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호상한론>확장판 40조문(小靑龍湯方)
❏小靑龍湯方
麻黃去節 芍藥 細辛 乾薑 甘草炙 桂枝去皮 各三兩 五味子半升 半夏半升 洗
上八味를 以水一斗로 先煮麻黃하야 减二升이어든 去上沫하고 內諸藥하야 煮取三升하야 去滓하고 溫服一升이라
『위 8가지 약물을 물 1말로 먼저 마황을 달여 2되가 줄어들면 위의 거품을 없애고 나머지 약물을 넣어 3되를 취해서 찌꺼기를 버리고 1되를 따뜻하게 복용한다.』
①若渴者는 去半夏하고 加瓜蔞根三兩이라
『갈증이 있으면 반하를 빼고 과루근 3냥을 더한다.』
✺辛燥而苦潤이어늘 半夏는 辛而燥津液하니 非渴者所宜라 故로 去之라 栝蔞는 味苦而生津液이라 故로 加之라(≪注解傷寒論≫)
✺心下有水氣는 散行而所傳不一이라 故로 又有增損之證이라 若渴者는 去半夏하고 加栝蔞根이라 水畜則津液不行하야 氣燥而渴이라 半夏는 味辛溫하야 燥津液者也니 去之면 則津液易復이라 栝蔞根은 味苦微寒하야 潤枯燥者也니 加之면 則津液通行이라 是爲渴所宜也라(≪傷寒明理論≫)
✺以其半夏性燥라 故로 去之오 栝蔞根味苦하야 能生津이라 故로 加之라(≪金鏡內臺方議·小靑龍湯·加減法≫)
✺渴은 津液不足也니 去半夏는 以其燥津液也라 加栝蔞根은 以其徹熱而生津也라(≪傷寒論條辨≫)
✺杲曰 栝蔞根은 純陰이니 解煩渴하고 行津液이라 心中枯涸者는 非此면 不能除라 與辛酸으로 同用하면 導腫氣라(≪本草綱目·瓜蔞≫)
✺成無己曰 津液不足則爲渴이라 栝蔞根은 味苦微寒하고 潤枯燥而通行津液하니 是爲渴所宜也라(≪本草綱目·瓜蔞≫)
✺水蓄則津液不行하고 氣燥而渴이어늘 半夏는 性燥하니 去之則津易復이오 栝蔞는 性潤하니 加之則津易生이라(≪傷寒括要·卷下·太陽篇七十三方·小靑龍湯≫)
✺瓜蔞根이 入土最深이라 外黃內白하고 氣味苦寒하니 蓋得地水之精氣 而上達之藥也라 ······ 主治消渴身熱者는 謂啓在下之水精上滋니 此根之功能也라(≪本草崇原·卷中·瓜蔞根≫)
✺若渴者는 水逆於下 火鬱於上이니 去半夏之燥하고 加蔞根하야 以啓陰液이라(≪傷寒論集注≫)
✺或問栝蔞與天花粉은 同爲一本이어늘 何以天花粉이 反不似栝蔞之迅掃胸中之邪耶아 曰 天花粉消痞滿은 其功緩하고 栝蔞實消痞滿이 其功捷은 余前條已言이나 但未言其所以緩與捷也라 夫栝蔞는 爲天花粉之子 而天花粉은 爲栝蔞之根이니 子懸於天下 而性實顧根이라 故로 趨於下者甚急이오 根藏於地中 而性實戀子라 故로 育於上者自緩이라 緩捷之故가 分於此 而陷消之功도 亦別於此라 故로 宜緩者用天花粉이오 宜急者用栝蔞實이니 又何慮功效之不奏哉리오(≪本草新編·栝蔞實≫)
✺栝蔞根은 性寒하야 降膈上熱痰하고 潤心中煩渴하며 除時疾狂熱하고 祛酒癉濕黃하며 治癰瘍解毒排膿이라(≪本經逢原·栝蔞根≫)
✺夫渴은 雖一證而各經不同하니 如太陽邪熱入裏면 則五苓散之渴也오 陽明邪熱入胃는 白虎湯之渴也오 少陽則或渴或不渴은 皆以小柴胡湯主之오 若服柴胡湯已而渴者는 卽屬陽明矣라 三陰은 本不應渴 而少陰有引水自救之渴 及厥陰之消渴은 皆非眞渴也라 少陰更有咳而嘔渴之證도 亦不過以猪苓湯導水而已라 此條或渴之證은 乃水寒在胃하야 下焦之氣液이 不得上騰而爲涕唾라 故로 渴이라 心下에 旣有水氣한대 豈可亦以栝蔞根爲生津而用之邪아 若未以爲然이어든 觀下文服湯已而渴 爲寒去欲解면 則知不必以撤熱生津爲治矣라 若必用撤熱이면 胡不去乾薑之辛熱邪아 況半夏는 本辛滑之品이어늘 諸家가 俱以其燥津液而去之는 何也오 李時珍本草에 列之滑劑中하고 云引痰涎自小便去者는 則半夏茯苓之屬이라하고 又云半夏南星은 皆辛而涎滑하야 皆泄濕氣 通大便이니 蓋辛能潤 能走氣 能化液也라 或以爲燥物은 謬矣라 濕去則土燥오 非二物性燥也라하니 以此推之면 必非仲景所加오 非王叔和 卽成無己輩라 仿佛小柴胡湯之加減而增入也니 以致朱奉議 陶節庵輩는 凡遇渴證에 必去半夏而加栝蔞根하니 曾不稍揆時義 察其陰陽寒熱 而率意妄爲加減하고 每效前人之非而不覺하니 謂之一代名家가 是耶아 非耶아(≪傷寒溯源集≫)
✺渴者는 津液不足이라 故로 去半夏之辛燥 而加栝蔞之苦潤이라 若飮結不布而渴者는 似宜仍以半夏로 流濕而潤燥也라(≪傷寒貫珠集≫)
✺栝蔞根은 淸金止渴也라(≪傷寒懸解≫)
✺若渴者는 寒已化熱이라 故로 去半夏하고 加栝蔞根이니 反其用以治之也라(≪傷寒尋源·下集·小靑龍湯≫)
