成注引玉函에 云 中風五六日 傷寒往來寒熱이라하니 此卽是或中風 或傷寒이 於五六日時라 太陽風寒之邪가 傳於少陽하면 皆有此往來寒熱之證이오 非是旣傷於寒하고 復中於風也라 胸脇者는 少陽經所行之部分이니 邪傳少陽之經하면 則胸脇苦滿也라 胸脇旣滿하면 則胃中之水穀亦不消니 以故로 默默不欲飮食也라 默默者는 尚論篇에 云 卽昏昏之意라하니 邪熱甚而神思不淸也라 邪在胸膈하야 上逼於心하면 則煩이오 犯於胃하면 則嘔라 心煩喜嘔者는 成注云 邪在表하야 方傳裏也라하니 邪初入裏하야 未有定處 則所傳不一이라 故로 有或渴或痞等證이니 總以小柴胡湯加減主之라(≪傷寒論辨症廣注≫)
✺愚按컨대 自此以下로 凡十五節은 皆論柴胡湯之證治니 言太陽之氣가 運行於皮表 從胸膈而出入이라 若逆於三陰三陽之內하야 不能從胸膈以出入하면 須藉少陽之樞轉而外出이라 蓋胸은 乃太陽出入之部오 脇은 爲少陽所主之樞라 小柴胡湯은 從樞轉而達太陽之氣於外者也라 傷寒五六日中風은 猶言無分傷寒中風而至五六日也라 六氣가 已周하야 當來復於太陽이라 若病氣가 逆於五運之中하야 不能從樞外達하면 是以往來寒熱而開闔不利하고 胸脇苦滿而出入不和라 黙黙者는 太陽之氣가 不能合心主之神而外出也라 不欲飮食者는 陽明胃氣之不和也라 夫黙黙하면 必神機內鬱이오 而心煩不欲飮食하면 必胃氣不和而喜嘔니 嘔則逆氣少疎라 故로 喜也라(≪傷寒論集注≫)
✺五六日은 六經傳邪之候也라 往來寒熱者는 或作或止 或早或晏하야 非若瘧之休作有時也라 以五六日而尚往來寒熱 則知邪未入陰하고 猶在少陽也라 少陽之脈은 雖行身之側 而其實則軀殼之裏層也라 向外則由陽明達太陽而爲三陽이니 表也오 向內則軀殼中之臟腑爲三陰이니 裏也라 少陽은 居於表裏之間이라 故로 爲半表半裏라 邪在少陽 則所入已深이라 衛氣周行一身 故로 邪氣與衛氣合則病作이오 與衛氣離則病休니 衛氣旋轉流行 如環無端이라 故로 其寒熱之作이 必待正邪相遇하니 所以有往來之不齊也라 非若太陽居表之最外一層은 營衛所在니 邪氣入之면 卽寒熱不休也라 其所以寒熱者는 瘧論所謂邪並於陽則陽勝이오 並於陰則陰勝이니 陰勝則寒이오 陽勝則熱也라하니라 胸脇苦滿者는 少陽脈之支者는 別銳眦하야 下大迎하야 合於少陽하고 下頰車하야 自頸合缺盆以下胸中하야 貫膈하야 絡肝屬膽하고 循脇裏하야 出氣街하고 其直者는 從缺盆下腋하야 循胸過季脇하니 邪入其經 故로 胸脇苦滿 或脇下痞硬也라 胸脇苦滿 故로 默默不欲飮食이라 然이나 邪在半裏는 爲入陰之漸이오 且少陽與厥陰相爲表裏니 所以如厥陰證之默默不欲食 及饑不欲食 或腹中痛也라 邪熱在胸이라 故로 心煩喜嘔 或但胸中煩而不嘔 或心下築築然悸動也라 或渴或不渴者는 寒熱往來 或作或止니 卽瘧論所云或甚或不甚이라 故로 或渴或不渴也라 邪在半表 故로 身有微熱이라 少陽之脈이 下胸中이어늘 邪入胸中而犯肺라 故로 或咳也라 或者는 或有或無니 非必皆有也라 大凡邪氣在表할새 表實則當汗解오 邪氣在裏할새 