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호상한론>확장판 17조문
17. 「19」 若酒客病은 不可與桂枝湯이라 得之則嘔하나니 以酒客不喜甘故也라
『술을 즐기는 사람의 병에는 계지탕을 쓸 수 없다. 계지탕을 먹으면 嘔逆하는데 술을 즐기는 사람은 甘味를 싫어하기 때문이다.』
✺酒客은 內熱하야 喜辛而惡甘이어늘 桂枝湯은 甘하니 酒客得之면 則中滿而嘔라(≪注解傷寒論≫)
✺酒客者는 酒性濕熱하니 所謂胃家濕熱甚者가 無踰此也라 嘔는 亦吐也오 得湯則嘔 以不喜甘은 見上이라 然이나 卽酒客不喜甘 得湯則嘔而推之면 則凡服桂枝湯而吐者도 其義皆可以比類而察識矣라 觸類而通之면 亦存乎其人焉耳니라(≪傷寒論條辨≫)
✺按컨대 辛甘發散爲陽은 內經之旨也라 仲景遵之製方호대 重申辛甘之戒니 可謂慮周千變矣라 如酒客은 平素濕與熱이 搏結胸中하니 纔挾外邪면 必增滿逆하니 所以辛甘之法은 遇此輩卽不可用이라 辛甘不可用이면 則用辛凉以徹其熱 辛苦以消其滿을 自不待言矣라 後人不察하고 偏詆桂枝爲難用하야 卽不遇酒客이라도 無端變亂內經定法하니 可勝誅哉아 葛根이 雖酒客所宜나 然이나 犯太陽經禁이니 又不可用이라(≪尙論篇≫)
✺成注云 酒客은 內熱이라하니 其於無病時에 熱氣가 熏蒸膚腠間하야 固多汗矣라 及其病風寒之邪하얀 脈必浮緩 而汗出을 可知라 醫人이 不可據脈驗證하야 執一桂枝湯與之니 其得湯이면 必作嘔而吐出은 何也오 以酒客은 旣傷於酒하고 又挾外邪하면 胸中이 必滿而逆이어늘 若食甘則愈滿 故로 不喜也라 卽一酒客病 則凡太陽中風而挾食者도 桂枝亦在所當禁을 可類推矣니라(≪傷寒論辨症廣注≫)
✺經에 云飮酒者는 隨衛氣先行皮毛하야 先充絡脈이라 若酒客病者는 蓋假酒客以喩病在皮毛絡脈也라 在皮毛則涉肌腠之外하고 在絡脈하면 則涉肌腠之內라 故로 不可與桂枝湯이라 蓋桂枝本爲解肌오 又主辛甘發散之劑니 得之則皮毛之邪가 從肌腠而入於中胃라 故로 嘔하니라 夫辛走氣而甘緩中하니 得之則嘔者는 以酒客不喜甘味以緩中故也라 ○張氏曰 此節은 言甘味以緩中이오 下節凡服桂枝湯吐者는 言辛味以走氣라 此節은 言皮毛之邪가 入於中胃而嘔오 下節은 言絡脈之邪가 散於經脈而吐膿血이라(≪傷寒論集注≫)
✺此條는 辭義明顯하니 不須注解라 其特設此義者는 所以別上文服桂枝湯吐者之不同也라 前以熱邪上壅胸膈而吐오 此以酒客之濕熱 常在胸膈而嘔니 前以不受溫而吐오 此以不喜甘而嘔라 如此則吐膿血與不吐膿血이 亦自明矣라 凡酒客中風은 風性本溫하고 酒性濕熱하니 此眞所謂兩熱相合也라 至眞要大論에 云 風淫於內면 治以辛凉 佐以苦 以辛散之라하니 但不必以甘緩之矣라 其於桂枝湯 則當謹避之耳라(≪傷寒溯源集≫)
✺平素好酒하면 濕熱在中이라 故로 得甘必嘔라 仲景用方에 愼重如此하시니 言外當知有葛根連芩以解肌之法矣라(≪柯氏傷寒論注≫)