✺小靑龍湯曰渴者去半夏라하고 小柴胡湯曰渴者去半夏라하니 此可爲半夏非不燥之明徵이라 然이나 半夏之燥는 燥而滑者也니 能開結能降逆하야 與燥而澁者로 不同矣라(≪本草思辨錄·卷二·半夏≫)
✺栝蔞根은 能起陰氣上滋라 故로 主燥熱之煩渴이오 實은 能導痰濁下行이라 故로 主粘膩之結痛이라 此는 張氏之說로 至允이니 用二物者는 當作如是想이라(≪本草思辨錄·栝蔞根栝蔞實≫)
②若微利者는 去麻黃하고 加蕘花如鷄子熬令赤色이라
『약간 下利하면 마황을 빼고 붉게 볶은 蕘花를 계란만큼 더한다.』
✺下利者는 不可攻其表오 汗出하면 必脹滿하니 麻黃이 發其陽하면 水漬入胃하야 必作利라 蕘花는 下十二水하니 水去하면 利則止라(≪注解傷寒論≫)
✺若微利어든 去麻黃하고 加芫花라 水氣下行하야 漬入腸間하면 則爲利라 下利者는 不可攻其表니 汗出하면 必脹滿일새라 麻黃은 專爲表散이니 非下利所宜라 故로 去之라 莞花는 味苦寒이라 酸苦는 爲湧泄之劑니 水去면 利則止라 莞花下水라 故로 加之라(≪傷寒明理論≫)
✺下利者는 不可攻表니 汗出하면 必脹滿이라 故로 去麻黃이라 加蕘花는 能去十二經水니 水去則利自止라 故로 加之라(≪金鏡內臺方議·小靑龍湯·加減法≫)
✺麻黃發汗은 利則不宜 而或爲諸證皆去者는 以汗則重亡津液也라 利는 水橫行也라 加蕘花는 導水也라(≪傷寒論條辨≫)
✺宗奭曰 張仲景 傷寒論 以蕘花治利者는 取其行水也라 水去則利止하니 其意如此라 今用之엔 當斟酌이오 不可過使與不及也라 須有是證이라야 乃用之니라(≪本草綱目·蕘花≫)
✺好古曰 仲景小靑龍湯云 若微利면 去麻黃하고 加蕘花如雞子大하야 熬令赤色이라하니 用之蓋利水也라(≪本草綱目·蕘花≫)
✺水漬腸胃하면 則爲利니 下利는 不可發表오 發之면 必脹滿이라 故로 去麻黃하고 酸苦能湧泄하니 水去則利止라 故로 加芫花라(≪傷寒括要·卷下·太陽篇七十三方·小靑龍湯≫)
✺按컨대 傷寒論에 云 傷寒表不解 心下有水氣 乾嘔 發熱而咳할새 若微利者는 小靑龍湯에 加蕘花 如雞子大 熬令赤色이라하니 大如雞子는 形圓象心也오 熬令赤色은 取意象火也라 是蕘花氣味雖屬苦寒 而有太陽之標陽이나 恐後世不能司歲備物이라 故로 加炮制如是爾니라(≪本草崇原·卷下·本經下品·蕘花≫)
✺利者는 水寒下乘而火氣不能下交라 芫花는 秉性雖寒하야 能導心氣以下降이나 花萼은 在上하니 如鷄子大熬하야 令赤色는 咸助心火下交之義라(≪傷寒論集注≫)
✺仲景이 用此하야 止利以行水니 水去則利止矣라 又小靑龍湯에 云 若微利者는 去麻黃하고 加蕘花라하니 蓋亦取其利水也라 愚按컨대 芫花 蕘花는 雖有辛溫開表 苦寒走滲之不同이나 而破積逐水之功用은 仿佛이라 本經에 雖無芫花利水之說이나 而仲景十棗湯은 專行利水하니 是以藥肆皆不辨混收하고 醫家亦不辨混用이라 猶夫食穀得以療饑오 食黍亦可療饑니 混用可無妨礙라(≪本經逢原·蕘花≫)
✺旣見微利면 則知水氣下走니 當因其勢而導使下泄이라 去麻黃者는 恐內外兩亡津液也라 此說亦通이나 然이나 表寒重而全未解者는 尚當斟酌이라 若竟去麻黃而留芍藥五味之酸收면 其如傷寒表不解에 何오(≪傷寒溯源集≫)
✺微利者는 水漬入胃也라 下利者는 不可攻其表라 故로 去麻黃之發表 而加芫花之行水라(≪傷寒貫珠集≫)
✺加蕘花如雞子大 熬令赤色은 此必傳寫之誤라 蓋本草蕘花는 卽芫花類也라 用之攻水에 其力甚峻이니 五分이라도 可令人下行數十次어늘 豈有治停飮之微利 而用雞子大之蕘花者乎아 似當改加茯苓四兩이라(≪醫宗金鑑≫)
✺下利者는 水邪侮土니 加芫花하야 以泄水也라(≪傷寒懸解≫)
✺利屬下焦陰分이니 不可更發其陽이라 蕘花는 明理論에 作芫花나 恐誤라 本草에 蕘花 芫花는 花葉相近 而蕘花는 不常用이어늘 當時에 已不可得이라 故로 改用芫花니 以其皆有去水之功也라(≪傷寒論類方≫)
✺若微利者는 水已下趨라 故로 去麻黃하고 加芫花니 順其勢以導之也라(≪傷寒尋源·下集·小靑龍湯≫)
✺小靑龍湯에 若微利者는 去麻黃하고 加蕘花라하니 蓋利則水氣不徑趨膀胱이니 更以麻黃으로 升太陽하면 則水道益澁하고 水氣必泛而爲脹滿이라 太陰篇所謂下利淸穀은 不可攻表니 汗出하면 必脹滿也라 蕘花는 本經에 主蕩滌腸胃留癖 利水道라하니 則微利不至成滯下오 而在上之水氣도 亦去라 且其用在花니 走裏兼能走表라 故로 本經에 並主傷寒 溫瘧 飮食寒熱邪氣라 若以茯苓澤瀉로 治微利면 則表邪도 亦從而陷之矣니 此仲聖所以有取於蕘花也라(≪本草思辨錄·卷二·蕘花≫)
③若噎者는 去麻黃하고 加附子一枚炮라
『딸꾹질을 하면 마황을 빼고 포부자 1개를 더한다.』