裏實則當攻下오 邪在膈上하야 將次入裏면 則當用吐어늘 今邪在半表半裏之間한대 汗之則達表之途遠이라 誤汗則陽氣虛而邪必犯胃니 恐有譫語煩悸之變生이오 吐下則內陷之機速이라 誤吐下則正氣傷而虛邪內侵이니 恐有驚悸之患作이라 故로 汗吐下皆在所禁 而以小柴胡湯和解其半表半裏之邪也라 以下凡稱少陽病者는 其見證이 皆具載此二條中하니 雖未必全見이라도 或見一二證者는 卽謂之少陽病也라(≪傷寒溯源集≫)
✺[辨誤] 條辨及尚論은 皆作傷寒五六日 中風往來寒熱이라하고 成無己注本에 作傷寒中風五六日이라하고 其注中謂玉函에 曰 中風五六日 傷寒往來寒熱이라하니 卽是或中風 或傷寒이오 非是傷寒再中風 中風復傷寒也라 卽仲景所謂傷寒中風 有柴胡證 但見一證便是니 正或中風或傷寒也라 其說頗合於理니 當從之라 方氏云 脈經에 作中風往來寒熱 傷寒五六日之後오 心煩은 作煩心이오 心下는 作心中이오 身有는 作外有라하니 雖傳寫之不同이나 其實은 非二義也니라(≪傷寒溯源集≫)
✺寒熱者는 寒已又熱 熱已又寒이라 或一日二三度發이어나 若每日一發하야 先寒後熱하고 發作有定期者는 又名似瘧而非寒熱矣라 寒熱之症은 太陽經居多하니 有時邪熱內伏則寒이오 有時邪熱外發則熱이라 表邪多 則寒多熱少而無汗이니 羌活柴胡湯으로 散表오 裏熱多則熱多寒少而有汗이니 以小柴胡湯으로 和解라 若寒多脈浮大者는 倍用柴胡오 若手足常冷하고 惡寒汗少면 再加發表之藥이라 汗多脈沈數者는 方用黃芩이오 若汗多口渴脈數하면 再加淸裏之藥이라 表寒多면 用發散호대 忌以淸凉이오 裏熱多면 用淸凉兼發散이라 若汗多에 有寒有熱之症하니 不得不用發散淸凉이오 寒熱雜合之劑로 以和解表裏니 是以로 仲景이 小柴胡湯으로 和解少陽經時寒時熱之症이라 以柴胡一味로 升散在表之邪하야 使惡寒自已오 以黃芩一味로 淸解在裏之熱하야 使發熱自除라 再加人參 廣皮 甘草하야 以和胃氣하야 使胃陽敷布면 得專和解之權이라 推而比例 則症之兼見太陽者는 羌活衝和湯이오 症見陽明者는 乾葛石膏湯이라 若三陽經俱見症者는 用羌活 葛根 柴胡三味散表하야 以治惡寒이오 黃芩 石膏 知母三味淸凉하야 以治裏熱이오 廣皮 甘草로 以和中氣면 則三陽寒熱汗多가 一和解而盡之矣라 准繩書에 以此로 治夏秋三陽寒熱之瘧하니 深中此旨니라(≪傷寒大白·卷一·寒熱≫)
✺此는 非言傷寒五六日而更中風也라 言往來寒熱有三義하니 少陽自受寒邪호대 陽氣衰少하야 旣不能退寒 又不能發熱하니 至五六日鬱熱內發하야 始得與寒氣相爭 而往來寒熱이 一也오 若太陽受寒한대 過五六日陽氣始衰하야 餘邪未盡하야 轉屬少陽 而往來寒熱이 二也오 風爲陽邪 少陽爲風藏이니 一中於風하야 便往來寒熱하고 不必五六日而始見이 三也라 少陽脈循胸脇하나니 邪入其經故苦滿이오 膽氣不舒故黙黙이오 木邪犯土故不欲飮食이오 相火內熾故心煩이오 邪正相爭故喜嘔라 盖少陽爲樞하야 不全主表 不全主裏라 故로 六證이 皆在表裏之間이라 仲景本意重半裏 而柴胡所主又在半表라 