✺本草에 云 酒性熱而善上하고 又忌諸甜物이라 飮酒之人은 甘味積中而熱氣時上이라 故로 雖有桂枝證이라도 不得服桂枝湯이라 得之則嘔하니 以酒客不喜甘 而桂枝湯味甘하야 能增滿而致嘔니 亦一大禁也라(≪傷寒貫珠集≫)
✺酒客은 謂好飮之人也라 酒客病은 謂過飮而病也라 其病之狀이 頭痛 發熱 汗出 嘔吐니 乃濕熱薰蒸使然이오 非風邪也라 若誤與桂枝湯服之則嘔니 以酒客不喜甘故也라(≪醫宗金鑑≫)
✺大棗甘草甘味動嘔也라(≪傷寒懸解≫)
✺魏荔彤曰 酒客이 脈浮 汗自出하면 似風傷衛나 實非風傷衛이라 然이나 酒客汗自出 脈數而大則有之니 未必浮也라 浮則爲風傷衛矣라 況酒客이 焉有惡風一症이리오 是雖發熱汗出이 酒客之常이나 並無惡風이니 必傷風而後惡風이오 自以酒客傷風爲正義也라 所以用桂枝湯호대 必斟酌이라야 方效也라하니라 濕熱家가 或中風하면 脈雖浮나 必兼濡澁而帶數하나니 於脈에 可以知其熱也라 雖頭項强痛이라도 必兼身重 骨節煩疼 掣痛不可屈伸 近之則痛劇이오 雖汗出이라도 必兼短氣오 雖惡風이라도 必兼小便不利니 於此症에 可以知其濕也라 辨之旣明이면 何至必於吐後라야 始知其誤服桂枝哉리오 則濕熱之中風은 用桂枝之內에 必佐以五苓之治法矣라(≪傷寒論綱目·卷四·嘔吐≫)
✺鼇按컨대 酒客必有濕熱이라 故로 得甘必吐니 不可與桂枝라 柯韻伯謂當用葛根芩連解肌之法이 是也라 次條는 乃由酒客推廣言之니 見一切濕壅於中 熱淫於內者는 俱禁用桂枝니 或使濕熱湧越하면 有傷陽絡하야 以致吐膿血也라 舊本에 俱將膿血條를 敘在酒客條上하니 恐義不圓이니라(≪傷寒論綱目·卷四·嘔吐≫)
✺危亦林曰 酒客不喜甘은 平日蓄有濕熱也라 病雖中風으로 應與桂枝나 以不喜甘而不與는 正以善桂枝湯之用也라 言外에 當知有葛根芩連之法이라 鼇按컨대 危氏補出葛根芩連之法은 若魏伯鄉 柯韻伯輩俱宗之라 凡遇酒客病할새 使人知所以用藥이라(≪傷寒論綱目·卷六·不可汗≫)
✺桂枝本爲解肌니 以汗自出爲據나 然이나 亦有不可固執者라 若酒客病은 濕熱蘊於內하야 其無病時에 熱氣薰蒸하야 固多汗出이오 及其病也에 脈緩汗出을 可知矣라 然이나 其病은 却不在肌腠之內라 故로 不可與桂枝湯이라 若誤與之면 得此湯以助濕熱하고 且甘能壅滿이니 則爲嘔라 蓋以酒客喜苦而不喜甘故也라 推之면 不必酒客이오 凡素患濕熱之病者를 皆可作酒客觀也라 此一節은 承上節 桂枝本爲解肌句하야 言濕熱之自汗은 不爲肌腠之病이니 又當分別이라(≪傷寒論淺注≫)
✺玉函 千金翼에 無若字 病字 以字라 成本에 得之는 作得湯이라(≪傷寒論輯義≫)
✺案컨대 程云 酒客은 脈浮 汗自出하야 似風傷衛라하고 金鑒云 酒客病은 謂過飮而病也라하니 並非是라(≪傷寒論輯義≫)
✺蓋酒氣가 與穀氣로 相並하면 其中必熱이라 故로 不可與桂枝니 以其人濕熱重故也라 酒客如此니 則凡病之因暑濕而起者는 其不宜桂枝가 更明矣니라(≪傷寒尋源·中集·自汗≫)