✺經에 曰 水得寒氣하야 冷必相搏하면 其人卽䭇이라하니 加附子하야 溫散水寒이라 病人有寒한대 復發汗하면 胃中冷하야 必吐蛔하니 去麻黃은 惡發汗일새니라(≪注解傷寒論≫)
✺若噎者는 去麻黃하고 加附子라 經에 曰 水得寒氣하면 冷必相搏하야 其人卽䭇이라하고 又曰 病人有寒한대 復發汗하면 胃中冷하야 必吐蚘라하니라 噎은 爲胃氣虛竭이라 麻黃은 發汗하니 非胃虛冷所宜라 故로 去之라 附子는 辛熱하니 熱則溫其氣하고 辛則散其寒하야 而噎者爲當이라 兩相佐之하니 是以로 祛散冷寒之氣라(≪傷寒明理論≫)
✺水得寒氣면 冷必相搏하야 其人必噎이라 故로 加炮附子以溫之라(≪金鏡內臺方議·小靑龍湯·加減法≫)
✺噎은 與䭇咽으로 同이니 水寒窒氣也라 附子者는 利氣散水寒也라(≪傷寒論條辨≫)
✺劉完素曰 俗方에 治麻痹할새 多用烏附하니 其氣暴하야 能衝開道路라 故로 氣愈麻라가 及藥氣盡而正氣行하면 則麻病愈矣니라(≪本草綱目·附子≫)
✺經曰 水得冷氣면 其人卽噎이라하니 胃寒은 非表症이라 故로 去麻黃하고 辛熱은 能溫中이라 故로 加附子라(≪傷寒括要·卷下·太陽篇七十三方·小靑龍湯≫)
✺水得寒이면 氣冷하야 必相搏하야 其人卽噎하니 加附子하야 以溫水寒이라(≪傷寒論集注≫)
✺附子는 氣味俱厚而辛烈하야 能通行十二經無所不至하고 暖脾胃而通噎膈하고 補命門而救陽虛하고 除心腹腰膝冷痛하고 開肢體痹濕痿弱하고 療傷寒呃逆不止하고 主督脈脊强而厥하고 救寒疝引痛欲死하고 斂癰疽久潰不收及小兒脾弱慢驚하나니 並須制熟用之라(≪本經逢原·附子≫)
✺噎者는 心下有水氣而胃氣不通也라 所謂水寒相搏하면 其人必䭇이라 噎은 與䭇로 同이니 蓋呃逆也라 夫呃逆은 有火呃實呃冷呃之不同이라 此는 水寒相搏이라 故로 加附子以溫散之니 若寒甚而陽氣虛者는 去麻黃而不使汗泄其虛陽도 亦可니라(≪傷寒溯源集≫)
✺噎者는 寒飮積中也라 附子는 溫能散寒하고 辛能破飮이라 故로 加之오 麻黃은 發陽氣하야 增胃冷이라 故로 去之니라(≪傷寒貫珠集≫)
✺寒水侮土하야 濁氣上逆하면 則爲噫니 加附子하야 暖水而降逆也라(≪傷寒懸解≫)
✺膈噎은 多由氣血虛하야 胃冷胃槁而成이라 飮可下而食不下는 槁在吸門이니 喉間之會厭也라 食下胃脘痛하고 須臾吐出은 槁在賁門이니 胃之上口也라 此上焦니 名噎이라 食下良久吐出은 槁在幽門이니 胃之下口也라 此中焦니 名膈이라 朝食暮吐는 槁在闌門이니 大小腸下口也라 此下焦니 名反胃라 又有痰飮積 瘀血壅塞胃口者하니 如寒痰胃冷하면 則宜薑附參朮이오 胃槁者는 當滋潤이니 宜四物牛羊乳오 瘀血者는 加韮汁이라(≪本草從新·附子≫)
✺噎은 古作䭇이라 論에 云 寒氣相搏 則爲腸鳴이라하야늘 醫乃不知 而反飮冷水 令汗大出이라 水得寒氣면 冷必相搏하야 其人卽䭇이라 按컨대 內經에 無噎字니 疑卽呃逆之輕者라(≪傷寒論類方≫)
✺寒呃證은 不一端이니 有誤服寒凉水飮停心而致氣逆而呃하고 有陽氣衰微하야 內寒迫其相火上冲而呃하고 有偶食生冷 陽氣不得舒發而呃하고 有陰寒直中于胃 而致氣不克舒而呃하고 有吐利後 胃氣虛寒而呃者라(≪本草求眞·附子≫)
✺歷考諸書컨대 皆以噎膈爲有火오 反胃爲無火오 而士材는 又謂但察脈大有力 嘔吐酸臭는 當作熱治오 脈小無力 嘔吐淸水는 當作寒醫라 色之黃白而枯者는 爲虛寒이오 色之紅赤而澤者는 爲實熱이니 能合色脈이면 庶乎無誤라(≪本草求眞·附子≫)
✺若噎者는 寒格上焦也라 故로 去麻黃하고 加附子以散寒이라(≪傷寒尋源·下集·小靑龍湯≫)
④若小便不利하며 少腹滿者는 去麻黃하고 加茯苓四兩이라
『소변이 잘 나오지 않고 아랫배가 그득하면 마황을 빼고 복령을 4냥 더한다.』
✺水畜下焦하야 不行하면 爲小便不利하며 少腹滿하니 麻黃은 發津液於外하니 非所宜也오 茯苓은 泄畜水於下하니 加所當也라(≪注解傷寒論≫)
✺若小便不利하며 少腹滿이어든 去麻黃하고 加茯苓이라 水畜이 在下焦不行하야 爲小便不利하며 少腹滿이라 凡邪客於體者는 在外者는 可汗之오 在內者는 可下之오 在上者는 可湧之오 在下者는 可泄之라 水畜下焦어든 滲泄이 可也오 發汗則非所當이라 故로 去麻黃이라 而茯苓은 味甘淡하야 專行津液이라 內經에 曰 熱淫於內어든 以淡滲之라하니 滲溺行水는 甘淡爲所宜라 故로 加茯苓이라(≪傷寒明理論≫)
✺以其能利水道也라(≪金鏡內臺方議·小靑龍湯·加減法≫)
✺水停下焦而不行하면 則小便不利而少腹滿이라 茯苓은 淡滲이라 故로 能通竅而利水道也라(≪傷寒論條辨≫)