故로 少陽證必見半表어든 正宜柴胡加減이라 如悉入裏 則柴胡非其任矣라 故로 小柴胡를 稱和解表裏之主方이라 寒熱往來는 病情見於外오 苦喜不欲은 病情得於內라 看喜苦欲等字는 非眞嘔 眞滿 不能飮食也라 看往來二字면 見有不寒熱時라 寒熱往來 胸脇苦滿은 是無形之半表오 心煩喜嘔 黙黙不欲飮食은 是無形之半裏라 雖然七證이 皆偏於裏나 惟微熱爲在表오 皆屬無形이나 惟心下悸爲有形이오 皆風寒通證이나 惟脇下痞硬屬少陽이라 總是氣分爲病이오 非有實可據라 故皆從半表半裏之治法이라(≪柯氏傷寒論注≫)
✺傷寒五六日中風者는 言或傷寒五六日에 傳至少陽이어나 或少陽本經이 自中風邪오 非旣傷寒五六日 而又中於風也라 往來寒熱者는 少陽居表裏之間이니 進而就陰則寒이오 退而從陽則熱也라 胸脇苦滿者는 少陽之脈이 其直者가 從缺盆 下腋循胸過季脇故也라 默默不欲飮食 心煩喜嘔者는 木火相通 而膽喜犯胃也라 或者는 未定之辭라 以少陽爲半表半裏하야 其氣有乍進乍退之機라 故로 其病에 有或然或不然之異니 而少陽之病은 但見有往來寒熱 胸脇苦滿之證하면 便當以小柴胡로 和解表裏爲主라 所謂傷寒中風에 有柴胡證이어든 但見一證이면 便是오 不必悉具가 是也라 此條는 自太陽篇으로 移入이라(≪傷寒貫珠集≫)
✺柴胡湯은 不從表裏立方者라 仲景曰 少陽病은 汗之則譫語하고 吐下則悸而驚이라 故로 不治表裏 而以升降法으로 和之라 蓋遵經言 少陽行身之側 左升主乎肝 右降主乎肺라 柴胡는 升足少陽淸氣하고 黃芩은 降手太陰熱邪하야 招其所勝之氣也라 柴芩이 解足少陽之邪면 卽用參甘實足太陰之氣하야 截其所不勝之處也라 仍用薑棗和營衛者는 助半夏和胃而通陰陽이니 俾陰陽無爭 則寒熱自解라 經曰 交陰陽者는 必和其中也라 去滓再煎은 恐剛柔不相濟하야 有碍于和也라 七味主治在中이오 不及下焦라 故로 稱之曰小라(≪絳雪園古方選註·上卷·和劑·小柴胡湯≫)
✺此는 承上三條하야 互詳其證 以明其治也라 傷寒中風三四日에 見口苦咽乾目眩之證 與弦細之脈하면 知邪已傳少陽矣라 若兼見耳聾目赤 胸滿而煩者는 則知是從中風傳來也라 若兼見頭痛發熱無汗者는 則知是從傷寒傳來也라 今五六日에 更見往來寒熱 胸脇苦滿 默默不欲飮食 心煩喜嘔면 則知是中風傷寒兼見俱有之證也라 少陽之邪는 進可傳太陰之裏오 退可還太陽之表오 中處於半表半裏之間이라 其邪가 外並於表하야 半表不解則作寒이오 內並於裏하야 半裏不和則作熱이니 或表或裏無常이라 故로 往來寒熱不定也라 少陽之脈은 下胸循脇하니 邪湊其經 故로 胸脇苦滿也라 少陽邪近乎陰이라 故로 默默也라 少陽木邪病則妨土라 故로 不欲飮食也라 邪在胸脇하면 火無從泄하야 上逼於心이라 故로 心煩也라 邪欲入裏나 裏氣外拒 故로 嘔오 嘔則木氣舒라 故로 喜之也라 此는 皆柴胡應有之證也라 其餘諸證은 時或有之니 總宜以小柴胡湯主之호대 各隨見證以加減治之가 可耳라 然이나 旣分中風傷寒之傳 而不分其治者는 何也오 蓋以太陽有榮衛之分이라 故로 風寒之辨宜嚴이나 及傳陽明少陽則無榮衛之分이오 且其邪皆化熱이라 故로 同歸一致也라(≪醫宗金鑑≫)