✺小便不利者는 邪氣聚于下焦하야 結而不散이오 甚則小腹硬滿而痛하니 此小便不通也라 大抵有所不利者는 行之니 取其滲利也라 若引飮過多 下焦多熱이어나 或中濕發黃하야 水飮停滯는 皆以利小便爲先이라 惟汗後亡津液 胃中乾 與陽明汗多者는 則以利小便爲戒라 設或小水不利 而見頭汗出者는 乃陽脫關格之病篤矣라(≪傷寒六書·小便不通≫)
✺若小便不利는 病在下焦라 甘淡者는 下滲이라 故로 加茯苓이라 發散者는 上行이라 故로 去麻黃이라(≪傷寒括要·卷下·太陽篇七十三方·小靑龍湯≫)
✺小便不利 少腹滿者는 水氣下逆이라 故로 加茯苓하야 補中土以制伐其水邪라(≪傷寒論集注≫)
✺小便不利而少腹滿은 爲下焦無火하야 不能氣化而出也라 眞陽不足은 去麻黃而不使汗泄 則可矣어니와 茯苓은 不過味淡滲泄而已어늘 豈能助下焦氣化之功哉아(≪傷寒溯源集≫)
✺小便不利 小腹滿은 水蓄於下也라 故로 加茯苓以泄蓄水하고 不用麻黃은 恐其引氣上行하야 致水不下也라(≪傷寒貫珠集≫)
✺茯苓은 以泄滿也라(≪傷寒懸解≫)
✺小便不利而少腹滿은 則水不在上而在下矣라 故로 用茯苓이라(≪傷寒論類方≫)
✺鼇按컨대 水氣留而不行이라 故로 小便不利오 小便不利 故로 少腹滿이라 此條言小便不利는 正欲明少腹滿之故也라(≪傷寒論綱目·卷六·小便不利小便難≫)
✺麻黃治水는 就其在上하야 橫開毛竅以驅之어늘 今水滿於少腹이니 自當就其在下하야 引停畜水氣하야 並從小便而出이니 是皆因勢而導之耳라(≪本經疏證·茯苓≫)
✺若小便不利 少腹滿者는 水蓄下焦也라 故로 去麻黃하고 加茯苓以利水라(≪傷寒尋源·下集·小靑龍湯≫)
⑤若喘하면 去麻黃하고 加杏人半升去皮尖이라
『천식하면 마황을 빼고 끄트머리를 없앤 행인을 반 되 더한다.』
✺又問 麻黃主喘이어늘 何故去之잇가 此는 心下有水而喘이니 不留汗也라(≪活人書·71問≫)
✺金匱要略에 曰 其人形腫 故로 不內麻黃코 內杏子라하니 以麻黃이 發其陽故也라 喘呼形腫은 水氣標本之疾이라(≪注解傷寒論≫)
✺若喘者는 去麻黃하고 加杏仁이라 喘爲氣逆이라 麻黃은 發陽이니 去之면 則氣易順이라 杏仁은 味甘苦溫하니 加之以泄逆氣라 金匱要略에 曰 其形腫者라 故로 不內麻黃코 乃內杏子하니 以麻黃이 發其陽故라하니라 喘逆과 形腫은 標本之疾로 加減所同하니 蓋其類矣라(≪傷寒明理論≫)
✺以其能潤肺而散水氣라 其脈浮者는 不去麻黃하고 但脈沈者는 宜去麻黃也라(≪金鏡內臺方議·小靑龍湯·加減法≫)
✺喘은 水氣射肺而聲息不利也니 加杏仁하야 潤肺以下其氣也라(≪傷寒論條辨≫)
✺喘則氣上이니 法當降下라 麻黃은 輕揚而上하니 是以去之오 杏仁은 苦泄而下하니 是以加之니라(≪傷寒括要·卷下·太陽篇七十三方·小靑龍湯≫)
✺喘者는 水氣上乘而肺氣厥逆이라 故로 加杏仁하야 以利肺氣라 此는 皆水寒內逆이라 故로 並去其麻黃이라(≪傷寒論集注≫)
✺喘爲肺氣逆滿之證이니 加杏仁하야 以助麻黃利肺氣는 可也나 若加杏仁而去麻黃을 施之於表不解之傷寒은 恐未切當이라 若肺虛而喘 則又宜補不宜瀉니 非惟麻黃當去오 並杏仁도 亦不可加矣라(≪傷寒溯源集≫)
✺喘者는 水氣在肺라 故로 加杏仁하야 下氣泄肺하고 麻黃도 亦能治喘而不用者는 惡其發氣也라(≪傷寒貫珠集≫)
✺杏仁은 利肺而止喘也라(≪傷寒懸解≫)
✺若喘者는 水邪射肺也라 故로 去麻黃하고 加杏仁以下肺氣라(≪傷寒尋源·下集·小靑龍湯≫)
✺然而麻黃이 非不治喘이어늘 小靑龍湯에 云 喘去麻黃加杏仁이라하니 又何以有宜不宜之別耶아 蓋麻黃者는 上發心液하고 亦下通腎氣라 小靑龍은 心下之水가 已與腎臟之水로 相吸引이니 若再以麻黃으로 動其腎氣하면 喘將愈不能止라 杏仁은 肺藥이오 非腎藥이라 故로 去彼加此니 所謂用杏仁於橫擴兼取其直降者가 此也라(≪本草思辨錄·卷三·杏仁≫)
✺傷寒發汗은 以麻黃爲主 杏仁爲輔오 治喘은 以杏仁爲主 麻黃爲輔라 故로 二物並用하면 其效始捷이라 夫喘은 在傷寒엔 爲表實肺鬱이오 在雜證엔 則有熱喘 有虛喘 有飮氣喘하야 不止一端이라 小靑龍에 喘去麻黃加杏仁은 卽非治傷寒之喘이라 故로 其方은 亦多用於雜證이라 然而仲聖用藥之道는 但於配合異同分數多寡之中에 一爲轉移면 便大不相侔라(≪本草思辨錄·卷三·杏仁≫)
且蕘花는 不治利하고 麻黃은 主喘이어늘 今此語反之니 疑非仲景意라
『蕘花는 下利를 다스리지 못하고, 마황은 喘을 주하는데 지금 반대로 말하고 있으니 중경의 뜻이 아닌 것 같다.』
林億等이 謹按컨대 小靑龍湯은 大要治水라 又按컨대 本草에 蕘花는 下十二水라하니 若水去 利則止也라 又按컨대 千金에 形腫者는 應內麻黃이오 乃內杏仁者는 以麻黃發其陽故也니 以此證之면 豈非仲景意也아