✺[傷寒五六日] 正當傳少陽之期라 [中風 往來寒熱] 太陽之寒熱은 寒時亦熱 熱時亦寒이어니와 往來者는 寒已而熱 熱已而寒也라 [胸脇苦滿] 胸脇은 爲少陽之位라 [默默不欲飮食] 木邪干土라 [心煩喜嘔] 木氣上逆이라 [或胸中煩而不嘔 或渴] 少陽火邪라 [或腹中痛] 木克土라 [或脇下痞硬] 木氣塡鬱이라 [或心下悸] 有痰飮이라 [小便不利 或不渴] 有蓄飮이라 [身有微熱] 太陽未盡이라 [或咳者] 肺有皆飮이라 [小柴胡湯主之] 少陽所現之證이 甚多오 柴胡湯所治之證도 亦不一이라 加減法은 具載方末이라(≪傷寒論類方≫)
✺劉完素曰 寒爲陰 熱爲陽이오 裏爲陰 表爲陽이라 邪客於表爲寒邪오 與陽相爭則爲寒矣라 邪入於裏爲熱邪오 與陰相爭則爲熱矣라 其邪半在表 半在裏하야 外與陽爭而爲寒이오 內與陰爭而爲熱矣라 表裏不拘하고 出入不定하야 由是而寒熱且往且來也라 是以往來寒熱은 屬半表半裏之證이라 邪居表多則多寒하고 邪居裏多則多熱하고 邪在半表裏則寒熱亦半이니 小柴胡專主之也라 又有病至十餘日에 熱結在裏하야 復往來寒熱者는 亦可與大柴胡下之니 不可不知也라(≪傷寒論綱目·卷十一·少陽經證·寒熱往來≫)
✺張介賓曰 寒熱往來者는 陰陽相爭이니 陰勝則寒하고 陽勝則熱也라 蓋熱爲陽 寒爲陰이오 表爲陽 裏爲陰이라 邪之客於表者爲寒邪니 與陽相爭 則爲寒栗이오 邪之傳於裏者爲熱邪니 與陰相爭 則爲熱躁라 其邪在半表半裏之間者는 外與陽爭則爲寒하고 內與陰爭則爲熱하야 或表或裏하고 或出或入하니 是以寒熱往來 爲半表半裏之證也라 故로 凡寒勝者必多寒이오 熱勝者必多熱이라 但審其寒熱之勢 則可知邪氣之淺深也라(≪傷寒論綱目·卷十一·少陽經證·寒熱往來≫)
✺傷寒五六日에 又中風邪니 此在太陽이면 卽風寒雙感이니 桂麻各半證也라 風寒在表하야 逼遏少陽經氣면 於是少陽病作이라 少陽經은 在太陽陽明之裏 三陰之表니 表則二陽 故로 爲半表오 裏則三陰 故로 爲半裏라 半表者는 居二陽之下니 從陽化氣而爲熱이오 半裏者는 居三陰之上이니 從陰化氣而爲寒이라 人之經氣는 不鬱則不盛하니 鬱則陽盛而生熱하고 陰盛而生寒이라 經氣鬱迫하면 半表之衛는 欲發於外나 營氣束之하야 不能透發이라 故로 閉藏而生表寒이오 半裏之營은 欲發於外 而衛氣遏之하야 不能透發이라 故로 鬱蒸而生裏熱이라 蓋寒傷營 則營束其衛而生表寒하고 及其營衰 則寒往而熱又來矣라 風傷衛 則衛遏其營而生裏熱하고 及其衛衰 則熱往而寒又來矣라 一往一來하야 勝負不已하니 此所以往來寒熱也라 少陽經脈은 下胸貫膈하야 由胃口而循脇肋하니 病則經氣鬱遏而克戊土라 戊土脹塞하야 礙膽經降路면 經脈壅阻라 故로 胸脇苦滿이라 戊土被賊하면 困乏堙瘀라 故로 默默不欲飮食이라 甲木旣逆하니 相火上燔 而戊土升塡하고 君火又無下濟之路니 是以心煩이라 胃土上逆하야 濁氣不降하니 是以喜嘔라 或相火薰心 而胃未甚逆하니 是以心煩而不嘔라 或相火刑肺하니 是以渴生이라 或土寒木燥하야 土木逼迫하니 是以腹痛이라 或經氣盤塞 而脇下痞硬이라 或土濕木鬱하야 心下悸動而小便不利라 或肺津未耗 而內不作渴이라 太陽未罷 而身有微熱이라 或胃逆肺阻 而生咳嗽라(≪傷寒懸解≫)
✺傷寒五六日은 經盡一周하야 氣値厥陰이니 藉其中見之少陽而樞轉이라 傷寒如此오 中風도 亦如此니 其症往來寒熱은 少陽之樞象也라 胸爲太陽之部오 脇爲少陽之部니 太陽不得出하고 少陽不得樞라 故로 爲苦滿이라 默字는 從火從黑이니 伏明之火가 鬱而不伸이라 故로 其形默默이라 木火鬱於中하야 致胃絡不和라 故로 不欲飮食이오 木火交亢이라 故로 爲心煩이오 木喜條達而上升이라 故로 喜嘔라 此는 病氣則在太陽이오 經氣則値厥陰이라 厥陰之中見 則爲主樞之少陽也라 蓋少陽之氣는 遊行三焦하야 在臟腑之外하니 十一臟皆取決之라 故로 兼或然七症이라 或涉於心而不涉於胃 則胸中煩而不嘔라 或涉于陽明之燥氣 則渴이라 或涉于太陰之脾氣 則腹中痛이라 或涉于厥陰之肝氣 則脇下痞硬이라 或涉于少陰之腎氣 則心下悸而小便不利라 或太陽藉少陽之樞轉하야 已有向外之勢則不渴 身有微熱이라 或咳者는 又涉于太陰之肺氣矣라 夫五臟之經輸는 在背하야 主於太陽이오 而五臟之氣는 由胸而出하니 亦司於太陽이라 今太陽之氣가 逆於胸而不能外出하니 雖不干動在內有形之臟眞 而亦干動在外無形之臟氣 現出各臟之症이라 非得少陽樞轉之力하면 不能使干犯之邪向外而解니 必與以小柴胡湯으로 助樞以主之니라 此一節은 言太陽之氣가 不能從胸出入하고 逆於胸膈之間하야 內干動於臟氣니 當藉少陽之樞轉而外出也라(≪傷寒論淺注≫)
✺張錢塘云 此章節凡十五節이니 皆論柴胡湯之證治라 又云 小柴胡湯은 乃達太陽之氣하야 從少陽之樞以外出이오 非解少陽也라 是以로 有隨證加減之法이라 李士材謂柴胡는 乃少陽引經之藥이니 若病在太陽에 用之若早면 反引賊入門이라하니 後人이 不察經旨하고 俱宗是說하니 謬矣니라(≪傷寒論淺注≫)
✺張令韶云 太陽之氣가 不能由從胸出入하고 逆於胸脇之間하야 內干動於藏氣면 當識少陽之樞轉而外出也라 柴胡는 二月生苗하니 感一陽初生之氣하야 香氣直達雲霄하고 又稟太陽之氣라 故로 能從少陽之樞以達太陽之氣라 半夏는 生當夏半하야 感一陰之氣而生하니 啟陰氣之上升者也라 黃芩은 氣味苦寒하고 外實而內空腐하니 能解形身之外熱이라 甘草 人參 大棗는 助中焦之脾土하야 由中而達外하니 生薑이 所以發散宣通者也라 此는 從內達外之方也라 愚按컨대 原本列於太陽하니 以無論傷寒中風하고 至五六日之間에 經氣一周하면 又當來復於太陽이라 往來寒熱은 爲少陽之樞象이라 此는 能達太陽之氣從樞以外出이오 非解少陽也라 各家俱移入少陽篇은 到底是後人識見淺處라(≪長沙方歌括·卷三·太陽方·小柴胡湯≫)