『林億 등이 살펴보자면, 소청룡탕의 大要는 水를 다스리는 것이다. 또 본초에서 蕘花는 十二水를 나오게 한다고 하였으니 水氣가 없어지면 下利는 그친다. 또 ≪千金方·卷十八·大腸腑方咳嗽第五·小靑龍湯≫에서 “形腫에 마황을 넣어야 한다.”라고 하였고, “행인을 넣은 것은 마황이 陽을 發하기 때문이다.”라고 하였으니, 이것으로 본다면 어찌 중경의 뜻이 아니겠는가?』
✺寒邪在表면 非甘辛이면 不能散之니 麻黃 桂枝 甘草之辛甘으로 以發散表邪라 水停心下而不行하면 則腎氣燥하니 內經에 曰 腎苦燥하니 急食辛以潤之라하니라 乾薑 細辛 半夏之辛으로 以行水氣而潤腎이라 咳逆而喘은 則肺氣逆이니 內經에 曰 肺欲收하니 急食酸以收之라하니 芍藥 五味子之酸으로 以收逆氣而安肺라(≪注解傷寒論≫)
✺靑龍은 象肝木之兩岐而主兩傷之疾이라 中風見寒脉과 傷寒見風脉은 則爲榮衛之兩傷이라 故로 以靑龍湯主之라 傷寒에 表不解는 則麻黃湯으로 可以發이오 中風에 表不解는 則桂枝湯으로 可以散이나 惟其表且不解하고 而又加之心下有水氣는 則非麻黃湯所能發 桂枝湯所能散이오 乃須小靑龍湯이라야 始可祛除表裏之邪氣爾라 麻黃은 味甘辛溫하야 爲發散之主니 表不解하야 應發散之면 則以麻黃爲君이라 桂는 味辛熱하고 甘草는 味甘平이라 甘辛爲陽이니 佐麻黃表散之用이니 二者所以爲臣이라 芍藥은 味酸微寒하고 五味子는 味酸溫하니 二者 所以爲佐者는 寒飮傷肺하야 咳逆以喘하면 則肺氣逆할새니 內經에 曰 肺欲收하니 急食酸以收之라하니라 故로 用芍藥五味子爲佐하야 以收逆氣니라 乾薑은 味辛熱하고 細辛은 味辛熱하고 半夏는 味辛微溫하니 三者 所以爲使者는 心下有水하야 津液不行하면 則腎氣燥할새니 內經에 曰 腎苦燥하니 急食辛以潤之라하니라 是以로 乾薑細辛半夏로 爲使하야 以散寒水하면 逆氣收하고 寒水散하야 津液通行하야 汗出而解矣라(≪傷寒明理論≫)
✺好古曰 經에 云 腎主五液하니 化爲五濕이라 自入爲唾하고 入肝爲泣하며 入心爲汗하고 入脾爲痰하며 入肺爲涕라 有痰曰嗽오 無痰曰咳니 痰者는 因咳而動脾之濕也라 半夏는 能泄痰之標오 不能泄痰之本이니 泄本者는 泄腎也라 咳는 無形이오 痰은 有形이니 無形則潤이오 有形則燥니 所以爲流濕潤燥也라 俗以半夏爲肺藥은 非也라 止嘔吐爲足陽明이오 除痰爲足太陰이라 柴胡爲之使라 故로 今柴胡湯中에 用之니 雖爲止嘔나 亦助柴胡黃芩하야 主往來寒熱이니 是又爲足少陽陽明也라(≪本草綱目·半夏≫)
✺杲曰 收肺氣하고 補氣不足하니 升也라 酸以收逆氣하니 肺寒氣逆하면 則宜此與乾薑으로 同治之라 又五味子는 收肺氣하니 乃火熱必用之藥이라 故로 治嗽以之爲君이라 但有外邪者는 不可驟用이니 恐閉其邪氣라 必先發散而後用之라야 乃良이라 有痰者는 以半夏爲佐오 喘者는 阿膠爲佐니 但分兩少不同耳라(≪本草綱目·五味子≫)
✺張卿子云 與柴胡湯症으로 相似나 此治表也라 故로 近溫이오 彼半表半裏라 故로 近淸이라(≪張卿子傷寒論≫)
✺乾薑은 氣味辛溫하고 其色黃白하니 乃手足太陰之溫品也라 胸滿者는 肺居胸上하니 肺寒則滿也라 咳逆上氣者는 手足太陰之氣가 不相通貫하야 致肺氣上逆也라 溫中者는 言乾薑主治胸滿咳逆上氣가 以其能溫中也라(≪本草崇原·乾薑≫)
✺細辛은 氣味辛溫이오 一莖直上이라 其色赤黑하니 稟少陰泉下之水陰 而上交於太陽之藥也라 少陰爲水臟이오 太陽爲水府라 水氣相通하야 行於皮毛하고 皮毛之氣는 內合於肺라 若循行失職하면 則病咳逆上氣니 而細辛能治之라(≪本草崇原·細辛≫)
✺愚按컨대 細辛은 乃本經上品藥也니 味辛臭香 無毒이라 主明目利竅라 宋元祐陳承謂 細辛單用末할새 不可過一錢이니 多則氣閉不通而死라하니 近醫가 多以此語忌用하나니 嗟嗟라 凡藥은 所以治病者也라 有是病에 服是藥이니 豈辛香之藥而反閉氣乎아 豈上品無毒而不可多服乎아 方書之言이 俱如此類니 學者가 不善詳察而遵信之면 伊芳黃之門에 終身不能入矣니라(≪本草崇原·細辛≫)
✺肺主呼吸은 發原於腎하야 上下相交어늘 咳逆上氣 則肺腎不交라 五味子는 能啓腎臟之水精하야 上交於肺라 故로 治咳逆上氣라(≪本草崇原·五味子≫)
✺琥按컨대 成氏引內經云 腎苦燥一段은 殊非緊要語라 條辨中因削之云 水寒之相搏은 乾薑細辛半夏가 所以散之라하니 反覺其注簡而易明이라(≪傷寒論辨症廣注≫)
✺琥又按컨대 內臺方議에 云 小靑龍者는 以其能發越風寒 分利水氣하야 猶龍之超越乎天地之間이라하니 是亦妙解라 條辨中에 以小靑龍湯散水寒은 猶龍之翻波逐浪而歸海니 不比大靑龍湯之發汗이 猶龍之興雲 致雨而升天이라하니 曰大曰小는 古人命名之義가 截然曉暢이라(≪傷寒論辨症廣注≫)