✺張令韶曰 太陽之氣가 不能從胸出入하고 逆於胸脇之間하면 雖不干動在內有形之臟眞 而亦干動在外無形之臟氣라 然이나 見一臟之證하고 不復更見他臟이라 故로 有七或證也라(≪長沙方歌括·卷三·太陽方·小柴胡湯≫)
✺玉函은 作中風五六日 傷寒往來寒熱이오 脈經은 作中風往來寒熱 傷寒五六日以後오 全書 錢本은 作傷寒中風五六日이라 脈經은 心煩이 作煩心이라 玉函 脈經은 硬이 作堅이오 心下悸는 作心中悸오 身은 作外라 外臺는 作心下卒悸라 成本은 嘿嘿이 作默默이오 下同이나 小柴胡上에 有與字라(≪傷寒論輯義≫)
✺醫史呂滄洲傳에 云 淅東 運使 曲出이 道過鄞이라가 病臥涵虛驛하야 召翁往視라 翁察色切脈하니 則面戴陽하고 氣口皆長而弦하나니 蓋傷寒三陽合病也라 以方涉海할새 爲風濤所驚하야 遂血菀而神懾하야 爲熱所搏하야 遂吐血一升許하고 且脇痛煩渴譫語하니 適是年歲運이 左尺當不足이라 其輔行京醫가 以爲腎已絶하고 泣告其左右曰 監司脈病皆逆이니 不祿在旦夕이라 家人이 皆惶惑無措라 翁曰 此는 天和脈이니 無憂也라 爲投小柴胡湯호대 減參하고 加生地黃半劑하고 後俟其胃實하야 以承氣下之하니 得利愈하니라(≪傷寒論輯義≫)
✺丹溪醫案에 治一人한대 舊有下疳瘡이라가 忽頭疼發熱 自汗이라 衆作傷寒治나 尺劇하고 脈弦甚七至하며 重則澁이라 丹溪曰 此病은 在厥陰 而與證으로 不對라하고 以小柴胡湯에 加草龍膽 胡黃連하야 熱服하니 四帖而安이라(≪傷寒論輯義≫)
✺按컨대 仲景以口苦咽乾目眩으로 責少陽之爲病하고 而少陽之邪는 大都從太陽傳入이라 此는 當半裏半表之界하야 邪正分爭하니 因而往來寒熱 胸脇苦滿 默默不欲飮食 心煩喜嘔라 此는 皆少陽必有之證이라 邪不在表니 不宜汗吐오 又不在裏니 不宜妄下라 獨主小柴胡爲和解之劑라 但轉入之邪는 恒難捉摸니 其或胸中煩而不嘔 或渴 或腹中痛 或脇下痞硬 或心下悸 小便不利 或不渴 身有微熱 或咳가 皆非少陽必有之證而少陽病에 見此면 另有加減之法이나 而規矩는 總不難乎小柴胡湯也라(≪傷寒尋源·下集·小柴胡湯≫)
✺內經云 少陽爲樞라하니 蓋實有樞之境地可指라 又曰 十一經皆取決於少陽이라하니 亦實有取決之路道可指라 蓋決如決水니 謂流行也오 如管子決之則行之義니 謂言十二經之流行이 皆取道於少陽也라 少陽是三焦오 古作膲니 卽人身中之膈膜油網이오 西醫名爲連網을 內經名爲三焦라 宋元後에 謂三焦有名無象이라하니 其說은 非也라 三膲之根은 發於腎系하야 由腎系生脇下之兩大板油하고 中生腹內之網油하야 連小腸大腸膀胱하고 又上生肝膈하야 連膽系하고 由肝膈生胸前之膜隔하야 循肋腔內하야 爲一層白膜하고 上至肺系하야 連於心하야 爲心包絡하고 又上而爲咽喉하나니 此三膲之腑在內者也라 從內透出筋骨之外는 是生肥肉하고 肥肉內瘦肉外一層網膜에 有紋理하야 爲營衛外來之路하니 名曰腠理오 乃三膲之表也라 邪在腠理할새 出與陽爭則寒이오 入與陰爭則熱이라 故로 往來寒熱이라 胸脇은 是膈膜連接之處니 邪在膈膜이라 故로 胸脇苦滿이라 少陽膽火가 流行三焦하야 內通包絡하니 火鬱不達이라 故로 