✺琥按컨대 上小靑龍湯證에 云 傷寒表不解는 是兼中風而言이라 夫乾嘔發熱은 謂非太陽中風證邪아 其爲咳 爲渴 爲噎 爲利 爲小便不利 少腹滿은 此誠水氣內漬所傳之證不一也라 然이나 其中冷熱之候頓殊하야 加減藥味가 不可少差니 恐殺人亦甚速耳라 其或爲喘者는 喘爲太陽傷寒表不解發熱之急候어늘 何以反去麻黃은 蓋麻黃은 能發風寒外甚之喘이오 此則水飮上侵於肺 而氣壅作逆이라 故로 易以杏人이니 味苦甘而氣溫하야 能泄利肺氣하고 兼散水飮하니 有專功也라 內臺方議에 云 其人脈浮者는 不去麻黃이오 但脈沈者는 宜去麻黃이라이니 以是知以上加減法도 亦不可執이라(≪傷寒論辨症廣注≫)
✺琥又按컨대 上條云 傷寒表不解 發熱은 其人風寒之邪正盛이나 止因咳嘔氣逆 而湯中旣用芍藥之酸以收之하고 復用五味子半升以斂之라 今醫稍知藥性者는 例不敢用이어늘 仲景於當日獨用之者는 何也오 或云 五味子宜用南産黃色者 取其味辛多而酸少也라하니 斯言亦近乎理라 或問云 心下有水氣矣어늘 何以不直曰嘔 而曰乾嘔잇가 余答云 水者는 有形之物이니 其性趨下오 其上升者는 但氣耳라 故로 曰乾嘔 曰咳 曰噎 曰喘者는 皆上升之氣也라 然이나 其水도 仍下流而或爲利 或爲小便不利 少腹滿矣라 又或渴者는 爲熱水之證이오 或噎者는 爲寒水之證이나 要之컨대 傷寒發噎에 亦有胃中水熱氣逆而作者하니 不可但信以爲寒也라 仲景法에 加炮附子나 其論도 又不可拘니라(≪傷寒論辨症廣注≫)
✺或問靑龍湯에 有大小之名은 分在石膏之多寡乎아 曰 石膏不可多用은 不獨小靑龍湯也라 小靑龍之別於大靑龍者는 以方中用芍藥也라 龍性雖難馴이나 得芍藥之酸收면 則石膏不能升騰矣니 蓋芍藥所以制石膏也라 譬如小龍初長頭角할새 惟恐傷人이니 畏首畏尾라 故로 以小名之라 世人이 但知石膏之猛하니 誰知加入芍藥하면 則石膏正無足忌乎아 惟小靑龍之用石膏는 不得其宜면 亦有禍害나 但不若大靑龍無制之橫耳니라(≪本草新編·石膏≫)
✺辛能泄肺라 故로 風寒咳嗽上氣者에 宜之라(≪本經逢原·細辛≫)
✺加乾薑하면 治冬月肺寒咳嗽라(≪本經逢原·五味子≫)
✺小靑龍은 卽大靑龍之變制也라 謂之小者는 控制而小用之也라 蓋龍蟠蠖屈하야 非若升騰飛越之勢之大也라 夫前은 以天地鬱蒸은 非風狂雨驟 雷雨滿盈이면 不足以散鬱蒸之熱氣오 此則水滯寒凝은 非雨潤雲蒸 水泉流動이면 豈能解冱結之寒邪아 是以大靑龍爲辛凉發汗之劑라 故로 用麻黃全湯에 兼桂枝之半하고 又倍增麻黃而加石膏也라 小靑龍은 乃辛溫發散하고 斂逆之藥이라 故로 用桂枝全湯에 去薑棗而兼麻黃之半이라 又加乾薑細辛者는 一以助麻黃桂枝之辛溫發散이니 李時珍謂使寒邪水氣로 從毛孔中散이오 一取其暖中去寒 溫肺泄肺之功也라 更加芍藥五味者는 所以收肺氣之逆이니 皆控禦節制之法也라 蓋細辛乾薑之用은 以腎與膀胱 相爲表裏라 素問病機에 云 諸寒收引은 皆屬於腎이라 故로 藏氣發時論에 云 腎苦燥 急食辛以潤之라하니 開腠理하야 致津液 通氣也라 張元素云 細辛은 味辛而熱하야 溫少陰之經하고 能散水氣하며 去內寒이라하고 李時珍은 謂辛能泄肺라 故로 風寒咳嗽 上氣者宜之라 五味芍藥은 所以收肺氣之逆也라 李東垣曰 酸以收逆氣니 肺寒氣逆에 宜與乾薑으로 同用이오 有痰者는 以半夏爲佐니 皆本諸此也라 愚竊謂肺寒而氣逆者는 可以酸收어니와 若肺熱而氣滿者는 未可槪用也라 觀仲景制方컨대 以大靑龍之興雲致雨 而脈微弱 汗出惡風者는 猶禁止之曰不可用이라 若誤用之면 尚有厥逆惕瞤之變이라 至於小靑龍 則其制方之義가 周旋規矩 不離方寸이라 後人이 豈可亦以小靑龍 養成頭角 翻江攪海爲喻乎아 皆一時縱筆任意하야 爲快口之談耳니 恐未足爲定訓也니라(≪傷寒溯源集≫)
✺肺爲金藏이오 形寒飮冷則傷肺니 肺傷則氣不下降 而病上氣咳逆矣라 桂枝는 性溫하야 溫肺하고 肺溫則氣下降 而咳逆止矣라(≪本草經解·桂枝≫)
✺肺屬金而主皮毛니 形寒飮冷則傷肺니 肺傷則氣不降 而咳逆上氣之癥生矣라 細辛은 辛入肺하고 溫能散寒하니 所以主之라(≪本草經解·細辛≫)
✺表雖未解나 寒水之氣는 已去營衛라 故로 於桂枝湯에 去姜棗하고 加細辛 乾薑 半夏 五味라 辛以散水氣而除嘔하고 酸以收逆氣而止咳하니 治裏之劑가 多於發表焉이라 小靑龍與小柴胡는 俱爲樞機之劑라 故로 皆設或然證하야 因各立加減法이라 盖表證旣去其半 則病機偏於向裏라 故로 二方之證이 多屬裏라 仲景이 多用裏藥하고 少用表藥하니 未離於表라 故로 爲解表之小方이라 然이나 小靑龍은 主太陽之半表裏나 尙用麻黃 桂枝하니 還重視其表라 小柴胡는 主少陽之半表裏나 只用柴胡 生薑하니 但微解其表而已라 此는 緣太少之陽氣不同이라 故로 用表藥之輕重도 亦異라 小靑龍은 設或然五證하니 加減法內卽備五方이오 小柴胡는 設或然七證하니 卽具加減七方이라 此는 仲景의 法中之法이오 方外之方이니 何可以三百九十七 一百一十三으로 拘之리오(≪柯氏傷寒論注≫)
✺大靑龍은 合麻桂而加石膏하야 能發邪氣 除煩躁하고 小靑龍은 無石膏하고 有半夏 乾薑 芍藥 細辛 五味하야 能散寒邪 行水飮이어늘 而通謂之靑龍者는 以其有發汗蠲飮之功 如龍之布雨而行水也라 夫熱閉於經 而不用石膏면 汗爲熱隔하리니 寧有能發之者乎며 飮伏於內 而不用薑 夏면 寒與飮摶하리니 寧有能散之者乎아 其芍藥 五味는 不特收逆氣而安肺氣오 抑以制麻 桂 薑 辛之勢하야 使不相驚而相就하야 以成內外協濟之功耳라(≪傷寒貫珠集≫)
✺太陽停飮에 有二라 一中風有汗爲表虛니 五苓散證也오 一傷寒無汗爲表實이니 小靑龍湯證也라 表實無汗이라 故로 合麻桂二方以解外라 去大棗者는 以其性滯也오 去杏仁者는 以其無喘也니 有喘者는 仍加之오 去生薑者는 以有乾薑也니 若嘔者는 仍用之라 佐乾薑細辛은 極溫極散하야 使寒與水로 俱得從汗而解오 佐半夏는 逐痰飮하야 以淸不盡之飮이오 佐五味는 收肺氣하야 以斂耗傷之氣라 若渴者는 去半夏하고 加花粉하야 避燥以生津也라 若微利 與噎 小便不利 少腹滿은 俱去麻黃하야 遠表而就裏也라 加附子以散寒하면 則噎可止오 加茯苓以利水하면 則微利止오 少腹滿도 可除矣라 此方은 與越婢湯으로 同治水飮溢於表 而爲腹脹水腫이니 宜發汗外解者는 無不隨手而消라 越婢는 治有熱者라 故로 方中君以石膏하야 以散陽水也오 小靑龍은 治有寒者라 故로 方中佐以薑桂以散陰水也라(≪醫宗金鑑≫)
✺趙良曰 溢飮之證은 金匱云 當發其汗이니 小靑龍湯治之라하니라 蓋水飮溢出於表하야 榮衛盡爲之不利면 必仿傷寒榮衛兩傷之法으로 發汗以散其水 而後榮衛行 經脈通하면 則周身之水可消니 必以小靑龍湯爲第一義를 於此可類推矣니라(≪醫宗金鑑≫)
✺水停心下則腎燥하니 細辛之辛이 能行水氣以潤之니라 (腎燥者는 心亦燥니 火屈於水故로 燥也라 經云腎苦燥어든 急食辛以潤之라하니라)(≪本草從新·細辛≫)
✺按컨대 此方은 專治水氣라 蓋汗爲水類오 肺爲水源이니 邪汗未盡하면 必停於肺胃之間이라 病屬有形이니 非一味發散所能除오 此方이 無微不到하니 眞神劑也니라(≪傷寒論類方≫)
✺至書所云服能入腎潤燥는 非是火盛水衰 陰被陽涸而成이오 實因陰盛陽衰하야 火屈于水而致也라 遇此에 辛以除寒하고 溫以燥濕하면 則陰得解而不凝矣니 豈剛燥不撓之謂也乎아(≪本草求眞·細辛≫)
✺蓋氣는 發於腎하야 出於肺라 若陰虛火起면 則氣散而不收 而煩渴 咳嗽 遺精 汗散等證이 因之互見이라 故로 必用以酸鹹 則氣始有歸宿 而病悉除라 至云能以除熱者는 是卽氣收而火不外見之意也라 所云能暖水臟者는 是卽腎因得溫而氣得暖而藏之也라 但寒邪初冒 脈實有火者는 禁用이라(≪本草求眞·五味子≫)
✺千金에 蕘花는 作芫花니 總病論同이라 若噎者는 外臺에 作若食飮噎者라 總病論은 作咽字라 玉函은 無且字라 主喘은 作定喘오 無此語二字라 反之下에 有者字라 外臺同이라 成本에 無且蕘花以下二十字라(≪傷寒論輯義≫)
✺案컨대 且蕘花以下二十字는 蓋是叔和語라 大柴胡方後에 云 不加大黃이면 恐不爲大柴胡湯이라한대 許氏本事方에 引爲叔和語니 此段語氣도 亦與彼條로 相類니 可以證也라 且玉函外臺에 並有此語하니 可見不出於後人手라(≪傷寒論輯義≫)
✺吳恕活人指掌에 云 蕘花는 如無어든 以生桃花代라하니라(≪傷寒論輯義≫)
✺柯氏曰 此方은 又主水寒在胃 久咳肺虛라하니라 ○案컨대 金匱要略에 本方은 治溢飮이오 又加石膏하면 治肺脹咳而上氣 煩躁而喘 脈浮者 心下有水氣라 又本方은 治咳逆倚息不得臥하고 外臺秘要 古今錄驗 沃雪湯은 卽本方에 去芍藥 甘草니 治上氣不得息 喉中如水雞聲이라 凡局方溫肺湯 杏子湯之類는 從此方增損者頗多라(≪傷寒論輯義≫)
✺禦藥院方 細辛五味子湯은 治肺氣不利 咳嗽喘滿 胸膈煩悶 痰涎多 喉中有聲 鼻塞淸涕 頭痛目眩 肢體倦怠 咽嗌不利 嘔逆惡心이니(卽本方이라)(≪傷寒論輯義≫)
✺醫學六要에 脚氣上氣喘促할새 初起에 有表邪者는 小靑龍加檳榔이라(≪傷寒論輯義≫)