黙黙이라 凡人飮水면 俱從胃散入膈膜하야 下走連網하야 以入膀胱이라 凡人食物은 化爲汁液하야 從腸中出走網油하야 以達各藏이라 邪在膜油之中하야 水不下行하면 則不欲飮이오 汁不消行則不欲食이라 心煩者는 三焦之相火가 內合心包也오 喜嘔者는 三焦爲行水之府니 水不下行이라 故로 反嘔也라 或但合心火하면 爲胸中煩이오 而水不上逆 則不嘔라 或三焦之火가 能消水 則渴이라 或肝膈中之氣가 迫湊於腹內網油之中하면 則腹中痛이라 或邪結於脇下兩大板油之中 則脇下痞滿이라 或三焦中火弱水盛하야 水氣逆於心下膈膜之間하면 則心下悸라 或三焦之府不熱하면 則不消渴이오 而邪在三焦之表하야 居腠理之間 則身有微熱이라 或從膈膜中上肺衝咽喉하야 爲痰火犯肺 則欬라 總之컨대 是少陽三焦膜中之水火가 鬱而爲病也라 統以小柴胡湯으로 散火降水主之호대 各隨其證之所見 而隨證加減하면 無不確切이라 淺注不能一一指實하고 但引內經囫圇解之니 是知其然而不知其所以然也라(≪傷寒論淺注補正≫)
✺從來治傷寒者는 凡見小柴胡證하면 莫不以少陽二字로 了之라 試問所謂少陽者는 手少陽乎아 抑足少陽乎아 竊恐仲師而後無有能言之者는 此正中醫不治之痼疾이오 貽笑於外人者也라 吾謂此當屬手少陽三焦라 手少陽三焦를 唐容川槪謂之網油는 非也라 內經에 云 上焦如霧 中焦如漚 下焦如瀆이라하니 如霧者는 淋巴管中水液排泄而出하야 已化爲氣한대 未受鼻竅冷空氣者也오 如漚者는 淋巴管中始行排泄之水液이니 含有動氣者也오 如瀆云者는 卽腎與膀胱之淋巴系統이니 西醫直謂之輸尿管이라 水는 由腎藏直接膀胱而外泄이라 故로 內經謂之決瀆之官이라하니라 蓋太陽之脈은 夾脊抵腰中이어늘 而三焦는 直爲太陽寒水之徑隧오 如瀆之下焦는 卽從腰中下泄太陽之府니 此可見太陽之病關於少陽者는 三焦爲之主也라 本節所列證象은 全係夾濕이라 太陽汗液이 不能透發하고 留著皮裏膜外하야 濕甚則生表寒이오 血熱內亢은 是生表熱이라 故로 其病爲往來寒熱이라 胸脇苦滿 默默不欲飮食 心煩喜嘔者는 氣爲濕阻라 柴胡以散表寒하고 黃芩以淸裏熱이라 濕甚生痰則胸脇滿이라 故로 用生薑 生半夏以除之라 中氣虛則不欲飮食이라 故로 用人參 炙甘草 大棗以和之라 此小柴胡湯之大旨也라 胸中煩而不嘔는 是濕已化熱이라 故로 去半夏 人參하고 加栝蔞實以消胃中宿食 而濕熱淸矣라 若渴者는 津液少也라 故로 去半夏하고 加人參 栝蔞根以潤之라 腹中痛則寒濕流入太陰而營分鬱이라 故로 去苦寒之黃芩하고 加疏達血分之芍藥以和之라 脇下痞硬은 下焦不通而水逆行也라 故로 去滋膩之大棗하고 用牡蠣以降之라 心下悸 小便不利는 是爲水氣凌心이라 故로 去黃芩하고 加茯苓以泄之라 不渴 外有微熱者는 內有濕而表陽不達也라 故로 去人參하고 加桂枝以汗之라 咳者는 濕勝將成留飮也라 故로 去人參 大棗之培補하고 加五味 乾薑以蠲飮이라(≪傷寒發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