✺芍藥者는 一方之樞紐也라 一徵之小靑龍湯이니 外寒與內飮相搏하야 乾嘔發熱而咳는 是證之必然非或然이라 麻桂散外寒하고 辛夏蠲內飮하고 薑味止咳逆하고 甘草合諸藥以和之라 寒則以汗解오 飮則隨便去라 惟麻黃入太陽而上行하고 膀胱之氣도 亦因之而不下行하니 小便不利 少腹滿이 固意中事라 加芍藥者는 所以馴麻黃之性而使水飮得下走也라 若小便本不利면 則麻黃直去之矣라 全方이 蠲飮重於散寒이라 故로 名之曰小靑龍湯이라(≪本草思辨錄·卷二·麻黃≫)
✺細辛與杏仁은 皆所以爲麻黃之臂助 而有大不侔者在라 杏仁佐麻黃而橫擴은 是爲一柔一剛이오 細辛佐麻黃而直行은 是爲一專一普라 麻黃은 驅陰邪發陽氣하니 不僅入少陰而用甚普라 細辛則色黑入腎하고 赤入心하며(或云赤黑이라하고 或云深紫라하니 紫卽赤黑相兼之色也라) 一莖直上하야 氣味辛烈이라 故로 其破少陰之寒凝이 銳而能專이라(≪本草思辨錄·卷二·麻黃≫)
✺喘與咳는 皆肺病이나 其有腎氣逆而爲喘咳者하니 則不得獨治肺라 五味子는 斂肺氣하야 攝腎氣하니 自是要藥이라 然이나 但能安正이오 不能逐邪니 有邪用之어든 須防收邪氣在內라 仲聖은 以五味伍桂枝 則云下衝氣오 去桂하고 加乾薑細辛하면 則云治咳滿이니 可見咳滿之任은 在薑辛이오 不在五味라 然而去桂不去五味라 其他治咳逆諸方은 又無不三物並用이니 其故는 何也오 曰 足太陽手太陰은 同爲一身之衛니 二經之病은 往往相通이라 小靑龍湯은 傷寒太陽病也 而雜證肺病도 亦恒用之라 推之苓甘五味薑辛湯 厚朴麻黃湯은 皆肺中有寒飮이니 皆小靑龍出入加減이라 小靑龍은 系外寒與內飮相搏이라 故로 咳逆이니 若兼外寒이면 方中에 必有麻桂오 無外寒者는 無之라 至三物並用은 則非分疏면 不明이라 肺中冷하면 必眩多涎唾오 甘草乾薑湯以溫之니 此乾薑溫肺之據라 用乾薑者는 肺寒에 非乾薑이면 不溫也ᅟᅵᆯ새라 張隱庵之疏細辛也에 曰 氣味辛溫 一莖直上 色赤黑 稟少陰泉下之水氣而上交於太陽이라하니 審乎是而謂細辛不能發汗耶면 則細辛은 辛溫而烈하야 實能由少陰達表오 謂細辛能發汗耶면 則細辛은 細碎之體어늘 那得勁力이리오 所以發少陰之汗은 必與麻黃並用이오 而散肺中寒飮 則正其所優爲라 二物이 一溫一散하니 肺邪는 已足了之어늘 而必加以五味하고 且數多於薑辛하니 幾令人不解라 此則治病卽以善後니 仲聖蓋慮之周也라 肺苦氣上逆이어늘 咳則逆하고 喘則且至於脹하니 旣張之肺에 欲翕不得하야 有邪雖去而咳猶不止者는 謂五味가 可無乎아 不可無乎아(≪本草思辨錄·卷二·五味子≫)
✺或曰 煩躁而喘者는 加石膏오 胃熱熏面者는 加大黃이니 得毋三物亦治熱咳아 不知飮自寒而挾自熱이오 三物所治는 仍屬寒飮이니 不得因是致疑라 或又曰 三物治咳할새 惟細辛이 關系最重이어늘 而小柴胡湯은 咳加乾薑五味하고 獨不加細辛하니 豈傳寫有脫佚耶아 夫寒飮迫肺而咳者는 可從表解오 可從下泄이라 少陽은 在半表半裏니 間有咳者는 殆陽不勝陰而以微寒侵肺耳라 無飮可蠲이니 何需乎細辛이리오 此는 傷寒太陽少陽之分이니 斷不容忽過者也라 尤氏曰 五味子治嗽는 新病惟熱傷肺者宜之오 若風寒所客 則斂而不去矣라 久病氣耗者는 非五味子면 不能收之라 然이나 熱痰不除면 則留固彌堅矣라하니라(見金匱翼) 按컨대 所論甚是나 而不免於語病이라 肺爲熱傷은 固非斂不救니 如孫眞人 生脈散之以五味治暑病이라 然이나 方中에 必重任人參麥冬生津止渴之品이라 卽尤氏所引治熱咳諸藥不效者方에 亦何嘗無淸滌肺熱如石膏知母枇杷葉之類리오 雖新病이라도 不得重任五味니 有邪면 應兼除邪오 治法은 與寒嗽로 不殊니 未便故爲軒輊也라(≪本草思辨錄·卷二·五味子≫)
✺凡外感鼻塞 與噫氣嘔吐 胸痹 喉間凝痰結氣를 皆主之나 惟不能治咳라 小柴胡湯에 咳去生薑이오 痰飮門凡言咳者에 亦皆無生薑이니 以生薑純乎辛散하야 適以傷肺오 不能止咳라 太陽病에 表不解而有咳할새 如小靑龍湯에 尚不用生薑이어늘 何論他經이리오 乃肺痿門之咳有用之者는 肺家邪實이오 非太陽之表病比니 正不妨與麻黃同泄肺邪라(≪本草思辨錄·卷三·生薑≫)
✺或曰 小靑龍湯 射干麻黃湯 眞武湯은 皆有水飮而咳어늘 而一用乾薑 一用生薑 一生薑乾薑並用하니 何治之不侔若是耶아 曰 此正方義之當尋究者矣라 小靑龍湯은 外寒與內飮相搏이니 麻黃桂枝所以散外寒이오 細辛半夏所以蠲內飮이오 以芍藥輔辛夏면 則水氣必由小便而去니 此內外分解之法이라 不宜重擾其肺하야 使內外連橫이라 故로 溫肺之乾薑 斂肺之五味則進之어니와 而劫肺之生薑則退之也라(≪本草思辨錄·卷三·生薑≫)
✺乾薑은 溫脾而上及肺하야 以治肺咳而下連脾가 正爲相當이라 如小靑龍湯에 以乾薑治寒咳而用至三兩하고 微利亦不去乾薑이 是也라(≪本草思辨錄·卷三·乾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